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발우공양의 전승기반과 의례적 특성 : 송광사 사례를 중심으로

        구미래(Koo, Mee-Ra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3 佛敎學報 Vol.- No.102

        송광사를 대상으로 현장연구를 진행하여 발우공양이 이루어지는 기반과 전승양상을 파악하였다. 첫째, 송광사의 역사 속에서 발우공양과 후원(後院)의 가풍을 살펴보았다. 송광사는 고려시대 보조지눌이 수선사를 건립한 이래,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수행 공동체의 결사정신 속에 후원이 운영되었다. 10여 년 전까지 매일 삼시 세끼 발우공양을 하다가, 현재 9개월 동안 아침에는 묵언의 발우공양, 점심에는 게송을 외는 법공양을 이어가고 있다. 둘째, 발우공양의 기반으로 ‘후원공간, 후원의 소임, 음식과 용구’에 대해 다루었다. 후원공간은 전통 공양간, 현대식 주방과 식당, 발우공양을 하는 대방, 옛 후원영역인 해청당, 원주·학인·행자 등 소임자들의 숙소로 구성된다. 같은 영역에 배치된 이들 각 공간의 쓰임새와 변화 등을 다루었다. 후원의 소임은 고정 소임과 돌림 소임으로 나뉜다. 그 가운데 발우공양의 핵심을 이루는 소임으로 행자·학인·원주·재가자에 대해 다루었다. 특히 송광사에는 후원 소임자들이 작성해온 「찬상일지」·「후원노트」 등이 전하고 있어 주목된다. 음식은 식생활의 토대를 이루는 요소들과 함께 밥·죽·반찬의 구성과 특징을 살피고, 용구를 분류하여 각각의 쓰임새를 다루었다. 셋째, 발우공양의 설행에 대해 ‘공양의 유형과 준비과정’, ‘의식절차’로 나누어 다루었다. 일상의 발우공양은 묵언의 발우공양과 게송을 외는 법공양으로 세분되며, 현장 참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발우공양·법공양의 준비과정을 살폈다. 이어 법공양을 중심으로 공양의 절차와 게송, 핵심내용을 다루었다. 넷째, 송광사 사례를 통해 발우공양의 전승에서 주목할 만한 몇 가지 관점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ield research in Songgwangsa to understand the foundation and transmission of Baru-Gongyang.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traditions of Baru Gongyang and kitchen culture in the history of Songgwangsa founded by Bojo Jinul during the Goryeo Dynasty, where kitchen culture has been practiced in the spirit of community solidarity until the modern era. Until approximately ten years ago, monks ate three meals a day in Baru-Gongyang. Now, for nine months, they eat silently in Baru-Gongyang in the morning, and memorize poetry at lunch in Beob-Gongyang. Second, the foundation of the Baru-Gongyang is discussed, including the kitchen space, the role of kitchen work, the food, and Gongyang utensils. The kitchen space consists of a traditional Gongyanggan, a modern kitchen and dining room, a large room for Baru-Gongyang, the old kitchen area, and accommodations for Wonju, Hakin, and Haengja. These spaces are located in the same area, and I have discussed how to use and change each space. The kitchen staff are divided into those with fixed and rotating duties. The duties that form the core of Baru-Gongyang are Haengja, Hakin, Wonju, and Jaegaja.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Songgwangsa has a “Chansang Diary” and “Kitchen Notes” written regarding the work in the kitchen. Food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elements that form the basis of daily life, as well as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rice, porridge, and side dishes. Gongyang utensils are categorized and their uses explained. Third, the performance of Baru-Gongyang is explained by dividing it into “types of ceremonies and preparations” and “ritual procedures.” Daily Baru-Gongyang is subdivided into silent Baru-Gongyang and Beob-Gongyang, and the preparation processes for both are examined by focusing on examples from field observations. The main focus was on Beob-Gongyang, covering its procedure, poetry, and core content of the ceremony. Fourth, the case of Songgwangsa is used to analyze noteworthy aspects of the transmission of Baru-Gongya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모래상자치료 과정에 나타나는 관계의 구조와 상호작용 특성 분석

