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大典通編』 「兵典」試取를 통해 본 무예

        곽낙현(Kwak, Nak-Hyun)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 2011 武道硏究所誌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정조대 편찬된 『大典通編 』 ?兵典?시취를 통해 무인들이 실시한 무예실기와 이론 과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大典通編 』은 1785년(정조9)에 조선후기 법령을 총체적으로 정리하여 편찬한 법전이다. 이 책의 구성은 『 經國大典 』은 원, 『 續大典 』은 속, 『大典通編 』은 증으로 표기를 하였다. 둘째, ?兵典?시취내용으로 병종을 보군과 마군으로 대별하고 무예 실기는 원기와 별기로 구분하였다. 원기를 기준으로 보군의 대표적 기예는 철전, 편전, 유엽전, 조총의 4기였으며, 마군은 기사와 기창 등 2기였다. 셋째, 무예 추이는 『經國大典』에서 지정된 목전, 철전, 편전, 기사, 기창, 격구 등 6기와 『 續大典』에서 추가된 관혁, 유엽전, 조총, 편추, 강서 등 11기이다. 『大典通編』에서는 마군에서 기창교전, 편추, 마상언월도 등 3기가 추가되었다. 보군은 기존의 조총, 유엽전, 편전의 3기 이외에 용검, 쌍검, 제독검, 언월도, 왜검, 왜검교전, 본국검, 예도, 목장창, 기창, 당파, 낭선, 등패, 권법, 보편곤, 협도, 봉, 죽장창 등의 18技가 추가됨으로써 21기로 증가되었다. 넷째, ?兵典?에 제시된 강서 시험 종류로는 빈청강, 무경강, 능마아강 등이 『 續大典』에 수록되었고, 전경전강, 사강 등이 『大典通編』에 추가되었다. 조선후기 무인선발은 이론보다는 무예에 더 비중을 두었다. 특히 강서시험의 대표적인 병서로는 『兵學指南』과 무경칠서이었다. This Study aims to apprehend martial art practice and theory through Shichwi in Military code of 『Daejeontongpyeon』 compiled in Jeongjo period. The conclusion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Daejeontongpyeon』 is a law book, which is published in 1785, organized and modified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in late Joseon Dynasty. In this book, Won represents 『Gyeonggukdaejeon』, Sok represents 『Sokdaejeon』, Jeung represents 『Daejeontongpyeon』. Second, The kinds of soldiers are devided into Bogun and Magun. Examining Shichwi, martial practices are classified Wongi and Byeolgi. Typical martial arts are 4 gi Cheoljeon, Pyeonjeon, Yu-yeobjeon, Jochong centered around Wongi Magun is 2 gi Gisa, Gichang. Third, trends of martial arts are 6 gi, Mokjeon, Cheoljeon, Pyeonjeon, Gisa, Gichang, Gyeokgu etc. appointed in 『Gyeonggukdaejeon』, and 11 gi Gwanhyeok, Yu-yeobjeon, Jochong, Pyeonchu, Gangseo etc. added in 『Sokdaejeon』, In 『Daejeontongpyeon』, Gichanggyojeon, Pyeonchu, Masangeonwoldo 3 gi are added in Magun part. Bogun is increased 21 gi caused by 18 gi Yonggeom, Ssanggeom, Jedokgeom, Eonwoldo, Waegeom, Waegeomgyojeon, Bongukgeom, Yedo, Mokjangchang, Gichang, Dangpa, Nangseon, Deungpae, Gwonbeob, Bopyeongon, Hyeopdo, Bang, Jukjangchang. Forth, ?Byeongjeon?suggests that kinds of theoretical test, Bincheonggang, Mugyeonggang, Neungmaagang, and they are included in 『Sokdaejeon』. Jeongyeongjeongang, Sagang are added in 『Daejeontongpyeon』. In late Joseon Dynasty, selection of Military attach gave more weight to martial arts than theoretical test. Especially representative books on strategy are 『Byeonghakjinam』 and Mugyeongchilseo.

