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윤달의 민속심리와 주술ㆍ종교적 특성-길흉관념의 형성과 전개를 중심으로-

        구미래 비교민속학회 2008 비교민속학 Vol.0 No.36

        An intercalary month is a scientific production from the calendar, but the methodology of recognizing this in the folk society has been progressed by putting roots down deep in religion. And many branches of folk customs and discussions done in the intercalary month reveals the folk psychology of dealing with unusual time. There are four types coexisting in pairs but which are mutually contradictory in intercalary month folk customs. These are ‘doing’, ‘not doing’ based on important everyday affairs, and ‘praying for good fortune’, ‘blocking misfortune’. Sometimes, certain things are actively done having no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at everyday affair, based on the recognition of ‘doing in the intercalary month since there is no trouble’ even in the type of not doing an important affair. It is found that the same affair is applied oppositely by doing it or not doing it from dividing auspicious events and misfortune contemporarily. Complicated recognitions toward the intercalated month is originally being progressed based on the notion of fortune. Not only the recognition toward a transcendental being related to unusual time but also an astronomic feature as ‘the month with no lucky&unlucky’ that the intercalated month belongs to Mujungweol(month without a middle) based on the calendar is importantly applied in the formation of the fortune notion. The intercalated month fundamentally with no fortune being developed into a fortunate month and misfortunate month- for example, an original interpretation that the month becomes fortunate from having no misfortune and misfortunate from having no fortune, is found to be expressed as folk culture through discussion. Moreover, as the characteristics of ‘things to do’ depending on the recognition on ‘fortunate, misfortunate month’ are regulated, the meaning of ‘month’ is made by dividing ‘fortunate, misfortunate affairs’. New discussions and interpretations on the intercalated month are continuously produced. Especially, complex recognitions on the intercalated month and the notion on fortune reveals an aspect closer to an ideological development rather than a time development. Although the trend of the era is shown to some level, concerned discussions are handed down and formed in layers as complicated branches of thoughts always coexist due to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calated month.

      • KCI등재후보

        출가자의 통과의례적 삶에 투영된 불교 후원문화

        구미래 국립무형유산원 2020 무형유산 Vol.- No.8

