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曾坪地域의 石造彌勒菩薩立像 考察

        권보경(Kwon Bo Kyung) 동국대학교 박물관 2011 佛敎美術 Vol.22 No.-

        Coming to late Unified Silla period, Buddhist sculpture was created focusing on local area. For even in the Goryeo period, this tendency kept going on. In Goryeo period Buddhist sculpture appeared local and distinctive features. So it is essential to survey Buddhist sculptures located in local area in order to understand locality of Buddhist sculpture in Goryeo period. It is difficult to grasp production period of Buddhist sculpture, nevertheless, through the analysis of iconography, style, historical background, one can understand the locality of Buddhist sculpture in Goryeo period. As part of such works, I attempt to research stone Maitreya statue in Zeungpyeong area. Zeungpyeong province is the central area of Chungcheongbukdo. There are many stone Buddha in this area such as stone Buddha of Gwangdeoksa temple, a Buddha carved on a cliff at Namhari temple site, stone Bodhisattva at Miamri temple site, and stone Bodhisattva at Yulgokri. Of all these statues stone bodhisattva at Miamri temple site and stone bodhisattva at Namhari put on cylindrical crown and seized lotus bough by hand. This study researched iconography of these statues and production period through the analysis of style. The iconography of these two statues has been identified as the Maitreya on the basis of Maitreya statue of Gamsansa, Buddhist painting of Goryeo period, and bodhisattva of China. There are two types of Maitreya iconography in Goryeo period. First iconography consists of nirmana buddha in crown and lotus branch. Second is only lotus bud without nirmana buddha in crown. These two iconography have something to do with stone Bodhisattva at Miamri temple and Namhari. Researchers have regarded stone bodhisattva of Goryeo Maitreya or Avalokitesvara over the past year. However, considering iconography of stone Bodhisattva at Miamri temple and Namhari, Maitreya will be more found. The date of stone bodhisattva at Miamri temple site is presumed 11th century through comparing with figure made clear in 11th century. Stone bodhisattva at Namhari is close to figure of Mireukdaewon in style. Bodhisattva of Miamri seems to relate to Won( ) that was 院 accommodation located at transportation hub. That of Namhari has something to do with a series of historical fact such as management of So, local system reform, and dispatching local officials. Considering this situation, that of Miamri is presumed to be made after 1108. These two statues are closely related to basic desire of Goryeo period people such as protection, material prosperity, and unity.

