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권수용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0 남명학연구 Vol.68 No.-
노사 기정진의 3대 제자로 김석구와 정재규 및 정의림을 드는데, 정의림과 정재규는 특히 비슷한 점이 많기에 스승도 두 사람의 계합을 인정하고 격려해주었다. 이 두 사람은 스승의 생전에 노사학의 진수를 전수받았을 뿐만 아니라 사후에도 스승을 추숭하고 위호하는 데 힘을 합해 주도해 나갔다. 스승의 학설에 대하여 외부의 훼방이 있을 때는 호남과 영남에서 노사학파를 대표하는 사람으로서 단호하게 대응하여 문인들이 결집하게 하였다. 특히 이들이 주로 활동했던 19세기 후반은 심설논쟁이 유행하였는데, 정의림과 정재규는 스승의 학설 토대 위에서 講會와 편지 왕복을 통해서 학문을 완성해나갔다. 그러나 영남과 호남의 학문적 전통기반이 달랐던 탓에 心說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Nosa Gi Jeong-jin's three major disciples were Kim Seok-gu, Jeong Jae-gyu, and Jeong Eui-rim. In particular, the teacher acknowledged and encouraged the two people to fit each other well Because Jeong Eui-rim and Jeong Jae-gyu had a lot of similarities. These two men not only received the essence of Nosa studies during the teacher's lifetime, but also took the lead together to honor and protect their teacher after death. When there was any outside interference with the theory of teacher, the two made disciples united in a firm response as a representative of the Nosa school in Honam and Yeongnam. In particular,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they were mainly active, there was a controversy over the theory of Xim(心說), The two completed their studies on the basis of their teachers' theory through reading meetings and letters round trip. However, due to the different academic traditions of Yeongnam and Honam regions, it can be seen that the two approach the theory of Xim(心說) from different perspectives.
권수용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5 No.-
In Honam area, there remain many Nujeong which were cultural institutions of our ancestors. There remain 630 Nujeong or more in Gwangju and Chonnam province at the present time, and adding Nujeong disappeared till now, about 2500 Nujeong has been built in this area. Among those, the number of Nujeong built at the modern age is over a third part of total Nujeong numbers. The modern age, like this, was an important period for Honam Nujeong culture to be stable; nevertheless, there has been no interest about it because of several reasons: that is, its history is not long and a person building Nujeong was not famous, etc.. Then, most of Nujeong that building date is not long has been disappeared to the back of history without being known its name. A Nujeong was a place for many people to associate each other with a poetry, for a conversation leading a society to be made, and also to cultivate younger students. The culture like this was not suddenly happened at the modern age but originated from Goryeo dynasty and developed in Choseon dynasty and has been continued to now as cultural spirit.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e of a modern Nujeong culture, like above, is also to investigate a character of Honam culture. We must, hence, prevent our excellent legacy of culture from being lost with a special concern before it disappears. However, a large number of a modern Nujeong and a collection of individual works remain fortunately up to now and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totally those. It become possible to make clear principal Nujeong writers and major Nujeong with understanding totally the present state of modern Nujeong. At the same time, it was possible to investigate by studying a Nujeong poem how our ancestors had self-discipline and associated with neighbors and has been doing cultural activities in a natural space of a Nujeong. Many people built a Nujeong and most of a talented man took part in writing Nujeong poetry and prose in the modern age. But, the reason for them to act like this may be to pride themselves on personal relationships and to raise a power of their families. This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in the meaning of a building intention, and must be said to be unique phenomena of culture in the modern age. 호남지역에는 우리 선조들의 문화공간이었던 누정이 많이 남아있다. 광주・전남지역에는 현재 630여 곳 이상이 남아있으며, 그동안 사라진 것까지 합쳐보면 2500여 곳에 이르는 누정이 세워졌다. 그중에서 근대기에 건립된 누정은 전체 누정수의 3분의 1이 넘는다. 이처럼 근대기는 호남 누정문화를 자리매김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인데도 그동안 역사가 오래지 않았다거나 잘 알려진 인물이 지은 경우가 아니었다는 이유 등으로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그래서 건립연대도 오래지 않은 대부분의 누정들이 이름도 알려지지 않은 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버렸다. 