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플랫폼 자본주의 시대의 프레카리아트와 기본소득의 확대: 플랫폼 자본의 인클로저 vs. 플랫폼 공유지배당

        곽노완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7 No.1

        Beyond the proliferation of irregular workers in the neoliberal era, the expansion of platform capitalism is making new platform labor common. Furthermore, the scope of the platform labor extends not only to service provider labor such as crowd labor and delivery app labor, but also to free labor of platform users. The evolution of online platforms and AI outside of employed wage labor also expands exploitation. Thus the Precariat as precarious propertyless people and workers who constitute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society, is being regrouped into a class that is expropriated and exploited. This precariat will be reconstructed as an agent who requests dividend for the profit of commons in the form of basic income. A dividend for the profit of platform commons that expands this basic income and increases its feasibility, will be a breakthrough against platform capitalism. The fair sharing platform that can overcome the exploitation and expropriation of platform capitalism will be able to be derived from expanding the Shapley value distribution model proposed by Nam-Hoon Kang to various platform actors, including users(free workers), service providers, employed wage workers, and capitalists. And more fundamentally, it will be possible to extend the scope of dividend for the profit of platform commons by creating alternative common ownership platforms or platform commons. 신자유주의 시대의 비정규직 확산을 넘어, 플랫폼 자본주의가 급팽창하면서 새로운 플랫폼 노동이 일반화되고 있다. 더 나아가 이 플랫폼 노동의 범위는 크라우드노동, 배달 앱 노동 등 서비스공급자 노동뿐만 아니라 플랫폼 이용자들의 자유노동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과 인공지능의 진화로 고용된 임금노동 외부의 노동과 활동(자유노동)으로까지 착취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사회의 압도적 다수를 이루는 불안정무산자이자 불안정노동자인 프레카리아트는 공유지를 수탈당하고 노동을 착취당하는 계급으로 재편되고 있다. 이 프레카리아트는 기본소득의 형태로 공유지배당을 찾아오는 주체로 다시 재구성될 것이다. 플랫폼 공유지배당은 이러한 기본소득을 확대하고 그 실현가능성을 높이는 플랫폼자본주의의 돌파구가 될 것이다. 플랫폼 자본주의의 수탈과 착취를 극복할 공정한플랫폼 공유지배당은 강남훈이 제시한 섀플리 가치 분배모델을 플랫폼 이용자(자유노동자), 플랫폼 서비스공급자, 플랫폼 고용임금노동자, 플랫폼 자본가 등에 확대적용하여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보다 근본적으로는 대안적 공동소유의 플랫폼을 창출하여 플랫폼 자본가의 몫을 플랫폼 공유지배당으로 전환하는 플랫폼공유주의의 지평을 열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Global-polis and Time Space of Hope - Transformation of Global City and Spaces of Hope

        곽노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09 도시인문학연구 Vol.1 No.2

        Globalization and the revolution in information have brought aboutpostmodern notions of space such as cyber space and overlappingspace. In her discussion of the dual systems of global cities, SaskiaSassen argues that overlapping space becomes predominant in globalcities, in which the global space is overlapping to the State and thelocal. Examining the specific ways of overlapping space, Sassenattempts to extend the space for political practices to the global space. However, for the effective construction of that kind of space, Sassen'snotion of global city seems to need to be revised. In Sassen'sframework, heterogeneous and different dimensions of communities inglobal cities are understudied and instead often easily reduced to economic dimension. Here David Harvey's recent discussion of spaces of hope seems to behelpful to rethink of what is understudied in Sassen's work. Proposingopen spatiotemporal utopianism, Harvey attempts to envision alternativeutopian spaces as a combination of dynamic socialisticcompetition-space with security-space which enables every citizen toreceive partially equal benefits from community. But Havery'sspatiotemporal utopianism moves between Keyensianism and utterutopianism that is imagined but not realizable. In a critical dialogue with Sassen's discussions of global cities andHarvey's spaces of hope, I will explore the ways in which we canenvision and open up the positive possibility of communities in globalcities. In doing so, I'd like to propose 'global-polis' ('polis' as acommunity of public encounter and solidarity like in the traditionalGreek sense) as an alternative term for global city. By 'global-polis' asa humanistic community of contradictory (neoliberal vs. alter-)globalizing age, I mean to open up the possibilities of realizable openutopian community. As Harvey formulated, combining dynamicsocialistic competition-space with security-space for such open utopianspaces, I will discuss how such spaces can be concreted with myprinciple of 'socialistic competition to enhance the value of each otherin security'.

