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형 회귀모형에서 벌점 추정량의 신의 성질에 대한 충분조건

        권성훈,장재호,문혜성,이상인,Kwon, Sunghoon,Moon, Hyeseong,Chang, Jaeho,Lee, Sangin 한국통계학회 2021 응용통계연구 Vol.34 No.2

        본 논문은 선형 회귀모형에서 벌점 추정량의 신의 성질에 대한 충분조건을 구성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신의 추정량, 벌점 추정량, 신의 벌점 추정량, 신의 성질을 명확히 정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의 성질에 대한 최적조건과 최적조건에 대한 충분조건을 구성하는 방법을 대부분의 벌점함수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나의 통합된 원리로 소개하였다. 추가로 신의 성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한 예제와 함께 가상실험 결과를 첨부하였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how to construct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oracle property in penalized linear regression model. We give formal definitions of the oracle estimator, penalized estimator, oracle penalized estimator, and the oracle property of the oracle estimator. Based on the definitions, we present a unified way of constructing optimality conditions for the oracle propert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optimality conditions that covers most of the existing penalties. In addition, we present an illustrative example and results from the numerical study.

      • KCI등재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번역 개시 인자 eIF1A 돌연변이에 대한 분석

        권성훈,김준호,최보경,김나연,최도희,박경준,어정현,배성호,Kwon, Sung-Hun,Kim, Jun-Ho,Choi, Bo-Kyung,Kim, Na-Yeon,Choi, Do-Hee,Park, Kyoung-Jun,Eoh, Jung-Hyun,Bae, Sung-Ho 한국미생물학회 2009 미생물학회지 Vol.45 No.3

        번역 개시 인자 eIF1A는 진핵생물에서 43S preinitiation complex 형성을 비롯한 번역 개시 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잘 보존된 oligonucleotide-binding (OB) fold를 가지고 있는 단백질이다. 본 연구진은 이전 연구에서 eIF1A가 RNA annealing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double-stranded RNA에 결합하여 안정된 복합체를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활성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active site를 찾고, 이러한 활성이 효모의 성장에 필수적인 기능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 돌연변이를 제조하였다. N-말단과 C-말단은 제거되었지만 완전한 OB-fold를 가지고 있는 eIF1A($\Delta$T)는 RNA annealing 활성을 보이는 반면, OB-fold에 돌연변이가 도입된 단백질들은 모두 활성이 사라졌다. 또한, R57D 돌연변이를 제외한 모든 OB-fold 돌연변이는 dsRNA에도 결합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eIF1A의 RNA annealing 활성과 dsRNA 결합에는 완전한 OB-fold domain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돌연변이들이 효모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RNA annealing 활성과 효모의 성장은 뚜렷한 연관성이 없었으며, 적어도 R57D와 K94D 경우에는 돌연변이가 성장하지 못하는 원인이 생체 내 eIF1A 단백질의 안정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eIF1A performs essential functions in various initiation steps including 43S preinitiation complex formation in eukaryotes, and contains a highly conserved oligonucleotide-binding (OB) fold. In our previous study, we discovered that eIF1A possesses RNA annealing activity and forms a stable complex with double-stranded RNA. In this study, we initiated site-directed mutations in eIF1A to find the active sites for these biochemical activitie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y are essential functions for yeast cell growth. A truncated protein, eIF1A($\Delta$T), devoid of both N- and C-terminal domains but containing an intact OB-fold exhibited RNA annealing activity. In contrast, all point mutations in OB-fold domain, except R57D, impaired both RNA annealing and dsRNA binding activities, indicating that the intact OB-fold domain is required for both activities. Viabilities of the mutant yeast cells were not correlated with RNA annealing activity but with the in vivo protein stabilities in the case of R57D and K94D.

