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조건부 관심이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인식을 매개로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곽현주 ( Hyun Joo Kwak ),장유진 ( Yu Jin J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조건부 관심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177명을 연구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어머니의 조건부 관심은 중간 이하, 아버지의 조건부 관심은 중간 이상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어머니의 조건부 관심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정서인식과 부적 관련이, 아버지의 조건부 관심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정서인식과 정적 관련이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조건부 관심은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인식에 부적 영향을, 자아존중감의 변동에는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인식을 매개로 하여 교사효능감에 직간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쳤다. 반면 아버지의 조건부 관심은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인식에 정적 영향을, 자아존중감의 변동에는 부적 영향을 미쳐서 어머니 조건부 관심과는 정반대의 양상을 나타냈다. 이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어머니와 아버지 조건부 관심의 효과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aternal and paternal conditional regard to teacher self-efficacy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7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they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mean scores of maternal conditional regard were below median, and the mean scores of paternal conditional regard were above median. Second,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maternal conditional regar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 self-efficacy and emotional awarenes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other hand, paternal conditional regar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 self-efficacy and emotional awareness. Third, maternal conditional regard had a negative effect on teacher self-efficacy, futhermore, had a positive effect on fluctuations in self-esteem. Maternal conditional regard affect teacher self-efficacy directly and indirectly by the mediator of the emotional awareness. However, paternal conditional regard had a opposite effect with maternal conditional regard. Paternal conditional regard positively affect on emotional awareness, and negatively affect on fluctuations in self-esteem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is study suggests the effect of parental conditional regard to teacher self-efficacy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 SCOPUSKCI등재

        증례보고 : 내경정맥을 이용한 중심정맥 도관 삽입 후 발생한 종격동 수종

        곽현주 ( Hyun Joo Kwak ),임의성 ( Eui Sung Lim ),반소영 ( So Young Ban ),이지연 ( Ji Yeon Lee ),윤주선 ( Joo Sun Yoon ),길혜금 ( Hae Keum Kil ),김기준 ( Ki Jun Kim ) 대한마취과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2 No.3

        We report a patient who developed a hydromediastinum associated with the insertion of a central venous catheter. A 32-year-old male, who presented for left nephroureterectomy, had a central venous catheter inserted after general anesthesia. The patient subsequently showed acute respiratory distress after extubation. His right neck was severely edematous and the chest radiograph revealed a widened mediastinal shadow. The exploratory neck incision showed fluid collection at the neck and mediastinum. (Korean J Anesthesiol 2007; 52: 335~8)

      • KCI등재

        유아미술교육 강좌에서 실행한 구성주의 기반 e-아이디어 포트폴리오 활동경험의 교육적 의미

        곽현주(Kwak, Hyun-Joo),박혜훈(Park, Hye-Hoo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5

        본 연구는 유아미술교육 과목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이 구성주의에 기반한 e-아이디어 포트폴리오 활동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그 경험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017년 2학기 B대학교 유아교육과의 유아미술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1학년 학생 72명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15주에 걸쳐 e-아이디어 포트폴리오 활동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PPT 형식의 e-아이디어 포트폴리오, 토론 녹음, 학생저널, 사후 인터뷰 등이었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e-아이디어 포트폴리오 활동을 통해 멀티미디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관찰하는 습관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포트폴리오 경험을 일상으로 확장하였다. 또, 미술과 가까워졌으며, 미술교사와 미술가의 다름을 인식하고, 미술교육 아이디어를 미술 외의 영역에서도 찾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더불어 구성주의적 교수-학습방법에 따라 진행된 e-아이디어 포트폴리오 활동과정에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반성적으로 사고하며,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자신감을 형성하였다. 또한 미술교육을 위한 e-아이디어 포트폴리오 활동경험을 통해 미술교육에서 요구되는 교사의 창의성을 도모하였고, 미술을 새롭게 정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미술교육 강의계획 및 운영에 대한 실제적인 제안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e- Idea Portfolio activities based on constructivism and what is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ir exper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2 first-year students who took a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curriculum at B University’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7. The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participated in e-Idea Portfolio activities over 15 week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PPT format e-idea portfolios, discussion recordings, student journals, and post-interviews. As a resul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been able to use multimedia efficiently in e- Idea Portfolio activities, have formed habits of observation, and extended portfolio experience everyday. In additi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become more familiar with art, have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art teachers and artists, and find have found that art education ideas can be found discovered and implemented in areas other than art. Furthermore, they formed practical knowledge in the process of e-Idea Portfolio activities conduct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vist teaching-learning method, were able to develop reflective thinking skills through interaction with instructors and peers, and formed self-confidence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In addi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making e-Idea Portfolios for art education, the creativity of the teachers required in the art education was promoted and the opportunity to newly define art was give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classes for specialist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장애아 동영상 발표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아에 대한 인식 변화 탐색

