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의 궤적과 쟁점 - 2000년 이후 한국현대문학연구를 중심으로
고지혜 한국문학연구학회 2023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81
2000년대 이후 한국현대문학연구에 등장한 ‘디아스포라’라는 용어 및 인식틀은 한국문학의 속지주의(屬地主義)와 속문주의(屬文主義)를 비판하고, ‘한국문학 대 세계문학’이라는 위상학에 의문을 제기하며 민족주의와 국민국가를 넘어서는 새로운 상상력을 펼쳐 보인 문학 현상이자 담론이었다. 이에 이 논문은 지난 20여 년간 한국현대문학연구에서 이루어진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의 흐름을 조망하고 그 쟁점들을 재검토함으로써 이동/이주/이산에 관한 문학 연구의 향후 방향을 가늠해 보고자 했다. 그동안 ‘디아스포라’를 둘러싼 개념, 관점, 방법론은 한국문학의 영역을 확장하고, 민족과 국가를 이루고 있는 내외부의 경계들을 섬세하게 사유할 수 있게 해주었을 뿐 아니라 복합적인 학제적 대화를 가능케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의 다수가 민족주의의 자장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고 디아스포라로 명명될 수 있는 존재를 발굴하는 데 집중하면서 이들을 쉽게 고정화하고 역사화하기도 했다. 따라서 민족주의적인 정서나 귀환 가능성을 전제하지 않고, 다문화주의라는 이름으로 전개된 동화주의적 시각이 아닌, 디아스포라의 존재론이 지닌 문화정치적 기획 및 실천의 잠재성에 대해 다시 사유해야 한다. 재난의 일상화로 인해 난민화되는 삶에 대한 논의가 대두되고 있는 현재, 경계를 오가는 비결정적이고 불확실한 존재를 고정화하거나 추상화하지 않는 동시에 수난의 서사나 피해자 담론에 가두지 않으면서 이들이 지닌 저항과 해방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분석틀과 방법론이 요청된다. The term and conceptual framework of ‘diaspora’, which began to appear in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field since the 2000s, was a literary phenomenon and discourse that criticized the attributable territory and native language principle of Korean literature, questioned the topology of Korean literature vs. world literature. This study tried to critically examine the flow of diaspora literature research/criticism in the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field over the past 20 years. And this paper tried to gauge the future direction of diaspora literature research by reviewing the current discourse topography on movement/migration/separation. In the meantime, ‘Diaspora’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not only expanded the domain of Korean literature and allowed to think abundantly about the internal and external boundaries that make up the nation and the state, but also enabled complex interdisciplinary dialogue. However, diaspora literature research focused on discovering beings that could be named diaspora, and due to the work of this naming and classification, they were easily immobilized and historicized. As a result, no progress has been made beyond the initial discussion regarding the potential or movement for their ont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ink again about the potential of cultural and political planning or practice of diaspora ontology, not a assimilationist view developed in the name of multiculturalism, without presupposing nationalistic sentiment or the possibility of return. When discussions on refugees or refugeeized lives began to emerge, analysis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are required for those who have potential for resistance and liberation, without immobilizing/abstracting non-deterministic and uncertain beings.
Amniopatch procedures in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 single-center experience
고지혜,박하나,이미영,심재윤,원혜성,이필량,김암 대한산부인과학회 2016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2 No.-
목적: To assess the outcomes of women with spontaneous or iatrogenic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 who were treated by the amniopatch procedures at a single institution. 방법: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with the patients who received amniopatch between January 2013 and March 2016 at the Asan medical center. Using ultrasound guidance, platelets, cryoprecipitate, and normal saline were infused alternatively. Success of amniopath was defined as a cessation of leakage with normalization of the amniotic fluid after the procedure. The perinatal outcomes were evaluated b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결과: A total of 24 amniopatch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21 patients. Among 21 patients, there were 18 cases of spontaneous PPROM and three cases of iatrogenic PPROM. The mean gestational age (GA) (± standard deviation) at PPROM and at amniopatch procedure was 21.1±3.2 weeks and 22.2±3.2 weeks, respectively. There were no immediat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amniopatch procedures. Among the six cases of successful procedures, four of 18 spontaneous PPROM group (22.2%) presented no leakage after the procedures, whereas two of three iatrogenic PPROM group (66.7%) showed no leakage. Mean GA at delivery of 21 patients was 25.5±6.2 weeks, and overall survival rate was 57.1% (12/21). The interval between amniopatch procedures and delivery was 64.0 days in the success cases on the other hand 17.1 days in the failed cases (p=.028). In the success group (n=6), the mean GA at delivery was 30.5±7.4 weeks and there were four survivals (66.7%) with two full-term deliveries. In the failed group (n=15), GA at delivery was 23.5±4.1 weeks and there were 8 survivals (53%) who were all preterm delivered. The mean GA at delivery in the success group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in the failed group (p=.0018). 결론: Although the success rate of amniopatch was low, GA at deliver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ccess group than the failed group. The interval from amniopatch procedures to delivery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success group than the failed group. Therefore, the amniopatch procedure may be considered in cases of PPROM.