      • 새로운 배선 모델을 이용한 모듈 생성

        권성훈(Sung Hoon Kwon),신현철(Hyun Chul Shin) 한국정보과학회 1996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3 No.3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모듈 합성(생성) 기법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모듈을 합성하는 모듈 합성기에 대하여 기술한다. 합성되는 모듈의 면적과 성능은 페어링(pairing) 및 체이닝(chaining), 배치(placement), simultaneous global/detailed 배선(routing), 채널(channel) 배선을 통하여 최적화 된다. 특히, 배선 과정에서 채널 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배선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simultaneous global/detailed 배선을 수행하는 배선 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모듈 합성기는 임계 네트(critical net)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모듈을 합성할 수 있으므로, 임계 네트로 인한 회로의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제안한 모듈 합성기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MCNC 벤츠마크 예제 회로들을 합성하여 실험한 결과, 면적 면에서 평균적으로 현재까지 발표된 모듈 합성기의 결과에 비해 우수하였다. 회로의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모듈을 합성할 경우, 회로의 지연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a module generator which can automatically synthesize modules by using new module generation techniques. The area and performance of the generated module is optimized through pairing/chaining, placement, simultaneous global/detailed routing, and channel routing. In particular, we have proposed a new routing model to reduce channel density and developed a simultaneous global/detailed routing method. Using net weights on critical nets, the delays on timing critical paths can be minimiz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is module generator performs better than other typical generators in minimizing layout area on the average. The circuit delays can be reduced significantly if they are considered during module generation.

