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영조대 백두산제 시행 논쟁 -참여 인물의 주장을 중심으로-

        권내현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1 한국인물사연구 Vol.15 No.-

        The Baekdusan rituals, discussions about which had been made several times since Han Ikmo proposed in 1761, were carried out in 1767 when King Youngjo agreed about it. This was resulted from the tendency of the times when, after Baekdusan boundary stone had been built, the interest in the northern area was increasing. At that time, two symbolic ideas existed or were being made in Baekdusan. One is an idea of ancestral mountain of the nation having a long historic root, and another is an idea of origin of the royal family, in earnest proposed by Han Ikmo. The symbol of ancestral mountain was accepted by most of courtiers who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but the symbol of origin of royal family attracted the positive interest of only King Youngjo and a few courtiers. It is understood in some meaning that Han Ikmo created an atmosphere on the basis of a theory of royal family origin and King Youngjo approved it. Han Ikmo first proposed Baekdusan rituals when he assumes office of taking charge of the national rituals, and when he became a high-ranking official named second state councilor, he accomplished his proposal. However, it can not be confirmed that, in such a process, whether or not what political intention was or he consulted King Youngjo in advance. As the discussion gradually spreads day by day, the people who at the beginning had a reservation got to sympathize with Han Ikmo's proposal. The problems the courtiers, who had a reservation, were afraid of were that Baekdusan was located on the border between Joseon and Qing Dynasty and that the national rituals couldn't be changed recklessly. The problem of the former was overcome by the fact that at least half of Baekdusan belongs to Joseon's area, reinforcement of relative identity to Qing Dynasty, and reinforcement of symbolism toward Baekdusan. The problem of the latter was solved by the fact that Hallasan rituals were newly incorporated in the national rituals, and by the method in which Baekdusan was also included in the representative northern mountain (Bukak), with Bibaeksan which was previously worshipped as Bukak left as it is. After that, the worship toward and interest in Baekdusan increased as the time passed by, and during the period of the Daehan Empire, the formality of rituals were upgraded to a higher position.

      • KCI등재

        조선후기 호조의 평안도 재정 활용

        권내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4 東洋學 Vol.35 No.-

        Use of P'y?ngan Province's Finances by Hojo(the Finances Ministry) in the late Chos?n Dynas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연행사의 평양, 의주 인식

        권내현 한국고전문학회 2019 古典文學硏究 Vol.56 No.-

        Yeonhaengsa(the envoys to Qing) spent a relatively long time in Pyeongyang and Uiju before crossing the Yalu River. While touring scenic spots, they had the opportunit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ssociated with the relations with Qing. The traces of Gija(箕子) scattered in Pyongyang became an opportunity to realize that Sinocentrism was inherent in Joseon. Local literati in Pyeongyang also used Gija actively to establish their own growth and local identity. The northern area of Cheongcheon River, which had been devastated for a long time, after the Manchu war in 1636 began to flourish with the development of commerce. Watching the trading goods piled up in Uiju and Chaengmun(Zhamen) and activities of Uiju merchants, those who participated in Yeonhaeng confirmed the local identity related to the trade. Their observations did not lead to a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real problems. However, the records of travels to Qing provide much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the Pyeongan province community missing from the official documents. 연행사는 압록강을 건너기 전 평양과 의주에서 비교적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들은 명승지를 유람하면서도 대청 관계와 연관된 지역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평양에 산재한 기자의 흔적은 조선에 중화가 내재하여 있음을 자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평양의 사족들 역시 기자를 자신들의 성장과 지역 정체성 확립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호란 이후 오랫동안 피폐했던 청천강 이북 지역은 상업의 발달과 함께 번성하기 시작했다. 연행에 참여했던 인물들은 의주와 책문에 쌓여 있던 교역품과 의주 상인의 활동을 보면서 무역과 연관된 지역 정체성을 확인하고는 하였다. 그들의 관찰이 현실 문제에 대한 구조적 이해에 이른 것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행록의 기록은 공문서에서 빠진 평안도 지역 사회의 실상을 이해하는데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준다. 더불어 사행이 지역과 대청 관계에 미친 영향에 대한 단서도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후기 신분 변동론 그 이후