        곽현주(Kwak, Hyun-joo),한남주(Han, Nam-jo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개론을 수강한 64명의 1학년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장애아 동영상 발표수업에 참여한 후 장애아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어떠한지를 알아본 것이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장애아 지도를 위한 교사로서의 다짐을 하게 되었고, 둘째, 장애아와 비장애아가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인식하게 되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장애아 지도를 위해 이론 강의에서 익힌 지식을 수정, 보완, 재확인하였고, 장애아 지도에 자신감을 형성하였고,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도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장애아와 함께 살아가기 위하여 사회적 통합의 중요성을 깨닫고, 사회공동체에 대한 인식도 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인식의 변화는 교수자와 동료의 피드백이 포함된 동영상 발표수업에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동영상을 통해 장애아를 만나고 지도해보는 간접경험의 기회를 가진 것이 예비유아교사 스스로 주요한 가치를 인식하게 된 것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장애아 동영상 발표수업은 장애아통합교육 현장에서의 참관이나 실습이 제한적인 특수교육 관련 교과목 운영 시,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격려하고 장애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으로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교수방법이 될 수 있다고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how pre-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y have changed via oral presentation with video material about them. The samples consist of 64 students enrolled introductory special education course in the first year of university. The results show that pre-childhood teachers modified, supplement and reaffirmed their theoretical knowledge through lecture and realized the need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In addition, pre-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the need of communities to go with them. The change of perception was accompanied with active participation in lecture including feedback of professor and colleagues, and the indirect experien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through videos. Thus, oral presentation using videos in inclusive education is expected to induce the positiv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y by encourag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especially in the limited situation of observation and practice about children with disability.

      • KCI등재

        어머니의 조건부 관심이 예비유아교사의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내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곽현주 ( Hyun Joo Kwak ),장유진 ( Yu Jin J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어머니의 조건부 관심이 어머니에 대한 애착과 내사,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192명을 연구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어머니에 대한 애착과 스스로의 정서능력은 중간 이상, 어머니의 조건부 관심은 중간 이하 수준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어머니의 조건부 관심은 어머니 애착 및 자신의 정서능력과 부적 관련이 있었으며, 내사와는 정적 관련이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조건부 관심은 예비유아교사의 애착에 부정적 영향을, 내사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내사를 완전 매개로 하여 정서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내적 조절과 정서 능력에 미치는 어머니 조건부 관심의 부정적 효과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aternal conditional regard to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ttachment to mother, introjection, and emotion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2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mean score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ttachment to mothers and their emotional competence were above median, but the mean scores of conditional regard were below median. Second,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maternal conditional regar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ttachment to mother and emotional competence, futhermo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rojection. Third, maternal conditional regard had an effect o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ttachment and introjection, moreover introjection was the full mediator of the relation between conditional regard and emotional competence. This study suggests the negative effect of maternal conditional regard to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ternal regulations and emotional competence.

      • KCI등재
      • KCI등재

        영화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및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방미나 ( Mina Bang ),곽현주 ( Hyunju Kwa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영화치료 관련연구를 통하여 연구동향을 탐색하고 영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동향 분석에 123편, 메타분석에 64편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연구동향 분석결과 연구주제는 심리정서기능 변인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성인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높게 나타났다. 메타분석 결과 영화치료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군 별 효과크기는 신체기능, 인지행동기능, 심리정서기능, 사회적응기능 순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에 따른 변인군 별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8회기 초과, 주 2회, 회기당 120분이 큰 효과크기를 보여 향후 영화치료프로그램의 구성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연구방법과 연구대상의 다양성, 통합예술치료 관점의 연구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studies on cinema therapy in the nation and conduct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a cinema therapy program.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included 123 researches to analyze their research trends and 64 to conduct a meta-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of research trends show that the most popular research topic concerne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unctions and that a high percentage of the researches employed a quantitative methodology. A good number of the researches targeted adults and adolescents. The meta-analysis results reveal that a cinema therapy program had a huge entire effect size. A cinema therapy program recorded the biggest effect size for physical functions, which were followed by cognitive and behavi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nd social adjustment functions in the order. The study also analyzed effect sizes by the variable according to moderating effects and found that over eight sessions, two sessions per week, and 120 minutes for a session or more contributed to a big effect size. These findings will serve as useful basic data to develop a cinema therapy program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follow-up studies and discussed a need for the diversity of methodologies and subjects and for a viewpoint of total arts therapy.