누정은 많은 사람들의 시적 교유 현장임과 동시에 그 사회를 이끄는 담론이 형성되었던 곳이기도 하고, 후학을 양성하는 강학공간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화는 근대기에 이르러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니라 멀리 고려시대부터 생겨났으며 조선시대에 발전해서 지금까지도 이어져오고 있는 문화의 큰 맥이다. 이와 같은 근대기 누정문화의 현황을 파악하는 일은 근대 호남문화의 특징을 구명하는 일이기도 하다. 때문에 우리들은 자료가 사라지기전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서 훌륭한 문화유산이 더 이상 유실되는 것을 막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다행스럽게도 아직까지는 이 시기에 건립된 누정이나 개인 문집이 많이 남아있어서 전체적인 파악이 용이한 편이다. 근대기 누정의 전체 현황파악을 통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주요 누정작가들과 주요 누정들을 밝힐 수 있게 되었다. 누정을 중심으로 주로 어떤 활동들이 있었는가를 밝힐 수도 있다. 또한 누정시문을 통해서 우리 선조들이 누정이라는 자연 공간에서 어떻게 자신을 수양하고 주변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문화 활동을 해왔는지를 살필 수 있다. 근대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누정 건립 활동을 하였고, 또 대다수의 인물들이 누정시문의 창작에 참여했다. 그런데 이러한 점은 누정의 건립 목적이 전대에 비해 자신의 인맥을 자랑하고 가문의 위세를 드높이고자한 의도도 내포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근대기에 나타나는 특이한 문화현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권수용,Sang Hyun Lee 한국물리학회 2011 Current Applied Physics Vol.11 No.4
We studied aqueous micellar solutions of mixtures of the nonionic surfactant octaethylene glycol monon-tetradecyl ether, C_14E_8, and the cationic surfactant tetradecyl trimethylammoniumbromide, TTAB,through small angle neutron scattering. The mixed micelles maintained their spherical shape without effects of the charged molecules over the whole mixing range, from pure nonionic surfactant to pure cationic surfactant micelles. At very low composition (α = 0.04) of the charged TTAB molecules, the nonionic―cationic mixed micelles have a maximum aggregation number of the micelles. This aggregation phenomenon is described well by molecular―thermodynamic theory. There was synergistic interaction between the surfactants, leading to a maximum aggregation number of the micelles. This study presents an example of a spherical micelle for the synergistic interaction in nonionic―ionic surfactant mixtures.
권수용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8 호남학 Vol.0 No.42
전라남도의 옛 창평지역에는 중등 교육 기관이었던 학구당이 두 군데나 남아 있다. 수남학구당과 수북학구당이 그것인데, 고을의 여러 성씨들이 힘을 합하여 세운 공립학교이다. 두 학구당은 선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16세기 후반기에 세워져서,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는 경우이다. 학구당은 그동안 부침은 있었지만, 향촌의 교육을 담당하고, 지역사회의 문화를 주도하는 위치를 점하였다. 즉 향촌의 질서를 유지시키고, 교화를 담당했으며,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곳이기도 했다. 옛 창평지역은 인물이 많이 나고, 정자가 많다는 명성을 얻고 있는데, 이것은 바로 학구당이 남쪽과 북쪽에 세워져 있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그런데 그 중요성에 비해 그동안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남아있는 자료를 통해서 학구당의 역사를 살피고, 그것이 지역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쳐왔는가 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두 학구당은 관학이었던 향교와는 달리 주민들의 자발적인 협력에 의해 세워져서 선진적인 민주주의를 실천해갔다. 비록 향촌의 한 구역에 처해있는 고을이었지만, 시대의 변화에 긍정적으로 대응하여 문화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There remains two Hakgudang which were a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 in Changpyeong, Chonnam. Those are Subuk-Hakgudang and Sunam-Hakgudang, which local residents established voluntarily without being led by the authorities. Two Hakgudang were founded in the late 16th century, and have remained until now. Hakgudang has served as a education institution and also a center leading culture of province: it has kept the village harmonious, and also was a education institution for a scholar preparing the state examination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re is a relation between the fact which there have been two Hakgudangs and the fact which there have been numbers of competent people and pavilions in this area from old era. But there has few study on Hakgudang, though it has very a importance. In this thesis, I try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Hakgudang and how it affect the local area with materials remained on it. Two Hakgudang are different from a Confucian temple(鄕校) in the point of that they leaded voluntarily advanced democracy without being led by the authorities. Though they were located in the country, they responded positively with times and could be higher culturally than another countries.
