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코올가용성이 음주행태에 미치는 영향

        권리아(RIA Kwon),신상수(Sangsoo Shin),신영전(Young-jeon Shi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8 한국사회정책 Vol.25 No.2

        음주와 관련한 사회적, 보건학적 문제가 심각하다. 음주행태는 개인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에도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는 개인수준의 변인들을 보정 후에도 지역사회 내 주류 판매점들이 개인의 음주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알코올 관련 규제정책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음주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현재 음주여부와 고위험 음주여부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인수준의 데이터는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중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응답 자료를 활용했으며, 지역수준의 데이터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였다. 개인수준의 변인으로는 연령, 학력, 소득 수준 등을, 지역수준의 변인으로는 기초생활수급자수, 조 이혼율, 1㎢당 주점 수, 1㎢당 소매점 수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음주 여부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학력, 높은 월 가구소득,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고위험 음주 여부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학력, 우울감과 같은 개인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수준의 변인들을 보정 후 지역수준의 변인들을 분석한 결과, 1㎢당 주점 수, 소매점 수, 전체 알코올가용성 수가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에게서 현재 음주를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위험 음주 여부에 있어서는 지역변인으로 조 이혼율만이 음주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성, 연령, 경제활동 유무)에 따라 층화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현재 음주 여부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60세 이상 집단에서 소매점과 전체 알코올가용성 수가 많은 지역에 거주할수록 고위험 음주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정책 뿐만 아니라 지역 수준에서 알코올 가용성 환경을 고려한 알코올 규제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Social and health problems related to drinking are serious. Drinking behavior is affected not only by personal factors but also by environment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alcoholic beverage stores in community influence the drinking behaviors of individuals after adjusting the individual level variables and provide it as basic data for alcohol related regulatory policies.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drinking behavior, we conducted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high-risk drinking and current drinking as dependent variables. Individual-level data provided by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from respondents of urban residents, and regional level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were used as individual level variables and the number of basic living allowances, divorce rate, and the number of pubs were used as community level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after controlling all variables, the number of bar, retail per 1㎢ in residential area effect on current drinking. But, they are not effect on high risk drinking. In the high risk drinking, only the divorce rate effect on drinking behavior. As a result of the stratified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urrent drinking. But, it shows that the higher the number of retail stores and the total alcohol availability, the higher risk drinking behavior in the 60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licies aimed not only on individuals but also on the local environment are necessary.

      • KCI등재

        음주관련 사망에 대한 연령, 기간, 출생코호트 효과 : 1997년부터 2018년

        권리아 ( Ria Kwon ),신영전 ( Young-jeon Shin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21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국내 발생되고 있는 음주관련 사망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연령, 기간, 출생 코호트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여 향후 음주 폐해 예방정책의 함의를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마이크로데이터(MDIS)에 제공하는 사망원인통계자료로 1997년부터 2018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연령효과로 남성과 여성 모두 50대에서 음주로 인한 사망위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간효과로는 1997년 이후 감소하다가 2000년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2004년 이후 다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2004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던 남성과는 달리 여성에서 기간효과로 2010년 이후 사망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코호트 효과로는 남성과 여성 모두 1910-20년대생, 1950년대생에서 음주관련 사망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남성과 달리 여성의 경우 1970년대생 이후로 사망위험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음주로 인한 조기사망을 줄이기 위해 과도한 음주행태가 높아지는 시점에 선별 검진 및 예방적 접근을 위한 정책적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여성에 있어서는 향후 음주로 인한 폐해가 커질 수 있음에 따라 차별화된 예방전략 마련의 시급성이 강조된다. 최종적으로 음주 관련 사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단편적인 방법인 아닌 남녀별, 연령별, 기간별, 출생코호트별 전략이 달라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implications for future alcohol harm prevention policies by identifying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period, and birth cohort to enhance understanding of alcohol-related deaths occurring in Korea. National causes of death registry from 1997 to 2018 was used to assess alcohol related deaths in Korea. Gender-stratified age-period cohort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Hierarchical model. The age effect showed the highest relative risk in the age group of 50s. Period and birth cohort effect differed by sex. After 2004, alcohol related mortality trend has declined in male population. Unlike this, female population showed no decline. For the birth cohort effects, female population those who were born in after 1970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s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policy discussions for early screening and preventive approaches are needed at a time when excessive drinking behavior increases to reduce early deaths from drinking. For female, the urgency of preparing differentiated prevention strategies is emphasized as the harm caused by drinking may increase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age period cohort analys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of regulations preventing death related to alcohol, differing by sex, birth cohort and ag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