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음악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학습요소 분석

        권수미 ( Kwon¸ Sumi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5 음악교수법연구 Vol.15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음악이 중심이 된 융합인재교육(STEAM)을 시행하고자 할 때 교사의 업무과중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가능한 수업유형을 파악하고, 음악교과와 과학교과 간 융합이 가능한 학습요소를 도출해 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 개정교육과정이 시행된 이후 국내 융합교육과 예술교육 대표적인 연구기관인 한국과학창의재단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표된 ‘예술이 중심이 된 융합교육프로그램’들을 연구대상으로 수거하여 음악교과와 과학교과 간에 연계가 이루어진 학습요소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악교과는 학습요소로서 ‘음색’을 과학교과는 학습요소로서 ‘소리의 성질’, ‘물질과 물체’ ‘동물의 생활’, ‘날씨와 우리 생활’, ‘태양계와 별’등에 국한되어 개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과학 중심의 융합교육에 밀려 그동안 예술교육이 보조적인 역할에 그쳐 있는 상황에서 음악교육 전문가들의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적극적인 관심과 다양한 학습주제의 개발을 촉구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learning types to implement the convergence training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o elicit the learning elements that can amalgamate the music and science curriculum. To analyze the trends of the convergent educational program focused on the arts, I reviewed all the arts-centered convergent program published from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and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since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very limited number of music-centered convergent program have been published. The learning elements that amalgamate the music and the science subjects were ‘tone color’ in music and ‘the quality of sound’, 'materials and objects,' ‘animal life,' ’weather and our lives,' and ‘the solar system.’ In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t education, music has played a merely supporting role for the science & mathematic-centered program. Now it is urged for the music and arts educators to participate in and develop the learning elements actively for the STEAM education.

      • KCI등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 음악 교과의 평가기록 방식 전환 이후 실태 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권수미 ( Sumi Kwon ),이지숙 ( Ji Suk Lee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0 음악교수법연구 Vol.6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가 지난 2009년 1학기부터 시행한 체육?예술 교육의 내실화 방안 중 3등급제 평가방식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내용인지 음악교과를 중심으로 알아보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를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인 연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양적인 연구를 통해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550명을 대상으로 음악교과평가방식 전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동시에 설문지가 배포된 학교의 음악 담당 교사 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현장에서 음악 교과는 대학입시에서 제외된 비주류 교과로 학생들이 그중요성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평가제도 변화가 학생들의 경쟁완화 측면에서는 효과를 얻었다고 볼 수 있었지만 협동적인 학습 분위기 조성 여부를 보면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에는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참여도가 줄어들었다. 셋째, 평가제도 변화로 인하여 교사들의 평가권이 강화된다기보다 오히려 평가권이 약해지고 있다. 넷째, 교육부에서 제시한 음악 수업 시에 적절한 학습 공간 및 교구 확보는 잘 이루어 지지않고 있다. 다섯째, 교과 활성화 기반의 구축이 잘 이루어 지지 않고 있으며 이전에 제공 되었던 교과용 도서 개발 및 교사를 위한 참고자료에도 학습 현장 상황이 제대로 고려되지 않아 현장에서의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여섯째, 교사의 직무연수 및 교과교육연구회 지원이 아직까지 구체적이지 않고 오히려 이전과 비교하여 차이가 거의 없다. 교육부에서는 음악 교육 내실화를 위해 평가방식이 3등급제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지만 학교 현장의 상황이 고려되지 않은 이번 평가제도 개선안은 많은 문제를 야기 할 것으로 보여 지는데 이를 통해 단순히 평가 방법만을 바꾸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교육부는 예술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또한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여 보다 근본적인 대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examine the evaluation method of three ranking system that is one of the plan to strengthen physical and art education by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with priority given to the music curriculum.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grasp the effect of evaluation method targeting the music teachers and 10th grade students. After finding the problem of the evaluation method of three ranking system, We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plan to strengthen music education through the problem. The objects of the survey are 550 10th grade students(male and female) who is in the general highschool and 5 music teachers who is in charge of teaching them music. The questionnaire for students was designed based on the version of Ahn and a committee to normalize Physics, Music and Art education(2007).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was developed based on press release which is made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interview of survey which is made by Kwon(2008).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don``t aware music as an important subject because music subject is excluded from a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econd, the change of evaluation method effects on easing competition among students. But participation in music class is not changed of decreased. Third, because of the change of evaluation method, the authority of the teachers through evaluation rather goes off. Fourth, appropriate facility and teaching aids for music curriculum don``t fill up well. Fifth, the plan to activate music class did``t do well. In case of the textbook and reference materials for the teachers, they didn``t reflect the spot of music class well. As a result, It is difficult for teachers to apply materials in the class. Sixth, the support for training course of teachers and subject education committee is not in the concrete. Rather, in fact, there``s no change until now.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insists to change evaluation method to three ranking system. But this change didn``t consider real statement of class so that It will bring many problems. Not only changing evaluation method, but also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awar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and suggest an alternative plan at the bottom.