        Temple kitchens in Buddhism are where the daily life of monks, whose mass offering(大衆供養) labor is considered a practice asceticism, takes place. This temple kitchen culture is beingpassed down as a precious intangible heritage that includ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Buddhism and the universality of traditional culture. When they first join the sangha(僧伽), they live in postulants(行子) for more than 6 months. As they learn about the lives of the disciplinants(修行者), tasks, such as dish-washing orcooking, are bound to be the center of the day. When they finish their postulant life, they arerecognized as preliminary monks and have the basic qualities to raise mass offerings. They are responsible for making meals and side dishes while studying as students(學人) atthe monastic school(講院) for 4 years. They are also tasked with distributing food when theydo Baru-Gongyang(鉢盂供養), while the students who cook well become Byeoljwa (別座) andofficiate the offering(供養). Since they are scattered to various temples after graduating fromthe monastic school, the student life, which has experienced various tasks related to massoffering at the temple kitchens, has become a systematic basis for the transmission of templefood. After they are officially monks after receiving upasampada(具足戒, monastic ordinations), ifhaving more experience, they are assigned several tasks related to the housekeeping in templekitchens. If they are in a temple of scale, so that the successors do not feel uncomfortablepreparing for the mass offering, they leave behind 「Weonju Daily Log(院主日誌)」·「ChaegongDaily Log(菜供日誌)」. Therefore, the food culture of the temple continues without ceasing. During the An-geo(安居) period, they organize the Yongsangbang(龍象榜, a list of duties foran event at the temple), where monks from various places gathered, including those relatedto offering, and study by promoting discipline and harmony in public life. Furthermore, allmonks live their lives as disciplinants while working together in farming, and making kimchi andseasonal foods. 사찰 후원(後院)은 대중공양의 소임과 노동을 수행으로 삼는 출가자들의 일상이 펼쳐지는 곳이다. 이러한 후원문화는 한국불교의 특성과 전통문화의 보편성이 담긴 소중한 무형의 유산으로 전승되고 있다. 이에 현장참관과구술면담을 통해 승려들의 통과의례적 삶에 비친 불교 후원문화를 조명하였다. 처음 출가하면 여섯 달 이상 행자생활을 하게 된다. 하소임으로 수행자의 삶을 익혀 나가는 가운데, 설거지에서부터 음식 만드는 일을 돕는 공양간 노동이 일과의 중심을 이루게 마련이다. 이에 행자생활을 마치면 예비승려로서 인정을 받고 대중공양을 올릴 수 있는 기본소양을 갖추게 된다. 4년 동안 강원(講院)에서 학인으로 공부하는 동안에는 한철씩 돌아가며 밥과 반찬 만드는 소임을 맡는다. 아울러 발우공양을 할 때 음식을 배분하는 행익(行益)을 전담하며, 음식솜씨가 좋은 학인은 별좌(別座)가 되어공양을 주관한다. 강원을 졸업하면 여러 사찰로 흩어지게 되므로, 후원에서 대중공양과 관련된 일을 고루 돌아가며 경험한 학인생활은 사찰음식 전승의 소중하고 체계적인 기반이 되고 있다. 구족계(具足戒)를 받고 정식승려가 된 뒤 승랍(僧臘)이 쌓이면 후원 살림과 관련된 여러 소임을 맡게 된다. 규모있는 절에서는 후임자가 와서 대중공양을 준비하는 데 불편하지 않도록 「원주일지」ㆍ「채공일지」 등의 기록을남기며 한 사찰의 음식문화는 끊이지 않고 이어진다. 여름과 겨울의 안거(安居) 철이면 각지에서 모인 승려들이 공양관련 소임을 포함한 용상방(龍象榜)을 짜서대중생활의 규율과 화합을 도모하며 공부를 해 나간다. 또한 모든 승려는 농사와 김장ㆍ세시음식 등을 할 때 대중울력에 참여해 공동노동을 하는 가운데 수행자로서 삶을 살아간다. 이처럼 사찰의 후원은 사회일반에서 사라진 전통문화를 전승해가고 있으나, 출가자의 감소로 점차 재가자의영역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따라서 후원을 중심으로 한 승려들의 일상에 대해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이에 대한관심과 전승기반을 마련하는 일이 긴요하다.

