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외조부 홍봉한에게 보낸 정조의 편지 - 야마구치[山口]현립도서관 소장본 -

        구순옥 한국고전번역학회 2017 고전번역연구 Vol.8 No.-

        본 논문은 正祖(1752∼1800, 재위 1776∼1800)가 외조부 洪鳳漢(1713∼1778)에게 보낸 睿札과 御札 가운데 현재 야마구치[山口]현립도서관 소장본을 살펴본 것이다. 정조의 외가인 豐山 洪氏 집안은 영조․사도세자․정조 3대가 보낸 親筆과 서찰 등 도합 2094폭을 1806년 8월에 58첩으로 裝幀하였다. 이 가운데 야마구치현립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것은 영조의 手書 25폭을 엮은 1첩, 사도세자가 장인 홍봉한에게 보낸 예찰 26폭과 睿製 1폭을 엮은 1첩, 정조가 외조부 홍봉한에게 보낸 예찰과 어찰을 엮은 4첩, 정조가 홍낙신과 홍후영에게 보낸 예찰과 어찰 등을 엮은 5첩, 그리고 홍낙륜이 보관하고 있던 정조의 睿筆과 예제를 엮은 2첩으로, 모두 13첩으로 알려져 있다. 필자가 이 가운데 조사한 것은, 정조가 홍봉한에게 보낸 예찰과 어찰을 엮은 4첩과 홍낙신․홍후영에게 보낸 예찰과 어찰 등을 엮은 5첩으로 모두 9첩이다. 풍산 홍씨 집안에서 장정한 58첩 가운데 정조가 홍봉한에게 보낸 예찰 311폭과 睿詩 2폭, 어찰 15폭을 합한 328폭으로, 10첩이다. 이 가운데 현재 전하는 것으로 확인된 첩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의 1첩, 국립중앙도서관의 1첩, 야마구치현립도서관의 4첩으로 모두 6첩이다. 정조가 어린 시절부터 홍봉한에게 보낸 서찰은 단순히 수량만으로도 각별한 祖孫 관계임을 추측할 수 있게 하는데, 담긴 내용을 살펴보면 홍봉한에 대한 정조의 사랑과 배려를 더욱 잘 살필 수 있다. 정조의 서찰에 대한 기존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는 사실은 서찰에 등장하는 사연들은 상당수가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의 史料에 기록되어 있어, 서찰 하나하나가 매우 신뢰할 만한 사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홍봉한에 대한 정조의 각별한 배려는, 홍봉한이 사망한 이후에 그를 위해 쓴 祭文과 홍봉한의 서적 편찬, 諡號를 내리는 과정에서도 잘 나타난다. 이러한 정황이 담긴 역사문헌과 『홍재전서』 등과 아울러 현재 전해지는 서찰의 내용을 함께 살펴보면, 정조와 홍봉한과의 관계, 홍봉한에 대한 정조의 禮遇, 외가에 대한 정조의 배려, 홍봉한이 처한 정치적 상황, 이에 대한 정조의 조치 등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정조의 인간적 면모도 엿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첫째, 풍산 홍씨 집안에서 58첩으로 장정한 간찰첩을 정리하고 둘째, 야마구치현립도서관 소장본 가운데 정조의 간찰첩 9첩을 간략히 정리하고 셋째, 야마구치현립도서관 소장본 가운데 정조가 홍봉한에게 보낸 서찰 4첩의 내용을 당시 정조와 홍봉한의 정황과 함께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collection in the Yamaguchi Prefectural library, which is one of the Prince's letters and the King's letters King Jeongjo(1752∼1800, the period of reign 1776∼1800) had sent to his grandfather Hong bonghan(1713∼1778). King Jeongjo's mother's side of the family, Poongsan Hong's family, bound the 58 volumes of books and letters of three generations, King Yeongjo, Crown-prince SadoSeja, and King Jeongjo in August, 1806. It is known that the Yamaguchi Prefectural library possesses the total of 13 volumes out of them, which are each one volume of King Yeongjo's 25 autographic letters, one volume compiled with 26 letters and one writing Crown-prince SadoSeja sent to his father-in-law, 4 volumes compiled with the Prince's and the King's letters King Jeongjo wrote to Hong bonghan, his grandfather of his mother side, 5 volumes compiled with the Prince's and the King's letters of King Jeongjo to Hong nakssin and Hong huyeong, and 2 volumes compiled with King Jeongjo's writings that Hong nagyun had preserved. This study explores totally 9 volumes of the letters which contain 4 volumes with the letters King Jeongjo wrote to Hong bonghan and 5 volumes with King Jeongjo letters of to Hong nakssin and Hong huyeong. Ten volumes are also explored, which consist of 311 picture of letters, 2 picture of poems, and 15 picture of king's letters King Jeongjo sent to Hong bonghan. They are parts of the letters Poongsan Hong's family compiled. It is confirmed that a total of 6 volumes, which are one volume i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one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four in the he Yamaguchi Prefectural library, have been transmitted. The number of the letters King Jeongjo had written to Hong bonghan from his childhood causes supposition that he had a special relationship with his grandfather and the texts of the letters provide a glimpse of his love and consideration to Hong. The prior study on King Jeongjo's letters demonstrates that every single of his letters has significant meaning as remarkably reliable historical records since a decent number of the stories have been documented i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Seungjeongwonilgi≫ and ≪Ilsungrock≫. By the study of the contents of the letters in addition to ≪Hongjae-jeonseo≫ and other historical documents which contain the situation, they give a glimpse of King Jeongjo's honorable treatment for Hong bonghan,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m, his consideration for his mother's side of the family,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age, the measures King Jeongjo took to solve the harsh situation. This paper proposes to summarize Poem Albums compiled into 58 volumes by Poongsan Hong's family and briefly 9 Poem Albums of King Jeongjo out of collections in the Yamaguchi Prefectural library and to observe the contents of King Jeongjo's letters to Hong bonghan out of collections in the Yamaguchi Prefectural library.

