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국가의 빌보드 - 식민지 조선에 나타난 춘향전의 시각적 각색

        권경미 ( Kyong Mi Danyel Kwo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1 No.2

        한국의 근대성은 식민지 경험과 더불어 민족주의 운동이 나타나는 긴장 상태 로 인해 혼란스럽게 여겨진다. 그리고 그러한 지배 서사는 근대의 대중과 대중 문화가 형성되는 데 있어서 산업 기술과 대중 매체가 수행한 역할을 폄하했다. 최근 소장 학자들은 20세기 초 한국의 대중문화 형성 과정을 재고(再考)하 면서 어떻게 대중문화가 당대의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 대응하고 반응했는 지를 밝히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춘향전은 한국의 근대성과 대중 매체 사이 의 관계를 새롭게 조망하게끔 해준다. 춘향전은 산업 기술과 대중문화의 발 전과 궤를 같이 하며 20세기 전반부에 인기를 누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민간 설화 중 하나인 춘향전은 다양하게 각색됨으 로써 대중들이 그들의 세계를 새로운 양태로 바라보고 이해하는 데 효과적으 로 사용되었다. 당대의 많은 여성들과 닮아 있는 춘향의 이미지는 한국의 근 대성이 지닌 대조적인 국면들을 표현하고 전시하는 ‘빌보드’의 역할을 했다. 본고에서는 춘향전이 식민지 조선에서 재창작되는 과정에 내포된 문화적 의 미를 추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초기 만화 형태로 기록된 패러디 작품에 주목하며, 당시 가장 인기 있었던 몇 편의 각색 작품을 살펴볼 것이다. Korea`s modernity is often complicated by the presence of colonial experiences in tension with the nationalist movement. And such dominant narrative had undermined the role industrial technology and mass media played in informing and shaping the modern masses and popular culture. In recent years, however, the new generations of scholars began to reconsider the makings of Korea`s popular cultur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nd how it coped with and responded to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conditions of the time. The Tale of Ch`unhyang in this sense can shed a new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s modernity and the mass media because its new surge of popularity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paralleled and reflected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popular culture. One of the most beloved folktales in its various adaptations had become a very effective vehicle through which the masses experienced new modes of seeing and understanding the world around them. Like many women of the time, the recreated facets of Ch`unhyang also acted as a billboard which articulated and exhibited contrasting images of Korea`s modernity. In order to trace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Tale of Ch`unhyang in its recreations in Colonial Korea, this paper first examines some of the most popular visual adaptations in light of one particular parody written in an early form of comic strip.

