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앙교육의 쇄신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연구

        권구식(Kwon, Goo Si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神學展望 Vol.- No.192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은 세속화의 거센 영향으로 복음 중심의 신앙생활에서 오는 활력과 기쁨을 점차 잃어가고 있다. 이로써 가톨릭교회 공동체 내부에서도 사회가 겪고 있는 다양한 세속화(secularization)의 문제점들이 표출되고 있으며, 이른바 ‘신앙 따로 삶 따로’의 태도가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신자들이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배우고 그분의 삶을 닮아 가는데 도움을 주는 ‘신앙교육의 문제’와 깊이 관련된다. 특히 현대의 과학과 경제발전이 몰고 온 ‘자본주의적 삶의 방식’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형성한 새로운 문화’는 교회공동체의 내적 삶에 분별하기 어려운 형태로 깊이 침투해 있으며, 복음화 사명에 심각한 도전이 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교회 공동체 안에서 행하는 신앙교육은 세속화의 물결을 이겨내고, 신앙의 열정 안에서 새로운 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주체적 신앙인’(an independent believer)을 양성하는 데 많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신앙교육을 쇄신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예수 그리스도를 닮은 교육자를 많이 양성하고, 그분의 교육방법(educational methods) 또는 교육 커뮤니케이션(educational communications)을 상황에 맞게 재창조해, 효과적으로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사람들의 종교적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새로운 신앙언어와 표현방식을 식별하고 만들어내는 일이 신앙교육의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그리고 이는 가톨릭 신앙교육의 주체와 대상들이 복음의 생명력 있는 본성을 ‘성찰하는 신앙’(reflective faith)으로부터 출발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성찰하는 신앙이란, 하느님 말씀의 참뜻에 비추어 자신과 공동체의 신앙을 쇄신 및 성장시키는 방법을 숙고하고, 현재와 미래에 닥칠 신앙의 문제를 ‘예언자적 통찰’(the prophetic insight)을 발휘해 해결책을 모색하는 창의적 과정이다. 또한 무엇보다 각각의 교회 공동체는 신앙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함에 있어 복음의 가치를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율적 커뮤니케이션 능력’(effective communication abilities)을 계발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본고가 [도식 1]을 통해 제언한 이러한 ‘신앙교육의 쇄신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은 쉽지 않은 과업일 수 있으나,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새로운 복음화의 중요한 사명이다. Nowadays Christians have increasingly been losing the vitality and pleasure of a gospel-centered life of faith due to the strong influence of secularization. The problems of secularization are being revealed inside the Catholic Church as well, and a “faith and life detachment” attitude is spreading dramatically. These phenomena are also deeply related to “faith education issues” that help believers learn the teachings of Christ and help them follow the example offered by his life. In particular, “the new culture formed by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capitalistic life style” that is driven by modern science and economic development has permeated deeply into the inner life of the church community in indistinguishable forms. This has become a serious challenge to the mission of evangelization. Faith education performed in today’s church community, however, has a limited ability in raising “independent believers” who overcome the waves of secularization and, out of the ardor of the faith, actively cope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s. Therefore, the best way to renew faith education is to nurture educators who resemble Jesus Christ and re-create his methods of teaching and communication. To achieve this, creating new faith languages and new methods of expression that can touch the religious sensibilities of the people is emerging as an urgent task in faith education. This raises the necessity that subjects and objects of Catholic faith education should start from faith to reflect the vibrant nature of the gospel. Reflective faith is a creative process. It searches for solutions by contemplating methods of how to renew and nurture the belief in oneself and the community based on the real meaning of God’s words. This leads to proving the prophetic insight on belief issues that will happen now and in the future. In determining plans and practices in faith education, each church community should develop effective communication abilities that vividly deliver the values of the gospel. The paradigm shift for the renewal of faith education which this paper proposes by [Scheme 1] will not be an easy task but, nevertheless, an important mission for a new evangelization.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신학의 발전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권구식(Kwon, Goo Si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神學展望 Vol.- No.188

