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하윤의 가요시와 유성기음반

        구인모(Ku In-mo)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2

        1930년대 이하윤은 100여 편의 ‘가요시’를 유성기음반에 취입했다. 이러한 그의 작품들은 유성기라는 첨단의 음향과학기술에 힘입어, 인쇄된 문자텍스트의 한계만을 벗어나 음성텍스트로서, 또한 그 가운데 문학의 장르를 넘어서 다른 예술 장르와 제휴하는 가운데 현전했다. 이러한 이하윤의 가요시는 시가 비단 소수의 문자 해독자의 묵독의 형식이 아닌, 대중적 가창의 형식을 통해 향유되고 있었던 특별한 사례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특히 이하윤의 가요시 창작과 취입은, 1929년경부터 본격화한 음향기술의 혁신, 당시 조선에 진출하기 시작한 미국과 일본 음반회사의 다국적 자본에 의해, 조선의 음악이 유성기음반 산업에 포섭되고 재편되었던 사정과 관계가 깊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루어진 이하윤의 가요시 창작은 근대기 한국의 문학이 음향매체와의 경쟁하고 협업하는 가운데, 근대문화를 형성하는 동력 가운데 하나였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이하윤의 가요시 창작과 취입을 둘러싼 사정을 다시 검토하는 일은 바로 그러한 근대문화 형성의 동력 가운데 하나를 규명하는 일이기도 하다. 나아가 그의 편력은 한국근대문학이 1930년대 이후, 전 지구적 자본의 이동, 테크놀로지의 혁신과 보급의 과정에서, 지역의 경계를 넘는 음악적 체험의 공유 과정에서 경험한 다면적이고도 역동적인 근대의 체험을 이해하는 데에 하나의 시금석과 같다. In 1930's Yi, Ha-yun recorded hundreds of Kayoshi(popular song poem) on SP records. These are existed in not literal text but oral text which owe to high tech sound technology and tie-up with other art genre. It is important that was very special case that is not silent reading of few reader's, but form of popular singing. especially Yi's creating and recording Kayoshi is concerned with innovation of sound technology 1930's, reorganization by multinational record company. In these backgrounds Yi's Kayoshi creating is an dynamic of modern culture in competing or cooperating between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modern sound media. That is why research on Yi's Kayoshi creating is meaningful. moreover Yi's creating is a touchstone understanding modernity in 1930's korean literature that experienced movement of multinational capital, innovation of sound technic, spread of western music.

      • KCI등재

        김동환의 가요운동과 유성기음반 취입

        구인모(Ku In-Mo) 한국시학회 2009 한국시학연구 Vol.- No.25

        After 1930's Kim, Dong-hwan recorded his seven 'Sokyo' in Sp-records. As he experimented on various form of 'le vers libre', in the strict sense these are not modern poetry. Nevertheless, the reason he wrote such works, is his' own idea of 'Gayo'(popular song) movement. When Kim was a member of KAPF(Korea Artista Proletaria Federatio), he had a detailed plan for combination of poetry and music, moreover it's popularization. And he willing to realize his idea, after seceded from KAPF and join Chosun Popular song Association, Kim gained an opportunity to realize his idea. The three piece of Sp-records that recorded Kim's works is realization of his idea. But the song composed by his works were empty of literary completion, as well as rigidly inspected by the government general of Chosun. Moreover those were nearly 'lied' then popular song. So those were not coincides with contemporary taste of popular song. after all Kim were changed from record maker to another, and his idea of 'Gayo' movement was end in failure. By the way Kim's such idea was realized by korean classical composers in 'lied' till 1990's. Such Kim's works and idea are an example that very dynamic sphere of modern korean poetry connected with musical form, existed by modern sound media.