권수용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3 南道文化硏究 Vol.0 No.25
기양연 후손 가에는 과거시험 공부를 하면서 부단히 노력했던 흔적이 아직까지도 남아있다. 과거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누구나가 피나는 노력을 해야 했겠지만, 19세기에 들면 지방 사람이 과거에 합격한다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흥선대원군이 집권하면서부터는 그동안 소외되었던 사람들에게 합격의 기회를 주려고 하였다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표면적이었던 것이고, 자주 시행되는 비정규 시험에서는 서울에 살고 있는사람이 유리하지 않을 수 없었다. 기양연도 경제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지만 서울에서 유학하며 시험 준비를 할 수밖에 없었다. 그는 때때로 성 균관 생활을 하면서 춘추로 설행되는 도기를 이용하고자 하였는데, 전시나 회시에 직부할 수 있는 기회가 주 어졌기 때문이다. 소과에 합격한 적이 없는 기양연은 대과를 보기 위해선 별시를 통하는 것이 빠른 길이었다. 그러나 편지 내용을 보면 1864년 증광시 복시의 경우 이미 합격자가 내정되어 있었으며, 지역분배를 하였다지 만 호남지역에 배분된 것은 남인 아니면 소론이었다. 또한 도기 시험에서 합격한 사람은 모두가 권문세가의 자식들이어서 감히 바라볼 입장도 아니었다. 한편으로 월강고시를 부활하여 면강을 했는데 제대로 응하는 선 비가 거의 없었으니, 시험에 대해 실력은 기르지 않은 채 요행만을 바라는 사람이 많았음도 알 수 있다. 기양연은 이처럼 몇 차례의 시험을 거치고 난 후 식년시에서 합격을 할 수 있었다. 그런데 그처럼 지방출신이 비록 합격을 한다고 해도 관직생활은 세도가나 문벌가 출신들과는 차별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지방출신 합격 자 대부분은 낮은 관직을 전전하다가 그만 낙향하는 것이 순서였던 것이다. 기양연의 관직생활도 예외는 아니 었다. 그의 편지에서는 잦은 향관(享官) 차정 소식과 이에 대해 고뇌하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지방출신인 기 양연에게 벼슬길은 애초에 막혀있었던 것이다. 합격자의 과잉 수급과 함께 권문세가 자손들이 일찌감치 높은 직위를 차지하게 되어 일반 합격자는 낮은 관직마저도 얻기 어려웠던 것이다. The Guemgang head house of Haengju Ki’s family in Jangseong has about 130 letters that passed between father and son in the 1860-70s. People focus on the letter written by Ki Yang-Yeon. He wrote this letter to his father, Ki Yun-Jin, when he was studying for state examination and he was working for the government post. In the letters, he told about news happening in Seoul and about government in some detail besides their personal greetings. He wrote about new events he met very accurately and realistically. And the letters are pretty much related to one another. Even though the letters were private, we can see the society of that time. In the late 19th century,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process of the examination corrupted and was very unstable. The national situations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lso precarious at that time. Moreover it was hard for the people from the countryside to pass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Even if he got a pass, it is way harder to get a high ranking government position. These facts remained intact in Ki Yang- Yeon’s correspondence. Ki was the eldest grandson of the Geumgang head family. He headed to Seoul with his family’s great expectation, then he finally passed the examination with honors after devoting himself to his studies for 4 to 5 years. Through the letters sent from him when he was taking many other examinations, we can see the aspect of the state examination in Joseon Dynasty and rural intellectuals’ attitude coping with the situation.