      • KCI등재

        들병이와 유사가족 공동체 담론-김유정의 소설을 중심으로-

        권경미(Kwon, Kyong-Mi)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6

        일제 강점기인 1930년대를 배경으로 한 김유정의 소설에서는 유난히 몸을 파는 여성이 많이 등장한다. 몸을 파는 혹은 팔리는 여성을 수탈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민족의 수탈과 여성의 수난을 같은 층위로 놓고 해석한다. 본고에서는 이 몸 파는/팔리는 여성으로 유지되는 가족을 중심적으로 보고자 했다. 김유정 소설 속 여성인물들은 힘없는 남성의 등살에 밀려 생활 전선에 뛰어 들어야 했다. 여성들의 경제적 행위는 철저하게 돈 있거나 권력 있는 남성에게 자신의 몸을 파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그 여성의 성매매가 있어야 가족은 유지될 수 있었다. 이러한 여성을 통해 이루어진 가정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는 ‘성의 매매’에 초점을 맞춘 것이 많았다. 그렇지만 이들 여성을 단순히 ‘성 매매’ 여성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이들 여성의 ‘노동 행위’로 유지되는 가족 공동체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성을 피해자로만 볼 경우 그 여성의 행위의 후경과 효과를 간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김유정의 몸 파는/팔리는 여성으로 유지되는 가족 공동체를 주목하고자 했다. 몸 파는 여성의 행위로 이루어진 가족은 근대적인 가족관에서는 여성의 희생과 돌봄이 기반이 된 윤리적인 가족으로 볼 소지가 크다. 그런데 김유정 소설 속 가족은 이미 가족의 역할과 기능은 모두 상실한 채 유사 가족 내지 유대감이 기반이 된 공동체와 흡사하다. 김유정은 이들 여성이 속한 가족의 모습을 통해 전통적인 형태의 가족이 아니라 새로운 연대 공동체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부부를 기반으로 한 혈연 중심의 가족’이라는 개념에 천착할 것이 아니라 보다 더 유연한 형태의 가족개념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아울러 여성에 기생해 사는 무능력한 남성의 존재는 힘 빠진 가장, 조국 잃은 민족적 현실의 재현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몸을 매개로 한 여성의 능동적인 노동력에 유지되는 유사 가족 공동체의 형태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식민지 시기라는 시대적 배경에 대한 지나친 인식은 자칫 당대를 환원주의적으로 해석할 여지가 많다. 이러한 시각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그 자체의 의미를 좀 더 분석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Women selling their bodies is a controversial subject and an extremely contemporary issue. We are shutting our eyes and ears at the reality of this subject. In addition, we talk about the ethical and moral standards related to this subject. Kim, Yu - Jeong has shown that the reality maintained by the families of women selling their bodies. And the center has also long and short of lipids in men. Excluding the mentions of male power, Kim, Yu - Jeong"s powerless power has clearly shown the power of labor to maintain that women live to be beneficial, specifically where women"s labor is the main form of "prostitution of the wife.” However, this time, the power of the state is not maintained through the prostitution of women, and this can be clearly seen in particular age backgrounds. It highlights the presence of women in the contemporary realities and cannot boast the authority of the men in the reality of the national labor deprived country. View of family maintained through the Japanese occupation of prostitution can be read, but it is still too cowardly to turn to the male members of the male power in the period because of time. Further, you can see that the home of a woman who kicked the arm to attach my role also highlighted a family living in a reality that is maintained by Bob in this emergency City. Thus, the women workers and families that remain will require a re-evaluation of similar family communities.

      • KCI등재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공연 참여자의 재미요인이 자신감 및 발레수업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권경미 ( Kwon Kyoung Mi ) 대한무용학회 2017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large the base of dance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the environment which enables to continue ballet by identify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factors and the confidence, which increase the influence to the intention to continue ballet, of elementary gir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erformance. As a result of research, the performance participants gain the confidence from the communication with teachers colleague and supporting family during the process to prepare performance, After the performance, the support and praise from the audience (mainly supporting family, friends, friends, etc.) stimulates the internal motivation of the movement, thus enhancing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ng in the same exercise voluntarily after feeling "fun" more strongly. And it was proved that it will influence positively to the intention to continue ballet by improving the adaptability of ballet afterward.

