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기 내 잔존유기물을 활용한 한반도 선사·고대의 토기 사용과 식생활에 관한 연구

        곽승기,신숙정 국립문화재연구원 201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2 No.3

        한국 고고학에서 토기는 그 출토 빈도만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유물이다. 지금까지는 주로 토기 표면에 시문된 문양이나 토기의 형태를 바탕으로 한 편년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연구자들의 주된 관심이 토기의 시간적 선후관계에 집중되어 토기 자체의 물리적 특성이나 토기에 잔존한 물질들을 연구하여 선사인들의 생활상을 복원해보는 시도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 필자들은 한반도의 주요 선사·고대 유적에서 수습한 토기편에서 추출한 잔존유기물(Organic Residue)에 대한 GC-MS 분석과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선사시대 한반도의 토기 사용과 식생활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산성을 띠는 한반도 토양의 특성으로 인해 유기물의 출토가 흔치 않은 상황에서 과거의 조리 활동으로 인해 토기 내부에 잔존해 있는 미량 유기물은 옛사람들의 식생활을 어림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연구 결과, 각 유적의 시대와 입지에 따라 확연히 다른 생계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륙 깊숙이 자리한 춘천 중도 유적에서는 육상자원의 비중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바닷가로의 접근이 가능한 광명 가학동 유적의 경우 해양자원을 소비한 증거를 확보할 수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선사시대에 속하는 위의 두 유적과는 시간적인 차이를 보이는 인천 구월동 삼국시대 유적에서는 지금까지 한국 고고학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낙농(酪農)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토기의 시간적인 선후관계 이외에 토기 자체에 대한 물리·화학적 연구가 활성화된다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과거 사회에 관한 좀 더 많은 정보들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subsistence and pottery use during ancient times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lipid analysis of potsherds from several major prehistoric settlement sites. Ancient human subsistence has been one of the long-standing topics in Korean archaeology. However, since the high acidity of sediments does not allow long-term preservation of organic remains, we still lack some critic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historic diet. Pottery contains relatively well-preserved organic remains created during past cooking events. Though pottery is one of the most studied material cultures in Korean archaeology, almost no attention has been given to analyzing the pottery itself. This is a surprising omission and represents a serious gap in our understanding of prehistoric technology and subsistence. The analysis of ancient lipids extracted from the pottery matrix using GC-MS and isotope analysis can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past subsistence strategies. Potsherd samples for the analyses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six prehistoric and early historic settlement sites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results showed that subsistence strategies differed by both location and time period. For example, at Jungdo, an inland open-air Bronze Age settlement site in Chuncheon City, we were able to see the presence of terrestrial mammals. At Gahak-dong, Gwangmyeong City, marine resources were utilized, as the location of the site is not far from the coastline. At the early historic site of Guwol-dong, Incheon City, we were able to detect dairy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was utilization of a wider range of resources among ancient dwellers in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先史土器와 土壤試料分析을 통한 韓半島新石器·靑銅器時代 生計經濟 硏究 - 微量 有機 炭素安定同位元素分析을 中心으로 -

        곽승기,김경택 호서고고학회 2018 호서고고학 Vol.0 No.40

        The authors attempt to understand prehistoric subsistence economy and pottery use i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Neolithic and Bronze Ages through the compound specific isotope analysis (hereafter, CSIA) of potsherds / sediments from five major prehistoric sites. One of the main topics of Korean archaeology is understanding of prehistoric subsistence change throughout the Neolithic and Bronze Age. However, due to the high acidity of sediments that does not allow long-term preservation of organic remains, we still lack critic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sistence of the prehistoric population of the peninsula. Cooking pots contain well preserved organic compounds originated from culinary practices. Reconstructing food processing episodes through CSIA of prehistoric fatty acid extracted from pottery /sediment matrix can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true nature of the subsistence of prehistoric Korean peninsula. The samples for the analyses in this paper were collected from the five major prehistoric (c.a. 7000-2300 BP) settlement sites located in the midwest and south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Tongsam-Dong, Kimpo-shingok, Kimpo-Yangchon, Sosa-Dong, and Songguk-ri sites. The result shows that terrestrial animals are presented in the organic residues, suggesting that there was utilization of a wider range of animal resources along with marine resources and harvested crops among prehistoric dwellers in the midwest and south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선사시대 생계경제는 현대 고고학에서 가장 활발하게 다루어지고있는 연구 분야 중의 하나이다. 신석기·청동기시대는 한반도의 선사시대 생계경제 논의에서 가장 빈번하게 거론되는 고고학적 시간대일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는 생계경제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는 시각이 지배적인데, 전자는 수렵채집 사회로, 후자는도작농경 사회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다. 한반도의 선사시대 생계경제연구는 탄화된 식물유체나 해안지역 패총에서 출토된 동물유체와패각 등에 주로 의존해 왔다. 본고에서는 한반도의 주요 신석기·청동기시대 유적에서 수습한 토기편과 토양시료에 대한 안정동위원소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선사시대 한반도의 생계경제에 관한 종합적인이해를 도모하였다. 분석 결과,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 이행하며 수산/육상자원과 조, 기장 등의 잡곡에 주로 의존하던 식단이 야생 육상동물과 쌀, 두류를 중심으로 하는 식단으로 변화하였다는 증거를 확보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신석기시대 해안과 청동기시대 내륙에서 수산자원, 재배작물과 함께 야생 육상동물들을 섭취하였음 역시 확인되었다. 구석기시대 이래로 수렵활동은 선사시대 한반도의 주민들에게 중요한생계수단이었을 것이다. 신석기시대에 접어들어 활발하게 어로활동이전개되고 조, 기장을 포함한 작물의 재배가 시작된 이후에도 수렵활동은 지역을 막론하고 지속되었으며, 청동기시대에 이르러 본격적인농경이 정착된 이후에도 야생 육상동물들은 당시 사람들의 주요 먹거리였다. 선사시대 한반도의 주민들은 먹거리를 조달함에 있어 보다다양한 전략을 취했던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으로생계를 이어나갈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광역 스펙트럼 혁명(Broad-Spectrum Revolution)과 홀로세 초기의 작물 재배 - 동아시아의 신석기시대를 중심으로 -