        권내현 조선시대사학회 2023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5

        최근의 호적 연구는 양반의 수적 증가에 근거를 둔 조선 후기 신분 변동론을 부정한다. 그렇다고 양반 중심의 신분 질서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지속되었다고 할 수도 없다. 비교사적인 측면에서 양반의 특권은 모호하거나 강하지 않았다. 오히려 양반이 독점했던 권리는 비 양반층으로 계속 확산하였다. 비 양반층은 양반 문화를 모방하면서 그들과의 사회적 간격을 줄여나갔다. 양반들은 차별과 배제의 방식으로 자신들의 지위를 유지하려 하였다. 한편으로 노비의 급감으로 조선의 법적 신분은 양인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이는 반상적 신분 질서의 약화와 양인 내부의 계층적 질서의 강화를 전망하게 하는 현상이었다.

      • KCI등재

        17~19세기 조선의 재산 상속 관행-종법과 경제력 변동을 중심으로-

        권내현 고려사학회 2018 한국사학보 Vol.- No.70

        To implement agnatic principle, father-lineage relatives, the eldest son of the head family and shrines were necessary and the principle of the eldest son’s succession had to be established. The phases of accepting agnatic principle that affected inheritance were different to each family or period. Even in the 18th century remained the trace of equalized inheritance but the portion of inheritance related to ancestral rituals increased as time passed. The Confucian ideal that allowed brothers living together to share property was partially realized only in the inherited portion in relation to ancestral rituals. On the other hand, agnatic principle brought about continual branching of family lineage and the branch-out lineages were also hard to be fully free from the duty of rituals, making if hard for the eldest son to exclusively inherit property. The paternal lineage built its foundation by discriminating daughters and giving sons equalized succession to property, due to which sons shared the ritual duties as well. Later on, either when a background where agnatic principle could be perfectly realized or when an economic pinch befell them, many families practiced the eldest son-preferred inheritance and had him exclusively take care of ancestral rituals. The eldest son preferably succeeded to his parents’ house and the property long passed down in the family. In the 18th century the eldest son got 20~30 times more property inherited than daughters did. This practice continued in the 19th century when the eldest son got almost half or three quarters of the total property. After all, favor for the eldest son continued or deepened but it did not lead to the eldest son’s exclusive inheritance. Their effort to solidify family/kinsmen with their strategy of effectively allocating limited resources amid the crises in reality led the yangban to opt the inheritance method that favored the eldest son in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other sons. 조선의 균분 상속은 양측적 가족 질서와 법률의 보장을 배경으로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이는 결혼을 통해 물질을 공유했던 양반들의 이해관계와도 부합하였다. 균분 상속의 흔적은 오랫동안 남아 있었지만 갈수록 제사와 관련된 상속분이 증가하였다. 형제가 함께 기거하며 재산을 공유하도록 한 儒家의 이상은 제사를 위한 상속분에서만 일부 실현되었다. 17세기 후반 양반들은 아들들 사이의 결속을 강화하기 위해 상속에서 딸을 차별하고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곳의 재산을 아들들에게 집중적으로 물려주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경제적 곤란으로 제례 거행에 어려움을 느낀 많은 이들이 딸들은 물론 차자들을 차별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차별은 어떤 면에서 宗法의 정착을 앞당기는 측면도 있었다. 딸에 대한 상속상의 차별과 함께 아들들에게는 균분 상속을 실시하고 제례의 책임도 공유하도록 하여 부계 집단의 기틀이 만들어졌다. 이후 완전하게 종법을 실현할 수 있는 배경이 갖추어지거나 혹은 경제력에 문제가 발생하면 많은 가문에서 장자 우대 상속을 실천하고 그에게 제례를 독점시켰다. 장자 우대는 지속 또는 심화되었지만 장자 단독 상속으로 가지는 않았다. 정치권력은 소수의 양반에게 독점되고 다수 양반들의 사회 경제적 지위는 하락하였다. 그럼에도 양반들은 모든 가계의 영구 존속을 실현하고자 하였으며 자신이 속한 지역・혈연공동체를 떠날 수 없었다.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라는 전략과 현실의 위기에서 가족・친족 결합을 강화하려는 노력은 장자를 우대하면서도 차자를 배려하는 상속 방식을 택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