      • KCI등재

        커뮤니티매핑 기반 참여적 환경지도 제작활동 효과

        구순옥,남상준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7 No.2

        In this study, this study aimed to grasp elementary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attitudes and characteristics regarding environments that were changed in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addressing problems of local environmental factors. For this,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d community mapping to create a local environmental maps and explored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ocial studies base on community environmental map making activities. For this reason,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created an environmental map using community mapping application “Mappler”. The map is created about the facilities in commun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over Georyu-myeon, Goseong-gun, Gyeongnam Province. In this process, the data was collected, recorded and then analyz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survey, group discussions, review writing,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become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s in their lives, and helped to stimulate their senses to environments and internalize eco-friendly cognition. Second, positive values and attitudes to the ground were formed through an understanding of local characteristics. Third, students’ interests in the environment and the resolu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were improved the empowerment as the main body of the local community. Forth, this method of learning through practical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the context of life what they learned and, thus, realized substanti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social studies. Community mapping is a new environmental education strategy that can adapt to the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but efforts to develop diverse platforms and educational content are needed for continuous utiliz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커뮤니티매핑을 활용하여 지역 환경지도를 만들면서, 지역의 환경 요인들과 관련 문제들을 탐구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변화한 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매핑 기반 환경지도 제작활동의 사회과 환경교육적 의의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생 17명이 경남 고성군 거류면 지역을 중심으로 환경 요인들과 시설들을 커뮤니티매핑어플리케이션인 mappler를 활용하여 환경지도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참여관찰 및 조사, 모둠 간 토의, 소감문 작성, 인터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 및 기록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학생들이 일상적인 공간에서 환경에 관심을 가지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주었고, 환경에 대한 민감성을 자극하여 친환경적 의식을 내면화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지역 환경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생들이 지역에 대한긍정적인 가치와 태도를 형성하였다. 셋째, 학생들이 지역의 주체로서 환경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환경문제 해결에 참여하여 임파워먼트가 향상되었다. 넷째, 학생들은 삶의 맥락 속에서 체험과 참여를 통한 배움을 통해 실제적인 사회과 환경교육을 가능하게 하였다. 커뮤니티매핑은 디지털 학습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새로운 환경교육전략이지만, 지속적 활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플랫폼과 교육콘텐츠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正祖의 세손시절 강론 문답 <春坊故事>에 대하여

