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SR 마커를 이용한 국내 콩 육성품종의 유전적다양성과 품종판별

        곽병삼,장은규,박병덕,황세구,김홍식 한국육종학회 2014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4 No.07

        국내에서 육성된 콩 91품종에 대하여 SSR마커를 이용하여 품종판별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다형성이 높은 5개 의 Primer(Sat_043, Sat_036, Sat_022, Sat_088, Satt045)를 이용하여 5단계로 판별하였다. 5개마커의 총 대립인자수 는 64개이었고, 범위는 10-15개이었으며, 평균대립인자수는 12.8개이었다. 판별 1단계의 Sat_043으로 판별 하였을 때 육성품종 91품종 중에서 부석콩(172bp)의 1품종이 판별되었고, 판별 2단계의 Sat_036으로 판별하였을 때 호장 콩(90bp)등 34품종이, 3단계의 Sat_022로 단경콩(230bp)등 29품종이, 4단계의 Sat_088로신팔달콩(160bp)등 12품 종이, 5단계의 Satt_045로 새별콩(132bp) 등 6품종이 판별되었으며, 82품종이 판별되었다. 판별되지 않은 9품종은 형태적특성에 의하여 서로간에 판별되었다.

      • 국내 콩 유망 장려품종의 종실 Saponin 함량변이

        곽병삼,이효재,박병덕,황세구,정헌상,곽상철,김홍식 한국육종학회 2014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4 No.07

        국내 콩 유망 장려품종 중 2009년까지 육성된 120품종의 종실 Saponin 함량의 변이를 구명하여 기능성 콩 품종개발 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콩 종실의 Group A와 B saponin을 합한 Total saponin 함량은 2431.1 ∼8231.3μg g-1의 범위였고, 평균은 4910.5μg g-1이었다. Total saponin 중, Group A saponin은 225.6∼1,193.3μg g-1의 범위였고, 평균은 592.5μg g-1이었다. Group B saponin은 2168.6∼7270.0μg g-1 범위였고, 평균은 4318.0μg g-1이었다. 각종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 인식되는 Group B saponin이 높은 상위 품종은 원황콩, 녹채콩, 부광콩, 장 기콩 및 흑미콩 이었다. 콩 Saponin 함량은 품종, 육성연대, 용도, 종실크기 및 육성모지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육성연대는 2000년도 이후가, 용도는 나물콩이, 종실크기는 소립종이, 육성모지는 익산이 Total saponin 함량 이 가장 높았다. Total saponin 함량과 Group B saponin의 함량 간에는 정의 상관이었다.

      • 다변량 분석에 의한 콩 품종 분류

        이가영,곽병삼,곽상철,김용현,장은규,김홍식 한국육종학회 2015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5 No.07

        국내에서 육성된 172품종의 양적 형질을 다변량으로 분석하여 유연관계를 해석하고, 품종을 분류하여 신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로 이용코자 하였다. 국내에서 육성된 콩 172품종의 군집분석 결과 7군으로 분류되었다. 제Ⅰ군에는 장단백목 외 13품종이 속하였으며, 100립중이 가장 무거운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Ⅱ군에는 충북백 외 111품종이 속하였으며, 생육일수가 짧으며, 1주종실중이 작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Ⅲ군에는 호서콩 외 5품종이 속하였으며, 생육일수가 긴 만생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Ⅳ군에는 팔달콩 외 3품종이 속하였으며, 뚜렷한 특징을 보이지 않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Ⅴ군에는 광교콩 외 26품종이 속하였으며, 생육일수가 가장 짧은 조생종이었고, 경장이 짧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Ⅵ군에는 소명콩 외 5품종이 속하였고, 분지수가 많은 품종들이 분류되었다. 제Ⅶ군에는 아가4호 외 3품종이 속하였고, 경장, 협수 및 1주립수가 가장 많은 품종들과 100립중이 가장 작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 한국 재래종 콩의 isoflavone과 saponin 함량 변이

        이지석,이효재,곽병삼,박병덕,정재현,신현만,정헌상,김홍식 한국육종학회 2013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3 No.07

