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수양성 설사 없이 비전형적 증상으로 발현된 위막성 대장염 1예

        구훈섭 ( Hoon Sup Koo ),허규찬 ( Kyu Chan Huh ),정승현 ( Seung Hyun Jeong ),김용문 ( Young Moon Kim ),김선문 ( Sun Moon Kim ),이태희 ( Tae Hee Lee ),임의혁 ( Euyi Hyeog Im ),최용우 ( Young Woo Choi ),강영우 ( Young Woo Kang )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1

        In recent days, it is not uncommon to see the occurrence of pseudomembranous colitis which is caused by the use of antibiotics. The symptoms of pseudomembranous colitis vary from asymptomatic to fulminant toxic colitis. However, its typical symptom is watery diarrhea followed by abdominal pain, fever, and hypoalbuminemia. Abdominal distension by ascites without watery diarrhea has been rarely reported in the course of antibiotics-induced pseudomembranous colitis. We experienced a 70-year-old patient who presented with the symptoms of abdominal distension by ascites, abdominal discomfort and pitting edema of lower leg after antibiotic treatment for pneumonia. Because of high level of CEA in both ascites and serum, we suspected hidden malignancy. Special studies including CT scan were done, but we failed to find any malignancie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pseudomembranous colitis after colonoscopy and tissue biopsy. All symptoms disappeared and the CEA value returned to normal after conservative therapy and oral metronidazole treatment. (Intest Res 2005;3:80-84)

      • SCOPUSKCI등재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률에 대한 폴립절제술의 장기간 예방효과

        구훈섭 ( Hoon Sup Koo ),허규찬 ( Kyu Chan Huh ) 대한장연구학회 2012 Intestinal Research Vol.10 No.3

        대장암에 대한 대장내시경 선별검사는 첫째, 치유 가능한 조기 대장암을 발견하고, 둘째, 선종을 발견, 제거함으로써 대장암의 발생을 예방하여 궁극적으로 대장암에 의한 사망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믿어지고 있다. 과거 선별검사 연구에서 조기 대장암의 발견은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된바 있다. 그러나, 대장내시경 선별검사에서 발견되는 병변은 대부분 조기 대장암이 아니라 선종이었다. 대장내시경 선별검사의 유용성에 대해 널리 알려진 미국의 National Polyp Study (NPS) 코호트에서 폴립절제술은 대장암의 발병률을 76-90%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었지만, 이 연구 코호트에서 폴립절제술로 예방된 대장암이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률에 과연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폴립절제술 후 선종성 폴립 그룹, 비선종성 폴립 그룹(internal control group), 그리고 일반 인구 그룹으로 나누어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비교했다. 이를 위해 National Death Index (NDI), incidence-based mortality를 이용해 NPS 코호트의 장기간 전향적 추적 관찰연구를 시행하였다. 추적 관찰 기간은 길게는 23년이었다. 1980년 11월부터 1990년 2월까지 바륨관장, 구불결장 내시경, 대변 잠혈 검사에서 양성 소견, 혹은 증상이 있거나, 대장암의 가족력이 있어 NPS 임상 연구소에 초기 대장내시경 검사를 위해 의뢰된 환자 9,112명 중 대장내시경 검사 결과 선종성 폴립(2,602명) 및 비선종성 폴립(773명)이 발견된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가족성 폴립증, 염증성 장질환, 과거 폴립절제술을 받았거나, 대장암의 과거력이 있거나, 대장내시경 검사 결과 폴립이 없거나, 육안적 대장암, 3 cm 크기 이상의 폴립, 불완전 대장내시경 검사 소견을 보이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NPS는 다양한 광범위 내시경 시술이 가능한 7개 임상 기관으로 이루어진 다기관 연구 코호트로, 의뢰된 환자 중 선종을 새로 진단 받은 환자들에 대한 폴립절제술 후 감시검사(surveillance) 연구이다. NDI는 1980년부터 2003년까지 미국에서 발생한 모든 사망에 대한 정보를 등록한 자료이며, 환자의 사망을 확인하고, 사망의 원인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일반 인구 그룹의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률과 선종을 갖는 코호트 그룹의 사망률을 비교하기 위해 incidence-based mortality를 적용 하였다. Incidence-based mortality는 진단명에 대해 미국 국립 암센터의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population-based registry program에 의해 사망을 분류해 놓은 것이다. 각각의 환자들에 대해 초기 대장내시경 시행일로부터 사망 혹은 마지막 추적관찰까지의 연-인원(person-years)을 계산하였다. 선종성 폴립 코호트는 2,602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7,073 연-인원이었다. 평균 추적 기간은 15.8년이 었고, 최대 23년이었다. NDI를 근거로 2,602명 중 1,246명이 사망하였으며, 그 중 12명이 대장암으로 사망하였다. 이는 일반 인구 그룹에서 계산된 대장암 관련 기대 사망 25.4명과 비교해(standardized incidence-based mortality ratio, 0.47; 95% confidence interval [CI], 0.26-0.80) 폴립절제술 후 선종성 폴립 그룹의 사망률이 53% 감소한다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이러한 사망률의 감소는 추적 관찰 첫 10년과 그 후 10년 기간 동안 비교해도 통계적으로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SEER 자료를 근거로 20년 동안의 누적 대장암 관련 사망률도 선종성 폴립 그룹에서는 0.8%로 일반 인구 그룹의 1.5%보다 낮았다. 비선종성 폴립 코호트는 773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2,090 연-인원이었다. 평균 추적 기간은 16.5년이 었으며, 1명이 대장암으로 사망하였다. 초기 대장내시경 검사 후 첫 10년 추적 관찰 기간을 비교해보면, 선종성 폴립 그룹에서의 대장암 관련 사망률과 비교해 비선종성 폴립 그룹에서의 대장암 관련 사망률은 통계적으로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각각 0.19%와 0.15%; 선종성 그룹의 상대적 위험도, 1.2; 95% CI, 0.1-10.6; P=1.0). 결론적으로 선종성 폴립에 대한 폴립절제술은 장기간 관찰 결과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예방 효과가 있다.

