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작패턴을 통해 본 점토대토기의 변천 -사천 방지리유적을 중심으로-

        구숙현 한국청동기학회 2022 한국청동기학보 Vol.30 No.-

        원형점토대토기에서 삼각형점토대토기로의 변천과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변화는 단연 구연부의 형태와 제작기법이다. 지금까지 단면형태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점토대토기 변천의 요인에 주목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고에서는 점토대토기의 구연부에 내포된 제작규범과 상징적의미에 주목하여 구연부의 변천이 일어나게 된 요인을 추론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사천 방지리유적에서 출토된 점토대토기로, 구연부의 제작기법을 분석하여 점토대토기 제작패턴의 개념을 설정하고 단면형태와 내면형태, 지두흔과 정면흔의 조합을 통해 제작패턴을분류하였다. 제작패턴은 점토대토기 구연부가 어떠한 의도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제작되었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점토대토기 구연부의 성격을 파악하고 점토대토기의 변화를 이해하는 토대가 된다. 이를 통해 도출된 제작의도에 범형의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원형점토대토기와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제작은 유기적이며, 점토대토기의 변화는 구연부 제작방식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것임을알 수 있었다. 점토대토기의 구연부는 제작자, 나아가 집단의 정체성이 표현되는 부분으로, 일종의 상징적인 의미가 부여되어 있다. 원형점토대토기는 점토대의 형태를 원형으로 유지하려는 제작규범 하에서 제작되었으며, 삼각형점토대토기로의 변화 요인은 이러한 제작규범의 약화로, 제작규범의 약화는 점토대토기 구연부에 대한 제작집단의 관념과 구연부 제작의 편의성에 대한 인식이 맞물려 일어난 것이다. 결국 원형에서 삼각형으로의 변화는 외래계 요소의 영향이나 이주민에 의한 결과가 아니라 동일 집단내에서의 변화라 볼 수 있다. The most important change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round-shaped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to triangular-shaped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are by far the shape and production techniques.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o far, it is true that there was little interest in the factors of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change. The original purpose of this work was to infer the factors that caused the change of the old part by paying attention to the manufacturing rule and symbolic meanings contained in the old part of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The research target is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excavated from Sacheon-Bangjiri site, where continuity is recognized among the sites where round-shaped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and triangular-shaped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are identified, and the concept of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production patterns was established. The production pattern shows how the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was constructed from intention and in some way, and serves a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mouth of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and changes in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the pan-shaped design, the production of round-shaped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and triangular-shaped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was organic, and the change in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was caused by the change in the method of making the structure. The composition of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is an expression of the identity of the manufacturer and the group, and it is assumed that the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was produced under the manufacturing rule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clay stone. The reason for the change to triangular-shaped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is the weakening of these manufacturing rule, which coincided with the production group's notion of rims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and the perception of the convenience of fabrication. After all, the change from circle to triangle is no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exotic elements or to the consequences of immigrants, but rather to within the same group.

      • KCI등재

        삼각형점토대토기 제작의 특성과 함의

        구숙현,이창희 호남고고학회 2023 湖南考古學報 Vol.73 No.-

        점토대토기는 구연부의 형태적 변이가 매우 다양한 것이 특징적이다. 특히 삼각형점토대토기는 점토대를 기벽에 붙이기 위해 압력을 가하는 부분에 따라 다양한 단면형태가 나타난다. 지금까지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제작과정과 기술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부족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유물의 면밀한 관찰과 제작실험을 병행하면서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제작기술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제작공정 내 제작기술은 매우 다양한 경우의 수가 있고, 제작자에 따라 채택 및 조합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삼각형점토대토기 제작의 특성에 접근할 수 있는 속성을 추출하였다. 사천 늑도유적과 광주 신창동유적을 대표유적으로 선정하여, 양 유적에서 출토된 삼각형점토대토기를 대상으로 분류·분석한 결과 규범성을 가지며 제작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정형성의 정도와 경향성 등 유적 간 상사성과 상이성이 도출되었다. 삼각형점토대토기 제작의 특성을 고찰하고 본질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제작의도’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의도에 따라 구연부에 허용된 형태적 자율성은 제작기술의 다양성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또한 제작행위의 전승 및 학습, 제작자 간의 상호작용 등의 정도에 따라 제작자 개개인을 아우르는 집단별 경향성으로 드러난다. 이것이 삼각형점토대토기 제작의 특성이며 삼각형점토대토기의 본질적 성격을 정의하는 배경이 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야말로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출현에 대해서도 새로운 시점(視點)으로 해석해 낼 수 있는 시점(始點)이 된다.