      • KCI등재

        현대시조 전후 세대의 불교성 연구

        권성훈(Kwon, Sung-hun) 한국시조학회 2022 시조학논총 Vol.56 No.-

        본고는 1950년대 전후 세대의 현대시조에 나타난 불교적 양상을 통해 고유한 정형 양식과 그 의미를 탐구했다. 현대시조 문학사에서 1950년대 전후 시조는 현대시조 개척기로 평가한다. 현대시조 개척기의 전개 과정은 1910년대 현대시조 태동기와 1920~40년대 현대시조 모색기를 거치면서 발생 되었다. 1920년대 최남선, 이은상, 이병기 조운 등에 의해 펼쳐진 ‘시조부흥운동’과 함께 고시조라는 구태를 벗었다면 1950년대 시조 개척기에 현대문학 장르로써 시조가 본격적으로 확립되었다. 일제강점기에서 산업화 시대 사이에 놓인 당대의 문학은 전통과 순수로 구성되면서 세대의 변화와 함께 첨예한 대립을 촉발했다. 당시 소수 시조 시인들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의 참상과 폐허 속에서 실존의 위기를 경험하면서 1950년대의 전통적 세계관을 시조 문학을 통해 열어갔다. 이들은 민족 유일한 주체적 언어로서 시조를 옹호하며 고전적 미의식과 형식미학을 펼쳤다. 게다가 개화기 근대시조 형성기와 현대시조 개척기에서 고수한 전통성을 수용하면서도 반근대적인 시조 형식의 변화를 모색했다. 이 가운데 삶의 변화와 시대적 문제를 시조를 통해 관찰하면서 이전에는 없었던 다양한 불교적 사유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950년대 전후 세대 불교의식을 살피기 위해 2장에서는 1950년대 전후 시대와 시조를 고찰한다. 이어 3장에서는 전후 세대의 시조와 불교의식의 양상으로 세 가지로 분류해서 탐구했다. 먼저 1950년대 시조에서 불교적 사유로 구성된 시편을 통해 유사한 형식으로 형성된 작품군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이 글은 텍스트 시편에서 두드러진 불교적 사유인 자연적 인과성, 부처의 표상, 인드라망의 세계 등을 시적 양식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단시조, 연시조, 산문적 시조로 살폈다. 첫째 단시조와 자연의 인과성에는 이호우, 이영도, 최승범, 송선영을, 둘째 연시조와 부처의 표상에서는 김상옥, 박병순, 이태극을, 셋째 산문적 시조와 인드라망의 세계에서는 정소파, 장순하, 박경용 등의 시조를 중심으로 전후 세대 불교의식을 고찰했다. 1950년대 전후 세대 시조 개척기 시조 시인들은 시대적 좌절과 폐허 속에서 시조로서 전통의식을 추구하며 시조 부흥에 이바지했다. 그것은 저마다 시의식 속에서 민족 정서를 보존하고 시대정신을 계승하는데 불교적 사유가 결합 되어 나타난다. 이처럼 혼돈과 격동의 시기 불교적 사유를 가진 시조는 초월적인 것보다는 현실적으로 연원하며 실존적인 문제를 파고들고 있다는 것이 특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sijo orthopedic style and its meaning through the contemporary sijo Buddhist aspects of the generation around the 1950s.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sijo literature, sijo before and after the 1950s is evaluated as a pioneering period of contemporary sijo.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odern sijo pioneering period occurr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modern sijo in the 1910s and the search for the modern sijo in the 1920s and 40s. If the old form of ancestor sijo was removed along with the ‘Sijo Revival Movement’ conducted by Choi Namseon, Lee Eunsang, Lee Byeonggi and Jo Un in the 1920s, Sijo was established as a genre of contemporary literature during the pioneering period of sijo in the 1950s. The contemporary literature, which was placed betwee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is composed of tradition and innocence, triggering a sharp confrontation along with the change of generations. At that time, the minority sijo poets experienced th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liberation, and the crisis of existence in the tragedy and ruins of the Korean War, and opened their world view through the sijo literature in the 1950s. They defended Sijo as the nation"s only independent language and cultivated classical aesthetics and formal aesthetics. While accommodating the traditions adhered to in the period of the formation of modern sijo and pioneering period of contemporary sijo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anti-modern sijo change was sought. By observing the changes in life and the problems of the times through sijo, it reveals a variety of Buddhist thinking that has never existed before. In order to examine the Buddhist consciousness in the before and after period in the 1950s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 this article, Chapter 2 examines the before and after period and sijo of the 1950s. In Chapter 3, we sought to classify the founders of the before and after generation and Buddhist consciousness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is study focused on a group of works formed in a similar format through the psalms composed of Buddhist thought in Sijo in the 1950s. Therefore, this article analyzed the Buddhist thoughts prominent in text psalms, such as natural causality, Buddha"s representation, and the world of Indraman, by dividing them into short sijo, sequence sijo, and prose sijo in poetic style. Studying on Buddhist consciousness of before and after generations focusing on sijo, the sijo poet of the text sijo, first, Lee Hou, Lee Yeongdo, Choi Seungbeom and Song Seonyeong for the short sijo and the natural causality, second, sequence sijo and Buddha"s representation, Kim Sangok, Park Byungsoon, Lee Taeguk, prose sijo and the world of Indraman, Jeong Sopa, Jang Soonha, Park Kyungyong. The sijo poets of the before and after generation in the 1950s who were examined in this way contributed to the revival of sijo by pursuing traditional consciousness as sijo amidst the frustration and ruins of the times. It preserves the ethnic sentiment in each ritual and manifests itself in combination with Buddhist reasons to inherit the zeitgeist. Buddhist consciousness, which appeared in a time of chaos and turbulence, operates realistically rather than transcendentally, and delves into existential problems.