      • KCI등재

        월정사 탑돌이의 민속과 계승방안

        구미래 한국선학회 2014 한국선학 Vol.37 No.-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삼보의 요체라는 불교 본래의 의미와 함께, 광범위한 입간신앙(立竿信仰)의 기반 위에 천지 음양의 조화가 충만한 상징성을 지녔다. 따라서 탑을 둘러싼 다양한 신앙행위가 활발하게 전개되었고, 그 가운데서도 대표적인 불탑숭배방식으로 탑돌이가 전승되어왔다. 이에 월정사 탑돌이의 전승내력과 현황을 참조하는 가운데 바람 직한 계승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탑돌이의 주체와 설행시기, 설행방법의 세 가지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의례주체의 측면에서 봤을 때, 월정사 탑 앞에 기원하는 보살상은 지극한 신심으로 소신공양(燒身供養)을 한 약왕보 살(藥王菩薩)을 나타내고 있어 간절한 소망과 믿음을 지닌다면 어떠한 경계도 뛰어넘어 궁극의 경지에 이를 수 있음 을 말해준다. 의례시기에 주목했을 때, 보름밤의 탑돌이는 만월이라는 자연주기를 탑돌이의 주된 요소로 수용함으로 써 한국인의 종교적 정서에 가장 어울리는 전통축제의 면모를 지닌다. 따라서 이러한 ‘달의 축제’로서 탑돌이의 상징 성에 주목한다면 탑돌이는 달이 뜨는 밤 시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탑돌이의 설행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만월의 정기’와 ‘불법의 요체’가 충만한 월정사 탑돌이는 오대 산 화엄사상을 구현하는 불교축제로 삼기에 매우 적합하다. 불교의 탑돌이에서 중요한 상징성을 지니는 것은 ‘만월’ 과 ‘원’이며, 탑을 도는 것은 의례의 시공간에서 이러한 상징을 끊임없이 만들어나가는 것이기도 하다. 이에 전통적으로 행하던 요잡문화를 탑돌이에서 확대하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탑돌이를 하기 전에 불전에 삼배를 올 리고 불단 앞과 법당을 도는 사전의식을 행함으로써 탑돌이에 임하는 마음가짐을 가다듬도록 하였다. 탑돌이를 할 때 는 탑을 도는 것만이 아니라 법당을 도는 순서를 포함하고, 마지막에는 탑과 법당을 함께 돌도록 하였다. 아울러 규모 가 큰 탑돌이에서는 ‘탑-법당-탑과 법당’을 도는 집단을 각기 나누어 크고 작은 세 개의 원을 그리며 돎으로써 장엄 하고 독특한 요잡의식을 계승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십바라밀도와 법성도의 수행도(修行圖) 돌기를 이원화하는 방안을 다루었다. 현재 월정사 탑돌이에서는 4 분의 1로 축약한 법성도만 돌고 있으나, 『석문의범』에 제시한 방식을 그대로 도입하여 탑과 법성도를 둘러싼 사방 에 십바라밀도를 그려놓고 함께 도는 것이다. 아울러 바라춤·나비춤 등의 작법을 십바라밀도를 돌 때 행하는 방안 등 을 제시하였다. The octagonal nine story stone pagoda of WolJeongSa has a meaning of Dharma, and signifies pole belief above Earth and sky and the full balance between yin and yang. Therefore, various religious beliefs surrounding the pagoda are actively spread out and amongst them, the folk play representing Buddhist Pagoda worship method has been passed on. Therefore, referring to the passing origin and present condition of the WolJeongSa Folk Play’s, the folk play’s main agent, time, and method were investigated to find a desirable succession method. Looking at it from a ritual agent perspective, the image of bodhisttva praying in front of the WolJeongSa pagoda which is a deep promotion of the sacrifice of oneself by sacrificing their body to give medicine to cure the body and mind. This shows if one has an earnest wish and faith, one may be able to go over the limits and be at a stage of extremity. Looking at the time, the folk play on a full moon is accepting the natural cycle and suits the Korean religious emotion most well. As a ‘Moon Festival’ it is most desirable to act the folk play at night when the moon rises. The method of the folk play was dealt with more detail. The ‘Full Moon’ and the ‘Circle’ have a significant symbolism of the Buddhist folk play. Circling the pagoda allows continuous creation of these symbols during the ritual. A plan to expand the folk play from the traditional culture of circling Buddha was investigated. Before the folk play is done, three bows must be done to the Buddhist temple and then circling the temple and pagoda to prepare themselves for the folk play. When doing the folk play, circling the temple as well as the pagoda is included and at the end, the pagoda and temple must be circled together. In large folk plays, groups are divided into large and small groups which circle in the order ‘pagoda-temple-pagoda-temple’ in circles which propose a grandeur and unique circling ritual to pass on. Next, the circling of ‘The painting of ten Paramita’ and ‘The painting of Dharma-nature’ is handled in a dual plan. Currently, the folk play of WolJeongSa, an abbreviated quarter sized circling is done but the method proposed in the ‘SeokMunuibeom’ is introduced to draw ‘The painting of ten Paramita’ on every side surrounding the ‘The painting of Dharma-nature’ and circle together. Along with this, methods for ‘Para Dance’·‘Butterfly Dance’ and techniques acted along with ‘The painting of Dharma-nature’ were deal with.