고지혜 상허학회 2024 상허학보 Vol.71 No.-
1960년 2월 28일부터 4월 26일까지 각계각층에서 일어났던 일련의 민주화운동을 어떻게 명명할 것인가는 이후 60여 년이 흐른 현재까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지만 1960년 당시 가장 널리 사용되고 강력한 영향력을 끼친 용어는 ‘혁명’이었다. 그만큼 ‘4·19’를 둘러싸고 있는 시적 순수성의 아우라는 각별했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혁명의 순간을 증언하고 기록하려는 폭발적인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항쟁에 참여했던 학생들과 현장을 취재했던 기자들은 사건이 일단락되자마자 수기 및 서사기를 편찬하였고, 1960년 5월 19일 순국학생위령제의 날을 기점으로 1960년 5월부터 7월 말까지 두 달 반 정도의 시간 동안 서울에서만 각각 다른 편저자에 의해 4·19 관련 시선집이 5권, 수기가 3권, 화보집이 4권 출간되었다. 이와 동시에 『사상계』는 1960년 6월호 전체를 “민중의 승리 기념호”로 꾸렸고, 『새벽』은 “4·19민권혁명” 특집을, 『새교육』은 “4·19혁명과 민주 교육” 특집을, 『여원』은 “슬픔의 4·19 기쁨의 4·26”을 특별 편성하면서 일차 경험 집단이 전달하는 생생한 ‘체험자의 기억’을 부지런히 아카이빙했다. 이 논문은 1960년 6~7월 유수한 잡지들이 꾸렸던 ‘특집’과 동시기에 쏟아져 나왔던 문집 및 수기집을 4·19에 관한 ‘최초의 아카이빙 작업’으로 보고 공통적으로 기록하고자 했던 정동과 서사를 분석해 보았다. 『사상계』와 『여원』의 특집호에서는 포토저널리즘에 기반하여 사진 이미지와 글의 콜라주를 통한 혁명의 파토스를 공유하는 과정이 이루어졌으며, 다수의 문집과 수기집들은 4·19에 관한 공통의 서사화와 역사화를 추동하면서 기억의 공동체를 위한 내러티브를 구축하고자 했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은, 1960년 4~7월 사이에 쏟아져 나왔던 수많은 글과 이미지, 그리고 그것을 모으고 채집하여 출간하고 공유했던 아카이빙 열기가 그때 여기에 혁명이 있었음을 증명해 주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1960년 4~7월에 제출된 4·19문학은 혁명의 열기를 기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그때의 그 뜨거움은 제대로 된 제도화의 과정을 거치지 못한 채 사라졌지만 그것을 기록하고 있는 4·19문학으로 인해 뒤에 오는 또 다른 4·19문학은 계속해서 문제를 공유하고 무수한 실험과 도전을 전개할 수 있게 된다. 혁명의 현장을 기록하여 4·19를 어떻게 기억해야 할 것인지를 고민하게 하는 것, 그럼으로써 1960년에 있었던 그 사건에 대한 사유를 새롭게 정초하도록 이끄는 것, 이것이 4·19에 관한 최초의 아카이브가 가지는 효과이며, 4·19문학의 개념과 범위, 그것을 해석하는 시각을 넓혀야 하는 이유일 것이다. How to name the series of pro-democracy movements that took place between February 28 and April 26, 1960, in all walks of life, remains a matter of debate more than 60 years later, but in 1960, the most widely used and influential term was “revolution.” The aura of poetic purity that surrounded “4·19” was extraordinary. This was also manifested in an explosive movement to witness and document the revolutionary momen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uprising and journalists who covered the scene began compiling memoirs and narratives as soon as the events were over, and in the two-and-a-half months from May 19, 1960, the day of the May 19 Memorial Day, to the end of July 1960, five poetry anthologies, three memoirs, and four photo collections by different editors were published in Seoul alone. This paper re-examines the ‘special issues’ of leading magazines in June/July 1960, and the contemporaneous outpouring of literary and memoir colle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irst archival work’ on the 4·19. The special issues of Sasanggye and YeoWon were photojournalistic in nature, sharing the pathos of the revolution through collages of photographic images and texts, while the many collections of letters and memoirs pushed for a common narrative and historicization of the 19th, helping to build a narrative for a community of memory. More importantly, however, the outpouring of writing and images between April and July 1960, and the archival fervor with which they were collected, compiled, published, and shared, attest to the fact that there was an uprising here. The effect of the first archive on 4·19 is to document the scene of the uprising, to make us think about how we should remember 4·19, and thus to reorient our thinking about the uprising and revolution of 1960, which is why we need to expand the concept and scope of 4·19 literature and the way we interpret it.