      • SCIESCOPUSKCI등재

        역류성 식도염에 속발된 미만성 식도경련

        구훈섭 ( Hoon Sup Koo ),허규찬 ( Kyu Chan Huh ),김선문 ( Sun Moon Kim ),이기세 ( Gi Sei Lee ),이태희 ( Tae Hee Lee ),임의혁 ( Euyi Hyeog Im ),최용우 ( Young Woo Choi ),강영우 ( Young Woo Kang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4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0 No.1

        Diffuse esophageal spasm (DES) is a motility disorder of the esophagus characterized by simultaneous non-peristaltic contractions with high amplitude and long duration accompanied by chest pain and dysphagia. There are various hypotheses of the mechanism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DES. DES has been classified into reflux associated DES (RDES) caused by acid exposure, and idiopathic DES (IDES) of unknown cause. Treatment is specific to the subtype. IDES is traditionally treated by smooth muscle relaxant, calcium channel blocker, etc. RDES symptoms can be reduced by H2 blockers and proton pump inhibitors (PPI). We recently assessed a 45-year-old female patient with known bronchial asthma and reflux esophagitis who complained of chest pain and recent onset dysphagia. She had reflux esophagitis on UGI endoscopy and DES on esophageal manometry. She was diagnosed as having DES following reflux esophagitis. Dysphagic symptoms were relieved by PPI. We report a case of DES following reflux esophagitis and provide a review of the literature. (Kor J Neur ogastr oenter ol Motil 2004;10:81-85)

      • 전이성 췌장암 환자의 장기 생존 1예

        표진실,최용우,구훈섭,송경호,김용석,김선문,이태희,허규찬,강영우,Jin Sil Pyo,Yong Woo Choi,Hoon Sup Koo,Kyung Ho Song,Yong Seok Kim,Sun Moon Kim,Tae Hee Lee,Kyu Chan Huh,Young Woo Kang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14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2 No.2

        Pancreatic cancer is well known to have a poor prognosis and poor responses to both of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We report a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treated successfully with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A 71-year-old female with epigastric pain and weight loss was diagnosed as advanced pancreatic cancer with main vessels invasion and multiple mesenteric lymph node's metastasis. She was taken chemotherapy of gemcitabine single regimen and radiation therapy. Although she experienced one recurrence and concomitant primary lung cancer, she has survived for over 7 years with no symptoms. The authors report this case of long term survival in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after chemoradiation therapy.