        구미향 ( Mee Hyang Koo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0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모래상자치료과정 중 내담자가 창조한 모래상자의 특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모래상자에 표현된 대상들 간의 관계의 구조와 상호작용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사회성 및 대인관계에서의 갈등을 경험하는 아동과 청소년 각 한 명과 두 명의 성인 여성이었다. 내담자별로 주 1회 각 10회기 동안 모래상자치료를 시행하였다. 내담자가 완성한 총 40개의 모래상자를 분석하기 위해 모래놀이범주별점검표(Sandplay Categorical Checklist:SCC) 중 관계의 구조분석에 관한 일곱 개의 범주와 상호작용특성에 관한 세 개의 범주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모래상자치료의 발전과정은 내담자에 따라 상이하였으며, 모래상자에 표현된 대상들 간의 관계의 구조와 상호작용양상은 내담자의 과거 경험과 현재 호소하는 임상적인 문제를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분석체계의 활용을 통해 내담자가 창조한 모래상자를 새로운 차원에서 볼 수 있는 보다 유용한 양적, 질적 분석준거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ing of relationships and the interaction characteristics depicted in the sandtrays. Participants were one child(male) who diagnosed as ADHD, one adolescent (female), and two adults(females) who were needed counseling with the researcher. The participants ranged in age from 10 to 39 years. Each participant created a total of 10 sandtrays, one per session. Following the completion of all sandtrays, the researcher analyzed each sandtray based on the two essential aspects: (a) the structuring of relationships of the scene and (b) the interaction characteristics portrayed in the sandtray.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andtray pictures according to the extent of competency, maturity and problems of the participants. Further studies would be needed to characterize the effectiveness of the sandtray therapy on the level of individual, couples, and with families with wide range of age.