      • 우쿨렐레를 활용한 음악치료교육이 모자보호시설아동의 정서지능과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손현겸(Son, Hyeon Gyeom),곽현주(Kwak, Hyun Ju) 한국통합예술심신치유학회 2014 통합심신치유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우쿨렐레를 활용한 음악치료교육 프로그램이 모자보호시설 아동의 정서지능과 자존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K시 S모자보호시설에 거주하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29회기로 주 1회 60분씩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사전 · 사후에 실시한 정서지능과 자존감 검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가운데 감정이입과 정서조절 부분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자존감의 하위요인 가운데 사회적 자존감 부분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음악 치료교육이 모자보호시설 아동의 정서지능과 자존감의 하위영역 가운데 특히, 감정이입, 정서조절, 사회적 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whether music therapy education program using Ukulele has effect on improving EQ and self-esteem of children in women’s refuge. The subject was children living in S women’s refuge located in K city. Music therapy education program using Ukulele composed of totally 29 sessions went on for 60 minutes once a week. Before and after executing the program, EQ and self-esteem test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empathy and emotional control among sub-factors of EQ.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social respect among sub-factors of Self-esteem. To conclude, this study showed that music therapy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empathy,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respect among sub-factors of both EQ and self-esteem of children li v ing in women’s refuge.

      • 오카리나를 활용한 집단음악치료가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집단응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윤주(Kim, Yun-Joo),곽현주(Kwak, Hyun Ju),전경미(Jeon, Kyung Mi) 한국통합예술심신치유학회 2015 통합심신치유연구 Vol.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오카리나를 활용한 집단음악치료가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집단음악치료가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으로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 그리고 집단응집력의 하위요인인 집단원간의 수용성, 집단분위기에 대한 느낌, 집단관여에 효과가 있는가이다. 연구대상은 C시 소재 W정신병원에 입원한 환자 남자4명, 여자4명으로 2010년 5월 12일부터 2010년 7월 7일까지 총 8주간 주 2회씩 오카리나를 활용한 집단음악치료를 매회기 60분씩, 총 16회기 진행하였고 17회기에 작은 음악회로 종결하였다. 연구결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고 집단응집력의 하위요인인 집단원간의 수용성, 집단분위기에 대한 느낌, 집단관여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행된 오카리나를 활용한 집단음악치료가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check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on self-esteem and group cohesiveness of mental patient focusing Ocarina playing.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17 times from May 12th, 2010 to July 7th, 2010 for in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mental disease by psychiatrist in W mental hospital, Cheong-ju city, Chungcheongbukdo, Korea. Men were four and women were four each. Research tool used in the study was to adapt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gerg(1965) to Jeon Byung-je version(1974) to sense a change of self-esteem. Also, To find a change of group cohesiveness, 11 questions of 12 questions were modified and complemented from 36-question self-report questionnaires made by Greenberg(1986, 1989), chosen 17 questions and used it. Using these research tools, the inpatients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carrying out music therap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non-parametric test through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Researcher set up hypotheses as follows on the basis of the data. First, group music therapy focusing Ocarina playing would be significant to self-esteem of mental patient. Second, group music therapy focusing Ocarina playing would be meaningful to group cohesiveness of mental patient. The outcome says that mental patients showed a noticeable difference to both self-esteem and group cohesiveness. Through such a research finding, it implies that group music therapy can be the alternative of an effective group therapy program for mental patients.

      • 브레인댄스중심의 무용동작치료가 무용전공 청소년의 무대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김주현(Kim, Joo Hyun),곽현주(Kwak Hyun Ju) 한국통합예술심신치유학회 2015 통합심신치유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브레인댄스중심의 무용동작치료가 무용전공 청소년의 무대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S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 청소년 17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총12회기의 브레인댄스중심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브레인댄스중심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무대불안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무용전공 청소년의 무대불안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들과 그 영향을 고찰하며, 브레인댄스중심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무용수들의 심리적ㆍ신체적ㆍ인지적 불안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무용전공 청소년에게 브레인댄스중심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무대불안 감소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하위요인인 정서적 불안, 신체적 불안, 인지적 불안의 감소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브레인댄스중심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무용전공 청소년의 무대불안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브레인댄스중심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분석을 통해 현장에서 예술치료의 적용 및 실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dance movement therapy focused on brain dance on reducing stage anxiety in juvenile dance major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ce movement therapy focused on brain dance on reducing stage anxiety, a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on the subject of 17 young dance majors attending S Arts High School located in S city, with a total of 12 sessions for 12 weeks. Then, tests on stage anxiety were given to analyze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focused on brain dance. Thus, this study had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dancers’ psychological, physical and cognitive anxiety effectively through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focused on brain dance by considering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the stage anxiety of young dance majors and their effect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focused on brain dance conducted on juvenile dance majors made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stage anxiety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program also showe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its sub-factors of emotional, physical and cognitive anxiety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it was seen that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focused on brain dance has effect on reducing stage anxiety in juvenile dance major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applying art therapy at the site through effect analysis of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focused on brain dance and presenting practical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