      • KCI등재

        가람 이병기 시조의 원형 상징 연구

        권성훈(Kwon Sung-Hoon)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6

        본고는 가람 이병기(1891~1968) 작품이 시조 형식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복원되는 원형 상징으로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그의 시세계를 아우르는 자연과 인간, 민족과 전통에 대한 근원적인 원리가 기존 연구와 달리 원형성에서 작용되는 상징체계인 순환성과 반복성 그리고 모티브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또한 가람의 시조가 원형성에 바탕을 둔 언어미학이라는 점에서 생명성의 근원은 프라이(N. Frye)의 순환적 상징으로, 민족성의 동력과 반복적 상징은 훨라이트(P. Wheelwright)의 반복적 상징으로, 상상력의 구원과 모티브 상징은 귀에린(W. L, Guerin)의 모티브 상징 등으로 개진했다. 첫째, ‘근원적 생명성과 순환적 상징’에서는 자연 법칙에 기초한 프라이의 순환적 상징으로 탐구했는데, 주로 자연의 이치와 생명의 본질을 병치시키면서 화자의 존재방식과 동일시한다. 이것은 부활과 재생 속에서 인간의 비극성과 희극성을 조화롭게 보여주며 삶과 죽음을 상상하게 만든다. 나아가 우주적 관점에서 역동적으로 순환하고 있는, 주기적 원형성을 통해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자연의 섭리로서 순환적 상징이 내재되어 있다. 둘째, ‘민족성의 동력과 반복적 상징’에서 훨라이트의 반복적 상징으로 분석하였는데, 인간의 시간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것으로서 과거로부터의 관습, 인습, 양식 등이 상하로 전례 된다는 것이다. 요컨대 훨라이트의 시의 언어와 같이 물질세계에 관계된 반복적 원형 상징을 통해 역사를 호출하고 민족과 전통을 성찰하게 하며 근원적 존재성을 관철시킨다. 가람은 자연의 생명력과 그 법칙에 대한 실경을 감각적으로 수용하고 민족정신을 주입함으로써 생명의식과 민족의식을 접목하고 있다. 셋째, ‘상상력의 구현과 모티브 상징’에서는 가람이 시를 창작할 때 일어나는 동력이 상상력이며, 가람의 시는 이것을 통해 감각적이고 역동적으로 현현한다. 여기서 귀에린의 모티브 상징과 연관 지을 때, 시인의 상상력으로 이루지 못하는 것이 없으며, 불가능한 것도 가능하게 만들어 준다. 모티브 상징에서 드러나는 주된 내용은 죽어도 죽지 않는 불멸한 영원성과 영웅 원리로 조망할 수 있으며, 소유할 수 없는 존재 본질에 다가서기 위해 원형에서 포획된 소재를 의미소로 구현하고 있다. 가람의 시조는 사물과 자연으로부터 발생된 ‘생동적인 실감’과 인간에 대한 ‘서정적인 실정’의 원천이 보편적으로 원형에서 비롯되어 상징적 언어로 파생된 것으로써 그가 주창하는 자연과 인간, 민족과 전통, 근대와 현대라는 시적 세계관 역시 근원적으로 원형 상징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In this paper, the works of Garam Lee Byeonggi (1891 - 1968) were regarded as a symbol of a circle restored to unconscious consciousness through the founder form, and examined his market system. The underlying principles of nature, humanity, nation and tradition that encompass his poetic world are also manifested in the symbolic system of circulation, repetition and motive. This article analyzed the linguistic aesthetics based on the formation of a circle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point of language aesthetics into three, but the source of the life is a circulating symbol of N. Frye, Power and repetition symbols are repeated symbols of P. Wheelwright, salvation of imagination and motif symbols were investigated by symbol of motif of W. L, Guerin. First of all, we see the cyclical symbol of fly based on nature, whose test specimen is repeated with a cyclical symbol. While equipping the essence of nature with the essence of life mainly, I equate it with the speaker"s existence method. In the resurrection and rebirth, let us imagine life and death by harmonizing human nonpolarism and comedy. Furthermore, through the formation of periodic won, which circulates dynamically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verse, returning to its original form, a circulating symbol is inherent as a nature"s providence. Analysis was made as a repetition symbol of Forlite by the power of the second ethnicity and the repetition symbol, but human time falls down from the top down, past customs, conventions, forms, etc. are upwards and downwards as precedents is there. The palace which had historically been destroyed by Japan"s robbery, as a castle with a circular symbol, symbolizes the national authority of the Korean dynasty, and it imitates the sadness about the people and history.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third imagination and the symbol of the motif, the power that occurs when the cathedrine creates time is the imagination, and when it is a cathedral, it is sensuously and dynamically manifested through this. When associating with the symbol of the ear phosphorous motif here, it is not filled with the imagination of the poet, it also makes impossible. The main content which appears in the symbol of the motif can be grasped to the immortal eternal hero principle which does not die even if it dies. The founder of the cathedral is a source of "vivid realism" generated from the nature of things and the source of "human lyrical fact" from the universal origin, derived from a symbolic language, he naturally says nature And the poetical world view of human, ethnic and traditional, modern and contemporary is also fundamentally related to the circular symbol.

