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국가의 빌보드 - 식민지 조선에 나타난 춘향전의 시각적 각색

        권경미 ( Kyong Mi Danyel Kwo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1 No.2

        한국의 근대성은 식민지 경험과 더불어 민족주의 운동이 나타나는 긴장 상태 로 인해 혼란스럽게 여겨진다. 그리고 그러한 지배 서사는 근대의 대중과 대중 문화가 형성되는 데 있어서 산업 기술과 대중 매체가 수행한 역할을 폄하했다. 최근 소장 학자들은 20세기 초 한국의 대중문화 형성 과정을 재고(再考)하 면서 어떻게 대중문화가 당대의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 대응하고 반응했는 지를 밝히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춘향전은 한국의 근대성과 대중 매체 사이 의 관계를 새롭게 조망하게끔 해준다. 춘향전은 산업 기술과 대중문화의 발 전과 궤를 같이 하며 20세기 전반부에 인기를 누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민간 설화 중 하나인 춘향전은 다양하게 각색됨으 로써 대중들이 그들의 세계를 새로운 양태로 바라보고 이해하는 데 효과적으 로 사용되었다. 당대의 많은 여성들과 닮아 있는 춘향의 이미지는 한국의 근 대성이 지닌 대조적인 국면들을 표현하고 전시하는 ‘빌보드’의 역할을 했다. 본고에서는 춘향전이 식민지 조선에서 재창작되는 과정에 내포된 문화적 의 미를 추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초기 만화 형태로 기록된 패러디 작품에 주목하며, 당시 가장 인기 있었던 몇 편의 각색 작품을 살펴볼 것이다. Korea`s modernity is often complicated by the presence of colonial experiences in tension with the nationalist movement. And such dominant narrative had undermined the role industrial technology and mass media played in informing and shaping the modern masses and popular culture. In recent years, however, the new generations of scholars began to reconsider the makings of Korea`s popular cultur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nd how it coped with and responded to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conditions of the time. The Tale of Ch`unhyang in this sense can shed a new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s modernity and the mass media because its new surge of popularity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paralleled and reflected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popular culture. One of the most beloved folktales in its various adaptations had become a very effective vehicle through which the masses experienced new modes of seeing and understanding the world around them. Like many women of the time, the recreated facets of Ch`unhyang also acted as a billboard which articulated and exhibited contrasting images of Korea`s modernity. In order to trace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Tale of Ch`unhyang in its recreations in Colonial Korea, this paper first examines some of the most popular visual adaptations in light of one particular parody written in an early form of comic strip.

      • KCI등재

        `목근통신`과 탈/식민적 이중성: 김소운의 삶과 작품세계를 중심으로

        권경미 ( Kyong-mi Danyel Kwon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6 한국문화연구 Vol.31 No.-

        일본에서 20세기 한국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이자 수필가인 김소운(1907~1981)은 문학적 우수성에 대한 평가보다는 일제강점기(1910~1945)에 식민지 조선의 시와 민요, 그리고 동요를 일본어로 번역하여 일본에 소개했던 작가로 더 잘 알려져 있다. 해방이후 김소운은 한국으로 돌아와 1970년과 80년대를 대표하는 수많은 수필을 남겼지만 종종 일본에서 활동하고 친일 저작물을 발표했다는 이유로 그가 남긴 문학적 업적과 기여는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하지만 한국문단의 평가와는 달리, 일본에서는 반세기동안 한국의 시를 일본어로 끊임없이 번역하며 한국의 시를 일본에 소개한 한국문학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종종 논란과 정치적 색채로 묘사되는 그의 삶은 독립과 자유를 찾아 헤매던 한국에서 그들만의 길을 모색해야만 했던 당대 문인의 모습을 가장 잘 담고 있다. 김소운을 비롯한 당시 문학가들은 일본에서 유년기 시절을 보내거나 혹은 유학생활을 하면서 일본의 조력자 혹은 반대자의 입장을 취해야만 했고, 결국 김소운과 당대 지식인들은 `한국인` 그리고 `일본인`이라는 두 얼굴의 자아에서 하나만을 선택하도록 강요받았을 뿐만 아니라 문학과 정치를 분류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고는 한국의 정통성과 민족성을 확인받기 위해 `정치와 역설`의 수사학을 구사했던 김소운의 언어, 문학, 전통을 탐색하고, 그가 받았던 두 나라의 상이한 평판을 고찰함으로서 식민 혹은 탈식민 주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조명하고자 한다. Poet and essayist Kim So-un (1907-1981) is one of the prominent essayists and poets in 20th century Korea but better known for his Japanese translations of Korean folksongs, folktales, as well as Korean poem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1910-1945). Kim later went on to write some of the most well- known Korean essays in the 1970s and 1980s. His literary accomplishments and contributions, however, are often overshadowed by his literary activities in Japan and particularly his essays published in Maeil Newspaper supporting Japan `s war causes and urging Koreans to join the effort. Unlike his literary reputation in Korea, however, Kim is known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poets in Japan as he introduced Korean literature to Japanese readers by translating them into Japanese language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Often controversial and heavily politicized, Kim So-un`s literary journey best reflects many of his counterparts who sought to pave their own path as Korea strove for independence and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zation and in the process, Kim and many others were forced to choose between either for or against Japanese collaborators when they had spent a great part of their youth and adult life in Japan to gain education. As a result, Kim and his peers were torn between their “Korean” and “Japanese” selves. This paper thus seeks to shed a light on the colonial ambivalence in Kim So-un`s essays and poems that try to investigate concepts of language, literature, and tradition as a paradoxical and political rhetoric to affirm Korea`s authenticity and national identity in light of Japan and Korea`s contrasting receptions of Kim So-un`s literary accomplishment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