      • KCI등재

        원형점토대토기문화 취락의 특징과 의미

        구숙현(Sook Hyun Koo) 부산고고학회 2023 고고광장 Vol.- No.32

        점토대토기문화는 중국 요령지역으로부터 이주해 온 문화(집단)로 전제되고 있다. 기원지에서의생활방식을 지닌 채 이주한 이주문화는 이주지에서 새로운 환경 및 상황과 맞닥뜨리게 되며, 그로인한 다양한 흔적을 남긴다. 이주문화가 이주지에서 어떠한 양태로 문화를 영위해나가는지 규명하기 위해서는 문화가 정착해나가는 과정 중에 있음을 끊임없이 의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점토대토기문화 취락을 정착 과정의 視點에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점토대토기문화의 최초 등장지로 여겨지고 있는 한반도 중서부지역을 공간적 범위로 삼고, 원형점토대토기문화 단계 취락을 대상으로 하여 분포와 입지, 유구 구성과 배치, 성격, 주거 및 노, 기타 내부 시설 등 취락구조를 검토하였다. 취락 간 구성 및 배치, 성격 등 전체적인 유사성을 통해 취락을 유형화하고 검토한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특징을 도출하였다. 원형점토대토기문화 취락은 기획의 개념을 공유하지만, 집단의 확산과정에서 맞닥뜨리는 변수 등에 따라 상황에 맞는 양태의 취락을 형성한다. 이에 취락은 구성과 배치 등을 통해 유형화될 수 있지만, 주거 내부구조 등에서 또한 다양성이 확인된다. 중서부지역 점토대토기문화 취락은 이주문화가 확산 및 이동하고 정착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양상을 보여주며, 나아가 입지적 특징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원형점토대토기문화 취락의 특징과 그 의미는 정착과정의 시점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둘 때 해상도 높은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is premised as a culture (group) that has migrated the Liaoning region of China. The migrant culture, which migrated with a lifestyle in the origin, encounters new environments and situations in the migration area, leaving various traces. It is important to constantly be conscious that the culture is in the process of settling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culture of migration is carried out in the place of migration. With these points in mind, this paper attempted to consider the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settlement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ettlement process. Set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place of clay earthenware culture, as the spatial scope, and target the settlement at the stage of pottery with round clay band rim. The settlement structure was carefully examined, distribution and location,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remains, characteristics, dwellings and hearth, and other internal facilities, etc. Through the overall similarity of the composition, arrangement, and character of the villages, the villages were categorized and the reviewed factors were analyzed in a complex way to derive various characteristics. The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settlement shares the concept of planning, but forms a settlement suitable for the situation depending on the variable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spreading the group. Accordingly, settlements can be categorized through composition and arrangement, but diversity is also confirmed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ouse.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settlement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 show patterns that can appear in the process of spreading, moving, and settling migrant cultures, and furthermore, location characteristics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settlement will be able to be interpreted with high resolution when various possibilities are left open at the time of the settlement process.