      • KCI등재

        사학 : 백동수의 생애와 무예관

        곽낙현 ( Nak Hyun Kwak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7

        이 연구는 조선후기 정조대에 무인으로 활동한 백동수라는 인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연구의 목적은 『무예도보통지』 편찬에 반영된 백동수의 무예관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백동수는 1743년(영조 19)년부터 1816년(순조 16)까지 살았던 무인이다. 수원백씨로 증조부는 백시구, 조부는 백상화, 부친은 백사굉이다. 2남 1녀 중 장남이다. 둘째, 백동수의 관직은 1788년(정조 12)에 장용영 초관으로 시작하여, 1790년(정조 14) 6월 훈련원주부로 발탁, 1791년(정조 15) 4월 훈련원판관으로 임명, 1792년(정조 16) 윤4월 충청도 비인현감에 임명되었다. 1802년(순조 2) 평안도 박천군수에 임명되어 1806년(순조 6) 5월까지 역임하였다. 이후 1816년(순조 16) 그의 나이 73세에 세상을 떠났다. 셋째, 백동수의 학문적 교유관계는‘백탑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박지원, 박제가, 이덕무, 성대중 등과 학문을 논하였다. 넷째, 백동수의 『무예도보통지』 편찬 역할은 무예를 발로 직접 뛰어다니면서 눈으로 확인하여 무예실기의 오류를 바로 잡고, 하나의 통일된 기법으로 정리하는 것과 24가지 무예를 각 군영에 보급하는 실질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다섯째, 백동수의 무예관은 무예의 표준화이다. 『무예도보통지』는 명물도수의 기준으로 실용적인 관점에서 편찬되었다. 이를 통해 모든 군영에 하나로 통일되고 획일화된 표준무예를 보급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Baek Dong Su who was martial art activist in Jeongjo period in late Joseon. This study aims to define Baek Dong Su`s view of martial art applying to compile of Muyedobotongji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in these. First, Baek Dong Su is a military man(1743-1816) His family name is originated from Suwon Baek. his great grandfather is Baek, si-gu, grandfather is Baek, sang-hwa and father is Baek, sa-gwang. He is the first child of two sons and one daughter. Second, He started his first public office in Jangyongyeong in 1788. The next year. he was selected Hullyeonwon Ju-bu. In April 1791, he was appointed at Hullyeonwon pan-gwan and promoted Biin hyeon-gam in Chungcheongdo. 1792 He was appointed as a Bakcheon gun-su in Pyeongando and successively filled various government posts until 1806 and he died in 1816 at the age of 73. Third, Baek Dong Su`s academic interaction is comprised of Baek-tappa. He discussed study with Park ji-won, Park, je-ga, Lee deok-mu, Seong Dae-jung etc. Forth, his job of publishing 『Muyedobotongji』 is to check the mistakes of martial art performance directly and organizing martial art skills in the united way. and he was in charge of practical part in distributing 24 martial skills to various military camps. Fifth, His view of martial art is the standardization of martial art. Muyedobotongji was complied at the point of practical use. He tried to distribute united and standardized martial art to every military camps.

      • KCI등재

        《무예도보통지》월도 기법 분석

        곽낙현(Nak Hyun Kwak) 한국사회체육학회 2014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oldo in《Meyedobotong》j.i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in these . First, the number of Woldo postures is 18 in total. Second, The number of attack techniques is 11 in Woldo. The postures are Yongyak Jaeyunse(Posture of a Dragon Leapingn tio the Pond), Sinwol Sangchunse(Crescen tMoon Rising Posture), Kumryong Junshinse(Golden Dragon Posture), Okwan Chamjangse(Five Gate CuttingPosture), Hyanjun Kyukjukse(Offensive Posture to the Front), Changryon Kwidongse(Blue Dragon ComingHome Posture), Wolya Chamsunse(Cutting a Cricket Under the Moonlight Posture), Kaema Chamryangse(HorseKilling Posture), Jangkyo Choolhaese(Long Lizard Posture), Jinjun Saljukse(Lunge and Kill Posture) and JangkumSookwangse(Hidden Sword Receiving the Light Posture). Third, teh other 7 postures are defence techniques . They are Mangho Jangjose(Thger``s Scratching Posture), Jijo Yumkise(Bird Folding Wing Posture), YongkwangSawooduse(Posture of a Dragon Shooting Fire at the Ox``s Head), Sangkol Buniskse(Posture of a Frosted HawkShaking off its Wings), Bunjung Jookong Bunshinse(Chasing Thunder Posture), Kumahn Soolsangse(Raising theKnee Posture), and Sookum Koyongse(Upright Sword Posture). Thorugh this analysis, It can be figured ou tthat Woldo pay more account to attack techniques than defence ones

