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lobal Korea와 동아시아 다자안보협력체제

        구본학(具本學, KOO Bon-Hak)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9 신아세아 Vol.16 No.4

        탈냉전 시대 안보문제의 특징은 강대국간의 대규모 전쟁 위험은 사라졌지만 인종 및 민족분규, 테러리즘, 환경문제, 인권문제, 자원문제, 해적 및 마약문제 등 다양한 종류의 갈등이 분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상존하는 반면, 강대국 또는 어느 일국의 노력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동안보 또는 협력안보의 관점에서 문제를 접근할 필요가 있다. 탈냉전 이후 동아시아에서도 다자안보협력에 관해 많은 논의가 있었으나, 역내 국가들간의 상호신뢰 부족 또는 공동의 이해관계 부족으로 인해 아직 초보적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북한 핵문제 역시 동아시아 다자안보협력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역내에서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을 비롯하여 국방장관회의인 아시아안보회의(일명 샹그릴라대화) 등 다양한 다자안보대화 채널이 가동 중이다. 또한, 한중일 및 미중일 등 3자 중심의 소다자주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입장에서 볼 때, 동아시아 다자안보협력체제는 북한의 핵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그리고 통일을 촉진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나아가 역내 국가들간의 군사적 투명성과 신뢰를 구축할 수 있는 매커니즘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테러리즘과 마약문제 및 환경오염 등 다양한 초국가적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동아시아 국가들의 역사적 경험은 다자안보협력에 대해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보다 많은 접촉과 대화를 통해 상호 이해를 제고하고 공동체 인식을 확대해 나갈 경우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ost-Cold War era, the possibility of armed conflict between the two super-powers has been significantly reduced, but there exist new sources of conflict such as racial and religious disputes, pollution, human rights, terrorism, energy issues, etc. These issues can not be resolved easily by a super-power or one country, but must be resolved in terms of common security or cooperative security. 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discussions on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the post-Cold War East Asia, multilateralism in the region Asia is still in an initial stage due largely to the lack of mutual confidence and common interests among regional countries. North Korean nuclear issue also makes multilateralism difficult to be materialized. Currently, various multilateral security dialogues exist in East Asia including the ARF, the Shangri-la dialogue, etc. and several mini-multilateral dialogues. From a South Korean point of view, any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system in the region should contribute to resolve North Korean nuclear issue, promote peace and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reunify the peninsula. At the same time, it must be a mechanism not only to build mutual confidence and military transparency in the region, but also to resolve such transnational issues as terrorism, drug trafficking, piracy, pollution, and so on. Though East Asian countries do not have positive perception on multilateralism due to historical experiences, more contacts and more dialogues, however, will increase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nd a sense of East Asian community. That will bring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make possible in the region.

      • KCI우수등재

        EMG 텍스타일 전극으로서의 적절한 압착방식 및 소재 성능 평가

        구본학,이상호,차경훈,김상운,김주용,Koo, Bon-Hak,Lee, Sang-ho,Cha, Kyung-hoon,Kim, Sang-Un,Kim, Joo-yong 한국섬유공학회 2022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9 No.5

        After COVID-19,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bio-signal wearable devices in everyday life owing to an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 and fitness. Studies on wearable 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electrodes are being conducted because sEMG can measure muscle activity signals without incurring pain and bleeding. EMG electrodes are made of gel (i.e., Ag/AgCl); however, they are not suitable for long-term use in everyday life owing to their strong adhesive force and adverse impact on the skin. Accordingly, dry textile electrodes are required, along with electrode materials and compression methods suitable for obtaining EMG signals.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EMG electrode compression method and appropriate textile electrode materials. Conductive textile electrodes were made of silver fabric, silver coating fabric, carbon fabric, and CNT-Dipping neoprene, and an EMG sensor was positioned at the biceps according to the SENIAM to obtain signals and raw data for each material and compression method. Silver fabric exhibited a significant muscle active/release signal data difference and low dispersion and demonstrated a high signal-to-noise ratio (SNR), which confirms that it is the most appropriate electrode material for conducting measurements. Therefore, while comparing the SNR of the silver fabric electrode and general wet electrodes in the band type, it exhibited similar performance and indicated that the wet electrode can be replaced with a textile dry electrode (band silver fabric electrode: 16.14±1.50; wet electrode: 17.77±1.00).