        구순옥 근역한문학회 202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7 No.-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Chunbanggosa(春坊故事), which can be used to research the education of King JeongJo (1752~1800) when he was the Crown Prince. Chunbanggosa is a book containing letters of discussion between Jeongjo and Siganggwan(King's grandson’s teacher) when Jeongjo was unable to devate in person from 16 to 24 years old(1767~1775). This document shows how King Jeongjo worked on his lectures as the Crown Prince and demonstrates the process of academic development. However, until now, nothing has been studied or translated except for brief description. There are two versions of Chunbanggosa. Chunjeorok of Hongjaejeonseo contains 23 replies that Jeongjo sent to Siganggwan(King’s grandson’s teacher) and his subordinates when he was the Crown Prince. However, the date and recipient were not recorded, so it was not known when, to whom and for what reason that replies were sent. Fortunately, among these, 15 replies are included in Chunbanggosa. Hence, it is possible to know the date of sending, the recipient, and which letter replied to. Chunbanggosa contains debates on the Seven Chinese Classics the Four Books and the Three Classics, Yegi and ZizhiTongzian between Jeongjo and Siganggwan. Thus, it shows Jeongjo’s insight, questions and academic development, his devotion to study, and his courtesy to Siganggwan. 본고는 正祖(1752~1800)의 세손시절 睿學을 살펴볼 수 있는 <春坊故事>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춘방고사>는 1767년 16세부터 즉위하기 1년 전인 1775년 24세까지 정조가 춘방(세손시강원)의 시강관들과 書筵을 행하지 못할 때 서신으로 주고받은 질문과 답변을 날짜순으로 수록한 책으로, 세손시절 강학에 힘썼던 정조의 모습과 경학에 있어서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의 하나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간략한 해제 외에는 연구되거나 번역된 바 없으며, 기존 해제에서 편찬자 정의에 오류까지 있는 상태이다. 현재 <춘방고사>는 4개의 본이 전하는데, 3개의 본은 동일한 내용이므로 2종의 <춘방고사>가 남아있는 것이다. <홍재전서> 권3 「춘저록」에는 정조가 세손시절 시강관이나 신하들에게 보낸 23편의 답장이 수록되어 있는데, 발신일, 수신인 등이 기록되지 않아 언제, 누구에게, 어떤 이유로 보낸 것인지 알 수 없었다. 그런데 이 가운데 15편의 답장이 『춘방고사』에 수록되어 있어 발신일과 수신자, 또한 어떤 편지에 대한 답장인지를 알 수 있게 되었고 일부 오류도 발견되었다. 『춘방고사』에는 주로 사서삼경, 『예기』, 『자치통감』 등에 대한 정조와 시강관들의 강론이 담겨있어, 정조의 경전에 대한 식견, 의문점과 학문 발전 과정, 학문에 정진하는 모습, 시강관에 대한 예우 등을 엿볼 수 있다. 아울러 여기에 담긴 문장들은 정조와 시강관들 모두 자신의 학식과 견해, 주장을 논리적으로 서술하고 있어 훌륭한 문장으로서도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서연을 행하지 못할 때 중단 없이 학문에 정진할 수 있도록 서면으로 질의하고 답하는 시강원의 규례는 단지 형식적으로 행해진 의례가 아니라, 실제로 세손의 강학을 위해 행해진 한 가지 방편이었다. 『춘방고사』는 이런 사실을 명확히 보여주는 자료이다. 시강관들과의 강론을 주제로 기록한 『강서원일록』, 『왕세손강학설화』, 『서연강설』, 홍대용의 「계방일기」, 안정복의 「임진계방일기」·「갑오계방일기」 등과 아울러 살펴보면, 정조 8세부터 즉위하기 직전까지의 예학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思悼世子를 위한 교육서 『常訓輯編』에 대한 고찰