      • KCI등재

        김장호의 비교문학연구에 대하여

        구인모(Ku, In Mo) 동악어문학회 2019 동악어문학 Vol.78 No.-

        김장호는 비교문학연구의 제1세대 연구자로서 한국문학과 관련해서 매우 이채로운 성과를 남겼는데, 그것은 동서양 시학의 비교연구, 동아시아 근대시 형성의 비교연구로 요약된다. 특히 김장호는 서구의 충격(western impact) 이후 동아시아문학의 일반적인 원리를 전통적 양식의 저항, 그 지속적인 생명력을 조망하는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그 원리를 근대와 반근대의 순환 구도로 파악하고 있었다. 아울러 김장호는 동아시아문학을 중심으로 국제문학사의 정비를 제안했고, 이를 통해 세계문학의 서구중심주의를 극복하고자 했다. 그런가하면 김장호는 김억의 『오뇌의 무도』(1921)와 중역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를 통해 한국근대시 연구의 서구중심주의와 발전론적 역사관을 극복하고자 했다. 김장호의 비교문학연구는 그 이채로움은 물론 특히 1990년대 한국문학연구 방법론의 전회, 연구분야의 다변화로 인해 오늘날까지도 온전히 조명되거나 평가받고 있지 못하다. 그러나 김장호가 평생 고투한 한국의 근대(성), 근대문학을 동아시아의 역사 경험이나, 동아시아 문학의 도정들과의 대조․비교를 통해 그 일반성과 개별성을 이해하는 일이나, 특히 오뇌의 무도를 통해 세계문학, 근대(성)의 복수성을 이해하는 일은 여전히 유효하다. 따라서 김장호의 비교문학연구는 오늘날 한국문학연구에 중요한 과제와 이정표를 제시한다. As the first generation researcher in comparative literature research, KIM, Jang-ho has made a very interesting achievement in Korean literature research. It is summarized as a comparative research of East and West poetics, and a comparative research of the formation of the modern East Asia poetry. KIM, Jang-ho, in particular, focused on the general principles of East Asian literature after the Western impact to investigating the resistance of traditional styles and its continued vitality. And KIM, Jang-ho, defined the principle as the circulation of modern and anti-modern. In addition, KIM, Jang-ho, proposed the rewriting of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literature, focusing on East Asian literature, and sought to overcome the Eurocentrism of world literature. At the same time, KIM, Jang-ho sought to overcome the Western centralism and developmental historical view of Korea"s modern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Kim"s The Dance of Agony(1921) and relay translation. KIM, Jang-ho"s research of comparative literature is not fully illuminated or evaluated to this day. That"s because since the 1990s, the methodology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 has changed and the field of research has diversified. However, it is still important to understand the generality and individualit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rough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East Asia, and the contrasting comparison of East Asian literature to understand the plurality of world literature and modernity, especially through The Dance of Agony(1921). Therefore, KIM, Jang-ho"s research of comparative literature presents important tasks and milestones for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today.