      • KCI등재후보

        세계시민 양성을 위한 문학교육 방법 연구

        권경미 ( Kyong Mi Kwon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4 한국문화연구 Vol.26 No.-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교육은 의사소통의 언어 중심적 교육관이나 한국의 문화를 담지하고 있다는 반영론적 사고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한국문학교육 이 보다 더 명징하게 문학교육을 담지하지 못한 채 언어와 문화적 차원에서 머물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명확한 문학교육의 목표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교육의 목표를 언어 능력, 문화 능력, 문학능력은 물론 더 나아가 세계시민 양성으로 상정하고자 한다. 문학은 인간과 사회(세계)와의 대결과 해결, 갈등과 화해를 그리는 언어 예술이다. 따라서 문학 본연의 의의를 교육적으로 확대 적용시키기 위해 한국어에 대한 의사소통적 접근(언어능력), 한국 사회와 역사를 표징하고 있다는 문화적 접근(문화능력), 문학이 갖는 상징적 체계와 개성적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문학적 접근(문학능력)은 물론 세계 안의 ‘나’를 인식하며 세계시민적 자질을 갖출 수 있는 세계시민을 위한 접근(세계시민성)까지를 모두 아울러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초중고급 학습자 각각에 맞는 언어문화문학능력과 세계시민 양성을 위한 교육 목표를 설정한 후 그에 합당한 문학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초급 학습자들에게는 문학을 통해 다양한 한국문학과 한국문화를 접할 수 있게‘체험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서 학습자들은 자연스럽게 문화상대주의 태도와 상호문화 교류를 이해할 수 있다. 중급 학습자들에게는 문학만의 개성을 접할 수 있는 작품 중심을 선택하는 한편 문학 안에서 세계가 공통으로 겪고 있는 문제의식을 발견하고 해결하도록 ‘리터러시’ 중심의 교육을 하고자 한다. 고급 학습자 들을 위해서는 문학적 언어와 일상의 언어를 횡단할 수 있는 이용후생 언어를 바탕으로 인간에 대한 합리적 이해를 갖는 방향을 모색할 수 있게 ‘스토리텔링’ 중심의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Korean literary education for foreigners has not much deviated from both the view on the language-centered education for communication and the reflection theory that it is allegedly impregnated with the Korean culture. The reason why the Korean literary education could not but stay at the level of language and culture, while not clearly keeping itself, is that the discussion about the definite goals of literary education did not become serious.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advance the proposition that the Korean literary education for foreigners is aimed at further training them as world citizens as well as developing their linguistic, cultural and literary competence. Literature is linguistic arts depicting confrontation and settlement, and conflict and reconcili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world.For its true meaning to be applied educationally in an expanded manner, literature thus should encompass the communicative approach to the Korean language, the cultural approach,which is alleged to symbolize the Korean society and history, and the literary approach,which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literature’s inherent symbolic system and personal language. At the same time, it also should include the global citizenship approach, which makes ‘self’ recognized and allows the personal qualities necessary to be a world citizen to be possessed. To this end, learners in the general-purpose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divided into three groups-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nd their respective goals should be set to be well suited to the education for language, culture, literature, and world citizen. Then, literary works enabling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For beginners to get access to cultural diversity via literature, they should be placed at a level to personally enjoy various genres of Korean literary works through an ‘experiencecentered education.’ Intermediary learners should have works (helping taste literature’s unique characteristics) chosen primarily, and concurrently they should get a ‘literacy-centered education’ to discover and solve a questioning awareness that the world undergoes in common within the literature. Advanced learners should be provided with a ‘storytelling-centered education’ to steer the course toward a resonabl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based on utilization-welfare language by which cultural and daily languages can be traversed.

