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인구전환(人口轉換) 3기(期)에서의 가족계획사업(家族計劃事業)

        공세권 ( Sea Kwon Kong ),조애저 ( Ae Jeo Ch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89 保健社會硏究 Vol.9 No.2

        As we observe population changes based on the recent data, Korean population is believed to go into the third stage of population transition typed of low fertility and low mortality. Birth rate at recent days is 18.8. death rate 6.2, population growth rate 1.3 percent and fertility rate below the replacement level has been achieved by the 1980s. This noticea-ble descending to the strong fertility control policy introduced by the Government in 1961. After descending to the level of replacement at recent days. the Korean fertility rate connot continue to move downwards for a few years of the near future. Those results above will involve the relaxation of the existing fertility control policy. However this trend comes to a stationary population growth in the oversaturized popu-lation with 50 million persons in 2020s. while birth rate will be 12.0, death rate 8.2 and population growth rate 0.3 in 2015 to 2020 era. The phenmena of population in the third transitional stage are summarized to be over- density, aging and urba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Population density, goes over 540 persons per kilometer and average life expectancy is over 75 years for both sexes, and median age of the total population is reaching to 40 years and urbanization rate will increase to 88 percent. Particularly rapid decline of fertility affects so much on population structure as to show contradictory changes in population composition. Young population bellow 15 years old will compose under 15 percent of total population, decreased from 30 percent in the recent days, and the aged population 65 and over years will increase to over the three times of 4 percent in the recent days. While total dependency ratio remains 40 percent inspite of the change of age composition, young dependency ratio and aged dependency ratio will compose 26 and 20 respectively in the near future. thus asking for a welfare orientation for the aged population. As population change is indispensable with industrialization, drastic industrialization and fertility decline shortened the second period of population transition at least a half century, During the period of drastic population transition, population is also influenc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the socio-economic aspects and demographic aspets. Changes of population structure request social welfare needs to meet the problems of education, employment, housing, family and the aged etc. Population policy focused mainly on fertility control till the present need re-establish- ment of policies emphasizing on populatlon quality aspects. Fertility control policicy which has key effects on population reduction has dedicated to the appeasement of population pressure on society from a broad view point. The positive effects the fertility control have on women and family should be stregthened while the secondary effects should be dealt for the improvement of population control policy. The secondary effects which fertility control have could be found in changes of function and role in family, family structu re and family life cycle. The effects as well as conflict and contradiction in family accelerate the family segrega-tion, furthermore make the family problems such as the support for the aged transfer to the society. There for family planning program should not be focused to mainly the fertility control but cover broadly the general welfare for the sound family life and further-more for the improvement of population quality.

      • KCI등재

        한국인구(韓國人口)의 노령화(老齡化) 특징(特徵)

        공세권 ( Sae-kwon Kong ),김초강 ( Cho-kang Ki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87 保健社會硏究 Vol.7 No.2

        Aging trend is the inevitable phenomenon as a result of population transition. Rapid change of population (decline of fertility and mortality) of Korea in this century predicts the expansion of aging trend. It is obvious that today`s young generation in their under 40s will live in the future aging society. Aging society demands welfare services for the growing aged population, which both family and society should prepare and carry out. Particularly,aging society is composed of the female aged with more than 60 percent of total due to longer life expectancy of female, thus requiring complicated facets of welfare policy focused on the provision for life. Therefore provisions should be prepared for establishing the welfare system at a long-term dimension with an appropriate direction predicting the future condition.

      • KCI등재

        최근(最近) 한국(韓國) 기혼부인(旣婚婦人)의 로동참여(勞動參與)

        공세권 ( Sae Kwon Kong ),김민자 ( Minja Kim Cho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89 保健社會硏究 Vol.9 No.2