      • KCI등재

        <기획주제 - 한국문학과 제의성> : 한국 현대 무속시와 폭력적 이미지 연구

        권성훈 ( Sung Hun Kwo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5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8

        본고는 민속신앙을 기반으로 창작한 한국 현대 무속시에 나타난 폭력적 이미지를 탐구하였다. 살펴본 한국 현대 무속시는 신과 인간의 현실 세계와 초월적 세계를 반영하면서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 인간과 세계에 대한 폭력적 이미지를 무속시로 승화시킨다. 이 폭력성은 일제 강점기와 해방 이후의 혼란, 그리고 한국전쟁과 군사독재, 민주화 과정 등을 거치면서 사회적인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첫째 김춘수의 ‘처용’이 보여주는 무속시는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직접 목격하거나, 체험한 역사적 폭력 앞에서 상처를 치유하는 ‘성소의 장소’로 기능하고 있다. 이것은 순수한 것에 대한 불순함의 ‘정화적 효과’를 가지며, 보편적인 건강과 풍요한 생명력을 갖는 것으로, 불순에서 순수로 끊임없이 상승하고자 하는 태도를 보인다. 그는 처용을 통해 비극적인 역사 속에서 유년기부터 겪어온 절망감, 공포심, 비극성, 억울함, 성폭력, 성적 수치심, 순결과 동경, 비호감 등에 관한 ‘폭력적인 억압’을 ‘해갈’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고정희의「초혼제」에서 현전하는 무속시는 현실에 대한 죽음과 절망, 비극적인 상황을 집단적인 ‘마당굿’으로 순화시킨다. 이른바 기독교 예배 의식과 민족 정서로 결합된 초혼제는 통일을 향한 ‘마당굿’을 벌이면서 군부독재시절에 민주·민족·통일을 위하여 투쟁하다가 죽어간 영혼들의 넋을 불러온다. 마당굿은 대동의 차원에서 민중의 아픔을 기독교와 민속신앙으로 융합시킨 ‘마당극’ 형태로 ‘개인적인 정한’을 ‘민족적인 정한’으로 확대시키고 있다. 셋째 신경림과 김지하의 무속시는 군사독재 앞에서 자유민주주를 위하여 죽어간 영혼들을 위해 ‘씻김굿의 제의성’을 보인다. 시적 배경에는 지배층이 힘없는 민중을 지배하고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치적 폭력, 경제적 폭력, 비윤리적 폭력 등 인간 존엄성과 가치를 파괴하는 여러 유형의 폭력성을 보이는데, 공통적으로 시대적인 부정성에서 연유한다. 독재정권으로부터 천대받고 억울하게 죽은 민중은 ‘길 위의 영매자’혹은 ‘영매로서의 애린’으로 형상화된다. 씻김굿은 떠도는 원귀들을 위해 주문과 기도를 외우는 ‘제의적 형태’로 드러나며 망자에 대한 ‘억울한 심상’을 치환하며 위무하고 있다. 살펴본 시인들이 체험한 시대 상황의 폭력적 이미지를 무속시로 투사하면서 그로 인한 정신적 억압과 좌절을 표출하는 시적 방법을 살펴 보았다. 무속시는 무속신앙을 매개로 억압된 감정을 보인다는 점에서 그 생성과 소멸을 함께하고 있다. 이것은 시인이 체득한 시대적·역사적 사건에 대해 해결되지 못한 트라우마와 콤플렉스를 무속시로 승화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have explored aspect of acceptance of shamanism and violence, based on the folk beliefs created writing shown in the Korean contemporary poetry that forms the back born of the Korean religious culture. these shamanic poems that I studied is based on the organizational relationship of God and a transcendent view of the world and show the nature and continuity of its existence beyond the continuity of existence. folk belief in shamanistic mediated the webs like a human, natural, human beings and human, human beings and the world of folk are shamanistic belief that language service to be violence is reflected over the world point. following liber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violence of the Korean War and confusion, and military dictatorship, an era go through the trauma associated with personal and social democratic process, the social violence inherent to the shamanistic poetry. First, Kim Chun-su Lives of the ``Cheoyong`` shamanistic, is showing thi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Korean war, see for themselves, or experience a sanctuary