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전통도시 읍치(邑治)를 통해 본 세종시의 지역역사지리

        권선정(Seonjeong Kw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7 문화 역사 지리 Vol.29 No.4

        본고에서는 2012년 출범한 세종특별자치시를 사례로 지역역사지리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지역역사지리는 지역 관련 제반 언표적, 물질적 공간텍스트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을 통해 현재적 입장에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 및 지역정체성 구성에 관심 갖는 공간과 시간이 통합된 지역연구의 한 방편이다. 이를 위해 특히 전통도시읍치에 주목하였는데, 읍치는 지역의 실제적·상징적 중심이자 교통의 결절지로서 지역의 전통적 모습 그리고 근대 이후 국토공간의 재편 과정에서 경험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 등을 엿볼 수 있게 하는 의미 있는 실마리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현 세종시 일대 행정구역의 역사적 변화, 조선시대 연기현과 전의현 읍치의 공간구성상 특징과 이들 읍치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 교통체계 및 중심지 변화, 그리고 지역정체성 구성과 관련해 주목되는 역사문화적 의미체로서 읍치의 진산·주산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This paper tried to construct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of Sejong City which was launched in 2012.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is an approach for regional studies that integrate space and time that are nterested in the process of regional historical change and the construction of regional identity through the historical geographical approach to the various spatial texts. With regard to the construction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I have paid special attention to ‘Eupchi’, the Korean traditional city. As a practical and symbolic center of region and a nodal point of traffic in the premodern society, ‘Eupchi’ could be a meaningful clue and a central indicator space at the same time that shows the traditional appearance of region and the process of historical change in the region. In terms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 examined concretely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Yeongi and Jeonui Eupchi in the Joseon Dynasty, the changes of traditional transportation system, and ‘Jinsan’ㆍ ’Jusan’ of Eupchi related to fengshui, the Korean raditional geography, for constructing the regional identity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of the region.

      • ‘부평(富平)’ 지명의 역사지리적 변천

        권선정(Seon jeong Kw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8 기전문화연구 Vol.39 No.2