        가톨릭교회는 오늘날 새롭게 펼쳐지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흐름 속에서, 신앙의(에 대한 / 안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추구하는 목표를 향해 새로운 길을 개척해야 하는 절박한 순간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교회는 ‘새로운 문화 속에 구원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통합’시켜 나가기 위한 ‘새로운 방법과 표현’을 지속적으로 찾아 나서야 한다. 이는 교회가 복음의 생명력 있는 본성을 새롭게 발견하고 재창조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커뮤니케이션 신학(Theology of Communication)은 교회가 오늘날 신앙을(안에서) 왜 ‘새로운 열정, 새로운 방법과 표현으로’ 커뮤니케이션해야 되는지를 설명하고 그 정당성을 제공해야 한다. 이는 교회의 문헌들, 특히 사목 훈령 『새로운 시대』 8항과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가르침이 강조하는 사항이다. 그리고 이러한 신학은 교회가 세상에서 마주하는 ‘커뮤니케이션 맥락’을 신학적으로 성찰하고, 다가올 미래를 통찰함으로써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신학은 ‘사회의 이론’에 대한 철저한 연구와 ‘교회의 가르침’에 대한 검토와 나아가 새로운 ‘사회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영향력’에 대한 분석이 ‘학제 간 연구’(學際間硏究, interdisciplinary studies)의 방식 안에서 ‘상호 내밀하고 비평적으로 융합’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가톨릭교회 안에 요청되는 ‘커뮤니케이션 신학’을 주장하고, 그 신학의 발전을 구성하는 ‘범위와 특수한 방법론’에 대해 제안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삼는다. 커뮤니케이션 신학이란 하느님과 인류 그리고 인간과 인간(혹은 공동체) 사이의 ‘친교 실현’이라는 목표 아래, ‘변화하는 사회 커뮤니케이션’ 주제에 관한 모든 논의를 ‘학제 간 연구방식’으로 성찰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커뮤니케이션 신학은 넓게는 ‘사목신학’의 범주에 속하지만 오늘날 사회 커뮤니케이션의 역동성에 비추어 볼 때, ‘특수한 신학’의 한 분과를 차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신학’은 이미 태동했고 발전했지만, 그 본질상 ‘역동적’이고 급변하는 ‘동시대적 환경’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 ‘커뮤니케이션’을 다루기 때문에, 여전히 ‘과정 중에 있는 신학’이라 할 수 있다. Today, the Catholic Church is confronting a desperate time when it must pioneer a new way towards an objective that the communication of faith pursues in the various new “socio-cultural” flows. Thus the church must continuously seek new methods and new expressions to unify the message of salvation efficiently in the new culture. This means that the Church must find anew the vital nature of the gospel and a new re-creation. In this context, a theology of communication must explain why the church today needs to communicate the faith with new ardor, methods, and expressions, while providing justification for the process. This is the aspect that Church literature, especially Pastoral Instruction, Aetatis Novae (n. 8) and the various teachings of Pope John Paul Ⅱ emphasize. Also, this theology could be realized more effectively by theologically reflecting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that the church faces in the world and by taking a long range view of the future. Thus, the theology of communication requires a thorough study of secular theories and an examination of Church teachings. In addition,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new social communication instruments needs to mutually converge with other interdisciplinary study methods, with a critical confidentiality. Therefore, the fundamental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claim the ‘Theology of Communication’ demands in the Catholic Church and suggests a ‘specific methodology and scope’ that comprise the development of theology. Meanwhile, a Theology of Communication is a study that is introspective about all discussion on the theme of “Changing Society’s Communication” us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s with the objective of “the fulfillment of communion” between God and humanity, and among humans themselves. In this respect, broadly speaking, a Theology of Communication belongs to the theology of the pastoral care category but, when it is viewed by today’s social communication dynamic, it could also comprise a part of a special theology. Although this theology has already grown and developed, since it deals with communication and a close relationship to the contemporary environment which is “dynamic” and rapidly changing due to its nature, it can be said that it is a theology still i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