        고품질 콩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한국 재래콩 292점의 isoflvone과 saponin 함량의 변이를 구명한 결과, 총 isoflavone 함량은 평균1390.2㎍/g 이었고 420.6∼2907.3㎍/g의 범위였다. isoflavone 함량의 분포는 1000∼1500㎍/g 범위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1500∼2000㎍/g의 범위가 그 다음으로 높았고, 2500㎍/g이상은 5점 이었다. isoflavone함량은 genistein, daidzein 및 glycitein 순으로 높았다. 총 isoflavone의 함량은 daidzein 및 genistein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 이었고, daidzein 과 genistein 간에도 정의 상관관계이었다. 총 saponin 함량은 평균4347㎍/g 이었고 1932∼8400㎍/g의 범위였다. Group A saponin 함량은 평균529㎍/g 이었고 243∼1231㎍/g의 범위였다. Group B saponin 함량은 평균3817㎍/g이었고 1584∼7598㎍/g의 범위였다. Group B saponin이 높은 자원은 IT226841, IT228304, IT228251이었으며, 총 saponin함량이 높은 자원은 IT226841(8,400㎍/g)이었다. 총 saponin 함량과 Group B saponin의 함량 간에는 정의 상관이었다.

      • 한국 콩 육성품종의 saponin 함량 변이

        이효재,이지석,곽병삼,정재현,신현만,정헌상,김홍식 한국육종학회 2013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3 No.07

        국내에서 2009년까지 육성된 콩 120품종들의 saponin 함량 변이를 구명하여 콩 기능성 품종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Saponin 함량은 Group A saponin이 225.6∼1,193.3㎍/g의 범위였고 평균은 592.5㎍/g이었으며, Group B saponin은 2168.6∼7270.0㎍/g 범위였고 평균은 4318.0㎍/g이었다. Group A와 B saponin을 합한 총 saponin 함량은 2431.1∼8231.3㎍/g의 범위였고 평균은 4910.5㎍/g이었다. 콩 saponin 함량은 품종, 육성연대, 용도, 종실크기 및 육성모지 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각종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인식되는 group B saponin이 높은 5개 품종들은 원황콩, 녹채콩, 부광콩, 장기콩 및 흑미콩 이었다. 육성연대는 2000년도 이후가, 용도는 나물콩이, 종실크기는 소립종이, 육성모지는 익산이 총 saponin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saponin 함량과 Group B saponin의 함량 간에는 정의 상관이었다.

      • 경상북도 양잠산업의 현황과 전망

        이희수,곽병삼,김기재,Lee, Hi-Su,Gwak, Byeong-Sam,Kim, Ki-Jae 한국잠사학회 2019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55 No.1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sericultural industry in Gyeonsangbukdo were examined through history and business of institute, sericultural status of Gyeongsangbukdo, purchasing results, and prospects of Gyeongsangbukdo. Silkworm & Insect Business Center was established in 1911 as Sericultural training institute. Original silkworm 400 case, and Nuedongchunghacho inoculant 100 box will be spreaded. Sericultural farmer is 339 and 41.5 percent on the whole country in 2016. Ten thousand kilogram of cocoon was purchased by institute in 2016. Farm income was increased to 13.7 million won and purchased cocoon 9,875 kg in 2017. To activate sericulture Gyeongsangbukdo will support Hanbok Institute in 2019 and make sericultural complex.

      • KCI등재

        1913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에서 육성된 콩 품종의 Isoflavone 함량의 변이와 다변량 분석에 의한 품종군 분류

        김현명(Hyun Myung Kim),장은규(Eun Kyu Jang),곽병삼(Byeong Sam Gwak),황태영(Tae Young Hwang),윤건식(Geon Sig Yun),황세구(Se Gu Hwang),정헌상(Heon Sang Jeong),김홍식(Hong Sig Kim) 한국육종학회 2018 한국육종학회지 Vol.50 No.1