        공간적 차원에서의 지명은 지표상의 실재하는 권역, 지역, 장소, 경관 등을 지시하고 다양한 의미까지 구성하는 지리적 언표이다. 특히 지역의 대표 지명을 매개로 공간적 차원에 시간 요소를 접목시켜 지역의 역사적 장소성을 포착하고 현재적 입장에서 그 의미를 재구성해보고자 하는 시도는 지역역사지리 또는 지역인문학적 접근의 한 방편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현 인천광역시의 대표적인 역사 지명 중 하나인 ‘부평(富平)’ 지명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부평’ 지명 자체의 역사적 연원과 근대 이전 조선후기까지의 역사지리적 변천, 그리고 근대이행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경험하게 되는 ‘부평’ 지명의 위상 및 공간 영역의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문헌상 ‘부평’ 지명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1310년(충선왕 2)이다. 고려전기 지명 개칭이나 행정구역 변화를 경험하는 군·현 대부분은 조선시대까지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은데 부평의 ‘수주’ 지명은 940년(태조 23) 개칭된 이후 ‘안남’, ‘계양’, ‘길주’ 등 여러 차례의 지명 변경을 경험하며 ‘부평’에 이르게 된다. 조선시대 접어들어 ‘부평’ 지명은 부평도호부, 부평현, 부평부, 부평군 등 행정 지위의 승강이나 일시적 폐지가 있었지만 단일 행정구역을 지칭하는 행정명으로 계속해서 유지되어 왔다. 그 공간범위는 현재의 인천광역시 계양구·부평구·서구, 경기도 부천시, 서울특별시 강서구와 구로구의 일부 동리를 포함하는 부평분지 일대의 광범위한 영역이었다. 그렇지만 근대이행기 들어서면서 부평을 포함한 인천 지역 일대에서는 급격한 행정구역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특히 1914년 신설되는 부천군의 등장이 대표적인데, 당시 부천군은 현재의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부천시, 서울의 강서구와 구로구 일부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이었다. 단지 인천부의 도시지역 일부만 제외되었을 뿐이다. 그로 인해 600년 이상 유지되던 ‘부평’ 지명은 1914년 부천군 부내면에 편제되는 부평리(富平里, 현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로 그 명맥을 잇게 되었을 뿐이다. 이에 반해 현 부평구 부평동에 해당하는 대정리 일대는 1899년 경인선 철도의 개통, 1939년 부평조병창 개창, 1940년 인천부로의 편입 등과 함께 부평리를 대신하는 새로운 부평의 중심지로 등장한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현재처럼 부평역 일대나 부평동, 부평구 등을 부평 지역이라고 생각하는 공간 인식의 단초가 마련되는 것이다. 결국 근대이행기 접어들면서 ‘부천’ 지명(부천군)으로 대체되었다고 할 정도로 약화된 ‘부평’ 지명은 이제 ‘부평동’이나 ‘부평출장소’, ‘부평구’ 등 근대 이전 역사 부평 때의 지명 위상이나 공간 영역과는 구분되는 행정 지위와 관할 범위를 가지며 유지되고 있다. Place-name in the spatial dimension is a linguistic expression that refers to the real geographical realm, region, place, landscape and constitutes various meanings of them. Especially, through the representative place-name of the region, the attempt to construct the historical place-meaning of the region by incorporating the time factor into the spatial dimension and reconstruct its meaning from the current position is a way of constructing the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or regional humanities. In this paper, I attempted a historical geographical approach to place-name ‘Bupyeong’,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historical names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Specifically, I looked at the historical origins of place-name Bupyeong itself, the historical geographical changes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changes in the status and territory of place-name ‘Bupyeong’ to be experienced through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o the present. In the historical geographical literature, place-name ‘Bupyeong’ first appeared in 1310(King Choongseon 2). There had been several place-names-‘Suju’, ‘An Nam’, ‘Gyeyang’, ‘Gilju’-before place-name ‘Bupye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place-name ‘Bupyeong’ had experienced very dynamic and interesting changes of being promoted or demoted and even abolished temporarily such as Bupyeong-dohobu, Bupyeong-hyeon, Bupyeong-bu, and Bupyeong-gun, but it had been maintained as the administrative name which refered to a single administrative district for more than 600 years. And the territory of ‘Bupyeong’ was a very wide region of Bupyeong Basin including the present Incheon Metropolitan City(Gyeyang-gu, Bupyeong-gu, Seo-gu), Bucheon city of Gyeonggi Province, Gangseo-gu and Guro-gu of Seoul, and so on. However, in the modern transitionary period, the most drastic change Bupyeong region including Incheon had experienced was just that Bucheon County was newly established in 1914. Newly Bucheon County was a very large area including present Incheon Metropolitan City, Bucheon City in Gyeonggi Province, Gangseo-gu and Guro-gu in Seoul. Only a part of the city of Incheon was excluded. The place-name ‘Bupyeong’ maintained for more than 600 years had just come to maintain its historical status only by the place-name Bupyeong-ri located below Gyeyang mountain in Bucheon County. On the other hand, Daejeong-ri which is equivalent to Bupyeong-dong of the present appeared as a new center of Bupyeong region, replacing Buyeong-ri with the opening of Kyungin Railway in 1899, the opening of Bupyeong weapon industry in 1939 and the incorporation of Incheon in 1940. I think that,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pyeong-dong or Bupyeong-gu of the present came to be considered as the representative place of Bupyeong region. In the end, the place-name ‘Bupyeong’ was weakened enough to say that it was replaced by ‘Bucheon’(Bucheon County). place-name ‘Bupyeong’ is now maintained with administrative status and jurisdiction such as ‘Bupyeong-dong’, ‘Bupyeong-gu’, etc.

