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직업성숙도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구승신,박성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7 청소년상담연구 Vol.15 No.1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tudents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was proposed to analysis personal caracter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al variables which have effects on the career maturity of students by the medium of the students' self-perception. This study uses matarials of KYPS in 2004 by Kiyd, The datum are analyzed by the 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structure equation modeling using SPSS12.0 and AMOS 4.0 program. The result of analysis are as follows.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tudents is negative psycological health in negative correlation , wheras affirmative psychological health in affirmative correlati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at variables related students'records and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variable emerg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career maturity. Mediative effect of affirmative self-perception of elementary students between career maturity and affirmative parent-child's relationship was significant.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직업성숙도와 정신건강지표들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둘째. 초등학생의 직업성숙도 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들을 탐색하며, 셋째, 부모와의 관계변인이 아동의 자기개념 을 매개로 하여 직업성숙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개발 원이 실시한 2004년도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방법은 단계적 중다회귀분 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사용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12.0과 AMOS 4.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 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직업성숙도는 공격성 및 불안, 우울, 자살충동과 같은 부정적 정신건강 지표 와는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고, 반대로 자기존중감, 자기신뢰감으로 구성된 자기개념 및 삶의 만족도와 같은 긍정적 정신건강 지표와는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초등학교 아동의 직업성숙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는 변수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탐색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 결과 직업성숙도 를 예측하는 주요변인을 요약해보면, 아동의 성적과 관련된 변수와 부모애착, 부모감독, 부모폭력으로 구성된 부 모와의 관계변수가 가장 중요했다. 부모자녀관계, 자기개념 그리고 직업성숙도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부모자녀관계가 아동의 긍정적 자기개념을 매개로 하여 아동의 직업성숙도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고 부모자녀관계, 자기개념 및 직업성숙도의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부모자녀관계가 직업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자기개념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하였다.

      • KCI등재

        신세대 병사의 정신건강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육군 oo부대 병사들을 대상으로-

        구승신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sy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mental health and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military stress, depression, anxiety, suicide and murder thinking. The subjects were 212 soldiers in public servi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s. Results showed that 1) Amoung the subjects above 50% were found to be depressed and the scores of military stress and anxiety of subjects was above 50. 2) Among the subjects, 15.4% were found suicide thinking, 44.3% were murder thinking. 3) Variables such as limitation for private life,generation gap, battering and debasement one's digniyt,health,military environment, anxiety of career were found to be as influencing factors on military stress. 4) Variables such as limitation for private life, generation gap, battering and debasement one's dignity, health, communication, were found to be as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5) Variables such as limitation for private life, generation gap, battering and debasement one's dignity,,health, anxiety of career were found to be as influencing factors on anxiety. 6) Variables such as generation gap, battering and debasement one's dignity were found to be as influencing factors on suicide thinking.7) Variables such as generation gap, battering and debasement one's dignity, anxiety of career,communication were found to be as influencing factors on murder thinking. 한국 군대의 병사들은 그 연령상 신세대에 해당되며 기성세대와는 뚜렷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특히 입대한지 얼마안되어 군생활 기간이 짧은 병사들은 군대라는 특성상 집단주의, 권위주의 사회에서 군대적응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으며 나아가 군 생활스트레스, 우울, 불안 등의 정신건강상 문제를 초래하며 자살생각이나 타살생각 등에 시달리게 된다. 본 연구는 신세대 병사들의 군 생활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 우울, 불안, 자살생각 및 타살생각 등 정신건강 실태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군 복무중인 신세대 병사들 212명을 대상으로 군 생활 스트레스, 우울, 불안, 자살생각 및 타살생각과 기타 영향요인을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병사들의 정신건강 현황을 보면 절반이상의 병사들이 우울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안이나 군 생활 스트레스도 평균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 15.4%의 병사가 자살생각을 하며 44.3%에서 타살생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병사들의 군 생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생활제한, 세대차, 신체구타 및 인격모독, 건강, 내무반만족도, 진로고민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체구타 및 인격모독, 의사소통 만족도, 세대차, 건강, 사생활제한으로 나타났다. 넷째,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생활제한, 건강, 세대차, 진로고민, 신체구타 및 인격모독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체구타 및 인격모독, 세대차로 나타났다. 여섯째, 타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체구타 및 인격모독, 세대차, 진로고민, 의사소통 만족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과 관련하여 시사점 및 실용적 맥락에서 논의하였다.