고지혜,신명신,한별,이진하,원혜성 대한주산의학회 2024 Perinatology Vol.35 No.2
We present a case of fetal cardiac hemangioma that caused fetal arrhythmia and reduced ventricular contractibility. At 31 weeks and 1 day of gestation, a 29-year-old primiparous mother was referred to our institution due to an abnormal ultrasound finding, suspicious of a fetal cardiac mass occupying the right atrium (RA). The blood flow from the RA to the right ventricle (RV) was decreased. Additional evaluation through FetalHQ (GE Healthcare Korea) revealed diminished RV contractility. At gestational age 35 weeks and 1 day, the fetus had developed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We decided to perform an emergency cesarean section to prevent further impairment in fetal cardiac circulation. Postnatal echocardiography showed a pedunculated mass on the free wall of the RA, and the cardiac movements were affected with atrial flutter. Immediate mass excision was performed. Pathological analysis confirmed that the mass was a juvenile capillary hemangioma. The newborn stayed admitted for postoperative care and recovered healthy without any signs of cardiac arrhythmia.
1980년대 이티(E.T.)의 문화사 -영화 <E.T.>의 수용과 다매체 문화콘텐츠로의 전유를 중심으로-
고지혜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4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0 No.35
스티븐 스필버그가 만든 SF영화 <E.T.>는 1982년 6월 11일 미국에서 개봉한 직후 엄청난 흥행 기록을 세우며 세계적인 화제작으로 떠올랐다. 이 논문은 만화잡지 보물섬 을 통해 한국에 처음으로 <E.T.>의 전체 내용이 자세하게 소개되는 1982년 10월부터 영화 <E.T.>가 한국에 정식으로 개봉하는 1984년 6월까지, 2년이 채 안 되는 시간 동안 만화, 소설, 아동극, 애니메이션, 노래, TV 프로그램 등 다양한 매체로 생산 및 전유되었던 ‘E.T.’ 관련 콘텐츠들을 분석함으로써 당시 한국에 불었던 ET열풍의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 아동청소년 문화사에서 ET콘텐츠가 지니는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이티 캐릭터의 특징은 ET콘텐츠의 성공적인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핵심 자원이었다. ET콘텐츠가 여러 매체를 통해 반복, 재생산, 확산될 수 있었던 것은 영화 개봉의 지연이라는 콘텍스트와 선량하고 다정한 외계인 친구와의 우정이라는 텍스트의 특징이 함께 어우러진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1970년대 한국 SF 애니메이션에 공통으로 등장했던 핵심적 요소가 ‘우주여행’ ‘거대 로봇을 이용한 우주 전쟁의 승리’ ‘지구 수호’였다면, 영화 <E.T.>의 핵심은 ‘지구(일상) 방문’ ‘약하지만 다정한 외계인’ ‘외계인과 감정의 동기화’ ‘지구 어른들로부터 외계인 친구의 수호’였다. 1980년대 한국에서 생산된 ET애니메이션에는 양쪽의 요소가 한데 섞이면서 외계인 친구와 그의 별을 지키기 위해 지구 어린이들이 우주여행을 떠나고 외계인 친구와 합심하여 적을 무찌르며 우주의 평화를 지키는 것으로 ET콘텐츠의 서사는 확장된다. ET콘텐츠들이 원작 영화를 충실하게 옮기든 자신만의 방식으로 각색하든 상관없이 원본에서 차용한 핵심 아이디어는, 이티라는 지적인 외계 생명체와 지구 어린이라는 ‘서로 다른 두 문화의 접촉’이었다. 이는 H. G. 웰스의 우주 전쟁 (1989)에서부터 1970년대 한국의 창작 애니메이션까지 공유했던, ‘우주는 전쟁을 치르는 적대적 공간’이며 ‘외계인은 위협적이고 미개한 존재’라는 전통을 깨뜨린 것이다. 1980년대 ET콘텐츠들의 창작과 향유는 지구인과 외계인이라는 다른 두 문화가 만날 때 벌어지는 일에 대한 상투적인 상상에 전환점을 가져왔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Steven Spielberg’s science fiction film E.T. became a global phenomenon shortly after its release on 11 June 1982 in the United States, setting box office records. This study analyses the E.T. related contents produced in various media, including comics, novels, children’s theaters, animations, songs, and television programmes, over a period of less than two years, from October 1982, when the full story of E.T.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through the manga magazine “BOMULSOM”, to June 1984, when the film was officially released in Korea. In doing so, I will examine the aspects of the E.T. craze in Korea at the time and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the ET–content text in the cultural history of Korean children and young adult. The characterization of E.T. was a key resource for the successful cross–media storytelling of ET–content. The ability of ET–content to be repeated, reproduced, and disseminated through multiple media is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the context of the delayed release of the movie and the characterization of the text as a benevolent and friendly alien friend. In addition, while the core elements common to Korean science fiction animation in the 1970s were ‘space travel’, ‘winning space wars with giant robots’ and ‘protecting the Earth’, the core elements of E.T. were ‘visiting Earth (everyday)’, ‘weak but friendly aliens’, ‘synchronizing emotions with aliens’ and ‘protecting alien friends from Earth adults’. The E.T. animation produced in Korea in the 1980s blended elements of both, expanding the narrative of ET–content to