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마을의 실증적 조사ㆍ진단기법 개발(Ⅰ) -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진단지표의 개발 -

        구희동 ( Koo Hee-dong ),박미란 ( Park Mi-ran ),김대식 ( Kim Dae-sik ) 한국농촌계획학회 2021 농촌계획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diagnostic indices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rural village level, because the indicators developed in many existing studies were mostly consisted of statistical data in higher level than rural villages as well as those were difficult to apply to rural village level empirically. In order to develop the empirical diagnostic indices system, which has 52 indices with 7 categories, this study not only classified the kind of rural village facility and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of government, but also surveyed the specialist opinion with Delphi method. Especially, this study standardized the all diagnostic indices with positive value to remove the indices with negative values. Finally, the results that the study applied the empirical diagnostic indices to the 15 sample villages of Jinan-gun and Cheongyang-gun showed that there was the applicability of the indices system in the village level.

      • GIS를 이용한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물 입지특성 분석

        구희동 ( Hee-dong Koo ),김대식 ( Dae-sik Kim ),도재형 ( Jae-hyeung Doh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 주요 커뮤니티시설물인 마을회관, 경로당과 쉼터 등의 입지분석을 통해 분포형태를 알아보고 향후 입지선정에 유효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커뮤니티시설물에 대한 입지분석 연구사례가 없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연구대상 농촌마을은 서로 다른 지형적 특색을 고려하여 경상북도 거창군 가북면과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의 2곳으로 선정했다.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물의 입지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관련문헌 분석 및 새로운 평가지표를 설정했고 평가지표를 통한 GIS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물의 입지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커뮤니티시설물의 개ㆍ보수 및 신규입지 선정 등에 연구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농촌마을의 활성화와 발전을 이루기 위한 마을단위 분석을 통해 마을주민의 복지향상뿐만 아니라 내부인과 외부인 등에 정보를 제공 해 주는 등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농촌마을의 실증적 조사·진단기법 개발(II) - 효율적 적용절차 및 조사방법론 개발 -

        구희동 ( Koo Hee-dong ),박미란 ( Park Mi-ran ),김대식 ( Kim Dae-sik ) 한국농촌계획학회 2021 농촌계획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application procedure and survey method for the empirical diagnostic indices system. In order to know the survey method, which has 65 investigation items for 52 indicators, this study not only presented so that the each survey items could be surveyed in at least 1 to 3 steps, but also presented the 4 survey method for each investigation items: preliminary survey, administrative survey, field survey, and interview survey. As a result of applying to 15 sample villages, the period of surveying a village of 100 households was 1.4 day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vey was generally efficient in a short time.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urvey system to the sample village, the developed survey system showed the possibility of investigating even the details of rural villages.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it could be used as a basic procedure for a rural village unit survey.

      • 농촌마을 현장조사를 통한 정주여건 특성 분석

        구희동 ( Hee-dong Koo ),배승종 ( Seung-jong Bae ),임혜지 ( Hye-ji Lim ),김대식 ( Dae-sik Kim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1960년대 이후 농촌지역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활성화를 위한 개발정책과 사업을 다양하게 추진하여 왔으며, 정책적 활용을 위해 다양한 지표들이 개발되고 각종 개발 사업에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많은 지표 개발 연구는 대부분 시군 혹은 읍면단위의 진단평가이며, 일부 마을단위 진단연구는 사업대상지 또는 과소마을을 대상으로 하여 전국 농촌마을 정주여건 진단에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농촌진흥청(2016)은 농촌마을 단위의 정주여건 진단을 위한 진단지표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농촌지역 개발정책에 활용성을 높이고 정주여건의 진단·관리체계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진단지표의 현장적용을 통하여 개발된 지표의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정주여건 진단지표의 경우, 해당 농촌마을의 정주여건 실태 파악 및 개선방안을 수립할 경우뿐만 아니라 지역개발사업 후의 정주여건 변화 모니터링을 통해 정책사업의 효과를 파악할 경우에도 필요한 사항이다. 또한 정주여건의 진단은 농촌 지역개발 사업의 선행지표이면서 동시에 개발결과의 효과의 판단 및 새로운 사업의 투자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므로 이러한 과정에 적합한 단계별 조사 방법, 조사 시기 및 주기, 조사마을 선정방안 등의 진단체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진흥청(2016)에서 개발한 정주여건 진단지표를 30개 표본 농촌마을에서 현장조사를 시행하고 마을별 정주여건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하고 있는 정주여건 진단지표의 심층분석을 통해 각 지표별로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계량화하여 각 지표의 항목을 조사할 수 있는 표준화된 자료 수집 방법론을 정립하였으며, 진단지표별로 공간단위 및 자료출처 단위로 분류하고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획득가능한 지표와 1차적인 가공을 통해 획득가능한 지표, 현장조사가 필수적인 지표 등 3종류로 진단지표를 분류하였다. 또한 현장조사를 통해 획득한 자료를 바탕으로 농촌마을 유형별 정주여건 특성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농촌마을단위 경관진단지표 적용 및 경관형성방안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 9개 마을을 대상으로-