      • KCI등재

        청동기시대 후기 문화변용과 인구변동 -금강·만경강유역의 양상에 기초하여-

        이창희,구숙현 중부고고학회 2022 고고학 Vol.21 No.1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tact and acculturation between residents and migrants in the process of contacting Songguk-ri culture and the pottery with clay band rim culture in the late Bronze Age. This content was approached with a new theme of population dynamics. Since this aspect is most prominent in the Geumgang River and Mangyeonggang River basin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target area was limited and reviewed. In fact, the contact aspect between residents and migrants in the Geumgang and Mangyeonggang basins were revealed in various ways. The causes vary widely. There are various causes such as the landscape of the migration site, the livelihood of the residents, the size of the residential settlement such as pivotal settlement and general settlement, the continuous inflow and interval of migrants, and the nature of migrants. In the target area, extreme quantitative inequality occurs between settlements and tombs. Therefore, first, a hypothesis wa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of gaps. The population in the late Bronze Age was estimated through the ratio of tombs to dwellings and the availability of tombs in the middle of the Bronze Age. As mentioned in the text, this method contains many problems, but it is judged to be close to the minimum. What is clear is that there is a village where migrants lived, and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the Bronze. It can be assumed that the village where their descendants lived and the two to three generations of mixed blood with the residents. If they have a living place and a workshop, of course there will be tombs nearby, and it is reasonable to see these places as a whole. The 259 tombs of the early Iron Age in existence measure the population more than expected. By integrating the above, the hypothesis of population dynamics in the Geumgang and Mangyeonggang basins in the late Bronze Age was established. The key point is that the inflow of migrants, the increase in population due to their settlement and spread, partially offset the population decrease of residents already in progress. In this process, a very important discourse is raised in which migrants become residents. This hypothesis could also be a clue to how to solve the process of collapsing of Songguk-ri culture. Since the basic archaeological context of the target area is still very insufficient, it is very difficult to access the answer to the subject of population dynamics. The hypothesis we proposed in this paper was also proposed to the effect that related researchers should put their heads together to think about it, and we tried to present various issues as much as possible. 본 논문은 청동기시대 후기 송국리문화와 원형점토대토기문화의 접변·전환 과정에서 일어난 재지민과 이주민의 접촉, 문화변용을 인구변동이라는 새로운 주제로 풀어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 양상은 한반도 남부에서 금강·만경강유역에서 가장 두드러지기 때문에 대상지역을 한정하여 검토해 보았다. 재지민과 이주민의 접촉 양상은 다양하게 드러났으며, 그 원인에 대해서는 이주지의 경관과 재지민의 생업, 재지취락의 규모, 이주민의 지속적인 유입과 그 간격, 이주민의 성격 등 다양하게 접근해야 한다. 청동기시대 후기 탄소14연대의 편중, 생활유적과 분묘유적의 편중은 남한 전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연구 대상지역 역시 취락과 분묘의 극심한 불균등 현상, 인구 공백의 문제가 현재화(顯在化) 되고 있다. 인구 추산을 위한 유구와 유물의 정량적 평가가 불가능한 시점에서 중기의 주거지 대 분묘 비율과 분묘 가용율을 통해 후기의 인구수를 추정해보았다. 분명한 점은 이주민이 생활했던 마을이 있다는 사실이며, 그들은 청동기 생산과 직접적 관련이 있다. 그들의 자손이 거주했던 마을과 재지민과의 혼혈 2~3세대에 대해충분히 가정해 볼 수 있다. 그들의 생활 장소와 작업장이 있으면 당연히 그 가까이에 무덤이 있을 것이며, 이 장소들은 일체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현존하는 259기의 초기철기시대 무덤은 상상하는 이상으로 많은 인구를 가늠케 한다. 이상을 종합하여 청동기시대 후기 금강·만경강유역의 인구변동 가설을 세워보았다. 그 핵심은 이주민의 유입, 그들의 정착과 확산으로 인한 인구 증가분이 이미 진행되고 있던 재지민의 인구 감소분을 일정 상쇄시킨다는 것이다. 외부로부터 유입된 원형점토대토기인이 재지문화와의 접촉을 통해 한국식 청동기문화를 구현해 내면서 내재적 발전을 거듭하는 모습이 바로 본고에서 말하는 문화변용이다. 이 과정에서 이주민이 재지민이 되어가는 매우 중요한 담론거리를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가설은 송국리문화의 와해 과정을 어떻게 풀어야 할지에 대해서도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網痕土器의 機能論的 연구

