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탈북 디아스포라 고려인 소설 연구

        고인환 ( Ko In-hwan ),이정선 ( Lee Jung-sun ) 국제어문학회 2016 국제어문 Vol.0 No.70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 중에서 북한출신 작가들의 소설 작품에 대한 분석이다. 이들은 대부분 한국전쟁 때 국비로 소련에 유학하던 중에, 김일성 우상 화에 반대하여 망명을 선택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어느 시기 이후에는 고려인 문 단에서 중추의 역할을 맡게 되었다. 탈북 고려인 문인들의 작품은 다른 고려인들의 작품과 일정한 차이를 보인다. 첫째, 한국전쟁을 다루면서 전쟁을 일으킨 자에 대한 비판과 남북의 군사들이 고용병의 처지일 뿐임을 깨닫는 정체성의 각성에 따른 염증을 강조한다. 또한 부적절한 전쟁에 대한 비판의식을 적극적인 행동으로 옮기는 인물들을 형상화하고 있다. 둘째, 북한 사회에 대해 예민한 비판의식을 드러낸다. 억압적인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비효율성과 김일성 우상화를 비판하고, 그로 인해 사소한 실수에도 두려워할 수밖에 없는 불행한 삶을 그리고 있다. 셋째, 중앙아시아에서의 삶의 어두운 면을 포착한다. 다른 고려인 작가들의 작품이 고려인들이 이룬 성취에 주로 집중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강제이주를 형상화하는 것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부당한 정책에 대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고려인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고향에 묻힐 수 없는 존재로서 고려인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드러난다. 탈북 고려인 작가들은 자신들이 거부했던 북한과 비슷한 상황의 소련에서, 쉽게 동화될 수 없었을 것이고, 그로 인해 다른 고려인들과도 거리감을 느꼈을 것 이다. 그들은 다른 한민족 디아스포라 작가들과 달리 모국과도 의식적으로 괴리 된 상태에 놓여 있음으로 인해 이중의 경계인이 된다. 그런 특성 때문에 북한과 소련의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작품들을 산출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novels of North Korean writers among the Korean literature in Central Asia. Although there are not many of them, they have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since a certain period of time. Most of them are those who chose exile instead of returning to home country while studying in the Soviet Union on government scholarships during the Korean War in opposition to the idolization of Kim Il Sung in North Korea. Though they released literature works right after exile, it seems that their works began to be published in general collection of works in the 1980s. In this aspect, it is deemed that their works were not initially accepted favorably in the Korean literature circle. The works of North Korean defector writers show a certain level of differences from other works by Koreans. First, they capture the dark side of life in Central Asia. This is contrary to other writers` works that kept silence or mentioned just ambiguously about the forced deportation process or miserable post-deportation predicaments while focusing mainly on the successful achievements after being a hero thanks to a lot of efforts. Second, the Korean War is a very unique material that can be deal with only by North Korean defector writers. In dealing with the Korean War, they criticize those who caused the war and emphasize the disillusion about soldiers participating in the war, who realized their identity as nothing more a hired soldier. They also give a shape to characters who put into practice critical thoughts about inappropriate war. Third, they show sensitive criticism against doctrinaire distorted and suppressive society. Forth, their works show differences in shaping the forced deportation process. They portrait the kind of Korean people who act proactively against unfair policies and reveal their awareness on the identity of Koreans as a being who cannot be buried in their home soil. North Korean defector writers might be hardly assimilated to the Soviet Union which was similar to North Korea they had refused to accept. And for this reason, they also might have felt distanced from other Korean people. Unlike other Korean diaspora writers, they were consciously distanced from those in their home country to become doubly marginalized subjects. For this characteristic, they produced literature works revealing active critical thoughts about the reality in North Korea and Soviet Union.