      • KCI등재

        플랫폼자본주의 시대의 도시공유지와 기본소득

        곽노완,권정임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7 No.3

        While theorizing capitalism in Capital, Marx shows double sides with exploitation and expropriation’, while focusing on exploitation. As an alternative system, communism is described as an association of all members of society, including non-workers, and sometimes as an association of laborers. The concept of exploitation and the resulting labor-fetishism from this ambivalence have been privileged in real socialist countries. And among the ambivalence about commonization and nationalization that appeared in Marx, the latter was privileged in real socialist countries. This article reconstructs Marx's concept of the enclosure of the commons and urban rent. This reconstruction enables us to analyze the city evolving into a platform of today’s capitalism. An alternative is the commonization of profits from urban development. It presents a plan to increase basic income being shared. In particular, platform or smart city dividends are a way to transform the expropriation of urban commons into a basic income. 마르크스는 『자본』에서 자본주의를 분석할 때 수탈과 착취라는 두 가지 개념을 통해 2중의 빼앗김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면서도, 착취에 비중을 두는 편이다. 그리고 대안체제인 코뮌주의를 비노동자를 포함한 전체 사회성원의 연합으로 서술하기도 하고, 때로는 노동자들(만)의 연합으로 서술하기도 한다. 이러한 양가적인 마르크스에게서 한 측면인 착취 중심 프레임과 ‘노동물신주의’, 생산자 연합 개념 등이 현실사회주의에서 특권화되면서, ‘수탈’의 개념과 자유로운 ‘사람들의 연합’이라는 개념은 불구화되었다. 그리고 마르크스한테 나타나는 공유화와 국유화의 양가성 중에서, 국유화가 공유화를 압살하면서 특권화되었다. 이 글은 공유지 인클로저와 도시지대에 대한 마르크스의 개념과 문제틀을 재구성하여, 플랫폼자본주의의 새로운 공간으로 진화하는 도시, 곧 스마트시티 내지 플랫폼시티 공유지의 인클로저를 분석하고 이의 대안으로서 국내에서 도시개발이익을 공유화하여 기본소득을 확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시공유지의 인클로저는 마르크스의 개념으로는 자본주의적인 수탈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플랫폼시티나 스마트시티 배당은 오늘날의 플랫폼자본주의에서의 도시공유지 수탈을 기본소득으로 전환하는 방안이다.

      • KCI등재

        리얼 유토피아와 기본소득 - 라이트의 리얼 유토피아 기획의 재구성 -

        곽노완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3 No.-

        라이트는 리얼 유토피아 기획을 통해, 민주평등주의 사회, 곧 인간번영을 위한 물질적 사회적 수단과 기회의 평등한 접근권을 보장하며 ‘민주주의가 극대화된 사회’를 창출하고자 한다. 그렇지만 그는 자신의 민주평등주의에 대해 설득력 있는 근거를 제시하지 않는다. 이 글에서는 공유지에 대한 평등한 권리에서 유래하는 기본소득이, 그의 민주평등주의를 위한 설득력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음을 보인다. 이어서 공유지에서 유래하는 기본소득에 기초하여 그의 리얼 유토피아 기획을 보다 일관된 체계로 재구성한다. 또한 이를 통해 리얼 유토피아에 대한 라이트의 비전이, ‘공유사회’, 곧 ‘민주적으로 관리·통제되는 공유지와 기본소득에 기초하는 사회’라는 비전과 중첩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따라서 리얼 유토피아 기획과 기본소득 기획이 이러한 중첩과 연관성 및 서로의 성과에 기초하여 발전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Wright wants to create a democratic egalitarian society through his real utopias project where everyone is guaranteed the access to material and social means or opportunities for human flourishing and where democracy is maximized. However, he does not provide a convincing rationale for his democratic egalitarianism. This paper shows that the basic income derived from the equal rights to commons can be a convincing basis for his democratic egalitarianism. This paper then restructures his real utopias project into a more consistent system based on the basic income derived from commons. It also argues that Wright's vision of Real Utopias overlaps with the vision of a 'sharing society', a 'society based on democratically managed and controlled commons and basic income'. This article therefore argues that the Real Utopias Project and the basic income project can on the one hand develop based on these overlaps and correlations and on the other, based on each other's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