        구순옥 한국고전번역학회 2019 고전번역연구 Vol.10 No.-

        This study considered ‘Sanghunjippyeon’ edited by Jeong Hang-Ryeong in 1757 for the education of Crown Prince Sado. The word ‘Sanghunjippyeon’ means weave together and collected ‘Sanghoon[an ordinary but invariable teaching]’. On June 8, 1745, the anniversary of King Sukjong's death, King Yeongjo wrote ‘Sanghoon’, describing the eight virtues that kings must observe and he gave to the Crown Prince Sado. Jeong Hang-Ryeong made 8 articles of ‘Sanghoon’ as a grouping and subdivided them into 52 articles and collected 1133 works, actions, institutions, and anecdotes of the great kings of Joseon and added his views. So He edited ‘Sanghunjippyeon’. To date, several papers have looked at the preamble to ‘Sanghunjippyeon’ and the table of contents, and mentioned it as a King`s Educational book. They also mentioned it as a result of the active compilation of educational books in the era of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However, none of the studies have been independently illuminated based on specific details. And there is nothing about Jeong's life except that it is simply arranged based on his career. Therefore, this paper looked at the first, it examined Jeong Hang-Ryeong and his records on his ‘Sanghunjippyeon’ and ‘Joseon Mapbook’ to look at his life and his assessment of his books. Second, the bibliography of ‘Sanghunjippyeon’ which has a complete system as an educational book, compilation background, form and content. Third, it tried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the Crown Prince's Educational book. The royal educational books of the Joseon Dynasty were first compiled by compiling Chinese Confucian scriptures, history books or rules. It gradually changed into a form of sorting out Joseon's past and institutions, politics and law. So they formed a self-reliant, independent form. “If you want to follow the example of the King Yo and the King Soon, you should follow your ancestor.[當法祖宗, 欲法堯舜]” is the core of ‘Sanghunjippyeon’. Therefore, Jeong Hang-Ryeong faithfully selected anecdotes from King Taejo to King Sukjong and added his own opinions to fully equip himself with the form of the educational book. 본고는 思悼世子(1735∼1762)의 輔導를 위하여 鄭恒齡(1710∼1770)이 1757년(영조 33) 12권으로 편찬하여 올린 『常訓輯編』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상훈집편』은 『상훈』을 보충할 수 있는 전고를 모아 엮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1745년 6월 8일 英祖는 肅宗의 기일을 맞이하여 후대 왕들이 지켜야 할 덕목을 敬天, 法祖, 惇親, 愛民, 祛黨, 崇儉, 勵精, 勤學 8조목으로 나누어 총 2880자의 『상훈』을 지어 세자에게 내렸다. 정항령은 『상훈』의 8조목을 편목으로 삼고 총 52조목으로 세분화하여 조선의 선대왕들의 업적, 행적, 제도, 일화 등 1133개의 전고를 나누어 수록하고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 『상훈집편』을 편찬하였다. 지금까지, 『상훈집편』은 몇몇 논문에서 서문과 목차, 내용 등을 참조하여 군주학 서적으로, 영·정조 시대의 활발한 교육서 편찬의 결과물로 언급되어 왔으나 구체적 내용을 바탕으로 한 단독 연구는 없다. 그리고 정항령의 생애에 대해서도 官歷 위주로 정리된 약술 외에는 연구된 바 없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첫째, 정항령과 그의 『상훈집편』, 『조선지도첩』 등에 대한 기록을 통하여 정항령의 생애와 저서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고, 둘째, 『상훈집편』의 서지사항, 편찬 배경, 형식과 구체적 내용 등을 살펴보고, 셋째, 왕세자 교육서로서 온전한 체계를 갖추고 있는 『상훈집편』의 의의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조선의 왕실 교육서는 중국의 유교경전과 역사서 또는 조칙 등을 정리한 형태에서 조선의 典故와 제도, 정치, 법도 등을 정리하는 형태로 변하여 점차 독자적인 모습을 이루어갔다. 이러한 변화 과정 속에서 정항령은 “요순을 본받고자 한다면 마땅히 조종을 본받아야 한다.[欲法堯舜, 當法祖宗.]”를 『상훈집편』의 강령으로 삼아, 태조부터 숙종까지의 전고를 충실히 발췌하고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 체계적이며 조선의 독자적인 왕세자 교육서를 완성하였다.