      • KCI등재

        청계천 복원 후 3년간 식물상 변화

        김형국 ( Hyeong Guk Kim ),구본학 ( Bon Hak Koo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0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3 No.6

        This study was surveyed to identify changes of flora during three years after restoration in Cheonggyecheon stream. There are four sections in Cheonggyecheon. One and two sections are upper streams and three and four sections are down streams. It was surveyed 328 species in 2006. In 2007 and 2008, 446 and 444 species were found, respectively. This result shows that Cheonggyecheon is unstable initial condition in restored stream ecosystem. Naturalized species were 58 species in 2006 and it was respectively 61 and 63 species in 2007 and 2008. Hazard species of ecosystem were three common species during survey period. In appearance of flora per section, three and four sections constituted by natural sites such as point bars, wide flood plains, riffles and ponds, marshes, etc. were surveyed more species than one and two constructed by concrete materials and narrow flow channel. Recently, as time goes by, introduced species are being increased. And succession has mainly been progressed by one year or binary herbs and perennial herbs. Corresponding author:Koo, Bon-hak,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 Myung University, Cheonan 330-720, Korea, Tel:+82-41-550-5300, E-mail:ecoculture@smu.ac.kr Received:11 November 2010. Revised:8 December 2010. Accepted:20 December 2010. - 107 - Compared with other restored streams, Cheonggyecheon showed more flora than Yangjaecheon and Anyangcheon. It is judged owing to length of surveyed site, various planted species and area of inhabitation space. To manage restored stream ecosystem, monitoring is essential. Further, because change of vegetation after restoration in Cheonggyecheon is very important, continuous monitoring about Flora and Naturalized species and Hazard species of ecosystem is also very importa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駐韓美軍 調整과 부시 2期 行政府의 對韓半島 政策

        구본학(KOO Bon-Hak)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5 신아세아 Vol.12 No.1