        1913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에서 육성된 장류용, 나물용, 풋콩 및 올콩용, 밥밑용 품종을 포함한 172 품종에 대한 종실의 isoflavone 12개 성분의 함량에 대한 변이를 구명하고, 다변량분석에 의한 품종군을 분류하였다. 종실의 총 isoflavone의 평균함량은 837.2 μg/g이었고, 206.3~2666.2 μg/g의 범위이었다. 성분별로는 malonylgenistin의 평균함량이 390.0 μg/g로서 가장 높았고, 99.2~1149.1 μg/g의 범위이었고, glycitein의 평균 함량이 0.8 μg/g로서 가장 낮았으며 0.1~2.4 μg/g의 범위이었다. 성분그룹별로 보면 malonylglucoside group의 평균함량은 599.1 μg/g로서 가장 높았고 143.6~1796.4 μg/g의 범위이었으며, glucoside group의 평균함량은 202.4 μg/g이었고 36.9~801.8 μg/g의 범위이었다. acetylglucoside group의 평균함량은 27.5 μg/g이었고 3.7~103.9 μg/g의 범위이었으며, aglycone group의 평균함량은 10.0 μg/g로서 가장 낮았고 2.1~33.1 μg/g의 범위이었다. 총 isoflavone함량이 높은 품종은 나물용 품종인 아가8호(2666.2 μg/g), 아가4호(2569.3 μg/g) 및 아가9호(2345.0 μg/g)이었고, 총 isoflavone 함량이 낮은 품종은 장류용 품종인 대왕(328.8 μg/g), 풋콩 및 올콩 품종인 한올(599.3 μg/g) 그리고 밥밑용 품종인 검정콩1호(664.1 μg/g)이었다. Isoflavone성분에 대한 주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 1~3주성분까지의 누적기여도가 89.14%이었고, 제 3주성분만으로도 한국 콩 품종의 군집분류가 가능하였다. 군집분류에서 평균거리를 0.8로 하였을 때 7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고, Ⅰ군집은 전체 품종의 57.6%가 속하는 가장 큰 군집이었고, 다음으로 Ⅲ군집이 35.5%가 속하는 큰 군집이었으며, 나머지 5개 군집은 5개 이하의 품종이 속하는 소군집이었다. 군집에 따른 총 isoflavone의 평균함량은 Ⅵ군집이 2526.9 μ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Ⅳ군집이 1546.6 μg/g, Ⅴ군집이 1503.5 μg/g으로 높았으며, 그 외 군집은 낮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12 isoflavone components among 172 Korean soybean varieties released from 1913 to 2013.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 varieties based on the variation of isoflavone contents. Total isoflavone contents ranged from 206.3 μg/g to 2666.2 μg/g with an average of 837.2 μg/g. By each component, malonylgenistin content ranged from 99.2 μg/g to 1149.1 μg/g with the highest average of 390.0 μg/g, and glycitein content ranged from 0.1 μg/g to 2.4 μg/g with the lowest average of 0.8 μg/g. Among composition groups, the aglycone group contents ranged from 2.2 μg/g to 33.1 μg/g with the lowest average of 10.0 μg/g, and glucoside group contents ranged from 36.9 μg/g to 801.8 μg/g with an average of 202.4 μg/g. The malonylglucoside group contents ranged from 143.6 μg/g to 1796.4 μg/g with the highest average of 599.1 μg/g and acetylglucoside group contents ranged from 3.7 μg/g to 103.9 μg/g with an average of 27.5 μg/g. Varieties with high total isoflavone content were Aga8(2666.2 μg/g), Aga4(2569.3 μg/g), and Aga9(2345.0 μg/g) in bean sprouts group. The low total isoflavone content were observed from Deawang(328.8 μg/g) in soy sauce and paste group, Hanol(599.3 μg/g) in vegetable and early maturity group and Gemjeong1(664.1 μg/g) in cooking with rice group. The first three principal component axises accounted for 89.14% of the total variation observed. Dendrogram constructed using average linkage cluster method revealed that 172 Korean soybean varieties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with the average distance of 0.8 between groups. The group Ⅰ includes 57.6% of the total varieties, which was the largest group among seven groups, followed by the group Ⅱ that includes 35.5% of the total varieties. However, the other groups were small groups containing less than five varieties. In comparison among the total isoflavone contents according to groups, the highest isoflavone content was observed in group Ⅵ with an average of 2526.9 μg/g, followed by group Ⅳ(1546.6 μg/g) and group Ⅴ(1503.5 μg/g). The others were found to contain low isoflavone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