      • KCI등재

        근현대 생전예수재의 전승양상

        구미래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3

        The Ye-su-jae is a Buddhist ritual to be done during one’s lifetime for after one's death in order to build good deeds and good karma in advance. In this article, we have examined various methods of modern Ye-su-jae and have analyzed its ritual characteristics to demonstrate both its meaning and directivity. The ritual formula states that Ye-su-jae shall be done on the first or fifteenth day of the month, but it has become a ritual to be done in a leap month. This seems like the result of the combined ideas of ①the history of holding a Buddhist service in a leap month and ②the thought of the gateway to heaven being opened during a leap month since there is no God to watch over the people. Particularly, Ye-su-jae has been handed down as a combination of local customs in death preparation culture, which wishes a long life and an easy passage into eternity by preparing a shroud in advance. Therefore, it presents a dynamic aspect like a festival or riding the Banya-Yongsun, which is a wisdom ship, toward heaven and even deprives the person of a San-Ogu-Gut, which is an Ogu-Gut while he or she is still alive. Furthermore, Ye-su-jae is a ritual for the living, but it is also performed to facilitate easy passage into eternity for the deceased, and is even hosted in a combination of the Suryuk-jae or Youngsan-jae, which put emphasis on Mucha-Chundo. In addition to this, it is traditional to hold Ye-su-jae for a group, but it is not rare to find cases of holding Ye-su-jae for an individual or a few people. Based on the ritual characteristics of Ye-su-jae, the current transmission aspect can be summarized in few matters. First, the existence of the lower podium is the beings of nether world in Ye-su-jae, but it is connected to ‘the existence of lower podium=the spirit’ and the Hadan Kwanyok, a spiritual purification has stood out to dilut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Seol-Dan. Second, the meaning of the middle podium ritual, based on ten kings in the nether world is of most importance in Ye-su-jae, but has received no attention relative to the middle podium ritual since it hosts Youngsan-Jakbub together. Third, Ye-su-jae reveal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ritual through the procedure of presenting an offering to Buddha with Saja-dan, Gosa-dan, and Magu-dan, which is the beings of nether world in the lower podium, but the descriptive meaning of Ye-su-jae can be changed by requesting Four Underworld Messengers who send an invitation to the nether world at the end of the ceremony. Fourth, it is usual in Ye-su-jae to bring paper money, which presents the karma of one's lifetime as a debt, and Banya- Yongsun, which reveals the course toward the promised land; if these are omitted, the core element of Ye-su-jae will be lost. Traditionally, if the repentance ritual of the ascetic is uposatha, the repentance ritual of the Buddhist has been Ye-su-jae. Ye-su-jae has integrated the Buddhist view of the world and the asceticism, so the Lifetime Ye-su-jae, which has been formed with the distinctive leap month culture of Korea, has to be handed down as it is. Therefore, Ye-su-jae of everyday life shall be recovered gradually as well as the leap month Ye-su-jae combined with various ritual elements as a comprehensive Buddhist art. 생전예수재는 사후를 위해 생전에 미리 재를 올려 공덕과 선업을 쌓는 불교의례로 현재 윤달에 주로 설행되고 있다. 이에 근현대 예수재의 다양한 설행양상을 살펴보고 예수재가 지닌 의례적 특성을 분석하여 그 의미와 방향성을 조명하였다. 의식문에는 본래 예수재를 초하루․보름 등에 치르도록 했으나 언제부터인가 윤달에 행하는 대표적 의례로 정착되었다. 이는 윤달에 인간을 감시하는 신이 없어 극락으로 가는 저승문이 열린다는 민간의 관념과, 윤달을 특별한 시간으로 보아 불공을 올리는 역사가 결합해 점차 윤달예수재로 자리 잡게 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예수재는 민간에서 수의를 미리 장만해 장수를 바라고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일련의 죽음준비문화와 결합하여 전승되었다. 따라서 살아있을 때 천도굿을 지내는 산오구굿을 파생시켰고, 극락을 향한 반야용선에 직접 타기도 하면서 축제와 같은 역동적 측면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예수재는 산자를 위한 의례이지만 죽음을 다루는 자리이기에 망자의 복락을 함께 기원하였고, 무차천도를 중시하는 수륙재나 영산재와 결합하여 치러지기도 하였다. 아울러 예수재는 합동으로 치르는 것이 관례이지만 개인 또는 몇 명을 위해 예수재를 설행한 사례도 드물지 않았다. 예수재의 의례특성에 비추어 현재의 전승양상을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예수재에서는 하단의 존재가 명부권속이지만, 망자천도를 함께 다루면서 ‘하단존재=영가’로 연결되고 하단관욕이 부각되어 설단의 의미와 특성이 희석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둘째, 예수재에서는 명부시왕을 중심으로 한 중단의식이 가장 중요하나, 영산작법과 합설하여 치르면서 중위의 존재들을 청해 모시는 중단의식에 상대적으로 소홀한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셋째, 예수재는 하단 명부권속인 사자단․고사단․마구단을 차리고 공양을 올리는 절차를 통해 의례의 의미와 특성을 드러내게 되는데, 명부세계에 초청장을 보내는 사직사자를 청하는 순서를 뒤로 돌림으로써 예수재의 서사적 의미와 달라지기도 한다는 점이다. 넷째, 예수재에서는 생전의 업을 빚으로 표현하고 정토를 향한 과정을 가시화하는 지전과 반야용선을 만들게 되는데, 이를 생략할 경우 예수재의 핵심요소를 잃게 된다는 점이다. 전통적으로 출가수행자의 참회의식이 포살이라면, 재가불자의 참회의식은 예수재였다. 예수재에는 불교의 세계관과 수행관이 집약되어 있어, 현재 한국특유의 윤달문화와 함께 형성된 윤달예수재는 그 자체로 전승시켜나가야 할 독자적인 의례이다. 따라서 불교종합예술로서 다채로운 의례요소와 결합된 윤달예수재와 병행하여, 일상의 예수재 또한 점차 회복해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사하촌의 변모양상과 경제적 삶 - 속리산법주사 사하촌을 중심으로 -