      • KCI등재

        음악교수법연구 : 고등학교 음악교육 새로운 가능성: 신일고등학교 클래스피아노 운영 사례연구를 통하여

        권수미 ( Sumi Kwon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5 음악교수법연구 Vol.16 No.-

        2009 개정교육과정 이후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이 10년에서 9년으로 축소되면서 고등학교부터는 음악과목이 선택과목으로 바뀌게 되어 음악교육이 점차적으로 위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교생에게 정규음악교과 시간에 피아노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서울시 강북구에 소재한 신일고등학교의 음악교육 운영방법을 사례연구 함으로써, 앞으로 국내 고등학교에서 음악교육 발전 가능성을 탐색해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지난 2014년 11월 신일고 피아노교육을 참관하며 3명의 피아노교사, 전임음악 교사와 교감선생님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음악교과와 창체활동을 연계하여 피아노 교육을 실시하는 구체적인 운영방법을 조사연구하였다. Since the curriculum was revised in 2009,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has been reduced from 10 years to 9 years, which caused the high school music as an elective course. This situation also downscaled the high school music education gradually. This case-study is going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that can activate the high school music by reviewing Shin-il high school``s class piano in the general music class. The researcher interviewed three piano teachers, a general music teacher and an assistant principle to explore how the class piano are operated in the relation with the general music class and creative-experienced activity classes.

      • KCI등재

        음악교수법연구 : 음악대학 비피아노전공생들을 위한 국내외 피아노교재 분석

        권수미 ( Sumi Kwon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1 음악교수법연구 Vol.8 No.-

        우리나라 대부분의 음악대학에서는 비피아노전공 음대생들에게 제2실기, 부전공실기, 혹은 클라스 피아노라는 명칭으로 피아노실기를 선택 혹은 필수로 학습하게 한다. 이 과목의 운영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문제점 중의 하나인 ‘전문교재의 부재’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현재 외국과 우리나라의 비피아노전공 음대생들을 위하여 개발된 피아노교재들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교육현실에 적합한 피아노 교재의 구성, 내용, 및 지도방법 등을 살펴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실제 교재들을 분석해 본 결과, 음악대학에서 사용되는 부전공피아노 실기를 위한 교재는 그 교재구성, 분량, 내용, 연습곡의 선택 및 병행교재 등에 있어 기존의 성인초보자를 위한 피아노 교재와 확실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음악대학 비피아노전공생들을 위한 보다 전문적인 피아노 교재의 필요성을 깨달으며 그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Most of music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require non-piano major music students to take piano lessons under the title of ``piano for non-piano majors,`` ``the secondary piano,`` or ``class piano.`` One of the problems suggested in operating these classes is the lack of the proper teaching metho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roper piano method for college required piano by analyzing the representative foreign piano methods and comparing with the one published in Korea. The result of this research reviewed that the piano method for college required piano should be different from that for the general adult beginners in terms of amount, structure, contents, and other characteristics.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악보 읽기 능력에 따른 시선 이동 분석

        배수영(Su-Young Bae),권수미(Sumi Kwon)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0 Brain, Digital, & Learning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ye movement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ile reading music and playing the piano to find ou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music reading ability. To this end, each subject was asked to read a 5-bar single line melody and a 5-bar melody in parallel motion through a computer monitor and play on the electronic piano at the same time. Meanwhile, the eye tracker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omputer monitor detects the eye movem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otal fixation number, mean fixation duration, and total fixation duration were different between reading a single line melody and reading a melody in parallel mo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usic reading ability and total fixation number and mean fixation duration. Third, music reading ability was influenced by the way of music reading approac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usic reading ability.

      • KCI등재

        음악대학 관현악 실기전공 관련 강좌 원격 교육 운영 실태 연구

        이명진(Myung Jin Lee),권수미(Sumi Kwon)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 No.47

        본 연구는 COVID-19으로 인해 지난 2020학년도 2학기 전국 33개교 음악대학(음악학과, 예술학과 등)에서 운영한 관현악 실기 전공 관련 강좌들을 지도한 교강사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원격수업 운영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대학 음악실기 원격교육의 발전적 개선 방향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관현악 전공이 개설된 우리나라 음악대학(음악학과) 33개교에 재직 중인 교강사 7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음악실기 강좌 원격수업진행을 위한 정보 습득방법과 대학의 지원, 대학별 연습실 관리, 강좌별 교수방법 및 교수 전략 등에 대한 교강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원격수업의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확대가 이루어졌으나, 대학 음악전공 실기 지도강좌를 운영하는데 최상의 교육방법은 절대적으로 대면 수업임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음대 교강사들도 원격 수업을 진행하면서 새롭게 추가되는 교육 기기와 매체 활용에 충분히 익숙해져서 학생들에게 양질의 직접적 교육 경험을 제공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evelopmental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s music practice remote education by examining the status of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for string & wind majors operated by 33 music universities nationwide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due to COVID-19. To this end, 73 teachers working at 33 Korean music universities (music departments) where orchestral music majors were established were researched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 of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s, university support, practice room management,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strategies. The COVID-19 Incident has raised a new awareness of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distance classes, but it is undeniable that the best way to teach a college music major practical instruction class is face-to-face. However, we suggest that music school instructors need to be familiar enough with the use of new educational devices and media as they can to provide students with high-quality direct educational experiences in remot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