        2004년 11월 미국의 대통령 선거에서 부시 대통령이 재선됨으로써 앞으로 4년간 미국의 대외정책 기조는 과거 정책을 보다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 미국은 21세기의 새로운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보다 신속하고 융통성 있는 군사력의 건설을 목표로 해외주둔 미군의 규모, 형태, 위치 및 능력에 대한 조정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이다. 이는 부시 1기 행정부의 출범 이후 발표된 <4년주기 국방태세검토보고서>, <국가안보전략>, <해외주둔 미군 조정계획> 등의 구체화가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주한미군 조정을 비롯한 미래 한미동맹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한반도의 내외적 여건의 변화와 남북관계의 변화가 한미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주한미군의 조정이 한반도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으며, 또한 미래 한미동맹의 바람직한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한미동맹에 대한 국내외적 도전 요인을 보면, 먼저 1990년대 후반부터 일부 시민단체들을 중심으로 전개되기 시작한 반미운동이 주한미군 기지 주변 주민들의 민원, 주한미군의 각종 사회적 범죄, 방위비 분담 문제 등과 얽히면서 반미감정이 상승되었으며, 특히 2002년 여중생 사망 사고를 계기로 반미감정이 급속도로 확산되기에 이르렀다. 미국에서는 부시 행정부 출범 이후 신보수주의 경향이 강화되면서, 미국 주도의 세계질서에 기초한 미국적 민주주의 및 시장경제의 확산, 적극적인 해외 개입, 테러 및 대량살상무기의 확산과 같은 새로운 안보위협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동맹국의 역할 등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한반도에서는 남북한간 군사적 대치와 경제협력이라는 이중적 구조가 장기간 지속되고 있으며, 북한 핵문제를 둘러싸고 미북간에는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9·11 이후 추진되고 있는 미국의 안보 전략은 해외주둔 미군의 조정을 요구하고 있으며, 2004년 10월에 개최된 제10차 <한미동맹 미래구상회의>에서 2008년 말까지 주한미군을 단계적으로 12,500명을 감축하기로 한미간에 합의하였다. 주한미군의 감축은 한반도에서 대북 억지능력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 북한의 남침시 북한의 화력과 기동력을 제압하는데 결정적인 취약성을 노출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국내 안보 불안감이 증대되고 사회적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부시 2기 행정부는 과거 정책의 연장선 상에서 북한의 핵문제 해결에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둘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 핵문제 해결에 있어서 중국의 역할을 중시할 것이나, 북한이 응하지 않을 경우에는 외교적 압박, 경제 제재, 군사적 조치 등 대북 압박의 수위를 점진적으로 높여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공고한 한미동맹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포괄적 안보동맹 관계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 대북 억제에만 중점을 두는 현재의 동맹관계는 변화하고 있는 안보 환경에 적응할 수 없다. 다양한 위협에 공동으로 대처하는 동맹체제로 발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동맹체제 내에서 한국의 역할이 보다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미래의 한미동맹 체제는 위협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예방지향적인 것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미래 위협의 불예측성을 감소하는 동시에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동맹체제를 구축해야 만이 장기적 차원에서 한국의 안보를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econd Bush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is expected to continue and even strengthen its current policy line: war against terrorism and proliferation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 It will also try to realize such previous plans as the Quadrennial Defense Review,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Global Defense Posture Review, with all of which aiming at building a more flexible military posture.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examines factors which may affect the future ROK-U.S. alliance including domestic situation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changes in inter-Korean relations. It also analyzes the impact of reduction and relocations of the USFK on the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uggests desirable role of the USFK in the future. The anti-American sentiment in South Korea aggravated in the late 1990s due to increased various public discontents especially from those who live near the U.S. military bases and social crimes of the USFK soldiers. The anti-American sentiment rapidly expanded and worsened especially after the death of two school girls in 2003. On the other hand,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first Bush administration, the U.S. placed an emphasis on the expansion of democracy and the market economic system throughout the world based on the U.S.-led international order. It also strengthened the role of allied countries to effectively cope with new security issues such as international terrorism and proliferation of WMD. The new security strategy of the U.S. after September 11 called for the adjustment of the U.S. forward military bases. For this reason, South Korea and the U.S. agreed to reduce 12,500 USFK troops by the end of 2008 at the 10th Future of the ROK-US Alliance Initiative (FOTA). The reduction of the USFK may weaken deterrence capability of the combined forces and increase uncertainty and public uneasiness. The second Bush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put its foreign policy priority at resolving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U.S.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China in resolving the issue. However, the U.S. may employ various measures such as diplomatic pressure, economic sanctions, and military actions, if necessary. In this circumstance, in order to maintain a robust ROK-U.S. alliance, the two countries should make every effort to develop a comprehensive security alliance system. The current alliance which focuses on detering North Korean military threat may not be suitable in the changing security atmosphere. It must have capabilities to cope effectively with various security issues. The ROK and the U.S. also need to construct a preventive alliance system which is able to reduce unpredictability and increase stability. These measures may guarantee long-term peace and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판문점선언 1년: 평가와 전망

        구본학(具本學))(Bon Hak Koo)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9 신아세아 Vol.26 No.2

        본고는 2018년 4.27 판문점선언 이후 1년간 북한 비핵화를 둘러싼 남북 및 미북협상을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김정은의 2018년 신년사와 북한 대표단의 평창겨울올림픽 참가는 2017년 말 고조되었던 한반도 위기를 일거에 평화 분위기로 전환시켰다. 2018년 4월 27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의 판문점 공동선언, 6월 12일 역사적인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 9월 19일 문재인-김정은의 평양공동선언 및 군사분야합의서 채택은 남북 군사긴장 완화에서 더 나아가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가져오는 듯 했다. 그러나 2019년 2월 28일 하노이에서 2차 미북 정상회담이 개최되었으나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났다. 판문점 선언 이후 정부는 남북관계가 개선되고 한반도 평화가 도래한 것처럼 외쳤으나, 한반도 불안정과 군사적 위협의 핵심 요인인 북한 핵과 장거리미사일 문제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 채 협상은 교착상태에 빠져있다. 미북협상이 완전한 파국상태라고 할 수는 없지만 조만간 재개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판문점선언 이후 1년간을 돌이켜볼 때, 문재인 정부는 “조선반도 비핵화”를 “한반도 비핵화”로 받아들이고 이를 “북한 비핵화”로 왜곡 선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핵과 장거리미사일 도발을 일시적으로 저지함으로써 국내정치적 지지를 확보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그 과정에서 남북간에 채택된 9.19 군사분야합의는 우리 군의 대북 대비태세를 무력화시키는 요인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선언한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단은 한미 연합대비태세를 약화시키게 될 것이다. 대화를 통한 북한의 비핵화는 불가능하다는 점은 과거 25년의 대북협상이 단적으로 증명한다.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북제재에 동참하고 강력한 한미공조를 유지하는 것이 북한의 비핵화를 유도하는 최상의 방안이다. This paper analyzes and evaluates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fter the April 27, 2018 Panmunjom Declaration signed by Moon Jae-in and Kim Jong-un. Kim Jong-un’s New Year Message in 2018 dramatically transformed the Korean Peninsula from an atmosphere of crisis into one of peace. The Panmunjom and Pyongyang Declarations between Moon and Kim, and the Singapore Summit between Trump and Kim expected to bring peace to the Korean peninsula. The second US-North Korea summit, in Hanoi in February 2019, however, failed to produce significant results for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The Moon government continues to push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Panmunjom Declaration, while nuclear and missile talks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are at a standstill. The Moon government misinterpreted “Choson peninsula denuclearization” - meaning the withdrawal of the US nuclear umbrella provided for South Korea and suspension of deployment of US strategic weapons such as B-1, B-2 and aircraft carriers near the Korean peninsula – as “Korean peninsula denuclearization,” which entails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The North-South military agreement that was signed in September 2018 may weaken South Korea’s military preparedness. Suspension of joint military exercises between US and South Korean forces further weakens the capabilities of ROK-US combined military forces. Previous nuclear talks failed to denuclearize North Korea. Effectiv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requires South Korea’s active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maintaining strong policy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US.