      • KCI등재

        지역 브랜드 슬로건 지명의 위상과 영역 변화

        권선정(Kwon, Seonje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3

        본고는 지역 브랜드 슬로건을 구성하는 지명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이다. 이를 위해 현재 전국 6대광역시 중 하나인 대전의 ‘회덕(懷德)’ 지명을 사례로 역사적 연원과 그 위상 및 공간 영역의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고려시대 이후 대전 지역을 대표했던 ‘회덕’ 명칭은 고려사 지리지를 통해 940년(태조 23) 역사상 처음 등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선후기까지 지명 및 공간영역의 큰 변화 없이 유지되던 ‘회덕’ 지명은 1906년(광무 10) 공주목 동남부 지역과 청주목 주안면을 편입 진잠현지역을 제외한 현 대전 관내 대부분을 차지하는 회덕군으로 확장된다. 이후 ‘회덕’ 지명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대전군(1914년), 대덕군(1935년)의 회덕면으로 되었다가 급기야 1983년 대전시 시역확장에 따라 일개 행정동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그 공간영역이 축소된다. 이렇듯 천년 이상의 역사적 장소성을 갖는 ‘회덕’ 지명의 위상 및 공간영역의 변화는 1900년대 초 형성되기 시작한 근대도시 ‘대전’의 위상변화와 직접적으로 맞물려 있다.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status and the spatial territory of place-name constructing the regional brand slogan, focusing on ‘Hoedeok’ among the representative historical names of Daejeon which is one of the six major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The name ‘Hoedeok’, which had represented the Daejeon area since the Goryeo Dynasty, was first found in 940(Taejo 23) through ‘Goryeosa’ Geography. Up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the name of ‘Hoedeok’ was maintained without major changes in name itself and the spatial territory. However, in 1906(Gwangmu 10), ‘Hoedeok’ was expanded to ‘Hoedeok’ which occupied most of the present Daejeon except for the Jinjam area. After that, the name of ‘Hoedeok’ was changed to the sub-administrative district of Daejeon county(1914) and Daedeok county(1935)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1983, and the space territory was narrowed down to the name of a single administrative unit in 1983.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status and the spatial territory of the name ‘Hoedeok’ with a historical placeness of more than 1,000 years is directly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name of the modern city Daejeon which started to form in the early 1900s.

      • KCI등재

        『동여비고』를 통해 본 전통적 산 인식체계의 변화

        권선정(Kwon, Seonjeong)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1 한국고지도연구 Vol.13 No.2

        『동여비고』는 1700년 전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도집이다. 본고에서는 『동여비고』의 도별지도를 중심으로 지도상에 재현된 산세 표현이나 주요 산 개념에 주목하여 전통적 산 인식체계의 특징을 탐색해 보았다. 먼저 『동여비고』에서 확인되는 각 군·현의 ‘진산’ 표기와 관련해 조선 전기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진산 상황이 『동여비고』에 거의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진산 개념은 고려시대부터 조선 중기까지 공유되던 ‘국가적 차원의 비보풍수’와 관련해 조선후기 명당풍수가 일상화되기 전까지 주종을 이루었던 것이다. 다음으로 『동여비고』에 재현된 특징적인 산세 표현으로 조선후기 지리지나 고지도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連脈 형태의 산 흐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산세 표현은 조선후기 정상화되는 명당풍수적 인식의 지도적 재현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결국 풍수 텍스트로서 『동여비고』의 지도상 진산 표기와 연맥 형태의 산세 표현은 ‘차이나는 풍수들’, 서로 다른 산 인식체계가 공존하는 전환기적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한다. Focusing on the map of provinces in 『Dongyeobigo』 produced around 1700, this paper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mountain perception system by paying attention to the expression of mountains and the traditional concept of mountains represented on the map. First, regarding Jinsan(guard mountain) for each county confirmed in 『Dongyeobigo』, it was considered that Jinsan situation of regional geograph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almost maintained in 『Dongyeobigo』. Nex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mountain flow in the form of a connected mountains, which can be easily confirmed in regional geography and old maps of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 of mountains represented in 『Dongyeobigo』. In the end, as a fengshui text and a interesting old map, it seems that the geographical representation of 『Dongyeobigo』 represent a transitional situation in which ‘differentiation of fengshui’ and different mountain perception systems coexist.

