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년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노후생활 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고정옥,김정숙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노후생활준비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및 라이프스타일 변인에 따라 노후생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315부가 최종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약2/3의 중년 여성소비자들이 노후준비를 하고 있었으며, 30대부터 준비해야 하고 노후생활 부양은 본인책임이며 독립해서 노후를 보낼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노후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과 예상되는 어려움으로 건강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노후계획을 세운 이유는 자녀부담을 덜기위해서가, 세우지 않은 이유는 생활에 여유가 없어서가 가장 높았다. 둘째, 본인직업 유무, 월평균소비지출, 자녀수, 주택소유형태, 주거형태 등은 모두 사회경제적, 건강심리적, 주거환경적 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노후에 독립할 것으로, 매우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중년 여성소비자들이 노후생활준비행동 수준이 높았으며, 부부생활만족도는 사회경제적 준비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건강심리적, 주거환경적 준비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만족도가 높은 집단의 준비행동수준이 낮았다.셋째, 라이프스타일은 사회경제적, 건강심리적, 주거환경적 준비행동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가족중심형, 정보추구형, 적극활동형에서는 상 집단이 사회경제적 및 주거환경적 준비행동수준은 낮은 경향이 있었으나 건겅심리적 준비행동수준은 높은 경향이 있었다. 절약추구형에서는 상 집단이 사회경제적, 건강심리적, 주거환경적 준비행동수준이 모두 낮은 경향이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임상 간호사의 긍정심리역량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고정옥,박숙경,이명하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3 간호행정학회지 Vol.1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according to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an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412 clinical nurses who worked in a general hospital in “J”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In Model individual characteristics accounted for 27.8% of the influence on burnout. In model Ⅱ with the addition of the 4 factors; Self-efficacy, Hope, Resilience, Optimism, individual characteristics accounted for 48.5% of the influence on burnout. Optimism and Resilience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b-variables were statistically useful as factors influencing burnout.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educational programs to decrease burnout and strength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he nurses.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장에서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고정옥(Jeong-Ok Ko)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장에서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J시 소재의 일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 31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직장에서의 행복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장에서의 행복감은 7.7% 설명하였으며, 개인적 특성을 통제한 후 감정노동을 투입한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8.9%를 추가 설명하여 총 16.6%의 설명력을 보였다(F=6.150, p<.001). 이에 따라 병원 경영조직은 간호사의 감정 노동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변화시키고, 감정노동과 관련된 직장에서의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인적 관리 측면의 감성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the happiness in workplace related with the atmosphere at their working place in the clinical nurse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aires from 312 clinical nurses who work in the general hospital in the city J. In results, emotional labor was relat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in workplace. Individual differences explained 7.7% of the happiness in workplace and emotional labor explained additional 8.9% of the happiness with control of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hierachycal regression, so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study was 16.6% (F=6.150, p<.001). According to these data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mployers recognition on the emotional labor of the nurses and to develop the programs which assist and manage the emotional labor of the clinical nurses, in terms of the human network in their working place.

      • KCI등재
      • KCI등재

        성인 뇌전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고정옥(Ko, Jeong Ok),이명하(Lee, Myung Ha) 한국간호과학회 2017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7 No.5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variables influenc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of adults with epilepsy in order to establish a structural model and design an intervention strategy to improve patients’ HRQoL. Methods: The selected subjects were 212 patients with epilepsy aged between 18 and 70 years who were currently receiving treatment from hospital, general hospital, and clinic. They were survey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The goodness of fit measures of the final hypothetical model were as follows: χ²/df=2.51, GFI=.91, AGFI=.90, CFI=.96, SRMR=.04, NFI=.93, and RMSEA=.08. The major variables influencing the HRQoL of adults with epilepsy were epilepsy self-efficacy,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ide effects of anti-epileptic drugs (AEDs), which were significant in the mentioned order, whereas the duration of AEDs use and perceived stigma did not show any effects. Six variables accounted for 75.6% of HRQoL. Variables having a direct and total effect on the HRQoL of adults with epilepsy were the side effects of AEDs, social support, epilepsy self-efficacy, and depression, and those with an indirect effect were the side effects of AEDs and social suppor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identify the side effects of AEDs in adults with epilepsy and accurately observe the physical changes caused by depression. In addition,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n active and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strengthen the self-efficacy of the patients and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rough social support provided by family members and medical professionals.

