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통의 도구로서의 문법

        고창수 ( Chang Soo Ko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5

        이 논문은 문법이 소통의 도구로서 왜 중요하며, 또 어떠한 설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가를 다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통은 두 영역 사이의 원활한 정보 전달 행위를 의미한다. 이때 소통의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데, 가장 큰 소통의 장애는 서로 다른 언어 사이에 존재한다. 같은 언어를 공유할 때도 문법의 지식에 대한 차이가 존재하면 소통의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문법은 소통의 도구가 된다. 문법이 진정한 소통의 도구가 되기 위해서는 그 설명이 충분히 메타적이어야 한다. 즉, 메타적 설명은 서로가 이해 가능한 언술로 이루어진 설명이라고 할 수 있다. 문법의 메타적 설명을 위해서는 그동안 여러 문법의 이론에서 행한 공리적인 설명을 지양하고 단순하고 현실 언어로 표현 가능한 귀납적 설명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는 문법적 설명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는 도구로서의 문법이 지녀야 할 가장 단순한 언술 형태를 지향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문법의 이론은 한 언어 사회에서 소통의 도구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형태의 지식 체계로 발전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argue why important the grammar as a tool of communication and what explanations needed the grammar. Generally speaking, communication means good e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between two more domains. It is a basic example of communication obstacle when two domain use no common language. Or there are many obstacles as being the difference of knowledge of grammar. At this point, the grammar can be tools of communications. Grammar have a two side; the descriptive, or the normative. We must use the meta-language(in other word the explanatory grammar) for the tool of communication. It reject the axiomatic approach but support the easy explanations. Especially, the grammar for the second language education could be a good model of the grammar as a tool of communications. Because it need a easy and systemic explanations for the efficient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한국어문학과 매체

        고창수 ( Chang Soo Ko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0 漢城語文學 Vol.29 No.-

        이 연구는 매체 발달과 관련하여 한국어와 한국 문학이 어떤 변모를 겪었는지 간략히 살펴보고, 미래 한국어문학의 발전을 위해 어떤 연구 과제들과 정책적 고려가 필요한지를 논한 것이다. 인간은 언어를 사용한 이후, 수많은 매체 발달을 통해 의사소통의 범위를 넓혀왔다. 그 중에는 문자나 종이와 같은 매질적 매체도 있고, 특정한 문학 형식을 통한 장르적 매체도 존재한다. 각 시기별의 매체 변화에 따라 한국어문학은 그에 상응하는 변화를 가져왔다. 21세기는 디지털 기술에 의한 인터랙티브 매체 시대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시대에서 우리는 과거에 없었던 대량의 다 대 다 정보 소통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문어는 더욱 구어적인 표현과 가깝게 되고, 스토리텔링과 같이 고대의 구비 전승이 더욱 다양한 버전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게 되었다. 이러한 인터랙티브 문화를 더욱 의미 있게 하기 위하여 구어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하고, 이에 맞는 언어 규범 정책과 글꼴 개발도 뒤따라야 한다. 또한 스토리텔링을 세계화하기 위하여 세계인의 공감할 수 있는 우리의 이야기들을 더욱 심도 있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 general overview of the relationship of media development an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t also suggests that it would be needed the future agenda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s a Homo loquens, mankind has develop the communication area with the media revolutions. The revolutional media are the scripts, papers (they are medium) and the genres of literature. As a interactive media era, 21th century make a revolutional experience to us like the mass to mass in large scale. It promotes the oral expression of written language. Also we experienced the diverse version of ancient traditional storytelling. We must study the oral expressions in depth, decide the new standard norms of the using of written language and develop the fine discriminations fonts of Hangeul. For the global sympathy of the our storytelling products, traditional source of the story will be studied as possible as in depth.