      • KCI등재
      • KCI등재

        풍수 지명과 장소 의미

        권선정(Seonjeong Kw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0 문화 역사 지리 Vol.22 No.1

        본고에서는 그동안 한국의 전통적 공간인식체계 또는 전통지리학으로 이해되어 온 풍수와 관련된 지명을 대상으로 그 유형을 보고 그것이 장소 의미 구성에서 어떤 위상을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풍수 지명이 지시하고 있는 구체적 현상 그리고 그에 반영되어 있는 풍수의 인식론적 토대, 구성요소, 이론 등을 기준으로 풍수 지명을 분류해 보았다. 풍수 지명은 풍수의 주요 구성요소인 산, 수, 그리고 산수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인간의 정주공간인 마을에 균형적으로 관련되어 있었다. 또한 방위보다는 형세중심의 풍수, 음택보다는 양택이나 양기풍수, 그리고 한국 풍수의 특징인 형국풍수가 마을공동체 차원에서 주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주체 중심적 사유 틀인 현상학적 입장과 구조의 역동성에 주목하는 후기구조주의적 인식론을 토대로 장소 의미 구성에서 풍수 지명이 갖는 위상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의 구체적 경험대상이 되는 풍수 지명이 장소 의미를 구성하는 의미 있는 경관요소이자 실제 물질적 현상을 지칭하는 언표적 배치물로서 서로 이웃관계를 맺으며 장소 의미 구성에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bout the place name of Korean fengshui which has been understood as a Korean traditional geography and spatial epistemology. First, I tried to classify place names of fengshui according to several theoretical bases with fengshui, keeping pace with experiential surveys on Geumsan district of Chungnam Province Then, based on phenomenological and post-structuralist perspectives, I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lace name of fengshui and the meaning of place. In conclusion, I identified that place names of fengshui mostly indicated three impOltant elements and units: mountains, water, and human settlements surrounded by mountains and water. And the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bases proposed that place names of fèngshui have played important roles for constructing the meaning of place as a meaningful landscape and a linguistic disposition or vicinity related to physical elements and human settlements at the same time.

      • 전통도시 읍치(邑治)를 통해 본 지역역사지리의 구성

        권선정(Seon jeong Kw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1

        In the space where the concrete trajectory of human life is merged, the various events and meanings, the material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constructed in history are thickly piled up. This is why the time factor can not be ruled out in the geographical approach as the main research element. In this regard, this paper presents the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of Yesan County in Chungnam Province from the current perspective through the historical geographical approach to the geographical representations and texts on the cross-section of time. Here, the construction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is based on the historical geographical approach to the linguistic and material spatial texts related to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place names, maps (old map and modern map), regional geographies, landscapes and places. This is a way of integrating time and space factors to explore the process of historical change in the region and the composition of regional identity. This study focuses not on the way of developing the argument based on a specific research theme but on the preparation of a case study of regional geography that reflects various time strata compressed in the region. In this paper, I tried to explore the traditional appearance of the pre-modern region and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region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national territory after the modern period, centering on the Korean traditional city Eupchi . This is because the city is the main place that form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terms of population and functions, and it is the central indicator space that measures regional change.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in recent years, various local governments throughout the country have been paying attention to basic research and restoration of traditional city Eupchi in relation to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region, the composition of place identity, and the secur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erms of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 examined concretely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conditions and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Yesan, Deoksan and Daeheung Eupchi in the Joseon Dynasty, the changes of traditional transportation system, and Jinsan , Jusan of Eupchi related to the traditional geographical perceptions for constructing the regional identity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of the region. In this study, I identified tha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various literatures related to the regional geography, place names, and the old map and to observe various cultural historical landscapes and places, which are very limited. 인간의 구체적 삶의 궤적이 녹아 있는 공간에는 역사상 전개되어 온 다양한 사건 및 의미 그리고 물질적인 역사문화경관들이 촘촘히 충전되어 있다. 공간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는 지리학적 접근에서 시간 요소를 배제할 수 없는 이유이다. 이와 관련해 본고에서는 충청남도 예산군을 사례로 지역의 전통적 모습이나 주요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여러 시간단면 상의 지리적 재현물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을 통해 현재적 입장에서 예산 지역의 지역역사지리(regional historical geography)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지역역사지리의 구성은 지역의 자연환경 및 행정구역, 지명, 지도(고지도, 근·현대지도), 지리지, 경관, 장소 등 제반 지역관련 언표적, 물질적 공간텍스트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을 통해 현재적 입장에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 및 지역정체성 구성에 관심 갖는 공간과 시간이 통합된 지역연구의 한 방편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특정한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논지를 전개하는 방식이 아닌, 지역에 압축되어 있는 다양한 시간 층위를 반영한 지역지리 구성의 한 연구 사례를 마련하는 것에 관심을 두었다. 이에 근대 이전 지방 행정의 중심지이자 교통의 결절지로서 현재의 도시 기능을 담당했던 ‘전통도시’ 읍치를 중심으로 근대 이전 지역의 전통적 모습 그리고 근대 이후 국토공간의 재편 과정에서 경험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 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예나 지금이나 도시는 인구 및 여러 기능 측면에서 지역의 특성을 형성하는 주요한 장소이자 지역 변화를 가늠케 하는 중심적인 지표공간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전국의 여러 지자체에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 및 장소정체성 구성 그리고 역사문화적 자원 확보 등과 관련해 전통도시 읍치에 대한 기초조사와 복원 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연구목적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예산 일대의 지리적 환경조건 및 행정구역의 역사적 변화, 현 예산 관내에서 유지돼 온 조선시대 예산·덕산·대흥 읍치의 공간구성상 특징과 이들 읍치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 교통체계 및 변화, 그리고 지역정체성 구성과 관련해 주목되는 역사문화적 자원으로서 읍치의 진산·주산에 대해 살펴보았다. 작업 수행과 관련해 근대 이전 제작된 지리지와 고지도, 지명지 등의 문헌조사 그리고 극히 제한되기는 하지만 다양한 문화역사 경관 및 장소에 대한 현장답사가 지역역사지리 구성을 위해 병행되어야 하는 필수 작업임을 경험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근·현대지도를 통해 본 大田의 지역 변화와 도시 정체성