      • KCI등재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의 함의와 기념비성

        권보경(Kwon, Bo Kyung)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1 美術史學 Vol.- No.4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은 고려 초기를 대표하는 철불이다. 이 상은 1911년 이왕가박물관으로 이동하였으며, 원래 위치에는 이 상 보다 작은 철불이 한 구 더 존재했었다. 작은 철불은 기존에는 행방을 알 수 없었지만, 하남 하사창동 철불보다 앞선 시기에 이왕가박물관이 입수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은 하남 천왕사지에 봉안되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천왕사는 고려 초부터 국왕이 관여하던 곳으로, 수도의 사찰은 아니지만 고려시대 중요한 사찰 중 하나였을 것이다.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은 기본적으로 석굴암 본존불을 계승하고 있으나, 고려 초기 항마촉지인 불상 양식을 가지고 있다. 하사창동 철불좌상 양식은 석굴암 본존불 계승 불상 양식과 949년 상한연대의 서산 보원사지 철불좌상 양식 사이에 위치하므로,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이 949년 이전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본다. 서산 보원사지 철불좌상은 석가상이므로,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을 포함한 항마촉지인 상을 고려 초기 사람들이 석가모니불로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은 이전 연구에서는 광주 호족인 왕규가 조성했다고 보았다. 그러나 고려 초기 광주 지역 유력자는 애선이며 그가 924년에 사망하였으므로, 왕건은 원종대사 찬유를 천왕사에 주석시켜 광주 지역 민심을 안정시켰다. 이후 왕건의 비호 아래 왕규가 광주 지역으로 세력을 넓힌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상황과 후삼국시대 전쟁 양상을 통해, 고려 통일 이후 전쟁무기의 평화적인 회수와 활용이라는 현실적인 문제 속에서 태조의 발원으로 하남 하사창동 철불 좌상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은 태조 왕건과 왕실이 주도하여 조성한 통일 기념비적인 불상이다. 또한 고려 통일 이후 전쟁무기 회수와 활용이 불교미술 조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것은 고려 초기 철불 조성의 급증 배경으로 볼 수 있다. 한편 하남 천왕사지에 왕실이 통일 기념비적인 불상을 조성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하남은 일찍부터 왕건의 세력 아래 있었고, 위치상 중요한 교통로였으며, 그 중 천왕사는 고려 왕실과 관계가 깊었던 사찰이다. 또한 고려 건국의 한 축인 서남해안지역 세력의 근거지 중 하나이다. 서남해안지역 세력은 태조가 마련한 태자의 후원세력이었다. 따라서 고려 건국 및 통일의 중요한 축인 서남해안지역 세력을 위로하고 규합하며, 태자의 미래를 부촉하는 의도 역시 있었음을 추정하였다. The seated iron Buddha from Hasachang-dong, Hanam-si, Gyeonggi-do,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a representative iron Buddha of the early Goryeo period. This ironBuddha was moved to the Iwangga Museum in 1911, and there was another small ironBuddha in its original location. The whereabouts of the small iron Buddha was previouslyunknown, but it is possible that the Iwangga Museum may have been obtained it at a timeearlier than the iron Buddha in Hasachang-dong, Hanam-si. It is also assumed that the seatediron Buddha in Hasachang-dong, was enshrined in Cheonwangsa temple in Hanam-si.Cheonwangsa temple was not a temple in the capital, but it may have been one of the mostimportant temples of the Goryeo dynasty. The seated iron Buddha from Hasachang-dong basically follows the style of the main Buddha of Seokguram Grotto, but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e style of the bhūmisparśa-mudrā Buddha statue of the early Goryeo period. Because the seated Buddha from Hasachang-dong is located in style between the main Buddha of Seokguram and the seated Buddha from Bowonsa temple site in Seosan, which dates back to the year 949. So it is believed that the seated Buddha from Hasachang-dong was made before 949. Since the seated iron Buddha from Bowonsa temple site in Seosan is Sakyamuni, it can be seen that the early Goryeo people recognized bhūmisparśa-mudrā Buddha as Sakyamuni, including the seated Buddha from Hasachang-dong. In previous studies, the seated iron Buddha from Hasachang-dong was thought to have been created by Wang-gyu, a powerful family of Gwangju region. However under the protection of King Taejo, Wang Geon, Wang Gyu expanded his powers to Gwangju area. Through this situation and the war aspects of the Later Three Kingdoms era, the seated iron Buddha from Hasachang-dong was made by petition of the King Taejo in the realistic problem of peaceful recovery and use of weapons after the unification of Goryeo. The seated Iron Buddha from Hasachang-dong that led by King Taejo and the royal family is a monument to the unification of Goryeo. In addition, it shows how the recovery and use of war weapons after the unification of Goryeo has emerged as a composition of the Buddhist art, and this can be seen as the background for the increase of iron Buddha in the early Goryeo dynasty.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why the Goryeo royal family created a Buddha statue to commemorate the unification in Cheonwangsa temple of Hanam is as follows. Hanam was under Wang Geon"s influence early on, and was an important transportation route for its location, and Cheonwangsa temple was closely related to the Goryeo royal family. It is also one of the one of the bases of power in the southwest coast area, the axis of the founding of Goryeo. The powers in the southwest coast area were the supporters of the prince established by King Taejo. Therefore, it must have been intended to comfort and unite the powers in the southwest coast area, an important axis of the founding and unification of Goryeo, and to promote the future of the prince.

      • KCI등재
      • KCI등재

        환경 역동성, 구조적 안정성, 그리고 조직성과: 한국 대학조직 분석

        권보경(Kwon, Bo Kyung) 서울행정학회 202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4 No.1

        공공관리 분야에서 외부환경의 영향을 조직구조가 조정해 줄 수 있음을 검증한 연구들이 축적되었지만, 외부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조직차원의 노력으로서 구조변화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환경적 역동성과 구조변화 정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였고, 그 관계에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간 차이가 존재하는지 실증분석하였다. 우리나라 4년제 종합대학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환경 역동성은 일부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환경 역동성이 심할수록 국공립대학의 연구성과에 대해서는 구조적 변화가, 교육성과에 대해서는 구조적 안정성이 적합한 반면, 사립대학에서는 구조적 안정성이 연구성과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공립대학과 사립대학이 환경상황을 고려하여 차별적인 구조 전략을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environmental turbulence, structural stab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 has been growing attention among public management scholar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daptive to environment.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regard to structural change in response to environment. By using the survey and archival data of Korean 4-year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negative impact of environmental turbulence on performance has been partially confirmed. Those with higher level of structural stability have enhanced performance, however, there were differential effec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important for organizations to consider ownership effects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in decision making on structure f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