        구미래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1

        Saha villages are villages that have developed with a Buddhist temple at its center, therefore there is a strong tendency for the residents of these villages to be economically subordinated to the temple. In this writing, the economic condition of the residents with relation to temples has been dealt with, through oral interviews of local residents in Beopjusa, one of the many Saha villages. The farmland that Bujeosa possessed had a large proportion which was cultivated by the village people since the mid Joseon Dynasty. As a result, within the village, perpetual leasing of land and paying farm rent over a long period of time had remained. Right after Independence, the villagers received designated portions of the Beopjusa farmland as a part of the land reforms. The temple land was excluded too late after the land reforms which led to an unfortunate circumstance which called for the two years' worth of repayments to be given back and returning the farmland. To these inconsistent and detrimental government policies, the communal villagers and the temple became one and reached an important agreement. Thus they ensured that the landowner could not change the tenant farmer randomly and reduced the farm rent, which accounted for 30% of the cultivated products to 20%. As Bujeosa became a tourist attraction, commercial residents and native residents settled down, into the two areas for entering the temple and across the bridge respectively. Furthermore, among the native people, a higher percentage does temple or commercial business related work rather than cultivating crops. If ordinary farming villages are made of up a group of people with similar backgrounds, the villages and residents below the now-tourist-attraction temples have been polarized into ‘the temple and village’, causing harmony and conflict to coexist. Even if one resident does temple-related wor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le and the resident can be interpreted to be more than a simple relationship made from work. The temple is a space of faith, buddhist monks and clergy are anchors of the village, therefore becoming the seniors within the village regardless of their age. On the contrary, despite the strict division of the sacred and profane, intimate interaction is possible because they are the ones that are depended on for making a community together. 사하촌(寺下村)은 절을 중심으로 발달한 마을이기에 주민들의 삶은 경제적으로 절에 예속된 측면이 강하다. 이에 사하촌의 하나인 법주사 사내리의 현지조사를 통해 주민들의 구술을 토대로 절과 관련된 경제적 삶의 양상을 다루었다. 법주사가 소유한 농지는 조선중기부터 마을사람들이 개간으로 조성한 비중이 매우 높아, 마을에서는 오랜 기간에 걸쳐 절에 소작료를 내면서 경작권을 지닌 영소작(永小作)의 관계가 유지되고 있다. 광복 직후에는 토지개혁으로 주민들은 자신이 경작하던 법주사 농지를 분배받았으나, 뒤늦게 사찰토지는 제외됨으로써 2년간 상환금을 납부한 시점에 상환금을 돌려받고 농지를 반환하는 안타까운 상황을 거쳤다. 이에 생활공동체였던 절과 주민은 하나가 되어 일관성 없는 정부정책으로 상처받은 주민들을 위해 몇 가지 대책을 내게 된다. 즉 지주가 임의로 소작인을 바꿀 수 없도록 하고, 수확량의 30%를 지주에게 주던 3ㆍ7제를 2ㆍ8제로 변경해 소작료를 낮춘 것이다. 아울러 법주사가 관광지화 되면서 절로 진입하는 양 구역은 외지에서 들어온 상가주민이, 다리 건너편은 토박이주민들이 자리 잡게 되면서 토박이주민 중에는 농사보다 절ㆍ상가와 관련된 일을 하는 이들의 비율이 높아졌다. 일반 농촌마을이 비슷한 내력의 구성원들로 이루어져 있다면, 관광지화된 큰절 아랫마을이 그러하듯이 법주사 또한 ‘절과 마을’이라는 이원적 구도 아래 주민 또한 양분되어 있어 다양한 화합과 갈등의 갈래가 공존하기도 한다. 절과 관련된 일을 하는 경우에도 절과 주민의 관계는 단순히 일로써 맺어진 관계를 떠나 있음을 볼 수 있다. 절은 믿음의 공간이고, 승려는 성직자이자 정신적 지주이기에 나이와 무관하게 마을의 웃어른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성속(聖俗)의 엄격한 구분에도 불구하고 친밀한 넘나듦 또한 가능한 것은 함께 공동체를 꾸려가고 의지하는 대상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