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곽아람(Kwak, A-Ram),박정원(Park, Jeong-Won),박진희(Park, Jin-Hee)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19 사회복지상담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연구 결과를 통합 및 분석하여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요인에 대해 보다 통찰력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1990년부터 2018년 6월까지 국내에 수행된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총 171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연구에 제시된 상관계수를 통해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았고 노인의 거주특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요인을 생태체계적 관점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개인체계 관련 요인은 31개, 가족체계 관련 요인은 5개, 지역사회체계 관련 요인은 16개가 도출되었다. 둘째, 각 체계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낸 요인은 살펴보면 개인체계 요인에서는 죽음불안도, 가족체계 요인에서는 가족지지, 지역사회체계 요인에서는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인 가족지지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변수를 노인의 거주특성(시설/재가)으로 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거주특성에 따라 가족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떠한 요인이 영향력이 있으며, 우선적으로 개입되어야 할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게 해줄 수 있을 것이고,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본 연구결과에 나타난 요인을 고려하여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한다면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self-esteem and research trends of the elderly through systematic considerations, and to provide more insightful information on factors related to self-esteem of the elderly by integrat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From 1990 to June, 2018, a total of 171 studies were focusing on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conducted in Korea, and the average effect size was examined through correlation coefficients presented in the study. The regulation effect by residential character of the elderly was also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related to self-esteem of the elderly were examined through an ecological perspective. 31 factors related to the personal system, 5 factors related to the family system, and 16 factors related to the community system were derived. Second, the factors that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in each system were death anxiety scale in the individual system factors, family support in the family system factors, and family support, which is a subfactor of social support, in the community system factor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rol effect using the control variable as the living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facilities/home),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of self-esteem according to the family support was found. These findings will be able to identify which factors are influential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and what should be the first interventions. If you take into account the factors presented in this study and develop a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you can provide basic data on this.

      • KCI등재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곽아람(Kwak, A Ram),허만세(Hoe, Maanse),이신영(Lee, Shin Young)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esent meta-analytic reviews of the effectiveness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for the elderly by systematically examining previous research findings. Data were collected from 76 research articles and theses conducted from 1990 to 201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MA 2.0.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program effect size was very high.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ypes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Third, the magnitude of effect siz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 number of a program session, showing that the highest effect size was presented in the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with 10-19 session. However, the length of program implementation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gnitude of effect size. Last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agnitude of effect size was not found in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 participants(general elders, dementia elders, sick elders/ facility elders, home-stay elders/urban, rural, others). These findings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and could be used in implementing and developing a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보다 면밀하고 통찰력 있는 지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분석대상은 1990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학술논문과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점으로 총 76편의 논문을 최종 선정하여 논문에 제시한 통계치들을 분석자료로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전체평균효과크기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종류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프로그램의 개입특성 중 개입횟수의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10-19회기의 프로그램 진행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프로그램의 개입기간의 효과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특성(일반노인, 치매노인, 질병노인 / 시설노인, 재가노인 / 도시, 농촌, 기타)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의 유의성은 검증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경험적 근거가 될 것이며,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차성 언어장애(PLI)아동의 통계적 학습능력

        임동선(Dong Sun Yim),곽아람(Ah Ram Kwak),이여진(Yeo Jin Lee),한우주(Woo Joo Han),이지혜(Ji Hye Lee),천소연(So Yeon Chun),이슬기(Seul Ki Lee),한지윤(Ji Yun Han)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言語治療硏究 Vol.25 No.3

        Purpose : Statistical learning is known as the underlying mechanism that enables humans to acquire language implicitly. Children with primary language impairment (PLI) show low performance in both language and non-language areas compared to 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NL) because of the lack of statistical learning 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tatistical learning abilities between 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NL) and children with children with PLI. Method: A total of fifty seven children aged between 4 and 6 completed visual and auditory nonlinguistic statistical learning tasks. Group performances were compared via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variable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find possible factors that predict each group’s receptive vocabulary. Results: Children with PLI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in both visual and auditory statistical learning tasks. In the NL group, expressive vocabular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ceptive vocabulary and visual statistical learning, respectively. No other correlation was significant. In the PLI group,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between performance IQ and auditory statistical learning, and another strong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ge and receptive vocabulary skills. Overall, age was the best predictor of receptive vocabulary skills in both NL and PLI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difficulties that children with PLI encounter are not limited to the linguistic domain. They exhibited deficits even in the nonlinguistic domain such as statistical learning. Therefore statistical learning abilities may be impaired in children with PLI.

      • KCI등재

        전치부의 경미한 공간부조화 개선을 위한 가철성 장치의 적용 예

        곽아람,최영철,박재홍,최성철,김광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4

        골격성 부조화가 없는 I급 부정교합은 치아-악궁 간의 크기 차이에 의한 총생(crowding)이나 공극(spacing)이 주된 문제점이다. 이와 같은 경미한 공간 부조화를 개선시키고자 할 때,치열의 종류,치아-악궁크기 부조화의 양,환자의 협조도,또는 환자의 요구 등에 따라 치료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I급 구치부 관계를 지니면서 전치부의 치아-악궁크기 부조화의 양이 크지 않은 영구치열에서 상하 악 전치부의 경미한 총생이나 공극이 관찰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clear aligner와 spring aligner 장치의 이용에 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장치들의 임상 적용에는 몇 가지 제한적인 조건이 있기는 하지만,잘 선택된 증례에서는 매우 유용하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총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해소시킬 공간이 치열 내에서 확보되어야 하므로,확실한 분석과 진단으로 치아 인접면 삭제의 양을 정확히 결정하여 각 치아들의 근심면과 원심면에서의 삭제의 양이 균등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간에 공극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배열 후 치열궁 둘레의 감소와 함께 상하악 전치부 간의 over-jet 문제가 생길 수 있어 대합치열과의 교합관계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Class I malocclusion without skeletal problem results from tooth size/arch-size discrepancies, either evidenced by crowding, or spacing problems. Treatment method can be chosen according to dentition, the amount of arch discrepancy, patient compliance, or patient demands. We report of clear aligner and spring aligner that can be applicated in cases of permanent dentition with minimal arch discrepancy in anterior segment. There are some limits of application, but these are very useful appliances in the selective case. When crowding exists, definitive analysis and diagnosis should be made before starting treatment because certain amount of space must be obtained somewhere in the dentition to resolve the crowding. Therefore, appliance should be applied when lacking space is small. Also, in cases with spacing arch circumference is reduced after alignment so no problem in intermaxilla occlusal relationship must be confirmed. In case with crowding, judicious removal of interproximal enamel is indic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