        고려 전기 원주지역 철불의 조성

        권보경(Kwon, Bo Kyung)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0 美術史學 Vol.- No.39

        통일신라 후기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철불을 제작하기 시작하였고, 고려 전기에는 철불을 다수 조성하였다. 원주지역에는 고려 전기에 만들어 진 것으로 추정되는 철불 5구가 발견되었는데, 본 논문은 이 원주지역의 철불을 통해 고려시대 철불의 조성과 양식, 그리고 쇠퇴의 흐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원주지역의 철불의 과학적인 조사를 통한 철불 제작기법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과학적인 분석이 진행되지 않은 상의 제작기법을 분석하였다. 3구의 항마촉지인 상은 비슷한 기법으로 제작되었으며, 약사여래좌상과 아미타여래좌상은 분할주조선이 없이 제작되었다. 양식을 통해 항마촉지인의 철조여래좌상은 10세기 중반, 약사여래좌상과 아미타여래좌상은 11세기에 조성되었음을 추정하였다. 한편 제작기법과 편년을 통해 제작방법이 분할주조에서 분할주조선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철불을 연구하는 기준점이 될 수 있다. 원주지역에서 철불이 조성된 배경은 다음과 같다. 원주의 제철유적은 현재까지 하나의 단야유적만 발견되었다. 그러나 고려시대 가장 활발한 제철장소인 충주의 제철유적은 제철의 전 과정에 해당하는 유적이 나오므로, 충주의 철을 원료로 고려시대 원주지역의 제철산업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운의 발달로 11세기의 원주지역이 부상하고, 이러한 배경 속에서 철불을 조성했을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철불 연구는 기원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감소와 쇠퇴에 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그 이유에 대해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소(所)에 대한 과도한 공납은 장인들의 유리현상을 낳게 되었으며, 무십집권기에 대토지소유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이러한 경향은 더욱 심화되었다. 또한 원의 과중한 철 공납 요구와 권세가들의 철 및 농기구 수탈로 인해 백성들의 삶은 점차 피폐해졌다. 다른 금속에 비하여 철은 백성의 삶과 생산활동과 밀접하므로, 철 부족은 국가적으로도 큰 문제였으며, 철로 불상을 조성하는 것은 점차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철불 제작은 감소하였고, 조선시대에는 목재가 불상 재료로 점차 대체되었을 것이다. Coming to the late period of Unified Silla, the iron Buddha had begun to be made in Korea, and many iron Buddhas were made in the first half of Goryeo period. The five iron Buddhas believed to have been made during the first half of Goryeo period were found in Wonju area. This paper sought to find out the creation and style development and the decline of the iron Buddhas of Goryeo period through the iron Buddha of Wonju area. For the research,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iron Buddha in Wonju area through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was analyzed including the iron Buddhas that was not analyzed scientifically. Through the scientific analysis, the three Bhumisparsha Mudra Buddhas were made with similar techniques, while the seated Medicine Buddha and seated Amitabha Buddha were produced in a way that did not have split cast lines. Through the analysis of style, it was estimated that the Bhumisparsha Mudra Buddha was made in the mid 10th century by comparing with the iron Buddha excavated from the Beowonsa temple site and the seated Medicine Buddha and seated Amitabha Buddha were made in 11th century by comparing style with the 11th century Buddha statues in the same Wonju area. On the other hand,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manufacturing technique is changing from the partial casting to the method of removing the partial casting line. This may be the point of reference for the study of iron Buddhas of Goryeo period. In addition the background of iron Buddhas in Wonju area is as follows. So far, only one iron remains has been found in Wonju area. However, the iron remains of Chungju, the neighboring area and the most active iron making site of Goryeo period, are spread out evenly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the steel industry. Also the development of water transport would have resulted in the rise of the Wonju area, and under this background, the seated Medicine Buddha and the seated Amitabha Buddha would be made. Meanwhile, many studies on iron Buddhas have been focused on the origin of iron Buddhas, but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the decline of the iron Buddha relatively. So this paper examine the reasons of the decline of the iron Buddhas in various ways. The excessive public payments imposed on the So (所), it brought the seperation of craftsmen. this tendency became more intensified as the ownership of land was accelerated during the military regime period. In addition, the lives of the people have gradually become devastated due to the excessive iron demand by Yuan Dynasty and iron and farm equipment deprivation by the power people. Since ir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and production activities of the people compared to other metals, so the lack of iron was a big problem for the nation and it was difficult to make a iron Buddha. Therefore, the production of iron Buddha decreased, and wood would have been gradually replaced with Buddhist materials in Joseon period.

