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내시경수술 후 발생한 투관침 부위를 통한 소장 탈장

        구천회 ( Chun Hoe Ku ),이지성 ( Ji Sung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2

        Small bowel herniation after operative laparoscopy is an uncommon but serious complication that can result in bowel resec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and diagnose early. We experienced a case of small bowel herniation through trocar site and present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 KCI등재

        만삭전 조기양막파열 산모에서 양수과소증이 주산기 예후 및 분만 잠복기에 미치는 영향

        구천회 ( Chun Hoe Ku ),박교훈 ( Kyo Hoon Park ),우헌탁 ( Hun Tack Woo ),김문영 ( Moon Young Kim ),김유미 ( You Mi Kim ),이철민 ( Chul Min Lee ),조용균 ( Yong Kyoon Cho ),최훈 ( Hoon Choi ),김복린 ( Bok Lin Kim ),이홍균 ( Hong Kyo 대한주산의학회 2002 Perinatology Vol.13 No.2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삭전 조기양막파열 산모에서 양수과소증이 주산기 예후 및 분만 잠복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조기양막파열로 입원한 임신 26주에서 35주의 단태임신 9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관찰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 환자에서 입원 직후 경복부 초음파를 시행하여 양수 지수를 측정하였으며 모든 산모와 신생아 의무 기록을 검토하여 양수과소증이 주산기 예후 및 분만 잠복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양수과소증은 양수지수가 5 이하일때로 정의하였고 분만 잠복기의 정의는 양막파열부터 분만까지의 시간으로 하였다. 통계 처리는 비율의 비교는 Chi-spuare test 또는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였으며, 연속형 변수의 비교는 변수의 특성에 따라 Student-t test 또는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1) 총 98명의 연구 대상자 중 양수과소증이 존재하지 않은 군이 59명(60%)이었고 양수과소증 군은 39명(40%)이었다. 조기양막파열 산모에서 분만 주수, 분만시 신생아 체중은 양수과소증이 존재한 군에서 양수과소증이 존재하지 않은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나 1분 아프가 점수 7점 미만의 빈도, 5분 아프가 점수 7점 미만의 빈도, 신생아 이환율 및 주산기 사망률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조기양막파열 산모에서 양수과소증이 분만 잠복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산모 및 태아적응증으로 유도분만이나 제왕절개술을 시행한 산모 73명을 제외한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만 잠복기는 양수과소증이 존재하지 않은 군의 중앙값이 41.5시간으로 양수과소증이 존재한 군의 중앙값 44시간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만삭전 조기양막파열 산모에서 양수과소증은 불량한 주산기 예후 및 분만 잠복기와는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Objectives: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oligohydramnios on perinatal outcome and latency period in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Methods: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98 singleton pregnancies complicated by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with delivery between 26 and 35 weeks` gestation. Amniotic fluid index was determined using transabdominal ultrasound at admission. All medical records of mothers and neonates were reviewed. Oligohydramnios was defined as amniotic fluid index less or equal to 5.0cm and latency period was defined as time interval from membrane rupture to delivery. Chi-spuare test, Fisher`s exact test, Student-t test,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1) Of the 98 patients, 59 patients(60%) were oligohydramnios group(AFI≤5.0) and 39 patients(40%) were non-oligohydramnios group(AFI>5.0). Both group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selected dermographics, gestational age at rupture of the membranes, chorioamnionitis, 1 min Apgar score and 5 min Apgar score. Patients with oligohydramnios demonstrated a lower gestatoinal age at birth and lower birth weigh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neonatal morbidity and perinatal mortality between both groups. 2) For comparing latency period, we excluded deliveries of Cesarean section or induction. Comparing the remained group(25 patients), median of latency period in oligohydramnios group were 41.5 hours and median of latency period in non-oligohydramnios group were 44 hour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oligohydramnios and latency period. Conclusion: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the oligohydramnios on poor perinatal outcome and latency period in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 KCI등재

        최신임상강좌 : 요실금 수술 후 발생한 배뇨장애의 처치

        구천회 ( Chun Hoe Ku ),황병철 ( Byung Chul Wh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9