        권선정(Seon jeong Kw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6 문화 역사 지리 Vol.28 No.4

        본고는 1900년대 초부터 확인되는 대전 관련 근·현대지도를 중심으로 근대도시 대전의 형성 및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1900년 초 경부선 대전역 개통과 더불어 대전천 부근의 일부 동리 수준에서 시작하여 현재의 광역도시체계를 형성하기까지 100년 남짓한 시간 동안의 대전의 도시역사는 ‘근대도시’를 대전의 도시정체성으로 구성하기에 충분한 특징적인 도시 파노라마를 보여준다. 본 연구와 같이 현재적 입장에서 다양한 시간단면 상의지도 재현물을 통해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역사지리적 접근은 공간과 시간이 통합된 지역연구이자 지역역사지리 구성의 한 방편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고지도나 근·현대지도 같은 지리적 재현물 뿐만이 아닌 지리지·지명·물질적 경관이나 장소·행정구역·풍수 등 다양한 지역 관련 물질적·언표적 요소를 통해 보다 미시적 수준에서 지역의 역동적이고 차이나는 지역역사지리의 구성을 기대해 본다.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formation and historical change of Daejeon as a modern city through the historical geography of modern maps which have been made after 1900s. Daejeon has experienced the drastic regional changes from the traditional rural villages to the current metropolitan city after the beginning of modern city in front of Daejeon station of the Gyeongbu railroad in the early 20th century. With regard to this urban history of Daejeon, it is so sufficient to suppose the urban identity of Daejeon as a discriminative modern city. We can easily identify this kind of visible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Daejeon by simple seeing behavior of several modern maps. The approach of this study could be specified as a sort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which examines and considers together the spatial(space) and temporal(time) factors constru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current situation. I expect regional researchers and geographers to try the construction of many regional historical geographies of rural villages and cities in Korea through various regional elements and data like the regional geographies, place names, landscapes and places, fengshui, administrative districts, old and modern maps, etc.