      • KCI등재후보

        건강인에서 알코올의 종류와 양에 따른 내피세포 기능의 변화

        김정규 ( Jung Kyu Kim ),구훈섭 ( Hoon Sup Koo ),배장호 ( Jang Ho Bae ),김기영 ( Ki Young Kim )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3

        목적: 적절한 음주는 심혈관계 위험을 낮추고, 내피 세포 기능 호전을 보여준다는 보고가 있다. 저자 등은 알코올의 종류와 양에 따라 건강한 정상 성인의 내피세포 기능에 미치는 알코올의 급성 효과를 알아 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명(평균 연령; 25세)의 동맥경화 위험 인자가 없는 건강한 남자 의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내피 세포 기능 측정은 고해상도 초음파도를 사용하여 혈류 의존성 상완동맥 혈관확장능(FMD)으로 측정 하였다. 모든 피검자들은 공복 상태에서 오전 8시에 검사를 시행하였고, 검사 시작 전 혈압, 맥박,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중성지방농도, 혈당, FMD를 측정하였다. 피검자를 10명씩 2군으로 나눈 후 10명은 소주 45 cc (alcohol 11.3gm) 혹은 적포도주 120 cc (alcohol 14.5gm)를 마시게 한 후 음주 1, 2, 3, 4, 5시간째 FMD 측정을 반복하였다. 적포도주와 소주를 이용한 교차실험을 3일 간격으로 10명 모두에서 두 번 시행하였다. 다른 10명의 피검자는 소주 22.5 cc와 적포도주 60 cc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검사를 반복하였다. 결과: 소주 45 cc와 적포도주 120 cc를 마신 군에서는 1시간과 2시간째 FMD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10.5% vs. 4.9% and 6.0%, 9.2% vs. 5.4% and 5.8%, respectively), 이는 알코올로 인한 혈관 확장 효과 때문이었다. 반면, 적포도주 60 cc를 마신 경우에는 2시간째 FMD가 호전되었고(7.6% vs. 8.8%, p=0.072), 소주 22.5 cc를 마신 경우에는 3시간째 FMD가 호전되었으며(7.6% vs. 9.0%, p=0.078), 이때 보인 내피세포 기능의 호전은 상완동맥 내경의 변화와도 상관이 없었다. 결론: 건강 성인에서 내피세포 기능 호전을 보이는 알코올의 양은 적포도주 반잔(60 cc)이었으며, 소주도 반잔(22.5 cc)을 마신 경우 내피 세포의 호전을 보였으며 이것은 일반적인 생각보다는 적은 양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알코올의 내피세포 기능 호전에 대한 기전에 대한 연구 결과와 장기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It is not clear how much amount is favourable to coronary heart disease, although cardioprotective effects of red wine were reported. Furthermore, there is no report showing the effects of soju, the popular liqour in Korea on endothelial function. We performed this study to know early effects of alcohol on endothelial function in healthy subjects according to the kinds and the amounts of alcohol. Methods: Endothelial function was measured by using high-resolution ultrasound in 20 healthy subjects. Ten subjects were crossover stud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alcohol (120 cc of red wine and 45 cc of soju) and the other ten subjects were studied using the half dosage of the same alcohol. Results: The endothelial function can be impaired during 1 to 2 hours after alcohol ingestion (Soju 45 cc and red wine 120 cc, p<0.05), then recovered to baseline level. However, these impaired endothelial functions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brachial artery diameter. The endothelial function was recovered to baseline level more earlier in case of red wine than that of soju 2 hours vs 3 hours. Red wine 60cc and Soju 22.5 cc can improve the endothelial function in healthy subjects 2 and 3 hours after ingestion, respectively. These effects were not related with vasodilatory effects of alcohol.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mall amounts of alcohol can improve the endothelial function in healthy subjects independently with the vasodilatory effects of alcohol. The amounts of alcohol showing beneficial effects on endothelial function were lower than our expectation (a half cup). (Korean J Med 69:284-292, 2005)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포이츠 제거스 증후군에 동반된 크론병