include Earth children traveling to space to protect their alien friend and his star, and joining forces with their alien friend to defeat enemies and preserve peace in the universe. What was the core of the ‘E.T. Universe’, or the shared worldview of the E.T. films? Whether they were faithful adaptations of the original E.T. film or adaptations of their own, there was a core idea that they borrowed from the original. E.T. is a ‘contact between two different cultures’ – an alien intelligent life form called E.T. and an Earth child. This breaks with tradition, from H. G. Wells’ The War of the Worlds(1989) to South Korean anime of the 1970s, in which space is a hostile space where war is fought and aliens are depicted as threatening and uncivilised. The significance of ET content is that it marks a turning point in the clichéd imagination of what happens when two different cultures−Earthlings and aliens−meet.
문학사교육의 내용과 방향에 대한 재검토 - 고등학교 『국어』와 『문학』의 현대소설사 교육을 중심으로 -
고지혜 한국문학교육학회 2022 문학교육학 Vol.- No.75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and seek a better direction for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d the aspects of modern novel history education, focusing on the literature history unit of high school “Korean” and “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e case of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many textbooks focused on proving the continuity and uniqueness of Korean literary history. And it was problematic because it explicitly dealt with ‘humor and satire’ 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Korean narrative literature. In addition, all of the modern novels included as ‘representative works by era’ in the literature history unit of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were mainly set in the 1970s and 1980s. Through these, the literary history topics that literary history unit want to deal with can be summarized as industrialization, dictatorship, and division. This proves that the subject of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as an inquiry activity is inevitably very limited. In the case of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was generally defined as the flowering period and the era was classified into ‘1900s~liberation/after liberation~until the 2000s.’ In the case of modern novels included as text sanctions in these literary history units, it can be seen that no new blackout was discovered in the literary historical composition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70s. However, as literary history in the 1990s and 2000s was recognized as the content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new works that can also be accessed by learners’ now-here began to be included in literary history units. This can be regarded as a positive change in that it can promote diversification and presentation of topics when conducting activities to reconstruct relationships to form a literary historical perspective. 이 논문은 문학사교육의 현황을 점검하고 더 나은 문학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와 『문학』 교과서의 문학사 단원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사 교육의 양상을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경우 다수의 교과서가 한국 문학의 연속성과 고유성을 입증하려는 데에 치중하여 채만식의 <태평천하>를 활동 제재로 수록하는동시에 한국 서사문학의 고유한 특성으로 ‘해학과 풍자’를 명시적으로 다루고 있어 문제적이었다. 또한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학사 단원에 ‘시대별 대표작’으로 수록된 현대소설 작품들은 모두 1970~1980년대를 주요 배경으로 하는작품들이었는데, 이들을 통해 문학사 단원이 다루고자 하는 문학사적 주제는 산업화 및 분단 문제로 요약될 수 있다. 이는 ‘탐구활동으로서의 문학사교육’의 주제가 매우 한정적일 수밖에 없음을 방증한다.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경우 문학사 단원에 본문 제재로 가장 많이 수록된현대소설 작품은 염상섭의 <만세전>, 최인훈의 <광장>,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었다. 아울러 2015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10종 중 6종이 1990 ~2000년대의 문학사를 문학사교육의 내용으로 다루면서 학습자의 ‘지금-여기’와도접속이 가능한 새로운 작품들이 문학사 단원에 수록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현재 문학사 단원의 ‘단원 구성방식’은 한국 문학의 갈래별 전개 양상에 중심축을 두고 있어문학사 단원이 다룰 수 있는 문학사적 주제나 그에 따른 작품 선정 및 활동 구성이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문학사적 안목 형성을 위한 의미망 재구성 활동이 좀더 다양화될 수 있도록 갈래교육을 바탕으로 하는 단원 구성방식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지금-여기와 좀 더 쉽게 접속할 수 있는 작품의 발굴이 적극적으로 요청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