      • KCI등재

        제왕학(帝王學) 교본 편찬의 역사적 고찰-『정관정요』와 『대학연의』를 중심으로-

        구순옥 ( Ku Soonock ),신창호 ( Shin Changho ) 한국교육사학회 2016 한국교육사학 Vol.38 No.3

        본고는 고대 중국과 한국의 고려·조선에서 시행된 제왕(帝王) 교육과 그에 사용된 제왕학 교본의 편찬 의의를 역사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동아시아 유교 전통 사회에서 제왕 교육으로 시행된 경연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교육 활동이다. 제왕이 직접 참여하는 경연에서의 강의와 강론에는 교본이 필요하였고, 교본 편찬은 제왕의 지대한 관심 속에서 진행되었다. 제왕학의 교본으로는 『정관정요』와 『대학연의』가 많이 활용되었다. 『정관정요』와 『대학연의』는 고려 때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여러 제왕들이 자신의 수양은 물론 국정 전반에 걸쳐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였다. 특히, 성리학이 확립된 후 저술된 『대학연의』는 조선에서 끊임없는 수정 보완을 거치며 제왕학 교본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고, 고종 때는 『국조대학연의』라는 순수 조선판 제왕학 교본을 편찬하기에 이르렀다. 제왕학은 현대적 의미에서 국가 최고지도자의 학문에 해당하고, 최고지도자 교육을 위해 제왕학 교본을 편찬한 것은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국가 지도자가 정치철학을 확립할 때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는 점과 지도자 철학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려는 지속적 학문 연구가 중요하다는 점, 그리고 지도자 철학은 궁극적으로 자국의 상황에 부합해야 한다는 점을 지시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icat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Je-wang(帝王; emperor or king) education, as implemented in the Koryeo and Cho-sun dynasties of Korea and the ancient China, as well as the publication of Je-wang-hak(帝王學; philosophy for emperor or king) textbooks. Kyung-yeon(經筵; emperor or king`s practice of learning and governance with government officials), a Je-wang education program in the Eastern Asian society, entrenched in Confucian tradition, was an important national educational program. In Kyung-yeon, in which the Je-wang himself had participated, textbooks were needed for lectures and sermons. Je-wang cared deeply about the process of the publication. Jung-kwan-jung-yo and Dae-hak-yun-eui were frequently utilized as Je-wang-hak textbooks. Notably, since the establishment of Neo-confucianism, Dae-hak-yun-eui, went through countless numbers of supplementary revision processes and, finally, obtained its status as the main Je-wang-hak textbook. Je-wang-hak is a modern equivalent of the studies of the leader, and the publication of ``Je-wang-hak`` textbooks for the leader education admits significant implications: The leader of the country should make strenuous efforts in establishing his or her political philosophy; the leader should continuously engage in academic research in order to enrich the contents of his or her philosophy of leader; the leader should see to it that his or her philosophy reflects the reality.

      • KCI등재

        제왕(帝王) 교육서로서 [정사휘감(正史彙鑑)]의 편찬과 구성상의 특징

        구순옥(Ku, Soon-Ock),신창호(Shin, Chang-Ho)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3

        본고는 홍봉한(洪鳳漢, 1713∼1778)이 자신의 외손인 이산(李; 正祖)의 예학(睿學)을 위해 강학 자료로 만든 정사휘감(正史彙鑑);을 고찰한 것이다. 홍봉한은 정사휘감;서(序)에서 경서(經書)는 도(道)를 말하고 역사서는 일을 기록하는데, 도와 일은 비록 다르지만 그 지향(志向)은 하나이므로 역사서를 익히는 것은 경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역사서가 방 대하여 왕세손이 제왕가(帝王家)의 바쁜 일과를 수행하는 가운데 제대로 익히지 못할 것을 염려하여 ;정사휘감을 편찬했다고 그 취지를 밝히고 있다. 그는 강감회찬(綱鑑會纂)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자치통감(資治通鑑)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 명사강목(明史綱目)등 당우(唐虞)로부터 명나라에 이르기까지 역대 왕들의 전고(典故)를 살핀 후, 34개 조목의 주제 아래 법조(法條)와 계조(戒條)를 배치하였다. 법조는 모범으로 삼을 일을 모아 557장으로 분류하였고, 계조는 경계로 삼을 일을 모아 312장으로 분류한 것인데, 홍봉한은 이를 찬집(纂輯)한 후 끝 부분에 ‘근안(謹按)’으로 시작하여 ‘염재염재(念哉念哉)’로 끝나는 자신의 글을 덧붙였다. ‘근안’에서는 찬집한 전고의 주제에 대해 개괄적으로 정리하고 조선의 선대 임금과 인물의 전고를 간략히 서술하여 다시 주제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왕세손에게 치국(治國)의 도 리를 체득할 것을 당부하는 형식을 갖추어, 제왕의 교육서로서 충실한 면모를 드러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Jeongsa Hwigam(正史彙鑑) that was written by Hong Bong-Han(洪鳳漢, 1713~1778) as a teaching material for the education of crown prince, his grandson, King Jeongjo. Hong Bonghan clarified his intent in preface of Jeongsa Hwigam Seo that ‘Chinese classics deal with reasons of the world, whereas history books do with things in the world. Reading history books is helpful to understand Chinese classics. However, I compiled this Jeongsa Hwigam for fear that the eldest sone of the Crown Prince would fail to read voluminous history books under the pressure of the dynasty administration.’ He researched authentic precedents of chinese kings of many generations from Dangwoo(唐虞) to Ming Dynasty in chinese classics of his time such as Ganggamhoyichan(綱鑑會纂), Chunchuzhyageon(春秋左氏傳), Jachitonggam(資治通鑑), Sok Jachitonggam(續資治通鑑) and Myeongsa Gangmok(明史綱目) to classify them into 557 sections of legal provisions and 312 sections of Justice, then added comments in the format of starting with ‘geunahn(謹按)’ and ending in ‘Yeomjae yeomjae(念哉念哉)’ to every chapter of them. Generally arranging the themes of authentic precedents which were researched from ‘geunahn’ and mentioning the importances of themes of authentic precedents set by kings of Joseon dynasty, it displays the aspect of educational books which advise the eldest sone of the Crown Prince to comprehend the ways of governing.