        곽승기 호서고고학회 2024 호서고고학 Vol.- No.57

        켄트 플래너리(Kent Flannery)는 1969년, “광역 스펙트럼 혁명(Broad-Spectrum Revolution, 이하 BSR)”이라는 개념을 통해 농경과 가축의 등장 이전부터 확인되는 수렵채집민의 식용자원 활용의다변화에 대해 논하였다. 이는 선사시대의 수렵채집민들이 이전에는자원으로 활용하지 않았던 소형의 동물이나 어류, 가금류, 식물들을그들의 식재료에 추가하여 식단의 스펙트럼이 넓어지는 현상을 가리킨다. 이러한 식단의 다변화와 확장의 지속으로 말미암아 더욱 집중적으로 자원을 활용하려는 노력이 증대되어 그 결과 작물 재배의 단계에까지 이르렀다는 주장 역시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중국, 일본 열도, 한반도)의 홀로세 초기에서 확인할 수 있는 BSR 의 양상을 검토해보고, 이 지역들에서 시작된 작물 재배의 과정에서BSR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를 제한적으로나마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근자에 확보된 식물고고학적 연구나, 토기와 토양에 대한 잔존유기물 분석 등의 연구성과를 통해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였다. 검토 결과, 한·중·일을 포함하는 동아시아의 여러 신석기시대유적에서 BSR의 증거라고 할 수 있는 동·식물 자원의 다변화가 확인되었으며, 작물 재배가 생계의 수단으로 일정 수준 이상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생각되는 지역들에서도 BSR이 목격되었다. BSR이반드시 작물 재배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모든 작물 재배를BSR과 결부 지을 수는 없다. 그렇지만 본 연구를 통해 적어도 동아시아의 일부 지역에서는 BSR이 작물 재배의 시작과 관계가 있었을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role of Broad-Spectrum Revolution (hereafter, BSR) in the Neolithic East Asia, especially focusing on the China, Japanese archipelago, and Korean peninsula. This paper also tried to reveal how BSR and the initial beginning of plant domestication are related in those contexts. Initially introduced in 1969 by Kent Flannery, the concept quickly became a powerful explanatory tool for understanding prehistoric human subsistence strategy and emergence of both plant and animal domestication. BSR has been often conjoined with theoretical frameworks such as diet-breath model based on optimal foraging theory and environmental niche construction to explain prehistoric subsistence pattern. In this study, I tried to synthesize recent evidence regarding Neolithic subsistence generated from advanced techniques including organic residue analysis and paleoethnobotany. The results indicated that BSR was clearly found at least in some part of East Asia, and some of them showed evidence of initial plant domestication. With this study, we were able assume affinity between BSR and the beginning of plant domestication in certain area of East Asi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Cryptococcal Meningitis Presenting with Isolated Sixth Cranial Nerve Palsy in a Patient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곽승기,서수홍,주지현,윤청현,박수철,김범수,김호연,박성환 대한의학회 2008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3 No.1

        Cryptococcal meningitis is a rare complication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The nonspecific neurologic findings associated with this infection delays accurate diagnosis because initial neuropsychiatric manifestations of SLE are in instances indistinguishable from that of crytococcal meningitis. We report a case of cryptococcal meningitis presenting with unilateral sixth cranial nerve palsy in a male patient with SLE, which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antifungal ag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