      • KCI등재후보

        윤달 ‘세절밟기’의 민속적 전개와 제의적 특성

        구미래(Koo Mee-Rae) 실천민속학회 2007 실천민속학연구 Vol.10 No.-

        전통적으로 윤달을 '길한 달'로 여겨왔지만, 일상에서 벗어난 시간이라는 신비적·주술적 특성으로 인해 윤달에 대한 생각 및 이를 반영한 윤달민속은 복합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곧 윤달이 지닌 비일상성이 길(吉)이 되기도 하고 흉(凶)이 되기도 하여, 중요한 일상사를 하거나 하지 않음으로써 상반된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윤달을 맞아 실생활과 무관한 민속의 생성을 통해 길흉관념을 드러내는 유형이 있는데, 이는 불교의 초월적 존재를 향한 일련의 기복행위 및 윤달에 횡행하는 잡귀를 막기 위한 벽사행위로 집약된다. 이때 불교의 기복행위를 제외하면 나머지 유형의 민속은 모두 부정적 성격을 지닌 초월적 존재로 설정되어, 부재함으로써 길한 달이 되거나 실재함으로써 흉한 달이 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윤달에 행하는 세절밟기는 대중교통이 발달한 1970년대 이후, 사찰에서 주관하는 성지순례의 일환으로 시작된 것이라 보는 것이 통설이다. 그러나 의례의 주요요소들을 중심으로 기존민속과 밀접한 연계성을 지니고 있어, 삼사순례의 생성배경을 유추함에 있어 이전 시기부터 새로운 민속으로 생성되었을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곧 '인간을 감시·심판할 신이 없다→저승문이 열린다→극락을 갈 수 있다'는 일련의 윤달담론을 기반으로, 윤달에 성을 3회 밟음으로써 극락왕생한다는 '성밟기'가 '탑돌이'와 결합된 양상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순례가 일반화되어가던 시절에 절내행사인 '탑돌이'와 절밖행사인 '성밟기'가 전통적으로 의미화된 '3'회의 수, 돌면서(밟으면서) 밟는(도는) 민속놀이적 유형을 공유하면서 결합된 양상이 세절밟기라는 명칭과 의례행위, 의례목적 등의 개연성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아울러 한 달이라는 기간 중에 자율적이고 개별적으로 행하는 세절밟기이지만, 다양한 차원의 내적규범이 존재함으로써 세절밟기의 제의적 구속성을 형성해내고 있다. 곧 '1일완결'이라는 시간구속성, '삼도삼절(三道三寺)'을 중시하는 공간구속성, '내세기복'의 의미 중시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세절밟기는 행하는 주체에 따라 나들이·놀이적 성격을 강하게 띤 자유방임형에서부터, 윤달담론에 충실한 규범준수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으로 행해지고 있다. A leap month was traditionally considered as 'an auspicious month', but the concept and ethnic customs are complex due to its mysterious, occult characteristics of time overcoming everyday life. That is, the non-ordinary leap month can be propitious or portentous, revealing its mixed aspect by doing or not doing an important everyday life affair. Also, in the leap month, there is a type that reveals the concept on good or ill luck through the formation of ethnic customs that do not concern actual life. This is integrated to be a series of prayers for good fortune toward a superior being of Buddhism and an act of driving away evil spirits for repulsing demons. When the act of praying of Buddhism is excluded, other types of ethnic customs are set as superior beings with neg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month becomes propitious in absence, but portentous in existence. This 'Stepping on three temples(三寺巡禮)' which was done in the leap month, is commonly known to have started after the 1970's when public transportation developed as a part of a pilgrimage supervised by the temple. However, since it was closely connected to existing ethnics centered on main factors of the ceremony, the possibility of it becoming a new custom from the past cannot be neglected when analogizing its unfolding background. Based on the leap month discussion on the series of 'There is no god to watch human-The door to the afterworld is open-One is able to enter heaven', 'stepping on the castle(踏城)' which enables one to easily pass into eternity by stamping on it three times in the leap month shows an aspect combined with 'going around the tower'. 'Going around the tower' as a ceremony held inside the temple and 'Stepping on the castle(踏城)' which was held outside show a combination of the number '3' being given a meaning traditionally and the form of folk play done by stepping and turning. Although 'Stepping on three temples(三寺巡禮)' is performed individually and by self-control during one month's period, inner standards of various levels exist to form the ritual restrictiveness of 'Stepping on three temples(三寺巡禮)'. This includes time restrictiveness of 'one-day completion', spatial restrictiveness that emphasizes 'three provinces and three temples(三道三寺)', and serious consideration of praying for good fortune in future existence. Therefore, 'Stepping on three temples(三寺巡禮)' is done in various types from non-interference with strong outing, entertaining characteristics, to standard-observing that is faithful to discussions on the leap month.