      • KCI등재

        역사문화 경관 및 장소를 통한 지역역사지리의 구성 - 충남 부여군을 사례로 -

        권선정(Seonjeong Kw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2

        지역지리(regional geography)는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지리학의 오랜 전통으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자연ㆍ인문현상이나 그들 사이의 관계를 함께 관심 갖는 분야이다. 본고에서는 현재 수행되고 있는 지역지리의 구성을 비판적으로 고민하면서 지역의 차이나는 모습 즉 지역민이나 외부인 들에게 해당 지역의 생김새를 어느 정도 그려볼 수 있게 하는 실제적인 지역 지리의 구성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지역이 경험해 온 역사적 변천에 대한 관심인데, 이는 현재적 시점 중심의 지역지리 구성에 대해 시간 요소를 접목시키는 역사지리적(historical geography) 접근을 말한다. 다음으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특징적인 경관이나 장소에 대한 관심인데,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수많은 파편 중에서 지역의 차이나는 모양새 소위 지역정체성 (지역성) 구성을 위한 ‘역사문화 경관이나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지리 구성이다. 여기서 ‘역사문화 경관 및 장소’는 역사적 사건이 관련되어 있거나 지역민에게 의미 있는 경험대상으로 유지돼 온 물질적, 언표적 공간텍스트로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파편 조각들 즉 수많은 시간 지층을 머금고 있는 역사지리적 접근대상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관심과 관련해 구성되는 지역지리를 본고에서는 지역역사 지리(regional historical geography)로 규정하고, 충청남도 부여군을 사례로 지역의 전통적 모습이나 주요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여러 시간단면 상의 지리적 재현물 즉 ‘역사문화 경관이나 장소’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사례 지역인 충남 부여군은 흔히 ‘백제의 고도(古都)’, ‘백제문화 권’으로 알려져 있고 지역민이나 지자체에서도 백제 또는 백제시대를 빼놓고 부여를 생각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정도이다. 이러한 현재적 입장에서의 부여 지역의 장소 의미 구성은 부여군 소재 대표적인 역사문화 경관으로서 국가지정문화재를 비롯한 국가등록문화재, 도지정문화재, 도문화재자료, 향토유적 등의 시기별, 지역별 분포 상황을 통해 충분히 의미가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의 부여군은 ‘백제의 고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현재의 부여읍 일대를 포함한 부여현(扶餘縣)만이 아닌 석성현(石城縣), 홍산현 (鴻山縣), 임천군(林川郡) 등 조선시대 네 개 군ㆍ현이 함께 유지되어 온 지역이다. 이에 ‘백제의 고도’로서 부여의 장소정체성과 관련된 역사문화 경관 외에 조선시대 부여 지역 각 군ㆍ현의 행정중심지였던 읍치(邑治)에 주목하여 부여 지역의 전통 중심지 및 공간구성, 길 체계 그리고 근대 이후 국토공 간의 재편 과정에서 경험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함께 탐색해 보았다. 특히 전통도시 읍치가 갖는 역사적 장소성과 관련해 읍치 진산과 주산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Regional geography is a long tradition of modern geography that has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 region. It is an approach that has studied both natural and human phenomena of the reg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m. In this paper, while critically considering the current regional geography, I tried to propose an different approach of constructing regional geography which is able to draw a picture of the regional difference, regional approximate appearance to the regional people or outsiders. The first is the interest in the historical transition that the region has experienced, which refers to a historical geographical approach that incorporates the time factor into the geograph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time. The next is the interest in the characteristic landscape or place that constitutes the region. They may be a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and place that could construct the regional identities and localities. Her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nd places are spatial fragments that constitute the region as material and linguistic texts that have been associated with historical events or have been meaningful experiences for regional people. Such landscapes and places are the meaningful objects of historical geography for constructing regional geography. In this paper, I d like to define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as an approach with regard to these problematic considerations. And then I tried to construct the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of Buyeo County, Chungnam Province through the geographical representations,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nd places , on the cross-section of time which can identify the traditional appearances and major historical changes of the region. Buyeo County is often known 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e or Baekje cultural area . It is almost impossible for regional people and local governments to think about Buyeo County without Baekje Kingdom or Baekje era. In this present position, it could be possible enough to construct the regional identity of Buyeo County 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e or Baekje cultural area through some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in Buyeo County such as the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and the regional remains, etc. However, we should not forget that the current Buyeo County includes the current Buyeo-eup area directly related to Baekje, but also other prefectures such as Seokseong-hyeon, Hongsan-hyeon, Imcheon-gun in the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it is an area where four counties and prefectures have been kept together for a long time. So, in addition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related to the regional identity of Baekje 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e , I had to focus on Eupchi which was the administrative center and the regional transportation node of each county and prefecture in the Joseon Dynasty. I think that Eupchi could be a clue and passage to explore the traditional appearances and the historical process of region. It shows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region experienced in the reorganization process of the traditional center and space composition, the road system, etc. In particular, I have also paid attention to Jusan and Jusan of fengshui, the Korean traditional geography, in connection with the historical place mean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city Eupchi.