      • KCI등재

        ▣ 일반 논문 : 문화계급과 "노스탤지어 명동" 공간의 내러티브 -명동백작 이봉구를 중심으로-

        권경미 ( Kyong Mi Kwo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0

        이봉구는 청춘, 청년의 상징이다. 이봉구는 영원한 청춘의 아이콘이자명동 담론의 대변자로 이미지화됐다. 그렇지만 이러한 당위적 접근은 오히려 이봉구 논의를 더 어렵게 한다. 사소설적 경향을 보이는 이봉구 문학은 청춘과 청년을 대변하기에 때로는 미숙한 글쓰기로 이해되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의 중핵은 이봉구를 청춘, 청년과 같은 나이 개념, 세대론적 시각에 입각하기 때문이다. 이봉구에게 청년, 청춘의 이미지를 약화시키면 매우 흥미로운 지점이보인다. 바로 취향·취미에 기반한 문화 계급이다. 이들을 청춘으로 규정하기 전에 근대화의 새로운 계급 출현으로 봐야 한다. 이들 계급은 문화계급으로 외국 경험, 고급문화에의 깊은 조예, 예술인·교양인으로서의 정체성 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이념, 경제적 부유함과는 다른 철저하게 근대적인 문화 계급 성격을 띤다. 이봉구는 확고한 문화계급 정체성을 갖고 명동 다방을 새롭게 정리하고 정의내린다. 다만 해방 공간에서 이념, 사상 등으로 새롭게 자신의 정체성을 획득하거나 조정한 문인, 교양인, 예술인들과 달리 이봉구는 일관된 문화계급 정체성을 유지하고있다. 그리고 그 일관된 정체성이 청춘, 청년의 아이콘으로 해석된다. 그렇지만 청년과 청춘으로 불 것이 아니라 일제 강점기 때의 문화계급이해방 명동에서도, 전후 명동에서도 일관되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는 것이옳을 것이다. 해방 공간에서, 전후 공간에서 재조정되지 않은 이봉구의 문화계급 정체성은 새로 출현한 계급 정체성이라는 의의는 갖지만 성찰적 근대성을확보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미완의 정체성으로 봐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해방 공간, 전후 공간에서 이봉구는 청년이되 ``회상하기``를 통해 명동을``향수``하기 때문이다. Lee Bong-gu was a symbol of youth and the young. Having been recognized as the everlasting icon of youth, Lee Bong-gu had made a deep impression among the public as an advocate of the so-called Myeongdong discourses. This seemingly appropriate approach, however, makes it more difficult to evaluate Lee Bong-gu properly. The literary world of Lee Bong-gu, which appears to display a tendency of autobiographical novels, is often understood as an example of immature writings that fall short of representing youth and the young. The core idea of this perspective comes from the conceptual or generational views that try to confine Lee to the boundary of youth and the young. By looking at Lee Bong-gu less as an icon of youth and the young and more as a symbol of a cultural class based on tastes and preference, we can find an interesting perspective that helps us approach to his literature more properly. In other words, Lee Bong-gu not so much played the role of an icon of youth as represented the emergence of a new cultural class whose members had the experiences of living abroad, a deep taste for high-brow culture, and an identity as artists or men of culture. They ha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ist cultural class that differentiated themselves from the economically affluent and privileged class. Lee Bong-gu recreated and redefined Myeongdong Coffee Shop anew with his strong identity as a member of the cultural class. Unlike his fellow literary writers, artists and men of culture who newly found their identity as the advocates of new ideologies or thoughts in the space of liberation, however, Lee Bong-gu consistently maintained his own identity as a member of the cultural class, which also let others understand him as the icon of youth and the young. It, however, will be more appropriate to understand that the cultural class of which Lee was a member ― not Lee`s image representing youth and the young ― continued to exist consistently in Myeongdong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in 1945 and even after the Korean War (1950-1953). In the space of liberation, the identity of Lee Bong-gu as a member of the cultural class, having not been fully established in the postwar space, could be interpreted as a newly emerged class identity but also as a still incomplete identity in that it has not acquired a sense of contemplative modernity. It was because Lee Bong-gu, though a young man himself, felt nostalgia for Myeongdong through contemplation on the space of liberation and the situation of the postwar space.