to a would-be bonding experience in front of a violent history And began to function as`` The place of sanctuary``. for example, It has ``The effect of purification`` naive about in all purity , universal health and an affluent life itself the dirt with pure in constantly to rise attitude to do. Kim Chun-su was Cheoyong, through the tragic history from his childhood in the suffering of despair, fear, sexual purity and admiration and resentment and sexual violence and sexual humiliation, Himself and so on In resolving the violent repression can be. Second, Gojeonghui, in surface of a memorial service tragic for the world of grief and despair, for the tragic world awareness about the impact of the death trauma of expression, but death is just one about management makes people from death It contains the conquest that will elevate level. christian worship and a memorial service for the coupled to the sentiments of our race is on ``madang gut`` military dictatorship as the two sides of the courtyard towards reunification, democratic, unified and Democrats who had died while fighting for She can bring the soul of souls. the folk to try to calm the pain of Christian rituals and folk religion unite the Good and be staged by melting in line with the type of on the type of solidarity a memorial service for the allow her to. and through this, sat the prescribed personal ethnic and expand to the ethnic group. Third, Singyeongnim and Kim Chi-ha shamanistic poetry is dying for freedom and democracy in front of a military dictatorship of Jindo County with images for those souls, and poetic in background A mass of people without power in the ruling and dominated by political violence, which is a means to control economic violence, unethical, which is destroying many types of violence, and human dignity and valueI will start from the historical injustice. unjust violence in order to take power in front of the violence that is ugly, and the unfair on the road for a popular uprising that killed Aerin as a medium as poetic or Yeongmaeja Lemures, wandering by imagery, criticized the violence, repressive, recite the prayers and an order for the poultry has plummeted. Korean contemporary poet have experienced violence at the scene of historic shamanistic, in terms of how be reflected, and to the consequent psychological repression and to express frustration of shamanisticI checked out the Expressive Aspects. shamanistic as the media, creative is a shamanic, that in the same about the creation and destruction is at hand. shamanistic poetry and violent view of the world doesn``t appear from the combination of poetic form, this was a poet is pain and trauma experience gained through the historic events, and an era that more than a shamanistic and be reflected in the city complex.