      • KCI등재

        ‘일생’에 대한 불교적 관념과 불교 일생의례의 특성

        구미래(Koo Mee-Rae)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9

        민간에서는 인간의 일생을 보는 관점이 성인으로 인정받거나 혼인으로 가정을 형성하는 등과 같은 ‘사회적 과정’에 의미를 두고 있다. 이에 비해 불교에서는 나서 늙어가고 병들어 죽는(生老病死) ‘존재론적 과정’으로 일생을 설명하면서 인간 삶의 유한함을 통해 불교적 진리를 일깨우고 있다. 특히 일생에 대한 불교적 관념 및 불교 일생의례에 대한 적절한 해명을 위해서는 생사의 문제를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필요하다. 전생과 내생이 연계되면서 윤회하는 독특한 생사관 속에서 불교 일생의례의 주요한 특성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전생에 지은 업에 따라 생사를 거듭하는 윤회사상에 따르면, ‘생전의 존재’인 본유(本有)와 ‘죽어서 다시 태어나기 전까지의 존재’인 중유(中有)가 결합하여 일회적 삶인 일생을 이루고 있는 셈이다. 이때 내세의 모습을 좌우하는 것은 지은 대로 받는 자력의 과보뿐만 아니라, 남은 자들이 중유의 기간에 망자를 위해 행하는 타력의 공덕이 함께 작용하게 된다. 이처럼 자력의 악업이 지닌 모순으로 인해 타력의 공덕이 작용하여 변화를 가져온 것이 곧 내세의 모습에 해당하며, 내세의 존재는 다시 자력의 업을 쌓아가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불교적 생사관은 ‘생과 사’, ‘자력과 타력’의 문제가 유기적으로 연계된 변증법적 순환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불교 일생의례를 의례주체와 의례공간에 주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에서 치르는 의례 중 생전의례의 경우는 신도의 개별적 선택의 문제로 남아있을 뿐 불교적 개입은 미미한 실정이며, 사후의례는 사찰에서 불교상례인 49재를 치르지 못할 때는 집에서 49일 탈상을 하는 이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둘째, ‘예식업체’에서 치르는 의례 중 생전의례에는 불교적 개입이 거의 차단되어 있다면, 종교적 역할이 부각되는 사후의례의 경우 불교식 장례양상은 신도와 예식업체를 주체로 한 가운데 불교적 요소를 일부 도입하는 소극적 방식에서부터, 염불봉 사회를 활용하거나 승려를 초청하여 염불을 해주는 방식, 불교장례 전문업체가 개입하여 본격적 불교의례로 치르는 방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셋째, ‘사찰’에서 치르는 일생의례는 49재가 유일하게 활성화되어 있으며, 이 외에 드물게나마 행해지는 혼례를 들 수 있다. 이들 의례는 불교성전에서 승려의 집전 하에 불교이념에 따라 행해지므로, 종교의례의 기본적 요소인 이념-주체-공간을 충족시키는 셈이다. 특히 49재는 ‘사찰에서 승려에 의해’ 행해야 하는 것으로 의례공간과 의례주체를 명확히 하고 있다. 이는 불ㆍ법ㆍ승 삼보(三寶)의 범주 속에서 행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불보살을 모신 법당[佛]에서 승려의 주관 아래[僧]경전의 염송과 염불을 통해[法] 중유의 망혼을 올바르게 천도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불교 일생의례를 의례내용에 주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이 주체가 된 생전 의례는 필요에 따라 개별적 방식으로 불교를 수용하고 있으며, 규범화된 종교적 지침이 효력을 발휘하기보다는 민속화된 불교를 통해 다양한 양상으로 존재해왔다. 둘째, 불교가 주체가 된 죽음의례는 임종 무렵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 일반상례가 통과의례의 의미로 행해진다면 불교상례인 49재는 의례를 치르는 공덕으로써 망자의 근원적 변화를 도모하는 통과의례라는 점, 내세를 위한 죽음의례가 사후만이 아니라 생전에도 이루어진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나은 내세를 염두에 두는 죽음의례가 일생의 전 과정 속에 체계적으로 개입되는 특성을 지닌다. 곧 본유의 예수재, 사유(死有)의 임종의례, 중유의 49재를 통해 새로운 생유(生有)에 영향력을 미치는 ‘본유+사유+중유→생유’의 도식 속에서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Life of humankind among the people puts much significance in ‘social process’ such as being recognized as an adult or creating a family by marriage. Buddhism explains life as an ‘ontological process’ of birth, old age, sickness and death. It enlightens people on Buddhist truth through the finiteness of human life. According to transmigrationism, life and death are repeated due to one’s own previous action of karma. Bon-yu, the ‘existence before life’ and Jung-yu, the ‘existence after death and before being reborn’ are combined to form one life. Not only the effects of karma of oneself, but also the social morals of others performed by remainders for the deceased act together on the appearance in future life. Changes done by social morals of others due to contradictions of one’s misdeeds correspond to the features in the life to come. The existence in future life repeats the process of accumulating one’s karma. This Buddhist viewpoint on life and death can be understood as a dialectic circulation which organically connects ‘life and death’, ‘oneself and others’. The following are observations of Buddhist lifetime rite focusing on rite subject and rite space. First, life rite among those carried out at ‘home’ remain as an issue of personal choice of believers and intervention of Buddhism is insignificant. As for rite after death, most of them are 49-day Tal-sang done at home when the Buddhist funeral rite, 49Jae cannot be held at the temple. Second, Buddhist intervention is almost blocked in lifetime ceremonies among rituals that are held at ‘ceremony service companies’. Meanwhile, in cases of rites after death in which religious roles are brought into relief, the Buddhist funeral services are progressed in various forms. With Buddhists and the ceremony service companies as subjects, the forms include a passive one inducing some Buddhist elements, one using the Buddhist invocation volunteer community or inviting Buddhist monks for invocation, and a regular Buddhist rite with professional Buddhist funeral service company. Third, the 49Jae is the only one activated among lifetime rites held at the ‘Buddhist temple’. Other than that, a marriage ceremony can be another example. Since they are held by the Buddhist principles under the celebration of a monk at the Buddhist temple, the rites satisfy the ideology-subject-space which is the basic factor of religious ceremonies. The following are Buddhist lifetime rites, focused on their contents. First, lifetime rites with civilians as the subject are accepting Buddhism in individual ways as occasion demands. They have existed in various aspects through folk Buddhism instead of normative religious guidelines. Second, death rites in which Buddhism became the subject, consider the last moments of life as most important. While general funeral rites are held as a rite of passage, the 49Jae is an initiation ceremony promoting original changes of the deceased with the virtuous deed of holding the rite. Death rites for the future life are done not only after death, but also during one’s lifetime. Therefore, death rites for a better life to come interfere during one’s entire lifetime systematically since they function within the scheme of ‘Bon-yu+Sa-yu+Jung-yu→Sang-yu’ which affects the new Sang-yu through Ye-su-jae of Bon-yu, deathbed rite of Sa-yu, and the 49Jae of Jung-yu.