      • 여성노인의 배우자 돌봄에 대한 연구

        구승신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6 임상사회사업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노화로 인해 심신의 건강이 여의치 않은 여성노인이 만성적인 질환을 앓고 있어 장기적인 돌봄이 불가피한 배우자의 돌봄경험, 특히 장기돌봄을 유지하는 기제에 대해 살펴보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장기적으로 배우자를 돌보고 있는 10명의 여성노인들을 대상으 로 면접조사를 통해 수집된 내용들을 연구목적에 맞게 네 가지 주제로 범주화시켜 설명하였 다. 첫째, 여성노인들은 공동체적 가족의식과 성역할의 고정관념을 가지고 돌봄 역할을 당연 한 것으로 수용하고 있었다. 둘째, 배우자 돌봄역할의 동기형성 및 유지에 관해 살펴보았다. 부부간의 친밀감과 정서적 애착이 깊을수록 동기부여는 강화되는 것으로 보였다. 또 돌보는 과정에서 의존자와 돌보는 자 사이의 소통과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이것이 돌봄관계를 지속하 는 기제로 작용하였다. 셋째, 가족관계에서의 사회적 지지와 재결속이었다. 넷째는 가족레질리 언스의 발견이었다. 초기에는 갈등을 경험하며 절망 속에 고통이 나타나지만 점차 시간이 지 나면서 가족구성원들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고, 현실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고 도움을 주려는 태 도로 서로 화합하게 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ring experience of elderly unhealthy women caring their spouses with chronic diseases constantly that is special interest of the maintenance-mechanism of their long-term care work.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elderly women aged 63-82 years to identify the following four key issues. First, most participants accepted caregiving for spouses as communal family consciousness and sex role stereotyping. Second, as for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caregiving motivation, deeper intimacy and affection of couple, more strong caregiving motivation is, and in the process of caregiving, communication and concenses between the dependent and caregiver were formed. Third, most participants family experience social support and re-union in the later process of caregiving. Lastly, most participants discovered family resilience in the later process of caregiving. the eariy srage, they experienced conflict and pained by hopeless, but realized value of family member, solved realistic hardship and combined in the manner of help over time.

      • KCI등재
      • 군인의 정신건강 문제 및 군상담의 현황 연구

        구승신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 2013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지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의무복무제도로 군에 입대한 병사들의 정신건강 문제를 고찰하고 군대가 현재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실태를 알아본 후에 군 상담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아가 군 상담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병사들의 정신건강 문제는 스트레스, 강박증, 공포불안, 대인민감, 신체화, 우울, 적대감, 정신증, 편집증, 자살 및 타살사고 등의 영역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군에서는 군인들의 정신건강 문제로 인한 사고사례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들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군의 특성에 맞도록 개발된 심리검사 활용, 고충상담소 운용, 1인 종교 가지기 운동, 자살예방 세미나, 분노 조절 프로그램, 계급별 간담회, 비전캠프나 그린캠프 등과 같은 부적응자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을 통한 상담 및 교육, 군 인성교육 등이 그 예이다. 우리나라의 군상담은 군인의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군조직 및 군 전투력 강화를 위해서도 매우 필요하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군상담 모형 개발 시 다음과 같은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첫째, 상담의 혜택을 받는 대상의 범위가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상담목표 측면에서는 부적응을 보이는 장병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제해결 및 업무 수행능력 향상 등의 치료지향적 관점과 더불어 성장지향적 관점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군상담은 조직차원에 관심을 두어 군조직의 인적 효율성 및 병영문화와 제도의 개선 등을 통해 군 조직을 변화시키고 군의 생산성을 제고하여 궁극적으로 군의 전투력을 최대화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구승신 한국국방연구원 2005 국방정책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신세대 병사들의 군 생활 스트레스, 신세대가치관, 부대의 정서적 환경에 대한 지각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특히 군 생활 스트레스와 신세대가치관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하는 정서적환경지각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신세대 병사 50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0을 이용,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군 생활 스트레스와 신세대가치관은 군 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정서적 환경지각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세대가치관과 군 생활 스트레스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서적 환경지각의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정서적 환경지각은 신세대 가치관이나 군 생활 스트레스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유의미하게 완충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신세대가치관이나 군 생활 스트레스로 인한 군 생활 적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정서적 환경지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대 지휘관에게 신세대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을 위한 예방과 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 군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국내외 연구를 중심으로-

        구승신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군사복지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우리나라의 병역제도는 의무병 제도로 헌법(제37조)과 병역법(제3조)에 의해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가지고 있는 성인남자라면 모두 국방의 의무를 이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한 해 평균 약 30만 명의 장병이 군에 입대하여 군 조직에 적응해야 하는 과업을 지니게 된다. 입대 병사들의 평균 연령층은 19~25세로 이 연령층의 세대들은 산업화를 통한 핵가족화와 사이버 공간을 통한 피상적인 인간관계에 익숙한 세대로 개인주의적인 성향과 자기주장이 강 하며 자신만의 뚜렷한 개성을 추구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최은진 외, 2012).