        이 論文은 1986年 韓國人口保健硏究院이 실시한 『全國 家族生活逾期調査』資料를 기초로 韓國 旣婚婦人의 勞動參與 樣相을 분석한 결과이다. 社會變動과 관련요인을 단적으로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産業化ㆍ都市化 그리고 近代化에서 뭉둥그려져 진행되는 社會ㆍ經濟的 興件變化는 敎育水?의 향상과 出産力의 저하를 촉진시키고, 家族構造내지 機能의 변화는 女性에게 役割創出로서 就業率의 증가를 엿보게 한다. 이러한 急變狀況에서 傳統价値나 規范 또는 制度와 같은 內的 要因이 社會ㆍ經濟的 興件變化에 뒤따르지 못할 때 葛藤과 混亂은 불가피해 진다. 여거서 우리는 바람직한 女性의 役割이 무엇이며,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혼돈을 느끼게 되며, 또 특정 役割이 社會制度的으로 保障을 받지못한 상태에서는 정당한 평가를 받기 어렵다는 것을 생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女性들은 家庭內에서의 傳統的인 役割을 모두 감당해야 한다고 믿고, 産業化에 따라 모자라는 일손을 위해서 家庭單位의 事業이나 農業, 또는 家庭과는 독립된 職場을 갖는 성향이 높아지고 이러한 가운데서 二重的 役割葛藤이나 激務에 어려움을 겪게되는 것이다. 이처럼 女性의 役割變化는 변화되는 社會構造에 적응하기 위한 방편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産業化에서 人的資源이나 個人과 家庭福祉를 위해서도 취업에 따르는 문제는 制度的 改善내지 補完이 뒤따라야 하는 課題를 안게된 것이다. 최근의 旣婚婦人의 勞動參與는 都市의 高學歷과 低學歷層, 그리고 農村婦人에서 현저히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또한 家庭ㆍ經濟水?이 낮은 경우는 出産後 再就業率이 그러지 않은 婦人에 비해 현저히 높다. 물론 이러한 樣相은 아직도 韓國婦人의 낮은 敎育水?과 就業을 위한 專門敎育이 미비해서 女性就業이 보편화 되지 못한 점과, 家事와 병행되는 單純勞動의 參與에서 비롯되는 점이라 하겠다. 그러나 최근의 韓國女性은 敎育機會의 확대로 높은 敎育水?을 원하고, 또한 평균 結婚年齡이 약 24歲로 늦어지면서 結婚後 3年內에 2명정도의 子女를 두고 斷産하려는 추세에 있다. 또 이들 婦人은 結婚時 平均壽命에서 볼 때 약 47歲에서 막내자녀를 分家시키게 되며, 그후 약 23年을 더 살게될 것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婦人은 結婚前에 就業經驗을 갖고 있지만 結婚後에는 그렇지 못한 실정에 있으며, 특히 都市의 高學歷 婦人에서 就業을 않는 경우가 높다고 할 때 이들의 時間과 勞動 潛在力은 어떻게 活用되어야 할지? 이는 國家的 人力資源面에서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 이 硏究는 婦人들이 왜 일을 하거나, 하지 않으면, 또한 就業에 대한 관심은 어떠한지를 초점을 두고 분석한 것이다. 就業의 動機와 그 樣相을 단순히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農村婦人의 경우 개인적인 意思와는 관계없이 勞動에 參與할 수밖에 없는 설정에 있으며, 都市婦人은 개인의 意思와 就業은 有意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지만 意味는 신뢰성이 매우 약한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女性이 就業을 한 경우는 就業하지 않을 편을, 非就業인 경우는 就業을 選好하는 逆說的인 意味가 단적으로 女性就業의 不安定性을 제시하는 점이라 하겠다. 특히 女性의 就業은 旣婚의 경우 男便이나 家族의 理解와 協助下에서 가능할 수 있으며, 家庭과 독립된 직장을 갖는 경우는 子女의 養育과 家事가 就業에 부정적인 관계에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旣婚婦人의 就業은 家庭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就業의 원활성화 생산성 제고를 위해서 家庭과 職場의 공동노력은 물론 관련 制度의 改善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물론 이 論文은 家族硏究와 관련해서 女性의 役割變化의 하나로서 就業을 다룬 試圖的인 점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나 앞으로의 분석을 ``幸福한 家庭生活``이란 무엇이며, 이를 위해서 女性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賢母良妻란 어떻게 해석해야 하며, 점차 높은 敎育水?을 갖는 女性人力을 어떻게 活用해야 하느냐는 점에 관심을 두고, 人口 및 家族構造의 변화와 관련지워 女性의 役割과 就業을 보다 多角的으로 分析할 계획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