      • KCI등재

        호기 및 흡기호흡운동이 상복부 수술을 한 노인 환자의 폐환기능과 폐 합병증에 미치는 효과 비교

        구미지(Koo, Mijee),황선경(Hwang, Sunkyung) 한국간호과학회 2016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6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xhalation breathing exercises using expirometer and that of inhalation breathing exercises using incentive spirometry on pulmonary function and complications in elderly patients with upper-abdominal surgery.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Participants were 63 patients who underwent upper-abdominal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32 in experiment group, 31 in control group). They were recruited at P university hospital from August 1 to November 30, 2015. Effect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pulmonary functions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and pulmonary complication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8.0 program.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FVC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FEV1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y time change (p =.001). Also, there were no pulmonary complicat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there were 5 cases (16.1%)(p =.018)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exhalation breathing exercises by elderly patients following upper-abdominal surgery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in enhancing pulmonary function and preventing pulmonary complications.

      • KCI등재

        환자안전사고 보고서를 통한 간호사 투약오류 분석

        구미지 ( Koo¸ Mi Jee ) 병원간호사회 2021 임상간호연구 Vol.2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urses’ medication errors during three years. Methods: Retrospective survey study design was used to analyze medication errors by nurses among patient safety accidents. Data were collected for three years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x<sup>2</sup>-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 26.0 program. Results: Of a total 677 medication errors, 40.6% were caused by nurses. Among the medication errors, near miss (n=154, 56.0%), intravenous bolus injection (n=170, 61.8%), wrong dose (n=102, 37.1%) and carelessness for repetitive work (n=98, 35.6%) were the most common. Medication errors differed by department, and nurses’ career, and patient safety accident type.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isk factors of adverse events were medication of fluids (OR=3.93, 95% CI: 1.26~12.27), insulin subcutaneous injection (OR=39.06, 95% CI: 4.58~333.18), and occurrence of extravasation/infiltration (OR=7.26, 95% CI: 1.85~28.53). Conclusion: The simplest and most effective way to prevent medication errors is to keep 5 right, and a differentiated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department and nurse career is needed rather than general education programs. Hospital-level integrated interventions such as a medication barcode system or a team nursing method are also necessary.

