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 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고문헌에 나타난 ‘정서(情緖)’ 개념을 중심으로-

        고정희 ( Ko Jeong-he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0 고전문학과 교육 Vol.20 No.-

        이 글은 정서 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로서, ‘정서’가 전통적으로 어떤 개념으로 인식되어 왔는지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문헌의 용례를 보면 ‘정서’는 문맥에 따라서 ‘경물에 의해 촉발되는 감흥’, ‘상실의 상황에서 느끼는 복잡한 심정’, ‘노인/나그네로서 느끼는 감회’ 등의 의미로 조금씩 다르게 쓰인다. 모든 경우의 ‘정서’에 공통적으로 들어 있는 속성은 ‘수동적 감수성’, ‘애상적 분위기’, ‘인간애 혹은 우애’ 등이다. 요컨대 고문헌은 ‘주변 사물의 분위기나 타자의 감정에 대해 민감하게 감수하는 소통 능력’을 지향하는 정서 개념을 제시해주고 있다. 고문헌에 나타난 ‘정서’ 개념은 보다 정치한 논의를 거친다면 앞으로 정서 교육을 설계하는 데 의미 있는 참조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raditional concept of 'emotion(情緖)' through the examples of the classical works in order to design education of emotion. In the classical works, 'emotion(情 緖)' was used in various meanings depending on the contexts: for example, 'fancy affected by the scenery', 'complicated feelings from the deprivation', or 'sentiments of an aged or a wanderer'. The 'emotion' in all contexts has the common attributes such as 'passive sensitivity', 'bleak mood (Stimmung)' and 'comradeship (philia)'. As a result, the classical works provide the concept of emotion as an emotional communication capacity for objects and other people. This concept of emotion could be a significant reference for designing education of emotion through literature.

      • <쌍화점>의 후대적 변용과 문학치료적 함의

        고정희 ( Ko Jeo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6 문학치료연구 Vol.5 No.-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significance of Sangwhajeom on Literary Therapy. From the viewpoint of intertextualism, an analysis was undertaken of the dominating desire in various versions of Sangwhajeom. The man who is admired by the female speaker in Sangwhajeom is a kind of the father who symbols super-ego which is the heritage of oedipus complex. As `a little crown` is kind like the child who loves his mother in the middle of oedipus period, so the female speaker plays role of his symbolic mother. The absence of father in many modern films also alludes the oedipus period. There are two heros, A boy who loves his mother and his mother who takes him as a alternative of his father. But mother who is ruled by the father or phallus introduces the child into the rule of father by rejects his desire not to divide with the mother, and helps the child to overcome oedipus complex and to identify himself with the phallus. It is easy to overcome oedipus complex when he can regards his mother as a abjected female.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Sangwhajeom as an example of this process of overcome oedipus complex. I assert that most prominent desire in Sangwhajeom should belong to female speaker, because the phallus which she continuously pursues turns out to be the substitution of her narcissism.

      • 영화 속 여주인공 `선화`와 <서동요> -「나쁜 남자」,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빈집」의 여주인공에 대한 문학치료적 관심-

        고정희 ( Ko Jeo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5 문학치료연구 Vol.3 No.-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rouse the specific concern about heroines of three movies which were directed by Kim Ki-deok and Hong Sang-soo from the standpoint of literary therapy. Nabben Namja(나쁜남자) and Bin Jip(빈집) were directed by the former and Women is the future of men(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by the latter. In spite of their prominency, two male directors are seriously criticised by women, especially feminist critics. It`s very interesting that the name of the heroines of three movies are same by accident. In this study an analysis was undertaken about the reason why their names should be `Seon-hwa(선화)` which is exactly same with the name of heroine of Seodongyho(서동요).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s were revealed. Firstly, Seon-hwa(善花) should be beautiful enough to evoke the desire of man. If she were not beautiful any narrative could not begin. Secondly, Seon-hwa(善花) should be good natured enough to tolerate her irrational fate and never to revenge. Lastly, Seon-hwa(善化) should accomplish salvation through her sacrifice and purify the violence of men or society. It`s not weird that the name of heroine in recent movies is Seon-hwa, because Seon-hwa is the name of sacrifice. But comparing the epic of self in the movies with that of Seodongyho (서동요), we can find a important difference. While Seon-hwa of Seodongyho(서동요) can healing herself, Seon-hwa of three movies can`t do that. Literary therapist must reconstruct the epic of minority`s self like Seon-hwa who sacrifice herself for majority.