        최근 요실금 수술이 증가함에 따라 수술 후 배뇨장애가 문제가 되고 있다. 요실금 수술 후 배뇨장애를 가진 환자는 주로 저장증상 또는 배뇨증상이 나타나며 진단을 위해서는 수술 전 환자의 배뇨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요실금 수술 후 배뇨장애의 진단은 병력 청취, 이학적 검사, 요검사, 잔뇨량 검사를 기초로 하며 요역동학 검사, 방광경 검사를 이용한 정보도 유용하다. 치료로는 우선 자가됴뇨, 수분제한, 항콜린성약제, 골반근육운동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며 효과가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한다. 이전 요실금 수술이 중부요도 슬링인지 다른 시술인지에 따라서 수술 시기 및 방법이 달라지므로 이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중부요도 슬링의 경우 빠른 시기에 테이프를 이완하거나 절단하는 방법으로 좋은 성적이 보고되고 있다. 요실금 수술 후 배뇨장애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수술 시 과도한 장력을 피하는 것이므로, 항상 이를 염두에 두고 수술을 시행하여야 하겠다.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surgery for incontinence, voiding dysfunction after anti-incontinence surgery will continue to be a problem. The patient with postoperative voiding dysfunction may present with primarily storage symptoms or voiding symptoms, or a combination of both. Detailed knowledge of the preoperative voiding status may aid in the diagnosis of voiding dysfunction. Diagnosis is based on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urinalysis and postvoid residual volume, but additional informations from urodynamic study and cystoscopy are useful. Patients with postoperative voiding dysfunction should be initially treated conservatively with intermittent or continuous catheterization, fluid restriction, anticholinergics and pelvic floor physiotherapy. When conservative treatment fails, surgical intervention should be done.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midurethral sling and other procedures because the timing and type of intervention vary. In case of midurethral sling, loosening or cutting the tape has had excellent results. Prevention of obstruction during surgery may be the best way to avoid reoperation.

      • KCI등재

        자궁내막암 환자의 골밀도에 관한 연구

        이승호 ( Seung Ho Lee ),구천회 ( Chun Hoe Ku ),신진우 ( Jin Woo Shin ),박종민 ( Jong Min Park ),박찬용 ( Chan Yong Park ) 대한폐경학회 2009 대한폐경학회지 Vol.15 No.1

        연구목적: 많은 종류의 악성 종양에서 골전이가 없어도 골밀도가 감소되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궁내막암 환자의 골밀도에 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31명의 자궁내막암 환자와 61명의 대조군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이중에너지 엑스선흡수측정기로 측정된 요추와 대퇴 골밀도를 분석하였다. 양성 질환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여성들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환자군과 대조군 모두 폐경 이후의 여성이었다. 자궁내막암 환자군에서 골전이는 없었다. 환자군과 대조군의 연령,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요추 및 대퇴 골밀도를 분석하였고, 자궁내막암 환자군을 I기와 II, III, IV기의 두 군으로 나누어 골밀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자궁내막암 환자군과 대조군의 요추 및 대퇴 골밀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기 자궁내막암 환자와 II, III, IV기 자궁내막암 환자의 골밀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자궁내막암은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자궁내막암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더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한다. Objectives: A variety of neoplasms are related to osteoporosis in the absence of metastasis. We sought to evaluate bone mineral density (BMD)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BMD of the spine and femur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in 31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and 61 control women.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surgery for benign disease. All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and all control women had experienced menopause. There were no bone metastases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We compared age, height,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BMD of the spine and femur between the endometrial cancer and control groups, and compared BMD between stage I and stage II, III, and IV endometrial cancer patients.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BMD of the spine or femur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also no differences in the BMD of the spine or femur in patients with stage I versus stage II, III, or IV endometrial cancer. Conclusion: Endometrial cancer appeared to have no effects on BMD before treatment. However, to define its detailed effect on BMD, a prospective study with large sample size is needed.