      • KCI등재

        왕세자 교육서 『어제십잠발휘(御製十箴發揮)』에 대한 고찰

        구순옥(Ku Soon Oc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敎育思想硏究 Vol.32 No.4

        본고는 지금까지 소개된 바 없는 『어제십잠발휘(御製十箴發揮)』의 내용과 형식, 저자, 저술 배경 등의 고찰을 통하여 왕세자 교육서로서의 의의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어제십잠발휘』는 1책 42장의 필사본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있는데, 서지사항만 간략히 기록되어있는 상태이다. 이 책은 세자익위사 시직(世子翊衛司 侍直)이었던 동애(東厓) 이협(李浹, 1663〜1737)이 효장세자(孝章世子, 1719〜1728)를 보도(輔導)하기 위하여 1728년(영조4)에 편찬한 것이다. 1694년(숙종 20) 숙종(肅宗)은 당시 세자였던 경종(景宗)을 위하여 국왕이 갖추어야할 덕목을 담은 「어제십잠(御製十箴)」을 친히 지어 세자에게 하사하였다. 이협은 숙종의 「어제십잠(御製十箴)」을 덕목별로 나누어 먼저 제시하고, 경전(經傳)과 역사서에 담긴 성현(聖賢)의 격언과 역사적 사실 가운데 본받아야할 전고(典故)와 경계해야할 전고 등을 발췌한 190여 개의 전고를 덕목에 따라 나누어 열거하고, “신근안(臣謹按)”으로 시작하는 자신의 문장을 덧붙여 『어제십잠발휘』를 편찬하였다. 그리고 발문(跋文)의 말미에서 자신이 엮은 책이 세자의 강학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드러내었다. 이 책의 특징은 첫째, 기존에 세자 교육서로 사용하던 중국의 경전(經傳), 역사서 등에 만족하지 않고 개인이 독자적으로 편찬한 세자 교육서라는 것이다. 둘째, 10세의 어린 세자에게 맞추어 긴요하면서도 이해하기 쉬운 요체를 모아 1책으로 간략하게 편찬한 교육서라는 것이다. 셋째, 중국 경서의 내용을 요약하거나 주제로 삼아 부연한 기존의 편찬 서적과 달리, 숙종이 세자를 위해 지은 열 가지 잠언을 주제로 삼아 부연하여 매우 자주적이고 독특한 형식을 취하였다는 것이다. 넷째, 영조조(英祖朝) 후기에 국왕과 세자를 보도하기 위한 군주학 서적이 활발하게 편찬되었는데, 이 책은 조선 후기 영·정조 시대의 세자 교육과 교육서 편찬 경향의 일면과 아울러 조선의 교육서 편찬의 흐름이 어떠했는지의 일면을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forms, author and the writing background of Eojaesipjambalhwi which has never introduced until now as Educational Books of the Crown Prince. Eojaesipjambalhwi is the manuscript of 42 page in one book kept in Jangseogak Library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but written as almost bibliographic data. This book was compiled by Lee Hyup who was SeJaIkWeeSa SiJik to protect and guide Prince Hyojang. In 1694, King Sukjong granted Eojaesipjam to his son King Gyeongjong which was written by him about the virtues of the king. Lee Hyup’s Eojaesipjambalhwi, which was added his word “In my opinion(臣謹按)” to King Sukjong’s Eojaesipjam, has the teaching of the sages in many scriptures and history books and over 190 of lessons and warnings from historical facts. He expressed his wish that his book would be a help for Education of Prince at the end of the book’s epilogue. This book has three characters. The first one is that this book is a brief compilation of one book which presents the easy-to-understand essence as Educational Books of the Crown Prince. Another is that it was written in a unique form on 10 proverbs which King Sukjong made for his son Prince unlike existing compiled books as summary of explan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The other is this book can help you understand the trends in publishing education, considering the monarchy books were actively compiled to educate and guide the king and the Prince in the Yeongjo period.