      • KCI등재

        고전에 대한 소양이 창의적 경영에 미치는 영향-‘스타벅스’와 ‘야후’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정희 ( Jeong Hee Ko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4 경제교육연구 Vol.21 No.1

        이 논문의 목적은 고전에 대한 소양이 창의적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데 있다. ‘스타벅스(Starbucks)’와 ‘야후(Yahoo)’라는 브랜드 네임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세히는 읽지 않는 유명한 고전에서 유래하였다. 스타벅스의 경영 철학은 ?모비딕?의 항해와 모험의 이미지, ‘스타벅’이라는 인물의 신비스러움과 잘 어울린다. 야후의 개발자들은 ?걸리버 여행기?에서 야만적인 종족으로 묘사된 ‘야후’ 속에서 심각한 작업으로부터 벗어나 즐거움을 추구하는 자신들의 이미지를 발견하였다. 스타벅스와 야후의 사례를 통해 고전에 대한 소양이 창의적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다. 첫째는 고객을 ‘의미 있는 삶을 찾아 항해의 로맨스를 꿈꾸는 존재’로서 이해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고객의 요구에 앞서 새로운 가치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신인류를 고객으로서 창출해낸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살핀 사례들은 경제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창의적 인간상’과 ‘문화적 소양을 바탕으로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하는 인간상’에 부합하는 자료로서 경제교육에 활용될 수 있다. 경제 교수ㆍ학습의 자료로서 두 사례를 활용한다면 그동안 경제교육에서 지적되어 왔던 ‘학습자의 동기 부족’, ‘교과서의 추상성과 비현실성’,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등의 문제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ffects of knowledge of the classics on creative business management. Brand names such as ‘Starbucks’and ‘Yahoo’originated from famous literary classics which are not read in detail by most people. The philosophy of business management of ‘Starbucks’ matches well with the images portrayed by the voyage and adventures of Moby Dick and the mystics of Starbuck’s character. The developers of ‘Yahoo!’ discovered their own images of seeking after pleasure, free from serious work from the portrayal of ‘Yahoos’ as savage creatures in Gulliver’s Travels. It is possible to see the effects of knowledge of classics on creative management through the examples of Starbucks and Yahoo! First, consumers are regarded as ‘beings that dream of voyage in search for meaningful life’. Second, a new worth is provided before the consumers’ needs. Third, a new mankind which was nonexistent is created as the consumer. The examples examin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economic education as resources that correspond with ‘the creative character of mankind’ and ‘the image of mankind that leads an elegant life based on literary knowledge’ of the economics curriculum. Utilization of these two exampl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economics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problems that have been pointed out in the economic education such as ‘lack of motivation of learners’, ‘abstractness and unreality of textbooks’and ‘negative perception of business enterprises’.

      • KCI등재

        <관동별곡>의 창작상황과 강원도 자연의 정치적 의미

        고정희 ( Ko Jeong-he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2 고전문학과 교육 Vol.50 No.-

        본고는 <관동별곡>에서 강원도의 자연이 어떻게 작자와 상호작용하며 작자의 정치적 지평을 확장시키는지를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강원도관찰사로 부임하기 직전에 정철은 이이마저 물리치는 동인과 선조에게 실망하면서도 어린 병사에게 보여준 선조의 어진 마음을 믿었다. 강원도관찰사로 나가면서 정철은 임금에게 미움받는다는 심정과, 모처럼 임금과 한마음으로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을 동시에 지녔다. <관동별곡>의 내금강 등정길에서 작자는 금강산의 빼어난 물상(物象)을 관찰하며 이이와 같은 인걸을 연상하고, 물상과 왕화(王化)의 순환을 되새긴다. 그렇지만 비로봉 꼭대기에 올라 위대한 산의 덕성을 체득하려고도 하기보다는 자신의 한계를 깨달으며, 공자가 태산에 올라 넓거나 넓은 천하(天下)를 ‘적다’고 한 이유에 대한 의문을 품고 산에서 내려온다. 결말부가 시작되는 망양정에서 작자는 거센 파도를 몸으로 느끼며 물[水]의 속성을 체득하고, 대붕이 되어 날아오르는 것을 느낀다. 대붕의 경지에서 바다를 굽어본 작자는 인간의 인식 능력으로는 바다의 깊이와 하늘 밖의 공간을 알 수 없음을 깨닫는다. 작자는 유가의 정치 공간인 천하를 넘어선 자연에서 얻은 술로 사해(四海)의 백성을 다 취하게 만들고자 소망한다. 또한 ‘명월(明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선한 정치의 근본은 결국 임금의 밝음에 있음을 되새긴다. 강원도의 자연은 인간세계의 구분을 초월하여 대자연의 경지에서 수행하는 왕화를 추구하도록 작자를 이끌어준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ow the nature of Gangwon province interacts with the writer and extends his political vision in Gwandongbyeolgok. Before he became a governor of Gangwon province, Jeong Cheol was disappointed by the opposite political party called Dong-in and King Seonjo since they banished the noble scholar-official, Lee Yi, from the court. On the other hand, he believed in the king’s benevolent heart toward the miserable people. When he climbs Mount Kumgang, the writer observes a magnificent landscape of it and reassures the virtuous cycle of nature and the benevolent reign of the king in his mind. Nevertheless, he neither interacts with nature nor embodies the virtue of the mountain by climbing the mountain peak. He descends from the Mount Kumgang suspecting why Confucius said that the enormous world under heaven is small. At the end of Gwandongbyeolgok, the writer embodies the attribution of water and feels that he transforms into Daebung(a gigantic imaginary bird in Taoism) with the wind and waves of the East sea in front of Mangyangjeong. From the perspective of Daebung, he realizes that human beings can neither know the depth of the sea nor the space beyond the sky. He wishes to make all the people drunk with the alcohol from nature beyond the political world. Interacting with the bright moon, he finds the king’s brilliant virtue as a fundamental factor of benevolent reign. The nature of Gangwon province makes the writer envision the ideal politics beyond all the discriminations of human politics.