        송희중 ( Hee Jung Song ),김대식 ( Dae Sik Kim ),도재형 ( Jae Heung Doh ),구희동 ( Hee Dong Koo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의 공간중심의 통합적 경관계획 수립에서 벗어나 마을경관의 특성을 계획에 반영할 수 있도록 현재 농촌마을의 경관수준을 진단하고 농촌마을 경관형성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경관요소와 개선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농촌마을단위 경관진단지표의 점수화 체계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이 어려워했던 정량적인 경관진단을 시도하였다. 객관적 점수화를 위해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기존의 연구들의 점수화 방식을 참조하고 수정하거나 새로 도입하여 각 지표들의 점수화 방식을 설정하였다. 경관진단지표의 적용을 위해 충청북도 지역의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경관형성계획을 수립했거나 수립 중에 있는 9개 마을을 선정하였는데, 비교적 경관 형성계획 수립에 적극적인 지역을 대상으로 거북이권역(청원군), 대학찰옥수수권역(괴산군), 백마권역(괴산군), 송면권역(괴산군), 수레울권역(음성군), 상촌면(영동군), 칠성면(괴산군), 맹동면(음성군), 덕산면(진천군)으로 정하였다. 농촌마을별 현장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최종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마을내부경관과 마을주변경관으로 나누어 진단하였다. 경관진단결과 전반적으로 권역단위 마을이 읍면소재지에 비해 평균 20%이상 경관이 우수하였는데 주요 원인으로는 권역단위 마을이 마을경관에서는 풍수적 입지의 안정감, 마을내 식생, 문화역사자원이 우수하고, 마을 주변경관에서는 농지, 마을과 인접한 녹지, 물환경자원이 높게 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반시설, 건축물, 공공가로, 편익시설은 9개 마을 모두 정비 미흡과, 시설 노후, 정돈이 안 되고 산만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송면권역이 가장 경관이 양호하였으며 상당히 많이 도시화 된 읍단위 마을로서는 맹동면과 덕산면의 경관이 가장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읍면지역임에도 상촌면, 칠성면은 권역단위 마을보다도 우수한 입지와 마을식생, 역사문화 시설 자원 보유 및 유지로 높게 평가되었다. 지표별 분석결과, 마을경관 중 경관형성이 시급한 것은 기반시설, 건축물, 공공가로, 편익시설의 정비로 나타났으며, 마을 주변경관은 토지환경자원, 물환경자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진단 결과 현재 경관 수준별 정책적 지원 판단 기준으로 살펴보면, 맹동면과 덕산면을 제외한 7개 마을은 본 연구에서 정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관수준 60%를 상회하지만 마을경관과 주변경관으로 나누어 마을경관을 보면 상촌면을 제외한 8개 마을이Ⅲ등급(60%) 이하였으며, 마을주변경관은 덕산면 1개 마을이 Ⅲ등급 이하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진단결과의 검증을 위해 실시한 각 마을별 경관 계획가 경관진단 종합점수에서는 본 연구자가 진단한 결과보다 마을 전체로는 225점(7%) 높게 평가되었으며, 권역단위마을은 평균 136점(4%), 읍면단위마을은 337점(12%) 높게 평가되었다. 마을별로는 대부분 마을이 10% 이내의 오차를 보이며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 반면 맹동면, 덕산면과 같이 도시와 농촌이 혼재돼 있는 마을은 20%이상 차이를 나타냈다. 대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경관진단지표에 의한 진단결과가 권역별로 심층 경관계획을 수립한 전문가에 의한 진단결과가 거의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접근하는 농촌마을단위 경관진단지표의 적용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므로 농촌경관형성계획 수립 이전 농촌마을별 경관수준 진단에 따라 경관개선이 시급하고 중요도가 높은 요소를 찾아 계획을 수립하고 집중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등 다양한 정책적 접근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it propose what the landscape elements is to be improved urgently and how to improve landscape by reflecting the rural village characteristics away from the spatial integrated landscape planning. The study area for landscape research is selected as the 9 rural villages in Chungcheongbuk-do, and research is done by using village unit landscape diagnostic index(VULDI). the result is shown that average VULDI value of the rural village zones is bigger than one of the town village zones with difference of 15%. Two zones of Chilseong-myeon and Sangchon-myeon among the town village zones are appeared to be similar with the rural village zones in landscape level by VULDI value. Generally, the rural villages to maintain the good landscape have the low population and high engagement rate in agriculture. Looking political support criteria at the landscape level, the seven zones except Deoksan-myeon and Maengdong-myeon have high VULDI value more than 60%, which means that it seems unnecessary to support political landscape improvement. However, when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the village inside landscape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 8 rural village zones except one zone of Sangchon-myeon have low VULDI value less than 60%, which means it is necessary to support political landscape improvement. It is important to give the intensive support of ever urgent landscape improvements and high priority landscape elements on the results of the diagnostic before planning of the rural landscape formation.