      • KCI등재

        이지엽 시조 연구

        권성훈(Kwon, Sung-Hun)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49

        이글은 한국현대시문학사에서 비교적 변방에 있는, 시조시인 연구로서 시대적 흐름의 관점에서 1980년대 이후 ‘현대시조의 개성화 시대’의 중심인물 이지엽(1958~)의 시조 세계를 논의하였다. 이지엽은 1979년 시조집 『아리사의 눈물』을 출간하여 등단한 이래, 1982년『한국문학』백만원 고료 시부분 신인상과 1984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시조가 당선되었고, 다수의 작품집을 출간하였고, 주요 시조 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현대시조단의 문학적 성취를 보이며 문학계와 학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 이지엽은 시조시인이자, 연구자로서 지속적인 창작과 시조 연구의 중심테마가 되어온 ‘토속어의 수용과 에코페미니즘’(사설시조) ‘비정형성의 구현과 기하학적 상상력’(비정형시조) ‘단시조의 개신과 단형 극서정성’(단시조) 등으로 세분화하여 그의 시세계를 구명함으로써 ‘현대시조의 개성화시대’(1980~2000년대)의 견고한 ‘미학적 동선’과 ‘시조사의 일축’을 확인할 수 있다. ‘토속어의 수용과 에코페미니즘’에서는 사설시조에 사실적 이야기를 거느리고 구체적 토속어를 접목시켜 자신만의 독특만 시어로 희화하고, 보편적인 의미 공간을 창출하면서 사회적, 생물학적인 ‘여성성의 한계’를 극복하여 ‘대지의 여성성’이라는 에코페미니즘의 시론을 구현하고 있다. ‘비정형성의 구현과 기하학적 상상력’에서는 시조정형을 감각적인 비정형성의 미의식으로 구현하면서 기하학적 상상력을 통해 탑재하여 직선적 불완전한 존재 속에 함이 된 곡선적 세계를 깨달아가는 의미의 차원으로 천착되어 진다. ‘단시조의 개신과 단형 극서정성’에서는 현대성에 부합하게 단시조를 개신하여 비정형적 단시조 안에서 형식미학을 찾아 ‘압축과 절제라’는 구도위에서 비정형적 구성과 의미의 배치를 통해 ‘일탈과 확장’을 주면서 서정을 극대화하는 바, ‘단형극서정성’이라는 새로운 권역을 구축하고 있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poetic world of Lee Jee-yeub (1958-), a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poetry group, considered a “model of Korean modern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ras in the history of Korea modern poetry. Lee Jee-yeub published the Korean poetic collection “Tears of Arisa (1979),” and afterwards, he received an award in the novice section in “Korean Literature,” winning one million won (1982). He also won the annual spring literacy contest in the Korean poetry section from the “Trend Newspaper”(1984), left a large number of anthologies, and was awarded a prize. He especially engaged in vigorous activities as a creator, founder, and researcher (university professor) in the area of Korean Poetry. Additionally, he published “open poetic”(1996), a work on overall literacy regarding poetry, particularly Korean poetry, and “Korean poem poetic”(2000), a work on Korea poetry-specific literacy regularly, which has never fail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novice poets and researchers in the field of poetry. He also shared his ideas with them, which makes him unique in the modern Korean poetry group. In this context, it is easy to consider that people identify with Lee Jee-yeub in Korea’s modern poetry history. Additionally, this study serves to identify active poets in each period. These include the “modern Korean poetry beginning period”(1910), “modern Korean poetry exploitation period”(1920-1940), “modern Korean poetry form stable period”(1950-), “modern Korean poetry identity secure period”(1960-1970), and “modern Korean poetry individualization period”(1980-2000’s). The poets include Lee Byung-gi (1891-1968), Lee Tae-geuk (1913-2003), Kim Je-hyeon (1939-), Lee Jee-yeub (1958-) and others in this order in units of 20 years. Thus, Lee Jee-yeub had significant accomplishments in the modern Korean poetry group’s political and academic aspects, and exercised significant influence in literacy and academia;he departmentalized Korean poetry, focusing on continuous creation and research as a poet and researcher in the field of Korean poetry. His classification of Korean poetry is as follows: “acceptance of local language and eco-feminism”(editorial Korean poetry), “realization of informality and geometric imagination”(informal Korean poetry), “reformation of short Korean poetry and short-string extreme lyricism”(short Korean poetry), and soon. Hence, he could deepen his Korean poetry theory and therefore confirmed stable “aesthetic circulation” and “refusal of Korean poetry history” in the “modern Korean poetry individualization period” (1980-2000’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고정희 종교시의 폭력적 이미지 연구

        권성훈 ( Sung Hoon Kwon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3 종교문화연구 Vol.- No.21