      • KCI등재

        난소종양으로 수술한 환자의 임상 조직학적 양상 및 수술 전 CA 125의 의미

        김창래 ( Chang Rae Kim ),구천회 ( Chun Hoe Ku ),전인상 ( In Sang Jeon ),손동우 ( Dong Woo Son ),이지성 ( Ji Sung Lee ) 대한폐경학회 2013 대한폐경학회지 Vol.19 No.1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of ovarian tumors and determine the malignancy before operation. It will attribute to early diagnosis, determining direction of treatment and improving prognosis of malignant ovarian tumor. Methods: Seven hundred sixty-five patients who had an operation for ovarian tumors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Gachon University Gil Medical Center from April 2007 to December 2009 were enrolled as subject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age, parity, menopausal status, preoperative CA 125, histology, ultrasound, and treatment method was done. Results: 1. Among benign ovarian tumors, endometrial cyst (211 cases, 30.1%) was most common and had the highest preoperative CA 125 (76.07 U/mL). 2. Among borderline ovarian tumors, mucinous type (16 cases, 62.5%) was most common, but preoperative CA 125 was higher in serous type (144.38 U/mL) than mucinous type (82.59 U/mL). 3. Among malignant ovarian tumors, serous adenocarcinoma (14 cases, 29.8%) was most common, and undifferentiated carcinoma had the highest preoperative CA 125 (500.0 U/mL). 4. The preoperative CA 125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relation to stage in malignant ovarian tumors. 5. Age, preoperative CA 125, menopausal status and ultrasound finding were identified as discriminating factors for malignancy and relative risk of them were 7.19, 7.90, 5.56 and 61.43, respectively. Conclusion: Using the combination of age, menopausal status, preoperative CA 125 and ultrasound to diagnose ovarian tumors before the operation will be a help to early diagnosis and determining the treatment and improve prognosis. (J Korean Soc Menopause 2013;19:26-35)

      • KCI등재

        TVT (Tension free vaginal tape)와 전자궁 적출술 병합에 대한 임상연구

        전승욱 ( Seung Wook Jeon ),안옥주 ( Ok Joo Ahn ),구천회 ( Chun Hoe Ku ),윤성준 ( Seong Jun Yoon ),박찬용 ( Chan Yong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7

        목적: 전신마취하에 복압성 요실금 치료에 이용되는 무장력 중부 요도 현수술 (tension free vaginal tape, 이하 TVT)과 전자궁 적출술 병합시 TVT의 효율성, 안정성 및 합병증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TVT와 전자궁 적출술을 병합한 76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전 병력청취, 이학적 검사, 골반 내진, 1-hour pad test 및 요역동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모든 수술은 전신마취하에 시행되었다. 65예에서 LAVH(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와 병합하였으며, 6예에서 VTH (vaginal total hysterectomy)와 병합하였고, 5예에서 TAH (Total abdominal hysterectomy)와 병합하였다. 결과: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3개월 (range 6-18개월) 이었으며, 평균 입원 기간은 7.6일 (range 6-15일) 이었다. 객관적인 성공률은 97.4% (완치 92.1%, 호전 5.3%) 였으며, 주관적인 성공률은 97.4% (완치 88.1%, 호전 9.3%) 였다. 수술전후의 1-hour pad test는 각각 36.4 gm, 4.1 gm으로 (p<0.001)이었다. 방광 천공, 수술 후 배뇨장애 및 수술 후 과민성 방광 증후군 등의 합병증을 각각 6.6%, 7.9% 및 7.9%에서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전신마취하에 TVT와 전자궁 적출술 병합은 97.4%의 치료 성공율을 보였다. 이러한 병합수술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safety and complications of tension-free vaginal tape (TVT) combined with total hysterec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Methods: Retrospective comparison of 76 women treated by TVT procedure with total hysterectomy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03. All patients had undergone preoperative evaluation including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pelvic examination, 1-hour pad test and urodynamic test, and then were operated under general anesthesia. There were 65 patients combined with LAVH (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6 patients combined with VTH (vaginal total hysterectomy) and 5 patients combined with TAH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Results: The mean follow up and hospital day were respectively 13 months (range 6-18 months) and 7.6 days (range 6-15 days). Objective and subjective success rate were respectively 97.4% (cured 92.1%, improved 5.3%) and 97.4% (cured 88.1%, improved 9.3%).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1-hour pad test were respectively 36.4 gm and 4.1 gm (p<0.001). Complications were bladder perforation (6.6%), voiding dysfunction (7.9%) and overactive bladder syndrome (7.9%). Conclusion: Conclusively, the cure rate was 88.1% in the TVT combined with hysterectomy when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 KCI등재

        정자 냉동해빙방법에 따른 운동성 변화에 대한 연구

        주영탁 ( Yong Tak Ju ),박혜원 ( Hye Won Park ),윤은숙 ( Eun Suk Yoon ),구천회 ( Chun Hoe Ku ),김석영 ( Seok Yong Kim ),손동우 ( Dong Woo Son ),이병석 ( Byung Seok Lee ),이지성 ( Ji Sung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6