      • KCI등재

        송병순(宋秉珣)이 편찬한 교육서 『학문삼요(學問三要)』에 대하여

        구순옥 ( Ku¸ Soon-ok ) 한국교육사학회 2023 한국교육사학 Vol.45 No.3

        본고는 근대 유학자이며 교육자, 순국지사인 송병순(宋秉珣, 1839~1912)의『학문삼요』를 살펴보고 편찬의 의의를 밝힌 것이다. 『학문삼요』는 학문의 요체를 독서, 존양성찰(存養省察), 천리(踐履) 세 가지로 규정하고 주희, 이황, 이이, 김장생, 송시열의 글 가운데 핵심적인 내용을 채록하여 1891년(고종 28) 그의 나이 53세 때 편찬한 교육서이다. 송병순은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9세손으로, 가학을 바탕으로 큰아버지 송달수(宋達洙, 1808∼1858)의 학맥을 계승한 유학자로, 그의 형 송병선(宋秉璿, 1836~1905)과 함께 연재학파를 형성하여 1,100명의 직전 제자를 양성한 교육자이다. 그간 학계에서는 이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데, 대부분 그들의 생애와 민족운동, 연재학파 형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우국지사라는 관점에 치우쳐 그들이 남긴 저술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송병순은 35권 15책의 문집 『심석재집(心石齋集)』과 『학문삼요』, 『주서선류(朱書選類)』, 『고금필첩(古今筆帖)』, 『사례축식(四禮祝式)』, 『용학보의(庸學補疑)』 등 많은 저술을 남겼지만, 번역이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간략한 해제작업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작품도 있다. 이 저술들은 그의 학술과 사상, 강학 활동 등을 실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들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유학자, 교육자로서의 모습을 조명할 필요가 있다. 현재『학문삼요』는 다수의 목판본과 필사본이 남아있는데 1903년, 1907년, 1927년 3차례 간인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편찬 취지와 과정, 구성과 방법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당시 조선의 국권은 상실되어 가고 서학이 유입되어 정통 유학의 권위는 무너지고 기존의 유교적 질서는 붕괴되는 상황 속에서 송병순이 선현의 저술 가운데 학문의 요체를 담은 글을 발췌하여 편찬한『학문삼요』는 바로 독서를 통해 배우고 타고난 본성의 회복하고 자신을 살피며 이를 실천하는 유교적 학문을 되살리고자 한 바람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Song Byung-soon(宋秉珣, 1839~1912)’s Hakmunsamyo(『學問三要』) and reveals the significance of the compilation. Hakmunsamyo defines the essence of study as reading(讀書), chonyangsongchal(存養省察), and practice(踐履). Hakmunsamyo was compiled by selecting important contents of Zhu-xi(朱熹), Yi Hwang(李滉), Yi I(李珥), Kim Jang-saeng(金長生), and Song Si-Yeol(宋時烈)’s writings. Song Byung-soon compiled this educational book in 1891 (the 28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when he was 53 years old. Song Byung-soon was a Confucianist who was the 9th generation descendant of Song Si-yeol (1607-1689). Based on his family learning(家學), he succeeded his uncle, Song Dal-Soo’s(宋達洙, 1808∼1858). Song Byung-soon formed a Yeonjae school(淵齋學派) with his brother Song Byung-seon(宋秉璿, 1836-1905) and trained 1,100 disciples. Song Byung-soon left many writings, including Collections of Simseokjae(『心石齋集』), Hakmunsamyo(『學問三要』), Selected collection from Zhu-xi(『朱書選類』), and Yonghakboui(『庸學補疑)』. These writings are valuable evidence that could substantially demonstrate Song Byung-soon’s academic, ideological, and lecture activ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hed light on his appearance as a confucianist and educator through study on writings. Currently, there are many woodblock prints and manuscripts of Hakmunsamyo, which were printed in 1903, 1907, and 1927. This paper examines purpose and process of compilat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Hakmunsamyo. When Hakmunsamyo was compiled, national sovereignty was weakened and western studies were introduced, and the order of Confucianism was collapsing. This book is the result of Song Byung-soon’s wish to revive Confuci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