      • KCI등재후보

        스토리텔링 산업에 요구되는 문화기술들

        고창수 ( Chang Soo Ko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09 漢城語文學 Vol.28 No.-

        문화기술은 스토리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제반 형태의 기술을 의미한다. 이때 인문학적 소양도 문화기술을 구성하는데, 이를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수준 높은 스토리콘텐츠들을 대량적으로 귀납 분석하여, 정형화된 창작 기법을 저작 도구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고전적 스토리텔링은 현대의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의미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으로 진화하고 있다. 스토리텔링과 스토리는 인터랙티비티의 유무로 구별된다. 스토리텔링을 위한 인문학적 기술은 비선형적 구조 부여 기술, 스토리 압축과 같은 변형 기술, 캐릭터 변용 기술 등을 포함한다. 드라마티카 프로와 같은 창작지원도구들에는 실제로 IT 기술이 융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도 캐릭터와 플롯에 대한 인문학적 스토리 분석 지식이 필요하다. CT or Cultural Technology means all types of skill or technology needed planning and developing story contents. The background of Human Science is very important for the developing of the CT products. We can make variously successful story contents from the classical storytelling tools. Analyzing the stories, we can learn the new technology for the interactive storytelling. The technology from classical stories are the nonlinear story structure, story compress, transforming, character modification etc. We can use many IT technology for the digital storytelling. Dramatica PRO is good example. The knowledge of classical storytelling method like character and plot have data structure within the writing tools like Dramatica PRO etc.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제망매가>의 해석과 서술태도

        고창수 ( Chang Soo K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6 No.-

        이 논의는 <제망매가>의 서정적 서술태도가 당시 대중 불사의 민중지향성을 함축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제망매가>는 신라 불교가 귀족 중심의 ‘미륵사상’으로부터 민중 중심의 ‘미타사상’으로 전환하는 길목에서 월명이 대중에게 던지는 ‘정토왕생’을 통한 ‘사생관의 초극’이라는 주제를 담담하게 전하고 있다. 기존의 해석에서 ‘女人不生說’을 잘못 이해하여 10행에서 ‘道’를 닦는 주체와 ‘道닦음’의 의미에 혼선이 있었다. 이 논의에서는 월명의 누이가 미타불의 공력으로 바로 ‘정토왕생’ 하여 “계속해서 불도를 닦으면서 자신과의 재회를 기다리라.”는 월명의 기원이 담긴 것으로 해석하였다. ‘道’는 ‘길’로 해석될 수 없으며, ‘佛道’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1행의 ‘生死路’는 ‘윤회의 길’이라는 뜻으로 10행의 ‘불도’와 대비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로써 <제망매가>는 ‘누이의 제사(追善)’ 자리에서 대중 공덕을 위해 지어진 민중 지향적 서정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lyrical narrative attitudes of <Jemangmaega, Lyric for a Dead Sister> which implies people orientation of Buddhism at that time. This poem calmy conveys the theme of ‘overcoming mortality’ via ‘entering the Pure Land’ that Wolmyeong throws to the people as Silla Buddhism switches from ‘Maitreya ideology`` to ’Amitabha ideology’. Having misconceived the view that women are not allowed to enter the Pure Land, there was a confusion on the agent and the definition of Tao(道) in the 10th line. This study interprets this as Wolmyeong’s prayer for his sister entering the Pure Land immediately of Amitabha’s help and waiting to reunite with him, continuing to cultivate herself. ‘道’ cannot be translated to ‘road’ but ought to be understood as Buddhist doctrines. In this sense, I distinguished ‘路(road)’ from ‘道’ by translating ‘生死路’ in the first line to ‘road of samsara’. Consequently, we were able to assure that <Jemangmaega> is a people-oriented poetry which was devoted to public virtue in a dead sister’s memorial service.