        엄유진 ( Yoo Jin Um ),김선문 ( Sun Moon Kim ),표진실 ( Jin Sil Pyo ),이주아 ( Joo Ah Lee ),구훈섭 ( Hoon Sup Koo ),허규찬 ( Kyu Chan Huh )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2 No.4

        Peutz-Jeghers syndrome is an autosomal dominant inherited disorder characterized by multiple gastrointestinal hamartomatous polyps and mucocutaneous pigmentation. Peutz-Jeghers syndrome has an incidence of approximately 1 in 25,000 to 300,000 births. Crohn`s disease is a chron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that typically manifests as regional enteritis with its incidence ranging from 3.1 to 14.6 cases per 100,000 person-years in North America. Herein, we report a case of a 30-year-old male patient who had both Peutz-Jeghers syndrome and Crohn`s disease. We believe that this is the first case in Korea and the second report in the English literatures on Peutz-Jeghers syndrome coincidentally accompanied by Crohn`s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2013;62:243-247)

      • KCI등재후보

        소화기 ; 화농성 간농양; 최근 10년간의 임상적 특징의 변화 양상

        박주호 ( Joo Ho Park ),이태희 ( Tae Hee Lee ),강민규 ( Min Gyu Kang ),이미영 ( Mi Young Lee ),이명준 ( Myung Jun Lee ),표진실 ( Jin Sil Pyo ),박정호 ( Jung Ho Park ),구훈섭 ( Hoon Sup Koo ),송경호 ( Kyung Ho Song ),김용석 ( Yong S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지 Vol.88 No.6

        목적: 화농성 간농양은 세균에 의한 급성 감염성 질환으로 치명적인 질환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 특징을 시기별로 비교하여 변화하는 경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방법: 건양대학교병원에서 치료받은 146명의 화농성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학적 특성, 검사실 소견, 혈액 및 배농액 배양 결과, 간농양의 위치와 특성, 치료방법 및 예후 등을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시기에 따라 3군으로 나누었는데, 2002-2003년에 치료받은 23명을 1군, 2007-2008년에 치료받은 46명을 2군, 2012-2013년에 치료받은 77명을 3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나이는 64.3 ± 15.1세였으며, 146명 중87명(59.6%)의 환자가 남자였다. 만성 음주자는 2군(30.4%)이 3군(10.4%)에 비해 빈도가 높았으며, 발열과 오한은 3군(92.2%)이 2군(73.9%)에 비해 빈도가 높았다. 혈액 및 농양배양검사 결과 Klebsiella pneumoniae가 가장 흔한 균으로 동정되었으며, 세 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화농성 간농양은 우엽에 호발하였고, 5-10 cm 크기의 단일 농양이 많았다. 재원기간이나 치료 방법, 예후 등에서 세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시기에 따라서 임상 증상이나 기저 질환의 차이는 조금씩 있으나, 검사실 소견, 간농양의 특성, 배양검사 결과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변화하는 경향이 없어 치료 전략도 달라지지 않으나, 지속적으로 임상 특성을 고찰하고 내성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Background/Aims: A pyogenic liver abscess is an acute bacterial infection that can potentially lead to life-threatening sepsis.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features and changing trends of pyogenic liver abscess over the last 10 years. Methods: We investigated patient characteristics, laboratory findings, blood and abscess culture results,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abscess, and treatment modality in the medical records of 146 patients. We divided them into three groups by period: period 1, 23 patients in 2002-2003; period 2, 46 patients in 2007-2008; and period 3, 77 patients in 2012-2013. Results: The mean patient age was 64.3 ± 15.1 years and 87 of the 146 patients were male (59.6%). Period 2 had a higher prevalence of chronic alcoholics (30.4% vs. 10.4%) and lower prevalence of fever and chills (73.9% vs. 92.2%) compared with period 3. Klebsiella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ly cultured bacteria and the microbiological findings did not differ among the three periods. Pyogenic liver abscesses were more common in the right liver. The lengths of hospital stay and treatment modalities were similar in all three periods. Conclusions: Although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symptoms among the periods,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liver abscess characteristics, i.e., location, size, and culture results. As there were no changes, the treatment strategy also did not change. We should continu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liver abscess. (Korean J Med 2015;88:663-671)