      • KCI등재

        북한의 『무예도보통지』 연구 동향

        곽낙현 ( Nak-hyun Kwak ) 한국체육사학회 2015 체육사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무예도보통지』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82년부터 2015년까지 북한의 『무예도보통지』 연구는 문헌 10편 영화 1편 등 총 11편이었다. 세부유형별로 분류하여 살펴보면, 『천리마』 4편 『조선녀성』 2편, 『민족문화유산』 2편, 『인민교육』 1편, 『력사과학』 1편, 조선예술영화촬영소에서 제작한 「평양날파람」영화 1편 등이다. 둘째, 북한 『무예도보통지 연구는 김일성과 김정일의 교시 내용을 제시한 후, 저자의 『무예도보통지』와 관련된 견해를 함축적으로 설명하였다. 우리나라 『무예도보통지』 연구와 다른 점은 선행연구의 검토가 생략되었다. 셋째, 북한의 학자들은 모두 조선시대의 전통성을 이어온 문화계승과 보존의 차원에서 『무예도보통지』를 문화재보로 인식하고 있다. 『무예도보통지』의 대표적인 연구자로는 조희승을 꼽을 수 있다. 넷째, 북한영화 「평양날파람」은 『무예도보통지』에 실려 있는 권법이 택견과 태권도로 연결되어 전수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향후『무예도보통지』연구는 남북한 공동연구를 통하여 기록유산과 무형유산의 문화재로 집적하여, 세계인류무형유산 또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 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cent trend of studies on 『Muyedobotongji』, a training textbook on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s published in the late 18th century during the Joseon Dynasty. From 1982 to 2015, diverse studies on this book have been conducted and a total of ten papers were published in North Korean domestic magazines and journals as follows: four in 『Chollima』, two in Joseon nyeoseong , two in 『Minjokmunhwayusan』 , one in 『Inmingyoyuk 』, and one in 『Ryeoksagwahak』Also, a martial arts film titled 「PyongyangNalpharam」was produced by Korean Film Studio in 2006 basedon the book. Regarding the structure of North Korean papers on 『Muyedobo tongji』, it is interesting that an instruction by Kim Il-sung or Kim Jong-il comes first at the beginning of the papers. The author``s opinions and research results are explained in a brief manner. Unlike South Korean counterparts, these papers do not include any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es. The North Korean scholars recognized the significant value of 『Muyedobotongji』 in inheriting and preserving traditional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y consider this book as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document. Jo Hui-seung is the one of the most prominent North Korean scholars who study this book. What is also interesting is the movie 「PyongyangNalpharam」 This movie emphasized that the martial arts of fist illustrated in 『Muyedobotongji』 are passed down in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s, such as Taekkyeon and Taekwondo. In the future, a decent set of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register『Muyedobotongji』 on UNESCO``s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or Memory of the World list, through joint researches by North and South Koreas.