권수용 호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4 No.-
With many people gathered in and around Mt. Mudeung, a lot of pavilions were built in that place. After building a lot of pavilions, many people come and go, and many great works were produced. Because Red Cliff(赤壁) area of Hwasun especially has a wonderful landscape, many poet and calligrapher has loved that place continuously since it become known to everybody. Because the Mulyeomjeong(勿染亭) has been in the middle of the cultural background in this area, we can know how Red Cliff culture has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history of the Mulyeomjeong and its role. There are difference of opinions on the problem who built the Mulyeomjeong and made a first poem of it. It is said that Song Gu built it or Song Jeong-Sun did. On the problem who wrote a first poem of it, there are opinions which Song Gu did or Song Jeong-Sun did, or Na Mu-Song did. This confusion is caused by an uncertain record in a town chronical and stereotypes which a pavilion owner must write a first poem. Key words: pavilion, the Mulyeomjeong, Red Cliff culture, Mt. Mudeung, Song Gu, Song Jeong-Sun, Na mu-Song Since Red Cliff culture was named by Choi San-Du in 16th century, it has been prosperous with a lot of pavilions till 17th century. The Mulyeomjeong has kept its position continuously, since it took a core part in the culture in the 17th century. Today, most of pavilions has disappeared, only the Mulyeomjeong is well preserved. According to poems on each of pavilions, Red Cliff was recognized as one cultural area, and was described as a place without noisiness of the human world. 호남의 무등산과 그 주변에는 인물이 모여들면서 누정이 많이 세워지게 되었고, 그러자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며 훌륭한 작품을 남겼다. 그중 적벽지역은 그 산수의 아름다움으로 인해서 세상에 알려진 후에는 줄곧 시인묵객의 사랑을 받아왔다. 그 중심에 물염정이 있는데 물염정의 역사와 활동을 통해 적벽문화의 형성과 성장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물염정은 건립자와 원운시 작자에 대한 문제로 의견이 대립하고 있는 곳이다. 물염정의 건립자는 송구로 보기도 하고, 송정순으로 보기도 한다. 그리고 원운시의 작자에 대해서는 송구로 보는 견해, 송정순으로 보는 견해, 나무송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이러한 혼선이 빚어진 이유는 읍지류에 기재된 내용의 변형, 원운시는 주인이 지어야한다는 고정관념 때문이다. 적벽문화는 16세기에 최산두의 명명이후부터 형성되어서 대단히 많은 누정이 세워지고 17세기까지 가장 번성하였다. 그중 물염정은 17세기에서야 문화의 중심에 들어선 것으로 보이며, 그 이후 줄곧 자신의 위치를 지켜가고 있다. 그런데 이제는 대부분의 누정도 사라지고 물염정 만이 제대로 보존되고 있는 실정이다. 각각의 누정에 대한 시문이 전하고 있지만 그 시문의 내용은 적벽을 하나의 문화권으로 인식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적벽을 인간세상의 소란함으로부터 벗어난 곳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권수용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인문학연구 Vol.0 No.45
Na Do-Gyu who lived intensely and died represents a rural intellectual of 19th century. He plied unusual education activity over concentrating in his studies, and kept to preparing for the state examination. In other words his varied activities includes the phases of the times of Honam area of 19th century. Although he was experiencing a mental conflict because of managing both studies and preparation for the state examination, he wasn’t able to give up easily the things like general Confucian scholars of the Chosun-era. He, after death of his teacher Nosa Gi Jeong-Jin, built the Namdeok arbor on the west side of Gwangju where he lived, but there seems to be no animated arbor activities in the common sense at this arbor. The fact that there almost no remains poetry and pose let us know that no one enjoyed a life at this arbor except the owner, furthermore he didn’t enjoy a long life at this arbor. Then again, because this arbor was an education place, it could not but lack an activity of reciting a poem in advance. His arbor activities, however, was found in many places. He managed the Yukyoung library and the Bongyang lecture hall before the Namdeok arbor, and took a turn in the Bulwon arbor after. But most of those buildings at which he enjoyed his life was not built by himself but by other people. His activities at those arbors was lecture activities. 평생을 치열하게 살다간 나도규는 19세기를 살아갔던 향촌의 지식인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는 학문에 힘쓰는 과정 속에서도 남다른 교육활동을 펼쳐갔으며, 또한 과거시험 공부도 계속해나갔다. 즉 그의 다양한 활동 속에는 19세기 호남의 시대상이 들어있는 것이다. 학문하는 한편으로 과거공부도 병행해야 했기 때문에 심리적 갈등도 겪고 있지만, 그렇다고 이것을 쉽게 접어버릴 수 없는 조선시대 유학자의 일상 모습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스승인 노사 기정진의 사망 후에 그가 살고 있는 곳인 광주의 서쪽에 남덕정을 세웠는데, 이곳에서는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누정활동은 크게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즉 시문이 거의 남아있지 않으니, 그것은 주인 외엔 향유자가 없었고, 이곳에서 노닌 기간도 길지 못했다는 데 그 이유가 있을 것이다. 또 한편으로는 강학공간이기 때문에 시를 수창하는 활동은 결여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누정활동은 한군데에서만 나타난 것이 아니다. 남덕정 이전에도 육영재와 봉양서실을 운영하였으며, 이후에는 불원정에서 소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대부분이 다른 사람들의 힘에 의해 세워진 누정이다. 이곳에서의 누정활동의 특징은 강학활동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