      • KCI우수등재

        신라 하대 철불의 연원과 의미

        권보경(Kwon Bo Kyung) 한국미술사학회 2023 美術史學硏究 Vol.318 No.318

        불상은 다양한 재료로 만들었으나 철로 만든 불상인 철불은 신라 하대에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고려 이후 거의 나타나지 않는 시대적 특수성 때문에 우리나라 미술사에서 독특한 의미를 가진다. 학계에서는 철불의 등장에 대해 선종의 유입, 호족의 영향, 동의 부족 등으로 설명하였으나, 본고는 철불 조성 원인을 주석 수급의 문제로 보았다. 신라는 동이 부족하지 않았던 것에 비해, 주석은 청동제품 제작에 꼭 필요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생산되지 않아 신라에서 귀한 금속이었다. 당시 왕실은 지방지배를 위해 곳곳에 자리 잡은 선종에 관심을 가졌고, 선원에 대형 불상을 조성하여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귀한 주석이 들어가는 동불이 아닌 철불을 조성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지기 시작한 철불은 도량의 장엄을 위한 것으로, 왕실과 같은 후원 세력의 뜻에 따라 조성되었으며, 선승은 처음에는 불상 조성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시대가 흐르면서 선승도 적극적으로 철불을 조성하게 된다. 사찰 장엄과 망자 추복을 위해 조성한 철불은 사회 혼란기를 지나면서 사찰의 수호와 호위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신라 하대의 경제와 정치, 사회 양상에서 철불에 부여한 신라인의 인식과 의미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mong the various materials used for Buddhist statues, iron is noteworthy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as it only started to be used for Buddha statues in late Shilla and almost disappears after Koryŏ. Previous studies have attributed the emergence of iron Buddha statues to the introduction of the Sŏn(Chinese Chan) Buddhism to Shilla, rise of local powers, and shortage of copper, but this study argues that the lack of tin brought the production of iron Buddha statues. Shilla was not short of copper, but tin, another indispensable material when making bronzeware, was not mine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refore was expensive. At the time, to effectively exert power in the provinces, monarchs of Shilla turned to the Sŏn Buddhism, which had spread to all corners of the country. Large Buddhist statues were made for Sŏn temples to demonstrate the royal authority. For this purpose, iron was used in the place of bronze, whose production process required tin, a precious material. First made with above reasons, iron Buddha statues fulfilled the wishes of patrons including the royal family, to decorate temples. At first, Sŏn monks were not enthusiastic about making iron statues, but as time passed, they also participated actively. Iron Buddha statues were initially made to decorate temples and to pray for the souls of the dead but they came to take on the role of supporting and protecting the temple in the chaotic late Shilla society. In conclusion, the perception and the significance attributed to iron Buddha statues changed according to the economical,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in late Shilla.

      • KCI등재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학습에 대한 태도 분석

        권보경(Bo kyung Kwon),강상순(Sang Sun Kang),천재순(Jae sun C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과학학습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방안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두 초등학교 5, 6학년 다문화가정 학생(75명)과 일반가정 학생(144명)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하여 비교·분석하였고 다문화가정 초등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과학학습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검사지 결과들은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유의 수준 .05에서 비교·분석하였고, 면담내용은 전사하여 의미 있는 진술을 토대로 주제를 도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탐구능력은 전체 평균과 두 하위 영역 모두에서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들이 일반가정 초등학생보다 낮았다(p<.05). 면담을 통해 볼 때 이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과학 학습 시 과학용어의 뜻과 실험기구와 시약의 용도 사용방법에 대해 생소함을 느끼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과학에 대한 태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 영역 중 과학적 태도 부분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일반가정 학생들 보다 높았다(p<.05). 각 영역의 하위 요소들을 비교해볼 때 과학과 관련된 흥미 영역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과학관련 활동에 대한 흥미에서만 일반가정 학생들 보다 높았다(p<.05). 과학적 태도 영역에서는 자진성, 비판성, 끈기성 요소에서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평균 점수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p<.05) 그 외 하위 요소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5).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들은 실험활동과 과학 체험 활동을 매우 즐거워하나 가정에서의 체험기회가 부족하기에 공교육 차원에서의 다양한 과학체험활동의 활성화를 필요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that multicultural students face in science studies to support them. For this purpose, the tests of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tests were conducted to 75 multicultural students and 144 general students who were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at two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In additi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10 multicultural students to find out their ideas about science learning. The study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while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to be identified and analyzed in the ideas of science learning. According to the study,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multicultural students were found to be lower than those of general students(p<.05). This result were from that they are not familiar with the scientific terminology, laboratory equipment and use of chemical agents. Whole attitudes toward science of multicultural student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general students(p<.05). Multicultural students, however, were shown to have higher scores than general students in scientific attitude, the sub-category of the attitudes toward science(p<.05). And interests in science related activities, voluntary, criticism, patience of multicultural students wer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students(p<.05), and other sub-elements of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general students(p<.05). The interview results show that multicultural students quite enjoy science experiments and activity. And it is needed to invigorate diverse science activities in public schools as multicultural students have few opportunities for science activities at home.