      • KCI등재후보

        시의 정서(emotion)와 기분(Stimmung)에 대한 연구 -마종기의 <낚시질>과 <중년의 안개>를 대상으로-

        고정희 ( Ko Jeo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4 No.-

        “기분(Stimmung)”은 일상에서 느끼는 사소한 기분을 가리키는 말이면서 동시에 하이데거의 철학의 주요 개념어이기도 하다. 이 글의 목적은 “기분(Stimmung)”을 통해 정서(emotion) 연구를 보완하는 데 있다. 정서(emotion)는 감정을 가리키는 여러 단어들 가운데 가장 폭넓고, 근본적인 개념으로 쓰이고 있으므로 유기적인 감정만을 한정하여 지시하는 단어가 아니다. 정서를 유기적인 감정으로 정의할 경우, 시의 정서와 독자의 정서가 일치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데 유용한 개념인 “기분(Stimmung)”을 배제해 버리게 된다. 이 글은 마종기의 시 <낚시질>과 <중년의 안개>를 통해 작가의 근본기분(Grundstimmung)이 어떻게 독자에게 감동을 주는지를 살폈다. “기분(Stimmung)”은 앞으로의 정서 연구와 문학교육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질만한 연구 주제이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omplement the research of emotion with the concept of "Stimmung" which indicates trivial feelings of daily routine and existential significance of Heidegger`s philosophy simultaneously. "Emotion" has a widest reach among the words which indicate human feelings or affections. Therefore it should not be narrowed down to the definition such as a organized and balanced feeling. If we define emotion in that way then we eliminate the effective concept of "Stimmung" which explains the principle that emotion of the poetry accords with that of readers. In this paper we inquired the way how writer`s "Grundstimmung" inspires that of readers through Naksijil(낚시질) and Jungnyeonui Angae(중년의 안개) written by Ma Jong-gi. "Stimmung" is worth to conduct a further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emotion study and literary education.

      • KCI등재

        배경지식을 활용한 고전시가 교육 연구 -<도산십이곡>을 중심으로-

        고정희 ( Jeong Hee Ko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2 국어교육 Vol.0 No.13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through practical use of background knowledge and to achieve this, we have explored theories and methods for converting background knowledge into practical knowledge. First, we examined theoretical premises for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through practical use of background knowledge. Since the key to practical knowledge depends on participation of learners, we need to start from literary competence of learners such as ``binary opposition``. We define background knowledge as "an additional knowledge related to understanding the text" and can expect it to be converted to practical knowledge when it could lead learners to infer the theme of the text in-depth on the basis of learners` literary competence. Next, we explored when and how background knowledge should be provided to learners through Dosansibigok. Theoretically learners could learn Dosansibigok in 4 steps. At first, learners infer the theme of the first part of Dosansibigok from their own tacit knowledge using ``binary opposition`` before studying the text. Secondly, they complement this inference using the background knowledge which is reconstructed by the principle of ``binary opposition``. Thirdly, learners render the task of the text as their own and internalize the text by correlating it with their own ``binary opposition`` experience. Finally, learners obtain the ability to learn the remaining parts of Dosansibigok and a state of mind in which they could learn ``the irony`` of poetry developed from ``binary opposition``. In conclusion, we have found that background knowledge which is converted into a form understood by the learners and also reconstructed as the principle which makes inference possible, all based on the learners` literary competence, can promote increase in practical literary competence. Although the conclusion has limitations since it results from predicted responses of theoretical learners, discussions in this study that explored the possibilities in converting background knowledge into practical knowledge is significant in an effort to resolve a dilemma in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 which recognized the need for background knowledge but doubted its educational efficacy.