      • KCI등재

        일반논문 : 『무예도보통지』왜검 기법 연구

        곽낙현 ( Nak Hyun Kwak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4

        본 연구의 목적은『무예도보통지』실려 있는 왜검의 토유류(土由流), 운광류(運光流), 천유류(千柳流), 유피류(柳彼流) 등 4가지 유파 도검기법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토유류(土由流)는 30개의 전체 동작 중에서 공격이 18세, 방어 12세로 이루어진 공격 기법이었다. 운광류(運光流)는 전체 25개 동작 중에서 공격이 20세, 방어 5세로 토유류(土由流)와 동일한 공격 기법이었다. 천유류(千柳流)는 전체 38개 동작 중에서 공격이 19세, 방어가 19세로 공격과 방어가 적절하게 조합되어 있는 공방의 기법이었다. 유피류(柳彼流)는 전체 18개 동작 중에서 공격이 11세, 방어가 7세로 공격 기법이었다. 둘째, 도검무예에 나오는‘세’를 대상으로 공격, 방어, 공방의 세 가지기법으로 구분하여 특성을 살펴보면, 토유류(土由流), 운광류(運光流), 유피류(柳彼流)는 공격위주의 기법이었고, 천유류(千柳流)는 공격과 방어가 동시에 조화롭게 이루어지는 공방기법이었다. 이를 통해『무예도보통지』에 실려 있는 왜검(倭劍)의 도검기법은 공격을 위주로 하는 기법이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차후에는 왜검교전(倭劍交戰)에 대한 도검기법 연구를 진행하여 왜검(倭劍)과 왜검교전(倭劍交戰)이 갖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한국의 대표적인 무도 종목인 태권도 품새의 발동작과 손동작 등의 전체적인 자세를 왜검과 비교하면서 일본과 한국의 무예에 대한 기법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찾아보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rticles of Waegum and Toyu-ryu, Woonkwang-ryu, Chunryu-ryu, Ryupee-ryu Sword techinques through 『Muyedobotongji』and tried to define their purposes. The conclusions were following these. First, Toyu-ryu is the attacking techeniques composed of 18 attacking postures and 12 defensive postures Woonkwang-ryu is in total 25 postures including 20 attacking postures and 5 defensive postures like Toyu-ryu. Chunryu-ryu is composed of 19 attacking postures and 19 defensive postures and in total of 38 harmonious postures. Ryupee-ryu is in total 18 postures including 11 attacking postures and 7 defensive postures. Second, There are 3 main postures; attacking posture, defensive posture and attack and defense postures. Toyu-ryu, Woonkwang-ryu, and Ryupee-ryu are mainly about attacking posture Chunryu-ryu is harmonious posture which contains attacking and defensive postures at the same time. Through examining『Muyedobotongji』, we can grasp the meaning of Waegum technique that is focused on attacking posture. Third, after processing of the study on Waegum technique, this study will be extend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between Waegum and Waegum gyojeon. Furthermore, I will try to find out special features of Korean and Japanese martial techniques through comparing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 Taegwondo poomsae to Waegum.

      • KCI등재

        조선시대 금군에 대한 고찰

        곽낙현 ( Nak Hyun Kwak ),양현석 ( Hyun Suk Yang ) 한국체육사학회 2011 체육사학회지 Vol.1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의 금군에 대한 호위내용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에 존재하였던 왕실호위대인 금군은 임진왜란을 기준으로 전기에는 내금위(內禁衛), 겸사복(兼司僕), 우림위(羽林衛), 정로위(定虜衛)로 나뉘었고, 후기에는 호위청(扈衛廳), 용호영(龍虎營), 장용영(壯勇營)의 조직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금군의 임무를 살펴보면 전기와 후기에 있어 왕에 대한 신변보호를 위한 엄격한 시립, 배종, 의장과 왕궁호위를 위한 입직, 숙위, 수문 등의 고유 임무가 있으며 다만 특별한 경우로서 변방에 왜적이 쳐들어 왔을 때 왕이 금군에 왕명을 내려 변방에 가서 조선을 침략해 온 왜적과 전투를 해야 하는 임무가 부여되었다. 셋째, 금군의 한계는 전기의 금군 대부분이 고유임무에 충실하지만 금군의 부정부패로 인하여 잦은 인원의 변동을 불러왔다. 후기는 왜란과 호란을 거치면서 금군의 기능에 있어 인원이 대폭 증가되면서 왕권세력을 확대시켰고, 신권세력을 견제하는 역할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way of Geumgu, Royal Guard in Joseon dynasty. The conclusion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Geumgun which was the Royal Guard in Joseon Dynasty was divided into Naegumwi, Gyumsabok, Woorimwi, and Jungrowi in the first half of the dynasty, and meanwhile it was divided into Howechung, Yonghoyoung, and Jangyongyung. Second, considering the duty of Geumgun, it was recognized that strict guard, escort and protocol were performed for the safeguard of the Kings and traditional day duty, night duty and gate guard were also performed for the guards of the palaces. but in some special cases that Japanese invaded the frontier defenses, the guards of Geumgun were committed to go to the frontier defenses to repulse the invasions according to the Royal command Third, though most of the Geumgun in the first half of the dynasty were faithful in the performances of their traditional duties, the illegality and corruption of Geumgun caused changes of the personnel staff. And during the processes of the experiencing of Japanese lnvasion in the Year of lmjin and Chinse lnvasion in the Year of Byungja, the number of the guard in Geumgun became largely increased, which expanded the influences of the Royal power and played the roles to contain the powers of the subjects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as the guards of Geumgun should be performed their duties always according to the royal commands, their activities were limited within the royal residences and the places where the kings stayed.