      • KCI등재후보

        제주도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고정군(Koh, Jung-Gun),송관필(Song, Gwan-Pil),문명(Moon, Myong-Ok),김지은(Kim, Ji-Eun),이은주(Lee, Eun-Joo),황석인(Hwang, Seok-In),정진현(Jeong, Jin-Hyun),김찬수(Kim, Chan-Soo) 한국자원식물학회 200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9 No.5

        주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귀화식물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지역의 외래식물은 47 과 161 속 248 종 6 변종으로 총 254 분류군이었다. 생육특성에 따른 구성은 일년생 초본이 107 분류군(42.13%)으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생육형 구성은 직립형이 79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31.1%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번식형은 연결체가 없는 단위식물형이 203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79.9%를 차지하였다. 생활형 분석결과 휴면형 구성은 일년생식물이 150 분류군으로 전체의 59%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반지중식물이 53 분류군(20.9%), 지중식물이 26분류군(10.2%)의 순이었다. 원산지별 구성은 유럽이 115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36.7%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아시아가 69 분류군(22.0%), 북아메리카가 59 분류군(18.8%)의 순이었다. 도입배경은 사료 또는 곡물혼입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s results, the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total of 254 taxa including 47 families, 161 genera, 248 species and 6 varieties. By the growth habits, annuals held the most percentage including 107 taxa (42.13%). Seventy nine taxa (31.1%) were appeared to have erect type in growth forms and 203 taxa (79.9%) are non-clonal growth form in disseminule forms by radicoid. The most of dormancy form in life form were therophytes as 150 taxa (59%), and following as 53 taxa (20.9%) for hemicryptophytes, and 26 taxa(10.2%) for geophytes. Among the naturalized plants, 115 taxa (36.7%) were originated from Europe, 69 taxa (22%) from Asia and 59 taxa (18.8%) from North America. Twenty eight percent of them were introduced as feeds or mixed seeds of imported cereals.

      • KCI등재

        부종휴의 제주도 자생식물 종 발표에 대한 해석과 의의

        고정군(Jung-Goon Koh),문명(Myung-Ok Moon) 제주학회 2022 濟州島硏究 Vol.58 No.-

        부종휴에 의해 1964년에 제주도 자생식물로 발표된 333종의 학명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102과 220속 322종 2변종 6품종으로 총 33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발표당시의 학명과 현재에 정명으로 정립된 학명과 일치되는 경우는 169분류군으로 51.2%에 불과하였고, 외래식물이 29분류군이 포함된 것이 특징적이었다. 식물 목록 중에는 2000년대 이후 한국 미기록으로 발표된 밤일엽아재비, 털낚시제비꽃, 그늘별꽃, 섬쇠무릎 등의 자생식물뿐만 아니라 외래식물로 1992년에 발표된 주걱개망초 등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직까지 제주도에서 확인되지 않는 종은 부싯깃고사리등 9분류군이었다. 한국 미기록 종으로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며 제주도에 분포할 가능성이 있거나 동정에 오류로 보이는 종은 털고사리[Deparia pycnosora (H. Christ) M. Kato]로 추정되는 Deparia acrostichoides (Sw.) M. Kato 등 28분류군으로 판단되 었다. 부종휴에 의해 발표된 제주도 자생식물 목록을 현재의 식물분류체계를 통해 재정립한 결과는 제주도 내 분포하는 종의 실체와 함께 종 분포의 정보를 알리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view focuses on 333 scientific names published in 1964 by Jong-Hyu Bu. As a result, a total of 330 taxa including 102 families, 220 genera, 322 species, 2 variants, and 6 varieties were identified. Among them, the percentage of the scientific names at the time of publication corresponding with the accepted names at present accounts for mere 51.2%, 169 taxa including 29 taxa of the alien species. The recently published as unrecorded in Korea, includes native species such as Microsorum buergerianum (Miq.) Ching, Viola grypoceras A. Gray var. pubescens Nakai, Stellaria sessiliflora Y. Yabe, Achyranthes longifolia (Makino) Makino as well as alien species such as Erigeron strigosus Muhl. In addition, the species that have not yet been identified on Jeju Island were 9 taxa including Cheilanthes argenta Kunze. The number of unrecorded species in Korea but distributed in Japan, Chine, etc. amounts to 28 taxa including Deparia acrostichoides (Sw.) M. Kata, which are assumed to inhabit Jeju Island or appear to be in error in identification. The results of re-establishing the list of native plants on Jeju Island announced by Jong-Hyu Bu through the current plant taxonomy are considered to be of high value in forming the knowledge of the species distributed on Jeju Island.

      • 한라산의 백록담 및 동수악 분화구내의 식물상

        고정군 ( Jung Goon Koh ),문명 ( Myung Ok Moon ),김찬수 ( Chan Soo Kim ) 한국녹지환경디자인학회 2008 녹지환경학회지 Vol.4 No.1

        We investigated the flora to study pla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craters of Baengnokdam and Dongsuak. The 170 taxa investigated in Baengnokdam crater were composed of 49 families, 124 genera, 169 species and 1 forma, the 180 taxa investigated in Dongsuak crater were composed of 63 families, 135 genera, 179 species, 1 formae. Endemic to Korea or Jeju islands could be seen that there were 28 taxa including Abies koreana in Baengnokdam crater, and 2 taxa including Asarum maculatum in Dongsuak crater. Rare plants could be seen that these were 37 taxa in Baengnokdam crater, 13 taxa in Dongsuak crater. Life form of plants could be seen that phanerophyte took the highest rate which there were 43.6%, 30.1% in Baengnokdam crater and Dongsuak crater respectively, but hydrophyts among the investigated for two wetlands was 2.4%, 9.4%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