      • KCI등재

        중국 조선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한 가능성

        고인환(Ko, In-Hwan)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5 No.-

        김학철의 <20세기의 신화>는 중국의 '반우파투쟁' 및 '대약진운동' 시기를 배경으로 조선족 자치주 지식인의 비참한 삶을 조선족의 시각으로 형상화한 소설이다. 이 작품은 중국의 일방적인 정책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이자 주류민족의 영향 하에 살아가는 소수민족의 삶에 대한 문제의식을 함축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북한의 체제 및 역사에 대한 비판 또한 강력하게 전개하고 있다. 작가가 체험한 조선의용군 투쟁사의 복원과 맞물린 역사인식은 중국 및 남.북의 현실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조선의용군의 역사 복원은 남한에 있어 잃어버린 역사 복원을 통한 온전한 민족사 구성의 계기가 될 수 있으며, 북한에는 김일성 중심의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는 역할을 하고 있다. 나아가 중국의 경우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에 바탕한 민족주의적 연대를 환기함으로써 소수민족을 억압하는 폐쇄적 민족주의를 우회적으로 비판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이처럼 조선의용군 체험은 교조적 공산주의를 넘어서 인간적 공산주의를 지향하는 김학철 문학의 원형질이 되고 있다. 김학철은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를 염원하며 세계시민에게 말을 걸고 있는 셈이다. 그의 작품이 중국 조선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하는 지점은 바로 여기이다. 더불어 <20세기의 신화>에 드러나는 휴머니즘 지향성은 인간의 존재 조건에 대한 근원적 문제제기의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이데올로기 차원의 비판을 넘어선다. 인간의 존엄성을 뿌리째 뒤흔드는 억압적 사회주의 체제에 대한 비판인 것이다. 여기에서 김학철이 추구하는 휴머니즘의 진면목이 드러나는데, 이는 체제와 이데올로기, 민족과 국가의 차이를 넘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정서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세계문학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보편적 인간애는 이념의 영역을 넘어선 참다운 공산주의자의 형상을 창조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우리는, 한민족이되 한국인일 수 없고 중국인이되 중국민족일 수 없는 '모순과 분열'의 정체성, 더 구체적으로는 우리 민족의 수난사를 온몸으로 체현한 김학철의 삶과 문학을 통해 한국문학의 외연을 확장하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의 삶과 문학 자체에 이질적인 민족, 국가, 문화, 역사의 목소리가 공명하며 살아 숨 쉬고 있기 때문이다. <The Myth of 20th century> by Kim Hak-Cheol presents miserable life of ethnic Korean intellectual living in China with 'Great Leap Forward'. The work completely criticize unilaterally China policy and comprehends life of a minority race. Moreover, the work criticize North Korean history and regime. Kim Hak-Cheol experience Chosun volunteer army. So, he wants to restoration of Chosun volunteer army's history. The work means restoration of lost history to South Korea and straightening up of distortion history to North Korea. And the work criticize closed China nationalism too. Because the work arouses nationalism solidarity based on a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Hence, experience of Chosun volunteer army is an archetype in literature of Kim Hak-Cheol that overcome a doctrinaire communism and head for a human communism. He talks to global citizens with 'socialism in human face'. So his work has possiblity of diaspora literature by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Humanism in <The Myth of 20th century> overcome ideological criticism. Because the work raises a basic question to repressive socialism regime. This means his literature has the capacity to be a world literature. Because his work basis of common sympathy that surpass regime or ideology and nation or state. So that makes a true communist who isn't bound by principle. We can see a new possibilit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through the life and literature by Kim Hak-Cheol. Because he is ethnic of Korea but isn't to be Korean, also he is Chinese but isn't to be ethnic of China. So his life and literature involves so many kind of nation, state, culture and history already.

      • KCI등재
      • KCI등재

        식민지 시대 재만 조선인 디아스포라의 발화 전략 - 최서해와 강경애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

        고인환 ( Ko In Hwan ),정성규 ( Jang Sung Kyu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6 No.-