      • KCI등재

        검도 분야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곽낙현(Nak Hyun Kwak),정동권(Dong Kwon Jung) 한국사회체육학회 2014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precedent studies conducted by academic journals on Kumdo. In comprehensively drawing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y are as following in these.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in 21 precedent studies on Kumdo that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lliance of Martial Arts Journal”, it was found that studies were conducted in four academic fields, including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sports philosophy, sports psychology and sports management, and these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ield made up the majority of studies than compared to those in the natural sciences field. In particular, among the 21 theses on Kumdo, 11 were on the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which comprised a majority of the 21 theses. Based on such findings, it was found that studies on Kumdo is in the stages of building an academic base founded on top of humanities studies from a perspective of historical philosoph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in 53 precedent studies on Kumdo that were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Kumdo”, academic field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natural sciences and others. With respect to the detailed academic fields, 12 theses were published in three specific subjects of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sports philosophy and sports pedagogics from humanities. From social sciences, 28 theses were published in three specific subjects of sports sociology, sports psychology and sports management. In natural sciences, 11 theses were published in four specific subjects of exercise psychology, sports biomechanics, measurement evaluation and sports archival study. Two theses were categorized under the others” category. Based on such findings, it was found that many theses based on social sciences were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on Kumdo by focusing on real life practicalities. Third, through the analysis on research trends in academic journals on Kumdo, research directions for academic advancement can be proposed as follows. Foremost, the continued publication of academic journals on Kumdo is required for the progress of Kumdo studies. Next, the establishment of an academic database regarding the field of Kumdo is necessary. Lastly, to ensure the academic unity and scholarship in Kumdo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jointly work on the creation of a Kumdo dictionary, development of Kumdo study materials and a Kumdo research manual.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guideline for the direction in future academic research through the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of academic journals on Kumdo. In addition,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aggregation of foundational materials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Kumdo.

      • KCI등재

        『무예도보통지』의 인용서목 고찰

        곽낙현 ( Nak Hyun Kwak ) 한국체육사학회 2013 체육사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무예도보통지』에 실려 있는 145종의 인용서목을 종합적으로 분류하여 각 무예별로 인용된 서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예도보통지』 145종의 인용서목을 사부 분류법을 통해 파악한 바, 한국문헌은 『삼국사』, 『고려사』, 『동국여지승람』, 『국조보감』, 『징비록』, 『경국대전』, 『속대전』, 『국조오례의』, 『한청문감』, 『악학궤범』, 『문헌비고』, 『용비어천가』, 『서애집』, 『상촌집』 등 14개, 일본문헌은 『일본기』, 『화명초』, 『왜한삼재도회』 등 3개, 나머지 128개는 중국문헌이었다. 둘째, 『무예도보통지』에 실려 있는 창류의 5가지 무예의 인용문헌은 69개, 도검류의 9가지 무예의 인용문헌은 90개, 맨손과 봉류의 3가지 무예의 인용문헌은 36개, 마상무예류의 6가지 무예의 인용문헌은 66개로 나타났다. 셋째, 『무예도보통지』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서목은 모원의의 『무비지』와 척계광의 『기효신서』 이었다. 『무비지』는 당파, 낭선, 쌍수도, 예도, 왜검, 월도, 협도, 등패, 권법, 곤방, 편곤, 마상편곤 등 12개의 무예에서 인용되었다. 『기효신서』는 장창, 당파, 낭선, 쌍수도, 예도, 등패, 권법, 곤방 등 8개 무예에서 인용되었다. 실제적으로 『무예도보통지』에 많이 인용된 서목은 두 서책 중에서 모원의의 『무비지』이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generally organize bibliography in 『Muyedobotongji』 through classifying bibliographic date. For thi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figuring out 145 quoted data, there are 14 Korean bibliography 『Samguksa』, 『Goryeosa』, 『Donggukyeojiseungnam』, 『Gukjobogam』, 『jingbirok』, 『Gyeonggukdaejeon』, 『 Sokdaejeon』, 『Gukjooryeui』, 『Hancheongmungam』, 『Akhakgwebeom』, 『Munheonbigo』, 『Yongbieocheon-ga』, 『Seoaejip 』, 『Songchonjip』 and 3 Japanese bibliography 『Ilbongi』, 『Hwamongcho』, 『Waehansamjaedohoe』. the others are Chinese bibliography, 128 data. Second, There are 69 bibliography of 5 different kinds of Spear martial art, 90 bibliography of 9 different kinds of Sword martial art. 36 bibliography of 3 kinds of bare hand martial and bar martial art and 66 bibliography of 6 Kinds of horseback martial art. Third, The most quoted bibliography are 『Mubiji 』 by Mowonui and 『Gihyosinseo』 by Cheokgyegwang. 『Mubiji』 is quoted in 12 kinds of martial art bibliography Dangpa, Nangseon, Ssangsoodo, Yedo, Waegum, Woldo, Hyupdo, Deungpae, Gwonbeop, Gonbang,, Pyeon-gon, Masangpyeon-gon. 『Gihyosinseo』 is quoted in 8 kinds of martal art Jangchang, Dangpa, Nangseon, Ssangsoodo, Yedo, Deungpae, Gwonbeop, Gonbang. In fact, 『Mubiji』 is more quoted. than 『Gihyosinseo』 in 『Muyedobotongji』.