      • KCI등재

        딸기바이러스 진단을 위한 최적의 RNA 추출 방법 및 주요 7종 딸기바이 러스의 진단법 개발

        권선정(Sun-Jung Kwon),윤주연(Ju-Yeon Yoon),조인숙(In-Sook Cho),정봉남(Bong-Nam Chung) 한국식물병리학회 2020 식물병연구 Vol.26 No.3

        바이러스의 정확한 진단법 확립은 바이러스의 피해 및 확산을 예방하는데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대부분의 딸기 바이러스는 조직내에 낮은 역가로 분포하여 진단이 어렵고, 특히 딸기 조직은 다당류 및 페놀화합물의 함유가 많아 RNA 추출이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딸기 우량묘 생산에 필요한 바이러스 검정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딸기 잎에서 바이러스 진단을 위해 가장 최적의 RNA 추출방법 정립을 위해 다양한 상용 키트와 시약을 이용하여 RNA 추출효율 비교하였다. 바이러스 진단을 통한 RNA 추출효율을 분석하기 위해 SMoV 감염주인 미홍 딸기 품종을 이용하여 다양한 단계에서 잎조직으로부터 RNA를 추출하고 바이러스 진단을 수행하였다. 식물 RNA 추출 방법 가운데 상업용으로 판매되는 RNeasy plant mini kit (Qiagen)를 이용하는 경우 본 연구에서 살펴본 onestep 또는 two-step RT-PCR 방법과 무관하게 SMoV의 검출이잘 되었다. 또한, 딸기 우량묘의 바이러스 검정에 대한 신뢰있는진단방법을 구축하기 위해 주요 딸기 바이러스인 strawberry mild yellow edge virus (SMYEV), strawberry mottle virus (SMoV), strawberry latent ringspot virus (SLRSV), strawberry crinkle virus (SCV), strawberry pallidosis associated virus (SPaV), strawberry vein banding virus (SVBV) 및 strawberry necrotic shock virus (SNSV) 7종에 대한 유전자 합성을 통해 진단클론을 제작하였다. 각 클론의 합성유전자를 기반으로 7종의 딸기바이러스 프라이머 세트를 설계하고 편리한 진단법 수행을 위해 동일한 PCR 조건을 설정하였다. Most strawberry viruses exist relatively low titers in tissues, and strawberry tissues include high levels of contamination by polysaccharides and phenolic compounds. These traits make the efficiency of strawberry diagnosis difficult. In this study, we tested different commercially available kits and reagents to secure optimal RNA extraction methods to determine virus detection from strawberry leaves. Total RNA was isolated from leaves of strawberry mottle virus (SMoV)-infected strawberry cultivar ‘Mihong’. The efficiency of total RNA for virus diagnosis was confirmed through SMoV detection by one-step or two-step reverse transcrip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mong those, the RNeasy plant RNA kit was best to isolate RNA and the isolated RNA was good enough for further applications. To ensure a reliable detection for strawberry viruses, synthetic diagnosis clones for major seven strawberry viruses such as strawberry mild yellow edge virus, SMoV, strawberry latent ring spot virus, strawberry crinkle virus, strawberry pallidosis associated virus, strawberry vein banding virus and strawberry necrotic spot virus have been constructed. Based on the synthetic genes in each clone, primer sets for seven strawberry viruses were designed and tested an RT-PCR condition through a simultaneous application of the same annealing temperature that allowed to achieve an efficient and convenient dia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