      • KCI등재

        일상툰의 소시민성과 병맛툰의 경계 너머 내러티브

        권경미 ( Kwon Kyong Mi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2

        한국 웹툰은 웹툰 역사 10년 동안 눈부신 성장을 이뤘다. 특히 일상툰과 병맛툰은 지금 현재의 웹툰의 탄생 및 성장과 궤를 같이 하기 때문에 주목할 만하다. 일상툰과 관련해서는 작가의 성장 서사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주를 이룬다. 그런데 일상툰과 관련해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작가의성장과 변별되는 ‘독자의 정체(停滯) 내지 퇴보’이다. 어느 순간 웹툰 작가는 우리 사회의 영향력 있는 문화 인사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이들의 일상적인 에피소드가 연재되는 동안 그 누적된 시간과 무게에 비례해작가들의 사회적 지위나 경제적 풍요 역시 더해졌다. 반면 이들의 잉여력에 공감하고 열광하던 독자들은 이들의 성장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거나 아니면 여전히 잉여적인 일상을 살아가고 있다. 따라서 일상툰 연구 역시성장하는 작가 내러티브와 변별되는 잉여로서의 독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병맛툰은 기-승-전-결의 형식이 아닌 기-승-전-병(신맛)의 구조를 갖는다. 즉, 지금까지 전개된 이야기와 무관하게 납득할 수 없는 결말에 도달해서 종내는 비논리로 응수함으로써 이야기 전체에 무의미성을 이루는 형태이다. 이러한 병맛툰과 관련한 최근의 연구 경향은 그 병맛툰의 특정한 구조적 형식의 특징을 정의하는 것이다. 이들 연구는 병맛툰 특유의 구조와 형식이 갖춰져 있음을 전제로 한다. 그렇지만 본고에서는 병맛툰에 특정한 구조와 형식이 존재한다는 그 발상이 곧 병맛툰의 경계 흐리기, 경계 지우기 내러티브를 다시 재영토화할 뿐이라는 것을 분석하고자한다. 즉 병맛툰은 그 자체의 내러티브 힘이 존재하며 그 내러티브는 곧경계를 넘나들기, 경계를 지우거나 흐림으로써 의미를 갖게 됨을 볼 것이며 이를 위해 이말년과 컷부의 웹툰을 분석했다. Korean webtoons have made a remarkable growth during the past 10 years. And in recent years, Korean webtoons have attracted special attention because of their role of covering the story of the visual contents industry. Research related to the trend of Korean webtoons is largely divided into social and cultural analysis and Korean webtoons related to the type of narrative analysis of the media dimen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tends to provide clues that can significantly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s of Korean webtoons. The daily-toons reflect the day-to-day self-narratives of the author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growth narrative. In the early period daily-toons, the authors confessed shyly their surplus lives but now they tell their love, marriage, and parenting to readers. For 10 years the authors have changed their life style from that of surplus in their 20s to that of petit bourgeois in their 30s. And it’s true that the author’s narrative is the ‘growth narrative’. But the reader’s daily life was not that of the ‘growth narrative’ unlike the author. Rather, reader’s life has regressed for 10 years. Meanwhile the cripple taste [byeongmat] comics were very interesting. Usual narrative has the order of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but the cripple taste [byeongmat] comics are equipped with the structure of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ripple taste [byeongmat]’. Current trends in research related to the cripple taste [byeongmat] comics is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ular structural form. These studies ar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cripple taste [byeongmat] comics are endowed with stocked distinctive structure and format. However,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at the idea of its specific structure and format of the cripple taste [byeongmat] is just re-territorialization of previous narratives.

      • KCI등재

        발레수업이 초등학교 여학생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권경미 ( Kwon Kyoung-mi ) 한국무용교육학회 2017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28 No.2

        As a research to examine the effects of ballet class on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gir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ballet class on the improvement of appearanc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girls, and also to recommend ballet class as an alternative to increase correct values of appearance of elementary school girls in modern society where the value of appearance has been increased.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among elementary schoolers in Gyeonggi-do, the effective sample data of total 116 students through random sampling was used for the analysis.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for the collected data, the conclusion is like below.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chool girls` interest in appearance before/after ballet class, before ballet class, the interest in appearance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hool girls participating in ballet class and school girls who did not participate in it. After ballet class, however, in case of school girls participating in ballet class, their interest in appearance was increased.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interest in appearance of each grade after ballet class, upper grades showed higher interest in appearance.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appearance satisfaction after ballet class, the appearance satisfaction after ballet class got increased than before ballet class. Second,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background variables(grade, economic condition, interest in appearance) of appearance satisfaction after ballet class, the appearance satisfaction by ballet class got relatively lowered when grades were higher.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appearance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economic condition after ballet class, school girls participating in ballet class showed higher appearance satisfaction when their economic condition was better.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appearance after ballet class, compared to before ballet lesson, after ballet lesson, both interest in appearance and appearance satisfaction were high. However,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appearance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interest in appearance, when interest in appearance got higher, the appearance satisfaction got lowered.