      • KCI등재후보

        『매일신보』를 통해서 본 검도기사 연구

        곽낙현 ( Nak Hyun Kwak ),김영학 ( Young Hak Kim ) 대한무도학회 2010 대한무도학회지 Vol.1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에 폐·정간 없이 발행된 『매일신보』에 기재된 격검, 검도에 대한 기사들을 전체적으로 분류하여 검토하는 것이다. 나아가 그 안에 담긴 내용들의 의의를 밝혀내는 것이다. 일제강점기에 검도를 지칭하는 용어는 격검, 검도, 검술, 총검도, 총검술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격검과 검술, 검도는 1910년부터 1940년대까지 군인, 경찰, 교도관, 학생 계층들이 무도스포츠의 형태로 시행한 `죽도경기`를 의미하며, 총검도, 총검술은 1940년대부터 군인들의 `전쟁` 준비를 위한 제식훈련으로써 총에 검을 달아서 군사들을 연습시키는데 활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관한 결론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일신보』에 기재된 기사는 `격검` 은 검술대회, 격검, 격검대회, 검술, 격검대회, 격검술 등의 주제로 13개의 기사가 보였고, `검도`는 검도대회, 무도강습회, 무도대회, 조선신궁봉찬대회, 총검도, 기타 등의 주제로 53개의 기사가 수록되어 있다. 둘째, 격검과 검도의 용어는 혼용되었지만, `무도 경기`라는 공통점이 있다. 셋째, 격검은 경찰과 군인들이 치안유지를 위한 신체단련의 목적으로 수련하였고, 격검과 함께 유술과 유도 등의 무도종목도 함께 장려되었다. 넷째, 검도가 대중들의 체위향상을 위한 신체단련과 일본의 정신을 심어주기 위한 무도교육의 차원에서 보급되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대동아전쟁`의 승리를 위한 국방무도의 군사훈련수단으로 `총검도`, `총검술` 등이 대중들에게 시행되었다. 앞으로 이 시기 연구는 조선일보, 동아일보, 시대일보 등의 당시의 신문들을 활용하여 검도 관련 기사를 미시적인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현재의 검도의 모습을 올바르게 반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rticles of Gyeokgeom and Kumdo in Mail Shinbo and tried to define their purposes. The conclusions were following these. First, There were 13 articles of Gyeokgeom and 53 articles of Kumdo in Maeil Shinbo. Second, The terms of Gyeokgeom and Kumdo were mixed but there was a common in having a martial art contest. Third, police officers and professional soldiers had practiced Gyeokgeom in order to keep public order and high level of physical fitness. Judo was also promoted as a martial art education. Forth, Kumdo had been implemented in order to keep public fit movement and strike Japanese mind into them. On the other hand, Bayonet exercise had performed to the public as a military training in order to win the war so called The Great East Asia War. The study in this period should be generally examined by using microscopic view on Kumdo articles of Chosun Ilbo, Dongah Ilbo and Shida Ilbo etc. Through this process, It can be a chance to ruminate today`s Kum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