      • KCI등재
      • KCI등재

        김억의 알베르 사맹(Albert Samain) 시 번역을 다시 읽는다

        구인모(Ku, In mo) 동악어문학회 2018 동악어문학 Vol.75 No.-

        이 글의 목적은 근대기 한국에서 운문 양식의 글쓰기가 형성되던 과정에 번역, 특히 일본어로부터의 중역이 중요한 동력이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 글은 김억의 『오뇌의 무도』(1921/1923) 소재 「싸멘의 詩」장에 주목했다. 그리고 신문학 초기 근대적 문학어, 시성·시정(poésie)의 고안 과정에 서구시의 일본어 번역으로부터의 중역이 중요한 원동력이었음을 입증했다. 이를 위해 이글은 우선 김억의 알베르 사맹 시 중역의 저본이 호리구치 다이가쿠(堀口大學)의 『어제의 꽃(昨日の花)』(1918)과 고바야시 아이유(小林愛雄)의 『현대만엽집(現代萬葉集)』(1916)이었음을 밝혀냈다. 또한 김억의 중역이 일본어 번역시에 자신의 해석과 언어감각을 투영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음을 밝혀냈다. 그리고 김억의 중역이란 프랑스어, 영어, 일본어 등 이질적인 타자의 언어들의 적층과 혼종의 결과이며, 김억의 『오뇌의 무도』가 신문학 초창기 운문양식의 글쓰기의 전범이었다면, 그러한 근대기 한국의 문학어, 시성·시정의 고안 또한 그러한 적층과 혼종의 결과임을 밝혀냈다. 아울러 김억이 자신의 중역, 모방을 일관되게 직접번역이라고 역설했던 배경에 대해서도 주목했다. 그리고 그러한 김억의 입장이란 사실 서구의 근대문학, 근대(성)에 대한 강렬한 욕망, 강박에서 비롯했다는 것을 확인했다. This Article presents the results of rereading Kim Eok"s translations of poems by Albert Samain (France, 1858~1900) in his The Dance of Agony (1921/192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at translation, especially relay translation from Japanese, was important driving force i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writings in the verse form during the modern time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first examined the backgrounds of Kim Eok"s translations of Albert Samain"s poems and shed light on the mechanism of his translations and its significance. It especially found that Kim Eok"s translations of Albert Samain"s poems were based on the relay translation of two anthologies, Horiguchi Daigaku (Japan, 1892~1981)"s The Yesterday’s flower (1918) and Kobayshi Aiyou (Japan, 1881~1945)"s The Modern collection of ten thousand leaves (1916). As well as this article shed light on the styles in which Kim Eok projected his own interpretations and linguistic senses onto the vocabulary and rhetoric of the translated poems. It then showed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at relay translations from Japanese texts were not only a means of accepting the world literature, but also an opportunity to discover and devise the Joseon language as a literary language, modern literariness to Kim Eok. The special focus was on the fact that the texts of the translated poems that were creative classics to Kim Eok were indeed the laminated products of heterogeneous languages. This article demonstrated that the writing in the verse form during the modern times in Korea derived from these laminated products. It also focused on the background in which Kim Eok consistently highlighted that his relay translations and imitations were direct translations. Kim Eok made the argument out of his intense desire and obsession for the modern literature and modernity of the West.

      • KCI등재

        근대기 멜로드라마 서사 형성의 한 장면

        구인모(Ku, In-M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한국민족문화 Vol.48 No.-

        이 논문은 근대기 조선에서 할리우드 연속영화 <동도(Way Down East)>(1920), 영화설명 음반 <동도(東道)>(1927, 1931)를 둘러싼 특별한 의사소통 구조, 당시 관객 혹은 청취자가 멜로드라마 서사에 투사했던 특별한 취향과 욕망을 조망하고자 한다. <동도>의 서사는 한편으로는 조선을 둘러싼 미국과 일본의 영화 산업과 음반 산업이라는 이중의 의사소통 구조를 기반으로 수용되고 소비되었다. 또한 <동도>의 서사는 변사 김영환에 의해 변용 혹은 번안된 형태로 멜로드라마의 한 전형으로서 자리 잡았다. 조선의 관객.청취자는 이 <동도>의 서사를 영화와 영화설명 음반으로 지속적으로 향유하는 가운데 낭만적 사랑, 부부중심의 근대적 가정생활과 사회적 관계에 대한 특별한 욕망과 환상을 투사했다. 한편 조선에서 영화 <동도>가 변사 김영환에 의해 변용되고 번안된 서사로 자리잡았던 사정은, 당시 변사가 단순한 해설자가 아니라, 문화 번역 혹은 번안의 주체이기도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근대기 조선에서 변사의 역할과 위상을 재고하는 단서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영화와 영화설명 <동도>는 이처럼 근대기 한국의 대중적 서사 양식과 문화현상의 다층적이고도 다면적인 양상을 반영하는 훌륭한 사례이다. 그리고 그것은 식민지시기 조선에서 나타난 근대성의 중요한 단면을 이해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This article set out to investigate the special communication structure around a Hollywood serial movie called Way Down East(1920) and the particular tastes and desires projected into the melodrama narrative by the audience or listeners during modern Joseon. The narrative of the movie was accepted and consumed based on the dual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film and music industry of the U. S. A. and Japan surrounding Joseon. It also settled down as a model of melodrama in the transformed or adapted form by the film interpreter Kim, Yeong-hwan. While continuously enjoying its narrative in the form of film and album of film interpretation, the audience and listeners of Joseon projected their special desires for modern family life and social relationships based on romantic love and couples into the movie. The fact that Way Down East settled down as a narrative transformed and adapted by the film interpreter Kim, Yeong-hwan in Joseon indicates that film interpreters were not just interpreters but the subjects of cultural translation and adaptation those days, which is important as a clue to reconsider the roles and status of film interpreters in modern Joseon. The movie Way Down East and its interpretations make a good case of reflecting the multilayered and multifaceted aspects of the popular narrative style and cultural phenomenon in modern Korea. They also provide a chance to understand the important aspects of modernity in Jose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근대기 유행가요와 `정서의 구조`