      • KCI등재

        일반논문 : 말하는 꽃, 해어화 -식민지 조선 기생들의 이야기

        권경미 ( Kyong Mi Kwo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1 No.3

        갑오개혁으로 조선의 계급제도가 철폐되자 많은 기생들이 갑자기 생계수단을 잃게 되었다. 그 결과, 기생들은 곳곳의 근대 식당이나 음식점으로 옮겨갔고, 궁중 음악가와 함께 협업하여 조직적으로 기생 양성소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왕실이나 양반 계층의 “사적 소유물”이었던 기생들은 이제 유흥을 위해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자들이 소비할 수 있는 상품이 되었다. 그와 동시에 근대 조선의 도시 풍경과 함께 재창조된 근대의 기생은 점점 더 많은 공적인 공간에 참여할 수 있었고 따라서 대중문화의 전달 수단이 될 수 있었다. 여성으로서 사회적 시선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게 거리를 활보할 수 있었다는 것은 그 당시에 매우 드문 일이었으며, 따라서 기생은 대중들에게 있어 욕망과 부러움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1930년대 중반까지, 기생에게 낙인 된 사회적 금기는 다소 줄어들었으며, 기생은 당시 여성에게 주어진 사회적 스펙트럼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더 자유롭게 이동하고 행동할 수 있었다. 새로운 대중매체가 등장하면서 기생은 영화배우로서, 광고모델로서 식민지 조선의 상징적 대변인이 되기도 하였다. 물론, 대중적 인기를 얻어 사회적 입지를 굳힌 기생들이 있는 반면, “팜 파탈”(femme fatale)로서의 불명예를 얻어 추락하는 기생들도 있었지만 이러한 불안정한 처지는 궁극적으로 그들에게 자율적인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틈새를 마련하여 주었다. 특히, 식민지 조선의 기생은 지식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여성성을 자신들에게 적합하도록 변형하였으며, 남성 고유의 공간으로 여겨졌던 공적인 공간에서 그들의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스스로의 주체성을 주장할 수 있었다. After the Kabo Reform abolished all class system in Korea, many kisaeng suddenly found themselves bereft of a livelihood. As a result, they quickly began working for the high-end restaurants and form their own unions and training schools with other court musicians. Women who used to be the “private possessions” of the court or of the elite class were now accessible to anyone who had enough money to request their service and entertainment. And the more these kisaeng became visible on the streets of the new urban landscape of Korea, however, the more they were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public space and act asa vehicle for modern popular culture. Being one of the very few groups of women who could roam the streets without worrying about social decorum, the kisaeng also became an object of desire and envy. By the mid-1930s, social taboos previously attached to kisaeng diminished somewhat but because they were off the social spectrum, they gained more mobility and space without being bound by the social decorum or protocols usually placed on women. As actresses and models, kisaeng inadvertently became Korea`s spokesperson. They reappropriated the femininity defined and shaped by men and tried to assert their own agency by sharing their stories with the public and joining what used to be male space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ir cast roles were precarious and could quickly give way to either infamy or popularity.

      • KCI등재
      • KCI등재

        하층계급 인물의 생성과 사회 구조망

        권경미(Kyong Mi Kwon) 한국현대소설학회 2012 현대소설연구 Vol.- No.49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how typical representation of ``prostitute`` was formed while prostitutes in 1970s were combined with popularity and populism of popular novels. This endeavor was arose from the fact ``prostitute``, a disparate being living in shade, had got a general figure of prostitute with the intervention of genre-specific characteristics, authors, readers, and reality of the time. This could be explored through ``translation of culture``. Interpretation of disparate culture within an identical language boundary requires the ``translation`` process, during which disparate objects ar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an ``observer`` and a ``main agent``, who is subordinate to norms. Accordingly prostitute, a disparate object, gains general signification as being translated into the world of norms and order. At this moment a prostitute story, an excitatory writing material of reportage, acquires generality in the field of popular novels and is taken lightly by readers in the middle or higher class. This not only let readers satisfy their voyeuristic curiosity but also had them remain silent on contradiction of 1970s` Park Jeong-Hee Administration. Unique lightness of popular novels intentionally made the structure of prostitution out of attention by over-interpreting the prostitution itself only. This is portrayed by the government`s surveillance and control directly conducted on the underclass. Residence of the underclass represented by ``red-light district`` and ``bank district`` indicate where government power intervenes fast, easily, and effectively. By analyzing an intersecting point of realism attribute and popular novels, domination ideology and power, densely entangled under the name of popularity and populism, would be ident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