      • KCI등재

        아르바이트 청소년의 성장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구승신(Seung-Shin Koo)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청소년들이 아르바이트를 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것들과 그것의 의미를 탐색하고 특히 아르바이트를 통한 성장경험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조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연구 참여에 사전동의한, 평균 2년의 아르바이트 경험을 가지고, 현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경기도 거주 고교생 7명을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4월까지 심층면접을 하였다. 연구 결과 확인된 주요영역은 ‘아르바이트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찾아나서기’, ‘아르바이트의 고된 현실에 적응하기’, ‘아르바이트를 통해 성장경험하기’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에 대한 필요성은 소비욕구 충족, 가정경제 보조, 독립성 추구, 사교 및 여가, 자기성장 및 미래준비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적응은 업무 적응과 관련하여 ‘업무 익히기’, ‘견디어내기’ ‘능숙해지기’로, ‘관계’적응과 관련하여 ‘텃새에 적응하기’, ‘중단하기와 지속하기’, ‘유대감 형성하기’의 과정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를 통한 성장경험은 돈에 대한 합리적 관리능력 형성, 정신적 성장, 미래를 위한 준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ce and meaning of part-time job experience, in particular, to deduce growth experience through part-time jobs. This study is based on time-experience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developed by the van Manen. For this research,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by reviewing high school student part timer in Gyeonggi-do, those who had experience of average of two-year part time work or currently at work, and by undertaking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of them from the March to April of 2017 with the agreements of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Time-experiences, i.e. part-time job experiences of youths, can be arranged as the following subjects. ‘the feeling necessity part-time job and seeking it’, ‘adapting hard life of part-time’, growth-experiencing through part-time work. The necessities for part-time job are feeling up consumption needs, aidsing domestic economy, pursuing independence, social and leisure life, self growth and preparing for the future. Adapting of part-time jobs are mastering, enduring, skillfuling work related to work adatation, and enduring ostracizing of old members, stopping and lasting, building bonds related to relationship adaptation. Growth-experiencing through part-time work are formig rational management for money, mental growth, preparing for the futur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ugges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군 간부의 상담능력향상을 위한 상담교육 개선방안

        구승신(Seung-Shin Koo),윤호순(Ho-Soon Yoo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7

        본 연구는 군 간부의 병사상담 및 관리를 위한 상담능력의 한계를 제시하고 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군대내에서 이루어지는 상담교육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기존문헌을 참고하여 후기청소년에 해당하는 군대내 병사들의 군 생활 부적응으로 인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군대내 병사들과 밀착되어 생활하는 군 간부들이 병사들을 관리하는데 따른 어려움과 군대 내에서 이루어지는 상담교육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본 조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설문조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군 간부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빈도분석 하였으며, 설문조사 내용의 보완을 위해 3명의 군 간부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 자료를 질적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입대 전에 상담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군 간부들이 76.5%였고, 입대 후에도 상담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가 32.9%였다. 상담의 어려움을 호소한 경우가 61%였다. 군대 내에서 받은 상담교육에 대해 교육시간 부족과 이론중심 교육의 문제점을 언급하였다. 병사상담과 관련한 상담교육 내용의 개선방안으로 ‘병사들에 대한 이해’, ‘병사들의 문제파악’, ‘교육내용 적용’ 군 상담 기술’등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병사들의 군생활 부적응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병사들을 상담하는 군 간부의 상담능력과 기존 상담교육의 한계를 알아보고 상담교육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mprovements in current issues faced in counseling training within the military and also show limits in counseling capabilities of military officers who are in charge of leading and counseling their troops. In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made on this topic, we looked at issues rising from military troops who are mainly in their post-adolescents having difficulties in adopting themselves to military life style. We also studied current status of counseling within the military and the counseling difficulties faced by military officers who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troops.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00 military officers were surveyed for the frequency of the counseling sessions, and to supplement the surve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3 military officers and analyzed qualitatively. As a result of the survey and the in-depth interviews 76.5% of the military officers never had counseling training prior to joining the military and only 32.9% received counseling training after joining the military. 61% of the survey participants expressed difficulties in counseling their troops. Most of them expressed difficulties in lack of training and issues on theory based training. For the improvements following have been identified; understanding the troops, Identifying the problems, Execution of the training and Techniques for Military Training.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erms of identifying improvement areas in counseling training in the military through researching into current limits in military counseling and military officers counseling capabilities when the social issue of new troops having difficulties in adopting to military life style are on the r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