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대학교의 디자인 입시실기 문제 분석 : 1998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수도권 4개 대학교를 중심으로

        구엄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to compile practical questions on the entrance examination of Korea's design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ummarize the periodical changes, analyze the trends of the examination, and present its characteristics. Sinc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university’s entrance examination is the final stage of selecting talented students for normal education, and the examination and exam questions, which are the selection systems for college entrance,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ducational goals of each stage. The College of Design has also taken practical tests to recruit talented students. To this end, examinees usually visit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to prepare for practical tests because private entrance examination art education institutions were faster in analyzing and responding to entrance exams than art education at public institutions. In the field of entrance examination art, the conventional wisdom is that the flow of entrance exams changes every five to seven years. In order to prepare for thi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collected the questions every three to five years and melted them in the class, attended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riefing session, got information, prepared for the college-hosted practical competition, and organized a mock test. The design university is also aware of entrance examination art education and is constantly changing to select competitive talents along with balancing public education. Based on this status, this paper first looked at the opening of Korean universities' design education, university entrance system, and design major entrance examination. Second,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s of four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are influencing the entrance examination of other universities by leading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subjects in the domestic desig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Third, this paper looked at what kind of talent these schools have been demanding depending on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prevent unnecessary investment or prediction in education and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reasonable and more efficient entrance education in private institutes, while seeking the practical balance and development of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a practical examination of four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okmin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Konkuk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major categories based on practical exam questions collected from digital data and 「Entrance Examination of Art University」 and 「Art and Design」. The most basic category is Theme, Object, Expression, Material, and other areas. Among them, the Object were detailed in terms of word presentation, visual presentation, and expression conditions, which were divided into background, color, composition in expression, the acceptance and prohibition of specific materials, and the existence of intentional descriptions as analysis indicators. Also derive the category under the subhead of the tools used and constraints, the main concept of the theme representation, and the main concept of object representation during practical testing. Also derive the category under the subhead of the main concept of the topic representation, and the main concept of material representation, the tools used and constraints in the practical exam. Second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iodical changes, the changes in the entrance examination questions of four universities could be defined as 3 to 5 terms, and the basis and examples for the classification were presented. Finally, the interviews with the professors in charge at that time of practical examination's changes of each university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studies, this paper was able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s the Design University entered the 2000s, it wanted talent with communication skills to convey context and multi layer