      • 농촌마을 정주여건 조사방법론 설계

        배승종 ( Seung-jong Bae ),구희동 ( Hee-dong Koo ),김대식 ( Dae-sik Kim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정부가 주도하는 농어촌지역의 읍면단위 및 마을단위 개발사업들이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사업 시행 전에 농촌마을의 상태를 진단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이 부재하고, 또한 사업 추진에 따른 성과가 어떠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오고 있다(김대식 등, 2010). 이에 따라 다양한 연구자들이 농촌개발사업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들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왔다. 그러나, 지표의 개발 목적에 따라 서로 상이한 체계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용의 공간적 범위에 따라서도 서로 다른 지표를 선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 통계자료를 위주로 진단지표를 구성하고 있어, 공식적인 통계자료가 제공되고 있지 않은 국내 농촌마을 단위에는 적용이 어려운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김대식 등, 2010). 이에 농촌진흥청(2016)에서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계획 수립, 사업 시행, 성과 평가 들을 측정할 수 있는 농촌마을단위의 정주여건 현황지표를 개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하고 있는 농촌마을 대상 정주여건 진단지표의 심층분석을 통해 기존 지표와의 차별성 및 타당성을 파악하고 지표별로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계량화하여 각 지표의 항목을 조사할 수 있는 표준화된 자료 수집 방법론을 설계하고자 한다. 자료 수집의 경우 공공 빅데이터의 활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특히 통계청, 농림어업총조사, 인구주택총조사 등 행정리 단위로 구축된 DB의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공공 빅데이터의 정보 중 반구조화된 정형정보, 비정형정보의 획득은 매우 제한적이므로, 현장 조사를 통해서만 자료 조사가 가능한 진단지표의 분류가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되어야 한다. 즉, 진단지표별로 공간단위 및 자료출처 단위로 분류하고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획득가능한 지표와 1차적인 가공을 통해 획득가능한 지표, 현장조사가 필수적인 지표 등 3종류로 진단지표를 분류하고 자료 출처, 시기 등을 포함한 표준화된 자료 수집방법론을 정립하여 자료의 객관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공간규모별 치유농업단지 입지잠재력 평가

        임혜지 ( Lim Hye-ji ),배승종 ( Bae Seung-jong ),구희동 ( Koo Hee-dong ),김대식 ( Kim Dae-sik ) 한국농촌계획학회 2021 농촌계획 Vol.27 No.3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the problem of location selection by spatial scale for efficient promotion of projects related to green care farm complex. Location potential assessment system in local government scale consists of two major components from demand-side and supply-side consideration. The demand-side aspect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users, while supply-side aspect used total 18 indices over 8 divisions under 3 fields. For the location potential assessment in district scale, total 8 indices under 3 major divisions were considered based on biological,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The application results of the location potential evaluation system in local government scale(excluding metropolitan cities) showed high location potential in southern Gyeonggi Province and near Busan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istrict-scale location potential evaluation system to Geumsan-gun, Geumsan-eup, Chubu-myeon, and Jewon-myeon have high potential. Further studies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indices are recommended by enhancing assessment indices, complementing base data, and reinforcing with spatial analysis.

      • KCI등재

        GIS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활용도 높은 농촌 그린빌리지 적정입지 평가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을 중심으로-

        도재형 ( Jae Heung Doh ),김대식 ( Dae Sik Kim ),구희동 ( Hee Dong Koo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4 농촌계획 Vol.20 No.1

        The composition of rural Green Village requires higher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in those selected rural vill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best results of rural green villages when using photovoltaic power system(PV system). 10 different rural villages in Chubumyeon, Keumsan, Chungnam province, were selected as study villages. This study shows measured solar radiation data, a 20-year time series data, and GIS spatial analysis; and whose were used to predict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V system is used as a form with capacity of 3kWp to use for personal and public houses. Generation data was calculated by the town, where the economics of the Green Village loc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solar radiation`s correction factor was calculated by the 20-year time series data and measured data by study villages. By applying to the data of DEM, slope and aspect of the study villages were found, therefore performed. Spatial analysis tools were performed by using solar radiation map`s tools. Those data found were used to calculate the average needed energy every months. When used the properly calculated data, towns performed economical energy consumption in rural Green Village. Every study villages have showed very high potential for PV system. Sungdangri ranked at the first (7,401kWp/year), Jangdaeri follows behind to the second (7,203kWp/year) and Yogwangri at third (7,89kWp/year) which shows higher developed energy than other study villages. The areas covered of these three towns are as follows: Sungdangri at 33,300m2, Jangdaeri covers 18,000m2 and Yogwangri shows 46,800m2. With these results, analyzing the potentials using GIS spatial analysis before installation of PV system was possible. Also different villages and topography in study villages have showed various results by the area. For convenience and to shorten research time, it is possible and enough to use solar radiation tools when studying spatial analysis of solar rad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