      • KCI등재
      • KCI등재

        한·미동맹과 한·중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조화

        구본학(KOO, Bon-hak)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5 신아세아 Vol.22 No.4

        911테러 이후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쇠퇴가 심화되면서 미국과 중국의 경쟁구조 하에서 우리의 외교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연미화중’ 또는 ‘안미경중’의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며, ‘중견국외교’가 제시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 어느 것도 우리의 딜레마를 해결해 주지는 못하고 있다. 미국은 대테러전을 수행하고 범세계적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의 협력을 필요로 하지만, 동시에 중국의 군사력 급증과 아태지역에서 점점하고 있는 중국의 영향력 확장을 견제하지 않을 수 없다. 중국은 급신장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군사력을 꾸준히 증강시켜 왔으며 태평양으로의 진출을기도하고 있다. 재정위기에 처한 미국은 미일동맹의 강화와 일본 자위대의 안보역할 확대를 통해 중국을 견제하려는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의 위협에 대처하는 동시에 경제발전 을 지속해야 하는 한국으로서는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에 의존하는 정책을 추진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미국의 재균형전략과 중국의 신형대국관계론은 우리에게 선택을 강요하고 있다. 미중간 경쟁구도로 인하여 사드의 한반도 배치, 북한 핵문제 해결 방안, 일본의 지역 안보역할 확대 및 한미일 안보협력, 중국의 포괄적경제협력체 가입,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전승 70주년 열병식 참여 등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양측으로부터 직간접적인 압력과 외교적 압박을 받았던 것이 사실이다.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에 의존해 있는 우리의 상황, 즉 두 강대국의 세력경쟁 틈바구니에 끼여있는 우리의 상황은 한쪽을 선택할 수 없는 딜레마에 봉착해 있다. 이에 대해 우리의 학계와 정책당국에서는 연미화중, 안미경중, 균형외교, 편승외교, 중견국외교등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고 논의해 왔지만 적절한 해답을 구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한미동맹을 통해 안보를 확실히 하면서 중국과의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우리의 입장을 당당하게 밝히고 적극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양 강대국의 이해를 구하는 능동적 외교를 추구하는 것이 최선의 방책일 것이다. There is great debate about the future of South Korea's foreign policy under U.S.-China competition. Some call for “strengthening the alliance with the U.S. while increas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and others seek “depending on the U.S. for security and China for its economy at the same time.” Neither policy is appropriate nor able to resolve the dilemma posed by the rivalry between the U.S. and China. Although the U.S. needs Chinese cooperation to resolve international terrorism and global economic crises, it must check Chinese economic and military expansion in the Asia-Pacific region. China has made strenuous efforts to build up its military, especially its naval forces, to expand its sphere of influence in the region. The U.S. has tried to deter this by strengthening the U.S.-Japan alliance and by expanding the regional security role of the Japanese Self-Defense Forces. South Korea, under continuous military threats from North Korea, must strengthen its military alliance with the U.S. and economic partnership with China at the same time. South Korea has been asked directly or indirectly by both the U.S. and China to make its position clear on such issues as THAAD, the regional security role of Japan, ROK-US-Japan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participation in the Chinese-led RCEP, President Park’s visit to Beijing for the parade marking the 70th anniversary of the victory in WWII, and others. The debate over policy continues. South Korea must maintain a firm alliance with the U.S. and exp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Thus, it will be best for South Korea to pursue active diplomacy that clarifies its foreign policy stance toward both the U.S. and China.