      • KCI등재
      • KCI등재

        문학과 영상의 창의적 융합을 통한 공감교육 -NT Live <리어왕>을 중심으로-

        고정희 ( Ko Jeo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5 No.-

        이 논문은 `늙고 추한 노인`에 대해서 우리는 왜 그렇게도 연민을 느끼는데 인색한 것인지, 그들에 대한 공감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학과 영상을 창의적으로 융합한다면 `늙고 추한 노인`과 같은 공감하기 어려운 대상에 대해서도 공감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NT Live <리어왕>의 사례를 들어 이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은 노인의 추함을 구체적으로 그림으로써 노인과의 대면을 강제하고 관객으로 하여금 노인의 추함이나 신체적 고통에 대한 상상을 가능하게 만든다. 그러나 영상매체가 재현하는 `노인의 추함`은 `오랜 삶의 견딤`이라는 의미로 재현되어야 연민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데, 이러한 해석을 가능케 하는 것이 문학적 성찰이다. 영상이 노인의 신체적 고통을 상상하게 하는 힘을 지닌다면, 문학은 그 의미를 해석하는 힘을 지닌다. NT Live <리어왕>처럼 문학과 영상이 창의적으로 융합될 때 이제 연민의 대상은 `삶을 견디고 있는 노인`이 된다. 이들에 대한 연민이 자발적으로 일어나기 어렵다면 공감교육을 통해 그러한 연민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공감교육은 노인-청소년 간의 질적 교류를 통해 일어나지만, 모두가 질적 교류에 참여할 수 없으니 셰익스피어라는 자산을 활용하는 것도 좋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y we are stingy on feeling pity towards an `ugly old man` and the ways we can have sympathy on them. For this, a hypothesis was formulated that creativ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pictures will enable us to sympathize with those whom it would otherwise be difficult to feel pity like an `ugly old man` and tried to confirm this using `NT Live: King Lear` as an example.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ictures make it possible for the audience to imagine ugliness or physical pains of the old man by bodying forth the ugliness of an old man. However, `ugliness of an old man` need to be recreated by visual media to portray `endurance through the ages` in order to arouse pity, and literary reflection is what makes this interpretation possible. If pictures have the strength to make imagination possible of physical sufferings of an old man, literature has the power to interpret its meaning. When literature and pictures are creatively integrated as with `NT Live: king Lear`, the subject of sympathy finally becomes the `old man who is enduring throughout his life.` If there is difficulty in developing sympathy spontaneously towards the old man, such sympathy can be aroused through empathy education. Empathy education is achieved through qualitative exchange between elders and teens but since not everyone can participate in this qualitative exchange, it is possible to use resources such as Shakespeare.

      • KCI등재

        신계영 시조에 나타난 실존적 ‘서정적 자아’에 대한 고찰

        고정희 ( Ko Jeong-he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1 고전문학과 교육 Vol.46 No.-

        이 글은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철학을 참조하여 신계영 시조에 나타난 서정적 자아의 실존적 의식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탄로가>와 <연군가>에 나타난 서정적 자아는 타자의 시선에 비친 현재 늙어 있는 모습 그대로의 즉자존재로서의 자신을 인식하는 한편, 이를 부정하면서 과거의 젊은 자신을 대자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전원사시가>의 서정적 자아 또한 즉자존재를 부정하고 소년이라는 대자존재를 추구한다. 춘하추동을 노래하는 8수에서 서정적 자아는 사시의 순환에 참여하면서 아이를 분신으로 삼아 즉자존재와 대자존재의 종합을 도모한다. 그러나 제석 2수에서 서정적 자아는 반복되는 시간에도 끝이 있으며, 분신처럼 느껴지던 아이들이 나와는 다른 타자임을 깨닫는다. 따라서 즉자존재와 대자존재의 종합은 불가능해진다. 실존적 서정적 자아가 처해 있는 전원은 겉으로는 자족적인 공간처럼 보이지만, 임금의 은혜에 대한 보답이나 자기완성의 가능성이 결여되어 있는 공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젊다는 내적 감각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서정적 자아로 인해 전원은 치열한 실존적 분투의 장(場)이 된다. Drawing on Sartre’s theory of existentialism, this paper examines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of the lyric self in Sijo written by Shin Gye-young. The lyric selves in Tanroga and Yeongunga admit their present status as old men perceived by the others as “in-itself”. However, they deny their “in-itself” and regard their past status as young men as “for-itself.” The lyric self in Jeonwonsasiga also denies its “in-itself” pursuing its “for-itself.” In the first eight songs the lyric self, being engaged in the circle of four seasons, pursues the unity of “in-itself” and “for-itself” by making a young boy his alter ego. However, in the succeeding two songs of New Year’s Eve, he realizes that this circle eventually ends as the boy could not be his alter ego. Consequently, the unification of “in-itself” and “for-itself” fails. The pastoral is satisfactory only in appearance. There is no possibility to repay the king’s benevolence or complete the self-cultivation. The lyric self feels his death closely but is destined not to surrender his inner sense of youth. Therefore, pastoral here turned out to be a battlefield for the essential strugg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