        이창희,구숙현 숭실사학회 2016 숭실사학 Vol.0 No.37

        청동기시대부터 삼국시대에 걸친 오랜 기간 동안 대형의 호형토기 중에는 마치 그물과 같은 흔적이 남아 있는 토기가 있다. 이러한 토기를 망흔토기라 명명하고 망의 기능과 토기의 용도를 추정해 보았다. 같은 기종과 법량의 토기가 공존함에도 불구하고 망의 유무는 망흔토기의 차별적 용도를 의미한다. 망흔토기가 출토된 유구와 출토 양상, 토기 자체의 분석과 망흔의 관찰 등 종합적 검토를 통해 망흔토기의 용도는 액체류를 담는 용기, 중에서도 특히 대표적인 용도로서 酒壺로 추정해 보았다. 또한 기종과 크기에 따라 食水의 보관과 물동이, 두레박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망 역시 용기의 보호와 이동, 酒器의 표시 등 복합적 기능을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망흔토기는 청동기시대에 곡물 재배 농경이 본격화되면서 등장한다. 농경사회에서 술은 한 집단의 우두머리(chiefdom)와 구성원이 호혜(reciprocity)의 원리를 실천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동시에 농경사회에 필수적인 협업을 통한 노동에도 農酒와 勞動酒로서, 취락의 공식행사 및 축제, 매장의례를 비롯한 각종 의례 등에도 빠질 수 없었을 것이다. 망흔토기는 酒壺의 용도로서 선ㆍ역사시대의 釀造文化의 一面을 보여주는 고고자료라고 할 수 있다. 본고의 기능론적 접근은 古代의 釀造史 복원에 始原的인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From the bronze ag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re are a pottery that have a feature such as a net. We named the pottery 'Net pattern pottery' and then estimated its function and purpose. Net pattern pottery is a vessel for liquid, especially for drinking. They have various uses in accordance with type and size. They are used for a variety of reason like a storage of water, a water jar and a bucket. A net of it offered complex functions as pottery protection, movement and the mark of vessel for a drink. It appeared regularly in agriculture during the bronze age. In agriculture societies, drink is essential for chiefdom and members to practice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A drink also served farming practices as well as occasional festivals and burial ceremonies. Net pattern pottery is archeological materials that show a part of brewing culture during prehistoric/historical period. This paper will provide the beginning of ancient brewing history.

      • KCI등재

        오존과 생물활성탄에 의한 합성세제 제거 특성 연구

        김동윤,이재인,구숙현,권진형,임진경 대한상하수도학회 2000 상하수도학회지 Vol.14 No.1

        In this article, the removal of surfactant by ozone and BAC was studied. Batch and pilot tests were carried out for these studies. In batch tests, efficiency of ozone oxidation process was evaluated for LAS(Linear Alkylbenzen Sulfonate) and SLS(Sodium Lauryl Sulfate) removal. Under oxidant conditions, the removal of LAS was more effective than of SLS. The removal of surfactant was more enhanced with increasing pH in oxidant systems. Pilot tests are carried out with BAC single process and ozone oxidation/BAC combined process. The removal of LAS was more effective in ozone oxidation/BAC combined process than BAC single process about 10∼20%. In the case of SLS, the efficiency of BAC single process was similar to that of ozone oxidation/BAC combined process. According to temperature, the removal efficiency of SLS changed from 70% to 95% and initial concentration of surfactant had no effects on removal efficiency of SLS under applied temperature above 1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