        구인모 ( Ku In-mo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4

        이 글은 1937년 전후의 유행가요를 둘러싼 정서와 감각, 취향의 변화를 추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근대기 한국에서 유행가요는 흔히 `눈물`, `한숨`, `방랑`, `사랑` 등의 어휘로 가득한 `에로유행가`라고 비난 받기 일쑤였다. 지식인들은 식민지시기 내내 논설을 통해, 조선총독부는 검열과 관제가요 보급을 통해 퇴폐한 유행가요에 대한 정서, 감각, 취향을 개량하고자 했다. 그리고 1939년 무렵 적지 않은 유행가요 제작 주체들과 언론 매체는 퇴폐한 유행가요가 사라졌다고 전한다. 이 글은 이 퇴폐하다는 비난을 면치 못했던 유행가요야말로 근대기 한국의 정서의 구조를 이해하는 시금석이라는 전제에서, 그 시기 유행가요 가사 말뭉치를 분석하여, 유행가요 텍스트를 구성하는 언어의 세부적인 요소들과 그것이 작동하는 형식, 패턴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우선 근대기 한국의 유행가요를 가로지르는 주제, 정서와 감각의 동시대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1937년 이후 유행가요에서 나타나는 동일성과 차이를 통해, 그것이 궁극적으로는 당시 청취자의 근대성의 체험과 관련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유행가요를 통해 한 시대의 정서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에, 문화연구와 언어정보학의 제휴가 유효한 방법론을 제공한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ce the changes to the feelings, senses, and tastes of popular songs around 1937. The popular songs were often criticized as "erotic popular songs" full of such vocabulary as "tears," "sighs," "wandering," and "love" in Korea in early modern days. Efforts were made to recontruct the feelings, senses, and tastes of popular songs including the intellectuals writing editorials throughout the Japanese rule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mposing censorship and spreading government-controlled songs. It is said that a not inconsiderable number of production subjects and press media of popular songs had disappeared by 1939. Based on the premise that "erotic popular songs" reflected the Korean structures of feelings in early modern days,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corpora of lyrics of popular songs released by OKeh Records in the 1930s and 1940s and identified the specific elements of language that made up popular song texts and their operating formats and patterns to check the contemporariness of feelings that crossed Korean popular songs in early modern days through "erotic popular songs." It also figured out that "erotic popular songs" exhibited subtle changes in the aspects of topics and feelings after 1937 and that those changes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taste changes and experiences with modernity of the audiences. It especially showed that a combination of cultural studies and language information studies would offer a valid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the feeling structure of a period through popular songs.