        본고는 고정희의 기독교 시에 나타난 폭력의 이미지를 통해 폭력적인 현실을 시적 언어로 재현하는 과정에서 신과의 문제를 어떻게 형상화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것을 고정희 시집 전권에서 폭력적인 이미지 시를 분류하여 타자와 세계 간에 벌어지는 폭력에 관한 시의식을 탐구하면서 그 의미와 양상을 보았다. 고정희 시에 나타난 신은 시종일관 기독교 세계관의 절대적이고, 초월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녀의 시에서 나타난 신은 폭력적인 현실 앞에서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변증적이라는 사실이다. 그녀의 기독교시에 반영된 폭력 이미지로부터 고통 받는 신과 세계, 인간과 신, 인간과 세계 등의 관계를 ‘폭력에 대한 종교시의 의미와 양상’을 통해 고찰하였다. 첫째 ‘폭력의 원인으로서 신의 부재’는 민중에 대한 하느님의 유기성으로 나타난다. 하느님에 의해 유기된 인간은 존재론적 수난을 겪을 수밖에 없다. 여기서 수난은 가학적인 것이며 감당하기 어려운 고통스러운 현실이므로 ‘버려짐’에 대응하는 극복 과정으로서 기독교 구원관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시적 발언을 감행하면서 이를 통해 폭력적 현실에 직·간접적으로 임재하지 않거나 혹은 못하는 신에 대하여 통렬한 비판이 되기도 한다. 둘째 ‘폭력적 현실의 신에 대한 풍자’에서 폭력에 반응하는 신의 태도를 볼 때‘근심’염려’눈물’등을 보이며 소극적이고, 비폭력적이고, 무저항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이 때 신은 풍자적으로 나타나며 지극히 인간적인 성격으로 등장한다. 이러한 시의 식은 아이러니하게도 예수의 고난과 인간의 수난을 동일화함으로써 비극을 더욱 비극적으로 의식하게 함으로써 현실을 처연하게 극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신을 통한 현실 극복의지’를 보면 폭력적인 현실 대응에서 신을 강제로 소환하거나, 호출하지 않는다. 다만 신은 자유와 평화라는 세계의 통합과 조화를 이루기 위하여 폭력에 적극적으로 저항하기 보다는 기독교 세계관을 통하여 비폭력적인 성격을 보인다. 이는 민중들의 고통을 잠식시키기 위해 수동적이기는 하지만 예수가 지금―여기로 오고 있다는 기독교적 신념으로서 현실적 폭력에 대응하고 있다는 점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o create an image of the happenings with God,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violent reality via poetic languages. This is achieved through violent images shown in Ko Jung Hee`s Christian poetry. Then, it classifies violent image poems shown in the whole of Ko Jung Hee`s poetic volumes .By exploring poetic sense about violences happened between others and the world, the study outlines those meanings and patterns. God shown in Ko Jung Hee`s poems is consistently not an absolute and a transparent presence with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It`s true that God appeared in her poems as not a fixed being before violent reality ,but a dialectical one. So, this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suffering God and the world , man and God, man and the world , from the violent images reflected in her Christian poems; in terms of ``the meanings and aspect of the religious poems concerning violence`` First of all, `` the absence of God as a cause of the violence`` is indicated by God`s tendency to abandon people. Man abandoned by God is bound to suffer from existential pains. These sufferings are a sadistic and unbearably painful reality , so as an overcoming process correspond to ``abandonment`` . By carrying out via poetic remarks, the poem denies straight the view of Christian salvation, it comes to a severe criticism about a God who doesn`t come again or can`t directly or indirectly into violent reality. Secondly, ``in the satire about God of the violent reality``, A God`s attitude responding to violence looks passive, non-violent, and non resistant. It shows anxiety, worry, and tears. God appears here in satire and with an extremely human personality. This poetic sense make a tragedy more tragically conscious by unifying Jesu`s crucifixion and human suffering, and get to pitifully overcome the reality. Finally, ``overcoming will of reality through God`` shows that God is not forced to be summoned, or called to respond to violent reality. Just to harmonize with and integrate into the world as freedom and peace, God shows violence against violence through a Christian view of the world rather than an active resistance to violence. That is to say, to undermine people`s agony, although passively , God responds to realistic violence as a Christian belief that Jesu is coming now - he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