      • 한국 장례문화의 흐름과 다비(茶毘)

        구미래 ( Koo Mee-rae ) 세계불학원 2023 세계불학 Vol.- No.3

        장례문화의 역사 속에서 화장의 흐름을 살펴보고, 그 가운데 승가의 다비가 어떻게 전개되어왔는지 다루었다. 화장의 역사는 자율적 수용(삼국~고려), 타율적 배척(조선), 타율적 수용(일제강점기), 자율적 배척(광복 후), 자율적 수용(근래)이라는 부침을 거듭하면서 세 차례의 수용과 두 차례의 배척이 있었다. 삼국시대에 불교와 함께 화장이 들어왔으나 오랫동안 승가에서는 매장이 주를 이루었다. 신라 후대인 9세기에 선종이 들어오면서 조사(祖師)가 입적하면 다비하여 유골을 부도에 모시는 관습이 정착되었고, 대부분 승려는 매장을 하였다. 다비가 승가의 장법으로 정착된 시기는 12세기에 들어와서이다. 이때도 유골을 다시 매장하는 이중장이 주를 이루고, 산골을 하는 비중도 살펴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백성의 화장을 제도적으로 금하는 가운데 승가의 다비는 꾸준히 전승되어왔다. 다비는 한국만의 독자적 법식을 갖춘 장법으로 선적 요소가 강한 특징을 지녔다. 문중마다 다른 전통 방식에 따라 다비를 행해왔으나, 점차 전승기반이 약화되고 표준화된 다비가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flow of cremation in the history of funerary culture, and how it has been practiced by monks. The historical trend of cremation has gone through the ups and downs of voluntary acceptance(Three Kingdoms and Goryeo), heteronomous exclusion(Joseon Dynasty), heteronomous acceptance(Japanese Occupation), voluntary exclusion(post-liberation), and voluntary acceptance(recent times). Cremation was introduced with Buddhism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but for a long time, burial was the predominant practice in the Sangha. With the introduction of Zen Buddhism in the 9th century, the practice of cremating Patriarch upon their death and enshrining their bones in stupa was established. Most other monks were buried. It wasn't until the 12th century that cremation became a Sangha practice. At this time, double burials were also common, and ashes were scattered. During the Joseon Dynasty, when cremation was institutionally prohibited for the people, it was steadily passed down in the Sangha. Buddhist cremation is a uniquely Korean form of funeral ritual with strong Zen Buddhist elements. Cremation has been done in different ways at different Buddhist cathedrals, but these traditions are eroding and standardised practices are taking their place.

      • KCI등재

        PBL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수업사례 연구

        구미란 ( Mi-ran Koo ),권정숙 ( Jung Suk Kwan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6

        본 연구는 패션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실제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지식을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이를 실제 상황에서 적용하여 협업을 통한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습득할 수 있는 PBL 기반 디자이씽킹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수업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내용은 PBL과 디자인씽킹의 핵심 요소들을 융합한 DT-PBL 모델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하고 부마민주항쟁 기념상품개발이라는 실제적인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문제해결안을 도출해가는 수업 과정을 운영하였다. 수업 운영 결과, 학습자는 자기 주도적 학습 활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소통과 협업 능력을 발휘하여 창의적인 문제해결안을 도출하는 역량이 향상되는 학습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DT-PBL은 패션 관련 전공 PBL 교과목 수업 설계 시 디자인씽킹을 활용하여 패션산업 현장의 실무를 창의적이고 자기 주도적으로 문제해결안을 도출할 수 있는 효율적인 패션디자인 수업모델과 수업사례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eaching model using PBL-based design thinking that can learn the knowledge necessary for solving real problems in the field and acquire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collaboration by applying it in real situations. The content of the study was to design a class that applied the DT-PBL model that fused the key elements of PBL and design thinking and to derive a problem solution based on a practical scenario of developing a commemorative product for the Buma Democratic Uprising. As a result of class operation, learners were able to identify learning outcomes that induce class motivation through empathy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derive creative problem solutions by demonstrating collaboration skills in the process of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DT-PBL expects to use design thinking when designing PBL courses for fashion-related majors as an efficient instructional model and instructional case to creatively and self-directed problem solving practices in the fashion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