      • KCI등재

        관료제적 조직구조, 조직전략, 그리고 조직성과

        권보경(Kwon, Bo Kyung),이경은(Lee, Kyung Eun),전영한(Chun, Young Han) 서울행정학회 2018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9 No.1

        조직의 전략과 구조의 정합성이 조직성과를 향상시킨다는 시각은 조직이론 및 전략관리론 연구자들에게 상당히 익숙한 상황론적 명제이다. 외국의 연구자들은 이러한 이론적 명제에 대해, 즉 전략과 구조의 정합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경험적 증거를 제시해 왔다. 또한 최근 이러한 명제가 민간조직 뿐 아니라 공조직에서도 중요함을 역설하며, 공조직을 대상으로 이 명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하는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연구자들 또한 민간조직에 대해 이 명제를 지속적으로 검증해왔으나, 공조직을 대상으로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200여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조직전략과 구조 간의 정합성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대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관료제적 조직구조를 집권화, 공식화, 레드테이프(red tape) 수준으로 측정하고, 조직 전략을 Miles와 Snow가 제시한 선제형, 방어형, 반응형 전략으로 측정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공공기관에서는 외국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방어형 전략과 관료제적 조직구조의 정합성이 긍정적인 성과영향을 갖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선제형 전략의 경우에는 이론적인 예측을 지지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앞으로 공공기관을 포함한 공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략-구조 정합성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함께 한국적 맥락에서 이 명제에 대하여 공조직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The aim for this research is to find an empirical evidence of the relationship among bureaucratic structure, strateg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Korean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re has been a consensus of strategy and structural fit leads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Miles&Snow(1978) had suggested organizations which adopted defending strategy, centrally operated structure is appropriate in that it is beneficial for pursuing efficiency. On contrary, prospectors are apt to have decentralized and participative decision-making process for better performance. However, reactors did not have specific form of structure in the literature. Despite fruitful research for the subject in the business field, there has been dearth of empirical research trie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y and bureaucratic structure for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Among our findings, given by strategic types, som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however, some were different to the extent. Defenders with higher level of formalization had strongly positive effect to the performance. This result has importance in that the fit between defending strategy and formalization has not been empirically tested yet. Like previous studies, reactors with higher red tape had detrimental effect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ontrast, higher group of prospecting strategy with bureaucratic structures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performance. These results can contribute to the study on strategies of Korean public organizations

      • KCI등재

        전통식품의 권리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박재원 ( Jae Won Park ),권보경 ( Bo Kyung Kwon )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4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8 No.1