      • KCI등재

        제1차 국제학술대회 ; 한국어 후치사와 중국어 개사의 단어적 성격에 대하여

        고창수 ( Chang Soo Ko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5 No.-

        한국어와 중국어는 유형론으로나 계통론으로나 분명한 차이가 있는 언어이다. 그러나 두 언어는 역사적으로 오랜 기간 교섭해 왔기 때문에 어휘 면에서나 문법범주 면에서 공통성을 보이기도 한다. 어휘의 차용은 당연한 것으로 치더라도 문법범주들 간에 체계적 대응성은 앞으로 한/중 양어의 연구에 있어서 반드시 그 이유와 체계적 일관성을 더 궁구할 필요가 있는 분야이다. 한국어의 후치사는 중국어의 개사와 부사어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일정한 대응성을 보이는데, 이러한 입장에서 후치사가 가지고 있는 단어적 성격과 개사가 가지고 있는 단어적 성격은 격 배당자나 격 표시자의 입장에서 다소 다르게 관찰되기도 하면서 동시에 많은 동질성도 포함하고 있다. 같은 SVO 언어인 영어의 전치사는 개사와 같이 선핵 요소로서 어구의 앞에 위치하지만, 중국어의 개사는 영어의 전치사와 달리 격 배당자로 볼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다. 물론 이것은 굴절어와 고립어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이지만, 언어 보편적 규칙의 입장에서 볼 때에는 격 배당의 외현적 증거가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런 점에서 한국어의 후치사구와 중국어의 개사구는 오히려 동질적 측면이 강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체계적 대응성을 좀 더 깊이 연구한다면 한/중 양어를 서로 학습하려는 사람들에게 좀 더 효율적인 교수 방안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re are some meaningful similarity between Chinese co-verb and Korean postposition. The two device make ADVP out of NP by attaching itself to pre- or post- position. Because they was not case assigner nor case marker, they would not word nor affix. We can conclude they have two attribute. The attribute have some theoretical problem. It means we must have a certain dubious category. Although Korean and Chinese have developed typically different language, there are many negotiations historically with word bargain. Many Chinese co-verb has developed from verb to affix-like. Some Korean postposition as like it. In Middle age translation examples could show the events. Now we can see a little example. But the deeper and systemic understanding of the two device(co-verb and postposition), The similarity can make a meaningful and useful solution of the each language grammar studies.

      • KCI등재

        웹의 진화, 언어의 진화

        고창수 ( Chang Soo Ko ) 민족어문학회 2014 어문논집 Vol.- No.72

        정보 환경의 변화가 언어의 변이, 즉 언어 다양성이라는 진화적 행태를 결정한다. 언어의 변화는 언어의 탄생 이래로 인류가 지속적으로 경험한 것이다. 언어는 시간에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새로운 정보 환경의 출현으로 급격한 언어 변화가 연출되기도 한다. 문자의 발명이나 인쇄술의 발달이 그 중심에 있었다. 대중매체의 출현에 이어 웹 2.0으로 대표되는 현재의 디지털 문명도 그 주역이다. 이런 점에서 웹의 발전이 촉진한 것으로 알려진 일탈적 언어 변화의 핵심은 사실 웹 환경을 통한 ‘구어의 문어화’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언어 변이는 웹의 발전과 더불어 더욱 더 촉진될 것이다. 이러한 정보 환경에서 표준어라는 정책적 제한성이 가지는 의미는 더욱 희박해질 것이다. 그러나 표준어 정책이야말로 우리 사회를 결속하는 가장 큰 힘이다. 특히 언어 변이가 통제되기 힘든 현재의 웹 환경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오히려 현재의 표준어정책의 근간이 문어 세계의 산물이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앞으로의 표준어 정책은 웹 환경에서 교류되는 구어적 개인어들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형태로 발전해야할 것이다. There has been big changes in Information Environment (IE) by digital and network technologies i.e. web 2.0. The changes has influenced the language variations or the evolution. Through the all history of Human, IE has made proper effects on the language variation always. The dramatic effects are the invention of writings, printing, and the computer or internet. Contemporary ICT closely unites the all humans by Social Network Service (SNS) like twitter or facebook which is the symbol of web 2.0. It makes the literal language to oral language in spite of the writing method communication. There could be little many variations from the standard language if the services were not in existence. The variation is not deviation from standard, but rather naturally selected forms from the evolutional pressure of IE. Though the language derivations are somewhat chaotic, they are of developing process for new evolution. We must put the standard language policy into force for the efficient handling the chaotic variations, because the policy itself is another pressure of the evolution.