      • KCI등재

        김사엽(金思燁)의 민요 조사와 연구에 대하여

        구인모 ( Ku In-mo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7 No.-

        이 논문은 그동안 일반에 알려지지 않았던 김사엽이 경성제국대학 재학 당시의 민요조사(1935~1936)의 결과 보고서를 중심으로 민요조사의 실상을 재구하는 한편, 식민지 시기 민요관련 논설과 해방 이후 국문학사 관련 저술들을 통해 민요연구의 관점·방법·이념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김사엽의 민요조사와 민요연구를 통해 그의 구비문학 연구의 의의를 재검토 하고자 한다. 이 가운데 이 논문은 김사엽의 민요조사가 사실은 경성제국대학 조선어 조선문학전공 교수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조선인 민족성론, 조선 구비문학에 대한 입장과 방법론을 따르고 있음을 규명했다. 특히 김사엽이 영남지역, 부녀자들의 민요를 조선민요의 전형으로 삼는 가운데 드러나는 원시주의, 문화본질주의가 사실은 다카하시 도루로부터 비롯한 제국 일본의 오리엔탈리즘의 영향임을 입증했다. 또한 김사엽의 식민지시기 민요연구가 민요를 기원으로 한 조선문학의 통시적 서술, 조선인의 민족성 규명을 염두에 둔 것이었으며, 그것이 해방 이후 국문학사 서술 과정에서도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양상을 조망했다. 그 가운데 김사엽이 식민지시기에는 민요를 초역사적인 장르·갈래이자 국민문학의 기원으로 정의했음에도 불구하고, 해방 후 문학사 서술 과정에서는 조선시대 후기의 전형적인 장르·갈래로 배치한 것, 영남지역의 민요에 나타난 특징을 경우에 따라서는 초역사적인 국민성으로서 정의하거나 조선후기의 특징으로 서술하는 가운데 드러나는 모순을 주목했다. 그리고 그것이 국민문학 혹은 국문학의 역사를 오로지 초역사적인 민족의 특이성, 국민성을 규명하는 학문으로 상정한 데에서 이미 예고되어 있었으며, 근본적으로는 식민주의의 잔영임을 규명했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reality of folk song investigations based on Gim Sa-yeop (1912~1992)`s report, which is yet unknown to the public, of his folk song investigations (1935~1936) while he attended Keijo Imperial University.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Gim`s folk song investigations actually followed the positions and methodologies of Professor Takahashi Toru, who specialized in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on the ethnicity of Joseon people and the Joseon oral literature. While investigating them under Japanese rule, Gim kept in mind the diachronic description of Joseon literature and the identification of Joseon people`s ethnicity with the origin of folk songs. This study considers the ways this approach was implement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Korean literary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in concrete ways. It highlights the fact that Gim expressed a contradiction, as he defined folk songs as a meta-historical genre and as the origin of the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rule, yet placed them under the typical genre of the latter half of Joseon in his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This was foreshadowed when Gim introduced the history of the national literature, or Korean literature, as the science of investigating the peculiar and national nature of meta-historical people, thus fundamentally reflecting traces of colonialism.

      • KCI등재

        한시의 근대적 전유, 자기화의 가능성 -김억의 『망우초(忘憂草)』(1934)를 중심으로-

        구인모 ( In Mo Ku ) 한국시가학회 2015 韓國 詩歌硏究 Vol.39 No.-

        이 글은 김억의 문학적 편력의 다면성을 염두에 두고 한시 번역 시집 『忘憂草』(1934)를 둘러싼 의미를 조망하고자 하는 데에 주안점을 둔다. 김억의 『망우초』는 국민문학과 시가개량을 모색하며 시의 음악화를 모색하던 시기의 한시 번역으로서, 시인이 아닌 번역가로서 김억과 한시 번역의 의의를 이해하고, 이후 그 맥락의 변화까지 감지할 수 있는 시금석이다. 이러한 『망우초』는 김억이 한시를 통해 동양적 정서의 원형을 탐색하는 실천이자, 중세 보편어 문학의 유산을 전유하고 자기화하는 방법을 통해 근대기 자국어 글쓰기의 가능성을 모색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특히 이 글은 김억의 한시 번역과 『망우초』가 그보다 먼저 시도된 사토 하루오(佐藤春夫, 1892~1964)의 한시 번역과 『車塵集』(1929)으로부터 깊은 감화를 받은 결과라는 데에 주목했다. 김억과 사토 하루오가 비슷한 시기 한시의 번역을 통해 동양적인 정서의 원형을 탐색했다는 점은 중세 보편어 문학의 전유, 자기화를 둘러싸고 근대기 동아시아 지역 혹은 제국과 식민지 사이에 대화의 장면이 연출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정은 김억의 한시 번역이 단지 근대시의 이상과 가치를 거스르는 예외 혹은 퇴행의 일국적인 사건이 아님을 시사한다. 그리고 비서구 지역에서 이루어진 근대적인 글쓰기의 실천과 관련한 동아시아적 현상의 차원에서 김억의 한시 번역과 『망우초』의 의의를 다시 묻도록 이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ed light on the meanings of Mangwoocho(忘憂草, 1934), a translated collection of Chinese poems by Kim Eok with a focus on the various aspects of his literary itinerancy. His Mangwoocho was translated when they made an attempt at national literature and renovation of poetry and tried to turn poetry into music. It is a touchstone to understand him as a translator rather than a poet and also the significance of translation of Chinese poetry and detect the following contextual changes. Mangwoocho was also his effort to explore and practice the archetype of Oriental emotions through Chinese poetry and the result of his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writing in Korean during the early modern times through the appropriation and privatization of heritage of Chinese literature. The present study especially focused on that his translation of Chinese poetry and Mangwoocho were deeply influenced by Sato Haruo(1892~1964)`s translation of Chinese poetry before him and his Shasinshu(車塵集, 1929). Both Kim Eok and Sato Haruo searched for the archetype of Oriental emotions by translating Chinese poems at a similar time, which means that there were scenes of dialog produced around the appropriation and privatization of Chinese literature before the modern times in East Asia or between the empire and colonies during the modern period. Those circumstances imply that Kim Eok`s translation of Chinese poetry was not a national event that went against the ideals and values of modern poetry or made a regression in that aspect. They also lead to questions about the significance of his translation of Chinese poetry and Mangwoocho in the dimension of East Asian phenomena related to the practice of modern writing in non-Western regions.