        전통지식은 오랜 역사동안 지역 공동체에서 지적활동에 의해 축적되고 발전되어온 기술혁신이나 지식체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통지식은 현대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그 경제적인 잠재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부정이용과 남용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특히 우리 고유의 전통식품이 세계화에 발맞추어 한류와 맞물려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만큼 그 권리를 확보하고 지속적인 발전과 보존을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 전통지식의 보호방안에 대해서 논의가 되고 있으나 통일된 국제적인 규범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의견 대립이 있다. 일반적으로 풍부한 전통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기술력이 부족한 개발도상국은 새로운 특별보호방식(Sui Generis)에 의한 적극적인 보호를 주장하고 있다. 반면에 선진국은 기존의 지식재산권 범위 내에서의 방어적 보호를 주장하고 있다. 전통지식의 권리보호 방안으로서 지식재산권법에 의한 보호, 전통지식과 관련된 특별법에 의한 보호 등 전반적인 내용들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그러나 현재의 지식재산권법 체제하에서는 전통지식의 특징상 권리보호를 받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특허출원의 개선방안으로서 출처표시의 의무화와 전통지식의 문서화에 대해 검토한다. 전통지식의 문서화는 제3자가 전통지식을 그대로 혹은 약간 변경하여 특허로서 독점적 권리를 취득하는 것을 방지시키는 방어적 보호로서 신규성을 판단하는 선행기술의 인정범위에 대해서 국제적 통일화가 이루어진다면 전통식품의 문서화도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이러한 문서화는 WIPO 회의에서 논의된 최소문헌화를 위해서도 선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따라서 현재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기존의 지식재산권 제도 하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선행기술로 활용하는 적극적 보호뿐만 아니라 국가적 차원의 새로운 입법도 마련 하여야 할 것이다. Traditional knowledge means that it is a technological innovation or knowledge system which have been accumulated and developed by mental activities in local communities for a long period of time. This traditional knowledge has increased the need of protection from abusing as the awareness about the development of modern industries and the economic potential has increased. Especially, it is very essential that we should continuously secure the rights, develop and preserve our traditional foods as they are becoming popular along with Korean wave in keeping with globalization. Therefore, there is a discussion on methods for protecting traditional knowledge to achieve this goal, but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between advanced countries and developing countries because unified international rules are not existing. Developing countries which have normally enough traditional knowledge but relatively insufficient technologies are insisting on the active protection by Sui Generis system while advanced countries are insisting on the defensive protection within the boundary of exis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n this study, we will review the entire contents such as protection by intellectual property and protection by special law related to traditional knowledge as a method for protecting rights of traditional knowledge. However, there is a limit to protecting rights due to the nature of traditional knowledge within the current legal system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 Thus, we will review the obligation of disclosure of origin and the document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as a method for improving a patent application. We consider that the document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will do itself justice if it makes the international unification about the boundary of admitting the prior technology for judging novelty as the defensive protection which protects third parties from obtaining a dominant right as a patent by using or changing traditional knowledge. Especially, this documentation is a task to be done for minimum documentation discussed in WIPO. Therefore, we should arrange the active protection which establishes DB and uses it as the prior art under the exis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 system in the current situation and prepare for new legislation at national level.

      • KCI등재

        도시공동체의 주민자치와 사회자본: 입주자대표회의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김순은 ( Soon Eun Kim ),권보경 ( Bo Kyung Kwon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6 地方行政硏究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 내에 설치되는 입주자대표회의의 주민자치적 위상을 확인하고 입주자대표회의가 도시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구하는 것이 었다. 본 연구는 입주자대표회의가 단순한 공동주택의 관리 기구에 머무르지 않고 주민자치조직으로서의 특성과 지위를 갖고 있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두 사례를 분석한 결과, 입주자대표회의를 중심으로 아파트 등 공동주택 내에 사회자본을 형성하여 축적한다면 이를 토대로 한 도시공동체가 활성화되어 지역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사회자본의 축적과정에 입주자대표회의 회장의 강한 리더십과 네트워크 중개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아파트를 위한 봉사정신과 리더십을 갖춘 입주자대표회의 회장을 선출하는 것이 주민 및 기타조직과의 신뢰를 구축하는데 중요하다는 점이 명백해 졌다. 이러한 회장의 활동은 아파트단지 내 사회자본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회장을 중심으로 주민자치조직으로서 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의 활동이 사회자본의 형성에 기여하고 나아가 아파트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commissions of representative tenants of apartments from a perspective of residential autonomy and to examine whether or not commissions of representative tenants of apartments can contribute to revitalizing urban communities. This study shows that commissions of representative tenants of apartments do not remain just as managerial organization of apartments but embrace major features and status as residents’ autonomous organizations. On the basis of two case analyses, this study shows that if commissions of representative tenants of apartments could play a key role in cultivating social capital in the apartment, social capital acted as key factors which contributed to revitalize urban community, with the result in regional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social capital, it is confirmed that leadership of chair of commissions of representative tenants of apartments is essential and his/her role of brokage in the network concerned is very remarkable. It is very important to elect a chair of commissions of representative tenants of apartments who holds high level of dedication and leadership, which works as a foundation to enhance trust among residents and autonomous groups, etc. It can be said that commissions of representative tenants of apartments as residential autonomous organization can contribute to pile up social capital which subsequently works as factors which revitalize urban communities with the result in region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