      • KCI등재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테노포비어 단독 초치료의 효과: 단일 기관 2년 성적

        오선희 ( Sun Hee Oh ),박민지 ( Min Ji Park ),조아름 ( A Reum Cho ),이주아 ( Joo Ah Lee ),박주호 ( Joo Ho Park ),류기현 ( Ki-hyun Ryu ),구훈섭 ( Hoon Sup Koo ),송경호 ( Kyung Ho Song ),김선문 ( Sun Moon Kim ),허규찬 ( Kyu Chan Huh 대한내과학회 2017 대한내과학회지 Vol.92 No.2

        목적: 만성 B형 간염은 우리나라에서 2011년 3.0%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고, 간경변이나 간세포암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최근에 임상에 적용된 테노포비어 디소프록실 푸마레이트(TDF)는 아데노신 5`-모노포스페이트의 유사체로 비교적 안전하고 내성이 거의 없으면서 만성 B형 간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테노포비어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1년 후의 결과는 보고된 바 있지만, 2년후 연구 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만성 B형 간염에서 테노포비어를 초치료로 사용한 경우에서 치료 48주, 96주후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2년 1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건양대학교병원에서 만성 B형 간염의 초치료로 테노포비어300 mg/day로 단독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시행하였다. 이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179명이었고, 연구에 포함된 환자들의 이전 항바이러스 치료제의 기왕력 및 내성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치료 시작 시점의 HBV DNA 역가, HBe 항원, 항체의 유무, 혈청 아미노전이효소, 간경변, 간암유무를 조사하였다. 테노포비어 치료를 시작하고 48주, 96주에 HBV DNA 역가, 바이러스 반응, 알라닌 아미노전달효소, HBeAg 양성 유무, 초음파나 컴퓨터단층촬영으로 추적 관찰을 하였다. 결과: 테노포비어 단독치료는 HBV DNA 역가 감소에 효과가 있으며, 치료 2년 후 완전 바이러스 반응은 83.2%였다. 또한 치료 2년 후 완전 바이러스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는 기저 HBV DNA 역가 및 남성이었다. 그리고 모든 관련인자를 보정하였을 때 기저 HBV DNA 역가가 치료 1년 후의 테노포비어의 완전 바이러스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으며, 치료 2년 후의 완전 바이러스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남성이었다. 결론: 테노포비어는 만성 B형 간염 치료를 함에 있어 초치료로 시행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완전 바이러스 반응을 얻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테노포비어가 만성 B형 간염 치료에 사용하게 된 지는 3년 정도밖에 되지 않아,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테노포비어의 바이러스 반응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Aims: An incomplete virological response has been observed to tenofovir dipivoxil fumarate (TDF) in nucleos(t)ide analogue (NA)-experienced chronic hepatitis B (CHB) pati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TDF in NA-naive CHB patients 96 weeks after treatment. Methods: CHB patients treated with TDF were enrolled retrospectively between November 2012 and January 2016. We assessed vir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Results: The study enrolled 179 NA-naive patients with a median follow-up duration of 59.6 weeks. The serum hepatitis B virus (HBV) DNA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reatment. The complete virological response (CVR) rate was 83.21% at week 96. In univariate analyses, the predictors of a CVR at 96 weeks were the baseline HBV DNA level (CVR vs. no-CVR, HBV DNA log10 mean value 7.34 vs. 7.86, 95% confidential interval [CI]: -7.89 to -7.37; p < 0.001) and male sex (CVR vs. no-CVR, 49.1% vs. 81.3%, odds ratio [OR] 0.22, 95% CI: 0.06 to 0.87; p = 0.025).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male sex predicted a CVR at week 96. The CVR was significantly lower in males than in females (OR 0.12, 95% CI: 0.02 to 0.96; p = 0.046). Conclusions: TDF was effective for treating CHB for more than 2 years in NA-naive patients. (Korean J Med 2017;92:162-17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