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일 보건소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사업을 위한 지역주민의 요구도 평가

        이병숙(Lee Byoungsook),고효정(Kho Hyojung),권영숙(Kwon Youngsook),김정남(Kim chungnam),곽혜원(Kwak Hyeweon),박미현(Park Mihyun)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8 계명간호과학 Vol.12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program offered by Sungju-gun public health center and the needs for the hospice and palliative service in the residents of Sungju-gun.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0 residents who were 20 years old and mor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 6, 2007 to Aug. 31, 2007 with tools developed by researchers.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2.0 version. Results : Mean score of the perception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program offered by Sungju-gun public health center was 8.45(SD 5.75) out of 19.0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the perception according to the subjects" age, monthly income, religion,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In the needs for hospice and palliative service offered by Sungju-gun public health center, the score of the dimension "Service Connection" was highest, 1.75 out of 2.00, and the score of the item "Assistance for activities in daily living" in volunteer service was highest, 1.82 out of 2.0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the needs for hospice and palliative service according to the subjects" monthly income.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s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program offered by Sungju-gun public health center was low while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s with old age, low income, and low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So, hospice and palliative service programs for these populations service connection and volunteer services are especially strengthened should be developed and actively informed to the residents.

      • KCI등재후보

        산모의 신생아 간호에 관한 교육요구도 조사

        심규숙 ( Kyu Sug Sim ),고효정 ( Hyo Jung Kho ),임경희 ( Kyung Hee Lim ) 한국모자보건학회 2002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6 No.2

        본 연구는 신생아 퇴원시와 퇴원 한 달 후 산모의 간호교육요구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고 비교해 봄으로써 앞으로 신생아 퇴원 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D시에 위치한 Y대학병원과 J산부인과 병원의 분만실에서 정상분만 또는 제왕절개 수술로 분만한 20세에서 40세까지의 건강한 산모 9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설명내용 누락, 불응답, 주소불명과 수취인 불명으로 탈락한 경우를 제외한 71명의 설문내용을 자료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퇴원시와 퇴원 한 달 후 산모의 신생아 간호교육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최선정(2000)이 개발한 간호교육요구도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를 구하였고 0.92로 나타났다. 자료수집기간은 2001년 2월 7일부터 4월 10일까지였으며, 신생아 퇴원시 1차 설문은 자가 보고식으로 하고 퇴원 한 달 후 2차 설문은 우편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산모의 신생아 간호교육요구도 평균 평점은 퇴원시 3.19 0.33, 퇴원 한 달 후에 2.90 0.3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5.808, p=0.000). 2. 퇴원시와 퇴원 한 달 후 산모의 각 영역별 신생아 간호교육요구도 차이를 검정한 결과, 퇴원시와 퇴원 한 달 후 통계적으로 의한 차이를 나타낸 영역으로는 신생아 돌보기 (t=7.014, p=0.000), 섭식 (t=3.106, p=0.003), 질병관리(t=3.124, p=0.003), 부모·자녀관계(t=2.656, p=0.010), 환경영역(t=3.961, p=0.000)으로 나타났으며, 이상행동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퇴원시 산모의 간호교육요구도는 퇴원 한 달 후 간호교육요구도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상행동영역은 두 시기 모두 간호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퇴원시와 퇴원 한 달 후 간호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았던 영역은 이상행동 영역이었으며, 가장 낮았던 영역은 환경문제 영역으로 나타났다. 3. 신생아 퇴원시와 퇴원 한 달 후 산모의 문항별 간호교육 요구도 차이는 37문항 중 18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퇴원 한 달 후보다 퇴원시 산모의 간호교육요구도가 높은 문항은 신생아 돌보기 9문항, 환경문제 4문항, 질병관리 3문항, 섭식 2문항, 부모·자녀관계 1문항으로 각각 나타났다. 4. 퇴원시 산모의 간호교육요구도 순위가 가장 높은 군항들은 호흡이 불규칙한 것, 경련을 일으킬 때의 대처, 아기가 어느 정도 먹어야 배부르며, 그만 먹고 싶어하는 신호는, 계속 토할 때, 대변도 안 보고 배가 점점 불러올 때 순이었다. 퇴원 한 달 후 산모의 간호교육요구도 순위가 높은 문항은 퇴원시의 순위가 유사하였으며, 퇴원시에는 높았는데, 퇴원 한 달 후에 간호교육요구도가 순위로 크게 낮아진 문항은 배꼽 관리, 아기가 균에 감염되지 않으려면, 황달 관리로 나타났다. 이상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산모의 신생아 간호교육 요구도에서 퇴원시가 퇴원 한 달 후보다 간호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나 산모 퇴원시 신생아 간호교육의 중요성이 시사된다. 그러나 신생아 퇴원시에 간호교육요구도 순위가 높은 이상행동, 질병관리영역은 여전히 4주 후에도 높게 나타나, 산모의 퇴원 교육시 이상행동, 질병관리영역에 대한 간호교육이 중심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근거로 임상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신생아 간호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퇴원 한 달 후부터 생후 1년까지 산모의 신생아 간호교육요구도 변화 양상에 대한 시기별 조사도 실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전체 신생아기 동안 요구되어지는 신생아 간호교육프로그램도 차후 연구를 통해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mothers' nursing educational needs at the time of discharge from those of 1 month later discharge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 care educational programs. Methods :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71 infant mothers who could be followed 1 month later. They were selected from a general hospital and an obstetric hospital in Daegu City.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educational need scale developed by Seon-jeong Choe and it was modified by the resear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7 to April 10, 2001. The first survey was done face to face interview at the time of discharge and the second one was done by mail. The data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d deviation, paired t-test with SPSS 10.0.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ings; 1. The educational needs of mothers were higher at the time of discharge(3.19) than 1 month later(2.90) (t=5.808, p=0.000). 2. In each category and item, we could see the differences as following; infant care (t=7.014, p=0.000), feeding (t=3.106, p=0.003), disorder management (t=3.124, p=0.003), attachment between parents and infant(t=2.656, p=0.010), environment(t=3.961, p=0.000). As the above data show, the nursing educational needs were higher at discharge than 1 month later after discharge. However, in the unusual behavior category, the educational needs were high both at the time of discharge and 1 month later. The category showing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was unusual behavior part and the lowest was environment. 3. In the 18 questions among 37, some differences were observed. The questions which the mothers at the time they were discharged show the higher educational needs. 4. The questions showing the higher nursing educational needs were listed as the following (in order of high nursing educational needs) ; "What can we do when infant has a breathing disorder", "What can we do when infant has a seizure", "What is the signal whin infant doesn't want to eat any more", "What can we do when infant vomits continually", "What can we do when infant doesn't defecate and the belly is going bigger and bigger". To the mothers 1 month later, the questions showing the higher educational needs were almost same as those of the mothers at the time of discharge. Conclusions : The nursing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at the time of discharg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mothers 1 month later. This means that the infant care programs at the time of discharge is very important. 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needs between the 2 types of time, but the disorder management and unusual behavior categories are showing high educational needs at the both time. So we need to let the mothers know about after 1 month educational programs when they take some programs at the time of discharge. This study might give some re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fant care program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