      • KCI등재

        고려가요 해석의 몇 논점

        고창수 ( Chang Soo Ko ) 민족어문학회 2013 어문논집 Vol.- No.67

        이 논의는 고려가요의 몇 가지 쟁점이 되는 어구들을 주로 박병채(1994)의 관점을 중심으로 김완진(2000)의 미진한 부분을 해석한 것이다. 고려가요는 훈민정음의 창제 이후 정착되었기 때문에 그 언어적 성격을 짐작하기 힘든 면이 있다. 이런 점에서 고려가요의 어구들 중에는 단순히 중세 한국어의 문법적 지식만으로는 풀기 어려운 과제가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형 ``고라``에 대해 ``고시라``와 같은 존칭이 나타나는 예는 고려가요에 거의 한정되어 있다. 중세한국어에서 ``고시라``형이 문증되지 않은 이유는 여기에 보이는 ``시``가 진정한 존칭인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고려가요의 올바른 해석 혹은 분석을 위해서는 중세 한국어의 지식보다는 오히려 고대 한국어의 지식이 더 필요할 지도 모른다. 본고에서는 고려가요에서 쟁점이 되어 온 몇 구절들을 어떤 부분은 고대 한국어에 가까운 형태로 또 어떤 부분은 고려가요 특유의 어법적 관점에서 논의를 정리하였다. This is the some debates for the Koryogayo(the songs of Koryo Dynasty) focused on the grammatical issues. Many phrases of Koryogayo has haven big problems until now. The main reason is the vagueness of the historical dimension existed in the language of the songs. There are many issues simply unsolved in the middle Korean grammar. It needed the old Korean grammatical or lexical view. An example is a {murazapnoita} (means ``bite+object honorific-aff+pred-aff``). It`s usual form is {muapnoita} comparative with {pizapnoita} (means ``pray``). Because the stem(of ``bite``) is {mur-}, it must dropout stem end-sound /r/ at the middle age. But I think it has developed from {mura-}, the old Korean reconstruct form. Another example is about honorific imperative form {kosira}. But the form is only existed in Koryogayo. Furthermore it is doubt honorific affix {si} indicates real respect. I suggest {kosira} analyzed to {ko(link ending)+si(verb stem means ``be``)+ra(imperative ending). They are some hypothetic reasoning but it is the fact we are needed for solving the difficult problem in the Koryogayo more using the old Korean grammatical knowledge.

      • KCI등재후보

        문법의 차원 이론에 대하여

        고창수 ( Chang Soo Ko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1 漢城語文學 Vol.30 No.-

        문법은 인간이 보이는 복잡한 현상의 일부이다. 문법이 그리 단순한 현상이었다면 적어도 이천년 이상 우리에게 새로운 생각거리를 제공하지 않았을 것이다. 문법의 이러한 복잡성은 앞으로도 어려운 숙제들을 우리에게 계속 제공할 것이다. 문제는 그것을 탐구하는 방법의 정합성에 있다. 특정한 이론적 틀 안에서 설명하지 않는 어떤 설명도 문법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아니다. 이 글은 문법의 이론을 차원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려고 한 것이다. 문법은 복잡한 현상이기 때문에 문법의 각 요소들 중에는 층위와 층위 사이에 접점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현상이 이른바 통사적 접사인데, 이는 형태론적 층위에서는 접사로 기능하지만 통사론적인 층위에서는 단어로 기능하는 것이다. 이들의 층위나 부문의 문제로 해결하려면 항상 논쟁적 대상이 된다. 그러나 차원 이론에서는 이들을 다른 차원의 관찰의 문제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접점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Grammar is a part of human activity as a complex world. If it is only simple phenomena, we had finished the study of language. There are many theory or methodology about grammar of language. But any explanation has not give us enough understanding about it. The reason is the interface of linguistic unit grammar innate. I suggest we must observe the grammar interface in dimension theory. Phonology is a 1 dimension which show the arrangement of phonemes. Morphology is a 2 dimension the arrangement of morphemes for word formation. Syntax is a 3 dimension the arrangement of word for sentence generation by projection principle. 3 dimension is polygonal. Each side of polygon is a proper position of words. Syntatic affixation is a non-agreement phenomenon of 2 dimension and 3 dimension. And this is key reason of linguistic interface.

      • KCI등재

        정음음운학파에 대하여

        고창수(Chang Soo Ko) 한국어학회 2013 한국어학 Vol.60 No.-

        The name of ``the school for the jeongum(correct sounds for letter`` had been called by Park(1974). He insisted the some scholars of Jibhyeonjeon(the royal academy) participating the creating ``Hunminjeongum(correct letters for people)`` are ``the school for the jeongum``. The school members are as like the modern phonologist. They suggested big issue against the traditional Chines phonology named ``seongunhak`` which divided the syllables with soeng(onset) and un(rhyme). The school for the jeongum successfully divided the un into nucleus and coda. It`s a great step for the phoneme letter. We justly call them as a modern scientific school. They had same scientific goal, belief system and phonological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