messages rather than design ability to express images based on previous simple messages and visual representations. Second, in the 2010s, university education faced a period of seeking interdisciplinary connections with the subdivision of majors. Therefore, there was a development from the design ability required by the questions of entrance examination to the qualitative aspect of idea and composition for message delivery, and the quantitative aspect of material use and expression ability. Third, in the 2020s, there was a change in the trend that emphasized the basics of observing and expressing reality under the name of "basic formative ability" or "basic knowledge." Lastly, even if a new sort of practical exam is born, by 5 to 7 years, there are efforts and attempts to break away that the name of "Expression Pattern" from a particular university or practical subject . This study is worth analyzing the entrance exam questions from a 20-year-old perspective to provide a broader perspective to examinees and those in the field of entrance exams who are closed to sharing information due to unlimited competition. This also worth that the Design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figured out how to measure the basic formative capabilities that have consistently demanded, how to measure design communication capabilities that reflect the times. 본 연구의 주제는 한국 수도권 대학교의 디자인 입시 중 실기문제를 취합하여 그 변천을 정리하여 출제 동향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제시한 것이다. 해방 이후부터 줄곧 한국의 대학교 입시는 교육과정상 인재 선발의 최종단계로, 대학교 입시를 위한 선발제도인 시험과 시험문제는 각 교육단계의 교육목표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 왔다. 디자인 대학의 입시 역시 인재를 뽑기 위해 실기시험을 치러 왔다. 이를 위해 수험생들은 대개 사설 교육기관을 찾아 실기를 준비하는데, 그 이유는 사설 입시 디자인 및 미술 교육 기관이 공교육기관에서의 디자인 및 미술교육보다 입시 분석과 대응에는 발 빨랐기 때문이다. 입시미술 현장에서는 5년~7년 주기로 입시의 흐름이 변화한다는 통념이 일반적이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3년~5년 주기로 기출문제를 취합하여 수업내용에 반영하거나, 각 대학의 입시설명회에 참석하여 정보를 얻고 대학 주최 실기대회를 실전 삼아 준비하게 하였으며, 입시미술학원 연합회를 구성하여 모의시험을 개최하는 등의 입시 교육을 해 오고 있다. 한국의 대학들 또한 입시미술교육을 인지하고 있으며 공교육과의 균형 맞추기와 더불어 경쟁력 있는 인재의 선발을 위해 입시문제 출제에 대해 고심하며 끊임없는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러한 현황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첫째, 한국대학의 디자인교육과 대학입시제도, 디자인전공 입시의 개관을 살펴보았다. 둘째, 디자인 입시에서 실기과목 개발을 주도하여 타 대학의 입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수도권 4개 대학교의 실기문제를 취합하여 문제의 변천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셋째, 이들 학교가 시대에 따라 어떠한 인재상을 요구하여 왔는지를 고찰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고찰을 통해, 사설학원에서 좀 더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입시 교육에 대응함으로써, 공교육과 사교육의 실제적 균형과 발전의 도모를 꾀하면서, 사실 교육에서의 불필요한 투자나 예측을 방지하고, 합목적적 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기여를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수도권 대학교 중 국민대학교, 서울대학교, 건국대학교, 홍익대학교 4개 대학교의 디자인 입시 문제 중 실기 출제 문제이다. 디지털 자료 및 국내 입시미술정보지인 월간『미대입시』와 월간『아트앤디자인』에서 취합한 문제를 기반으로 크게 세 가지의 범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장 기본적인 범주는 각 문제를 주제, 소재, 표현, 재료, 기타 영역으로 범주화한 것이다. 이 중 소재는 단어 제시, 시각 제시, 소재표현 조건의 세부 항목으로, 표현에서는 배경, 색채, 화면구성으로, 재료 영역에서는 특정 재료의 허용 및 금지, 각 학교별 제시 재료의 유무로 구분되었고, 그 외 답안으로 의도 서술 유무의 구분을 분석 지표로 설정하였다. 또한 실기 시험시 사용 도구와 제한 조건, 주제 표현의 주 컨셉, 소재 표현의 주 컨셉이라는 소제목이라는 범주를 도출하였다. 두 번째로 시기별 변천의 특성으로 보면, 4개 대학의 입시 문제의 변천을 3~5시기로 정의할 수 있었으며, 이런 시기 구분의 근거와 사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대학의 실기 변화 시기의 입시 담당 교수 인터뷰를 발췌,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본 논문은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디자인 입시에서 실기문제는 단순한 메시지와 시각적 표상 중심의 디자인 능력 제시에서 상황적 맥락과 다층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요구하는 것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둘째, 대학 교육이 전공의 세분화와 더불어 전공 간 연계를 추구하는 시기를 맞이하게 되면서 아이디어 발상과 메시지 전달을 위한 구성이라는 정성적 측면과, 재료의 사용과 표현 능력이라는 정량적 측면으로 세분화하여 접근하는 시각으로의 발전이 진행되었다. 셋째, 최근 2020년대에 들어 다시 ‘기초 조형 능력’ 또는 ‘기초 소양’이라는 이름으로 실재를 관찰, 조형성을 이끌어내어 표현하는 기본기를 중시하는 흐름으로의 변화가 보였다. 넷째, 하나의 실기과목이 새롭게 탄생한다 하여도 이미 조직화, 기업화되어 정보가 빠른 입시미술학원가의 연구에 의해 5년에서 7년이 되면 특정 대학이나 실기과목의 이름의 ‘입시용 표현 패턴’이 생기는 현실에서 탈피하기 위한 각 대학교의 각고의 노력과 시도가 발견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20년의 통시적 관점에서의 입시 문제 분석을 통하여 무한 경쟁으로 인해 정보 공유에 폐쇄적인 입시 현장에서의 수험생들과 입시미술 교육 종사자들에게 보다 확장된 시야를 제공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 또한 국내 수도권 디자인 대학에서 지속적으로 변함없이 요구하여 온 기본 조형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과 시대성을 반영하는 디자인 소통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였다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