        목적: 정자의 냉동 및 해빙에 있어서 더 표준화된 방법을 찾고자 네 가지의 동결 및 해빙방법에 따른 정자의 운동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4년 8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본원 불임클리닉을 방문하여 IRB 심의 통과 후 실험에 동의한 성인 남성 24명을 대상으로 WHO기준 정상정자를 한 사람당 4개의 straw에 담아 2개는 자동완만, 2개는 수동 급속 동결하였으며 이 중 각각 1개는 37℃ 온수조, 나머지 1개는 22℃실온에 해빙하여 정자의 운동성을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값 대비 운동성 백분율 (Mean motile percent)면에서는 자동완만 동결은 56%로 급속 수동 52%보다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의미가 있었다 (P=0.037). 해빙방법은 평균값 대비 운동성 백분율 면에서 37℃ 온수조 59%로 22℃ 실온 49%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P=0.0000). 동결과 해빙 과정을 조합해 서로 다른 방법 (Auto/37℃, Auto/22℃, Manu/37℃, Manu/22℃)으로 실험한 결과 평균값 대비 운동성 백분율 면에서는 63%, 50%, 56%, 48%로 Auto/37℃에서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왔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의미를 갖지는 못하였다. 결론: 동결은 자동완만방법, 해빙은 37℃ 온수조 방법이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동결과 해빙을 네 가지로 조합한 경우는 자동완만 동결 37℃ 온수조 해빙이 다른 조합에 비해 다소 양호하였으나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따라서 네 가지 방법 모두 임상적으로 응용 가능하나 앞으로 실험 대상 수를 증가시키거나 혹은 수정률을 비교 분석하면 더 좋은 방법을 도출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figure out the more optimal method for freezing and thawing the sperm, we compared with the sperm motility after handling of the sperm based on the different types of freezing and thawing methods. Methods: Twenty four adult males who visited our infertility clinic from Aug 2004 to Feb 2005 were enrolled. We applied two kinds of freezing method to normal sperm according to WHO standard criteria; automatic slow freezing method (Auto) and manual vapor freezing method (Manu). We also use two different methods of thawing; a 37℃ warm water bath (37℃) and 22℃ room temperature thawing (22℃). Mean motile percent (MMP) was compared by the freezing methods and thawing methods respectively. We also evaluated the motility in four different ways of freezing and thawing combination. A written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each client. This study was approved by IRB. Results: MMP by the freezing method was 56% in Auto group and 52% in Manu group.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37). In thawing method, it was 59% in 37℃ group and 49% in 22℃ group (P=0.000). Each of freezing and thawing methods was joined to make four different types of freezing and thawing combinations. In MMP there were 63% in Auto/37℃, 50% in Auto/22℃, 56% in Manu/37℃ and 48% in Manu/22℃ (P>0.05). Conclusion: The automatic method in freezing and room temperature in thawing showed respectively the highest MMP. In four different types of freezing and thawing combinations, Auto/37℃ MMP was the highes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This means that all four types of freezing and thawing methods might be used clinically. If further study of larger population or comparison of fertility is done, we would have a better result.

      • KCI등재

        임신 제 일삼분기 질초음파로 진단된 태아 기형에 대한 고찰

        김유미 ( You Mi Kim ),한성식 ( Sung Sik Han ),우헌탁 ( Hun Tack Woo ),김문영 ( Moon Young Kim ),구천회 ( Chun Hoe Ku ),이철민 ( Chul Min Lee ),박교훈 ( Gyo Hoon Park ),조용균 ( Yong Gyun Cho ),최훈 ( Hoon Choi ),김복린 ( Bok Rhy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2

        목적 : 임신 제 일삼분기에 선천선 태아 기형을 진단하기 위해 시행된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분석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2000년 4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인제의과대학 상계백병원에 산전 진찰을 위해 내원한 임신 9~14주의 임부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초음파 검사는 질식 초음파를 원칙으로 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복식초음파 검사를 사용하였다. ACOG (1993) 권장 사항에 추가하여 태아 목뒤의 nuchal translu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for detection of fetal anomalies in first trimester. Methods : This cohort included pregnant women between 9~14 weeks of gestation from April 2000 to Ap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