      • KCI등재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과 북한의 전략

        구본학(KOO Bon-Hak, 具本學)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3 신아세아 Vol.20 No.4

        지난 6월 오바마-시진핑 정상회담에서 중국은 신형대국관계론을 언급하면서 미국과 대등한 관계에서 국제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 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중관계는 21세기 가장 중요한 양자관계”라고 말한 바 있지만 양국은 협력과 경쟁이 혼재히는 이중구조 하에 있으며, 경쟁관계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미국은 중국의 도전에 직면하여 아시아 회귀 또는 재균형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고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심화되고 있는 미중경쟁 관계 속에서 북한문제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그리고 북한은 어떻게 미중경쟁 관계를 활용했는지를 살펴보고 우리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중국은 대미관계에서 북한의 전략적 가치를 적절히 활용해 왔다. 천암함 폭침에 대해서도 북한의 입장을 간접적으로 옹호했고, 한미 연합훈련이 군사긴장을 고조시킨다고 하면서 강력히 비난한 바 있다. 과거 혈맹관계 개념은 약화됐지만 중국이 북한을 버리는 일은 없음을 시사한다. 여전히 북한은 중국의 전략적 자산, 적어도 중국이 미국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한반도 안정 유지’에 결정적 요인인 것이다. 미국의 대북정책은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중국의 적극적인 역할만 기대하고 있다. 미국은 여전히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CVID를 주장하고 있지만 북한이 호응하지 않는 상횡에서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북한이 3차 핵실험까지 감행했고 농축우리늄 계획도 진행하고 있으며, 수소폭탄 완성설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전략적 인내는 별 효용이 없다. 북한은 능수능란하게 미중관계의 전략적 경쟁관계를 활용하여 미국과 한국을 기만해 왔다. 그 동안 북한에 대한 잘못된 인식, 북한의 전략에 대한 이해 부족, 그리고 정책의 일관성 부족 등이 북핵 억제 실패의 요인이 되었다. 이제는 굳건한 한미동맹과 강력한 독자적 억지력 구축, 그리고 북한의 개혁과 개방을 위한 노력 지속하는 것이 최상의 대안이다. At the Sino-U.S. summit in June, President Xi Jinping promised that China will contribute to maintain international peace and stability in cooperation with the U.S., while mentioning the new mod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Though President Obama already had mentioned that the U.S.-China relations as the most important bilateral relations in the 21st century, the relationship contains both cooperation and competition. The U.S. has declared 'pivot to Asia' or "rebalancing" to hedge potential Chinese challenge to the U.S. supremacy in Asia-Pacific, and China has continuously increased its military capabilities.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growing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t explains the U.S. and China's policies toward the Asia-Pacific region and the Korean peninsula. It also analyzes their conflicting attitudes toward the Korean peninsula. Then, it suggests South Korea'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China utilized North Korea's strategic value when it deals with the U.S. China indirectly supported North Korean positions on the Cheonan Incident and the shelling of Yonpyoung Island. Though the blood-bonded alliance relationship has weakened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China will not abandon North Korea. North Korea is still a strategic asset of China. The U.S. expects Chinese positive role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U.S. officially maintains the CVID principle to resolve the nuclear issue, but it does not have alternative in a situation that North Korea is not cooperative. The Obama administration's policy of 'strategic patience' has not been effective to deter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program. North Korea adroitly deceived the U.S. and South Korea by effectively using strategic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China. Misperception on North Korea, misunderstanding on North Korea's verbal promises, and lack of policy consistency caused failure to deter North Korean nuclear development. In these circumstance, South Korea must maintain the robust ROK-U.S. alliance, construct independent deterrence capability against North Korea, and make strenuous effort to reform and open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