      • KCI등재

        특집논문 : 번역연구라는 시좌(視座)의 보람

        구인모 ( In Mo Ku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8

        이 글은 1990년대부터 시작된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모험들과 문제의 식들 가운데 번역연구가 아직도 고유한 범주로서는 온전히 정위되지 못하고 있는 현상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비롯한다. 그리고 번역연구라는 시좌를 통해 한국근대문학연구가 미루어 온, 혹은 아직 다다르지 못한 과제들을 다시 환기하기 위한 질문을 제시하는 데에 주안점을 둔다. 이 글에서는 199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번역연구가 숱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근대기 한국의 번역과 문학에 대한 총론의 부재, 문헌학적연구 풍토의 불비에 따른 연구의 곤란, 비교문학론에 대한 뿌리 깊은 의구심, 번역을 둘러싼 인식론적 사유의 빈곤 속에서 난관에 처해 있다고 진단한다. 그리고 번역연구가 이러한 난관들을 극복하고 한국근대문학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한다. 그것은 근대기 한국에서 이루어진 번역을 둘러싼 에피스테메이자, ‘언어-문화’의 지평을 탐색하고 조망하는 일이다. 한편 이 글은 한국근대문학 또한 자신의 타자(들)와의 대화 속에서 한국, 근대, 문학을 사유하고 논변할 것을, 그 가운데에 세계문학은 물론 자국문학마저도 타자로 치환하는 상대주의적 사유와 윤리적 자세에 철저히 기반할 것을 요청한다. 특히 이러한 사유와 자세가 바로 새로운 비교문학론의 과제임을 설명한다. 그리하여 이 글은 바로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 번역연구의 소명이자 보람임을 제시한다. This study was conceived by a question about why translation research, one of the adventures and problematic perceptions in the field of literature study in modern Korea since the 1990s, had not been established fully as a unique category. The study focused on arousing once again the attention to the tasks that had been postponed or not fulfilled in the literature study of moder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lation research. In the 1990s, the translation research of Korea faced complex difficulties that were as various as its achievements. They included the absence of general theories about translation and literature in modern Korea, difficulties with conducting research due to no climate for bibliographical research, deep-rooted doubt about the comparative literature theory, and lack of epistemological thinking about translation. The present study proposed tasks for translation research to overcome those obstacles and make a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study of modern Korea, exploring and shedding light on what was episteme around translations in modern Korea and the horizon of "language-literature." It also proposed the tasks forgotten in the literature study of modern Korea since the 1990s on the thorough basis of relativistic thinking and ethical attitude for modern Korean literature to replace both world literature and its own literature with others. It thus explained that such thinking and attitude were new tasks for the comparative literature theory and proposed that implementing the tasks should be a calling and reward of translation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