        본고에서는 최서해와 강경애 문학에 나타난 환상성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우선 이들이 실제 생활의 근거지로서 만주를 체험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다음으로, 최서해와 강경애가 모두 당대 문학장의 주변부에 위치해 있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이 전통적인 엘리트 문인이 아니라는 사실에 관심을 가졌다. 최서해의 만주체험은 체험과 픽션의 혼종이라는 그만의 독특한 내러티브 형식으로 형상화되며, 이 과정에서 주류적인 담론 이면의 리얼리티의 발화를 위해 환상성이 주된 소설적 장치로 사용된다. 최서해가 보여주는 이와 같은 디아스포라적 정체성의 발화는 당대 소재적 층위의 만주체험을 넘어 하위주체의 발화형식으로서의 비주류적 내러티브의 모색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될 수 있다. 강경애의 환상성은 만주체험에 기반한 작품에서 두드러진다. 이는 그녀 의 선험적인 사회주의적 인식론으로 포획되지 않는 만주의 하위주체의 목 소리를 복원시키고자 한 의식적 노력의 소산이다. 이를 통해 강경애는 하 위주체의 목소리를 복원시킬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환상성은 지배적인 내러티브 이면의 다른 ‘현실’을 복원하기 위한 유력한 기제로 사용되었다. 조선에서도, 만주에서도 주변에 위치 지어진 이들의 디아스포라적 정체성이 주류적인 발화형식과는 다른 하위주체의 목소리를 복원하기 위한 환상의 형식을 요구했던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fantastic meaning represented in literature of Choi Seohae and Gang Gyeongae. First of all, the fact that they experienced Manchuria as the basis for real life was noted. Next, the fact that both Choi Seohae and Gang Gyeongae worked on the periphery of the current literature was noted. Lastly, attention was paid to the fact that they were not traditional elite writers. Choi Seohae’s experience in Manchuria is figured in his peculiar narrative type as a mixture of experience and fiction. In this process, fantasy is used as main fictional devices for giving a speech of reality behind the main discourse. Such a speech of diaspora identity as Choi Seohae shows can be highly evaluated in that, escaping from Manchuria experience which is the current materialistic stratigraphy, it is connected to seeking anti-mainstream narrative as speech type of subordinate subjects. Gang Gyeongae’s fantastic nature is noticeable in pieces of work based on Manchuria experiences. This is the result of the conscious efforts for recovering the voices of subordinate subjects of Manchuria which can not be obtained through her transcendental social epistemology. Through this, Gang Gyeongae was able to restore voices of subordinate subjects, and in this process, the fantastic nature was used as powerful materials for restoring other reality than dominating narrative. Both colonial Chosun and Manchuria required fantastic types for restoring voices of subordinate subjects different from the speech type diaspora identity of the people residing in the surrounding areas.

      • KCI등재
      • KCI등재

        현진건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지식인의 근대적 자의식 연구 - 〈빈처〉, 〈술 권하는 사회〉, 〈타락자〉를 중심으로 : 현진건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지식인의 근대적 자의식 연구

        고인환(In-hwan Ko) 어문연구학회 2006 어문연구 Vol.51 No.-

        This paper consider the self-consciousness of recent period intellectual in colony through Jin-Keon"s Hyun 3 early novels - The poor wife, A society offering liquor, The fallen. Hyun"s early trilogy question the specific daily life of recent period intellectual in colony who has mental conflict between Western Culture and Traditional Culture of "Cho-Sun(previous Korean name)" , i.e. between the modernity of Western-oriented and the distorted modernity of "Cho-Sun". Hyun"s early trilogy make us investigate about the origin of our modernity. We consider that Western cultural traditions - Ancient"s Hellenism, Middle Ages" Christianity, Humanism of Renaissance and Recent"s Illuminism - are something substantial, but they are based on European Dualism which is divided everything as "subject vs object", "center vs outer", "civilization vs barbarism" etc.. These European Dualism emphasize own"s culture very much, so they implicit suppress the other cultures or human races. Therefore, the heros(heroins) in Hyun"s novel who serious worry and wonder between Western modernity and our specific modernity, desperate testify the dismal colonial reality. These intellectuals who know the nature of Western, suffer pains because they should deny their mental existences which are based on Western illuminant rationality. These pains are overlapped with the scene in The fallen- the novel"s speaker sympathize with ""a slender baby"s weak crying with the agony of pain because it is bitten by a harmful vermin"" and gaze his own deep inside. Through these process, Hyun"s heroes(heroins) who escape barely their own intellectuals" identity begin to transmit their inside for others. The meanings of Hyun, Jin-Keon"s early novels are the self-reflection of Illuminism which are showed as a gorgeous hope, and the self-consciousness that replace modernity with abstract ideology as "real art". He gazes frankly the despairs of intellectuals who couldn"t surrender vulgar reality, and makes an issue the self-consciousness of intellectuals in daily life.

      • KCI등재

        탈북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로운 양상 연구 -이응준의 『국가의 사생활』과 강희진의 『유령』을 중심으로-

        고인환 ( In Hwan Ko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39 No.-

        본고에서는 이응준의 『국가의 사생활』과 강희진의 『유령』에 나타난 탈북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로운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텍스트의 서사 구조를 표면적 층위와 심층적 층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대중 장르의 서사 규범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표층적 층위의 서사는 기존의 분단문학이 지닌 진지함과 엄숙함을 상대화하며 분단체제에 기생해온 지배담론의 허구성을 경쾌하고 발랄하게 탈주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한편 그 이면에 작동하고 있는 심층적 구조는 절망과 환멸로 얼룩진 분단체제의 현실을 정체성 탐색의 서사로 관통함으로써 탈북 디아스포라들의 현존을 적나라하게 파헤치는데 효과적으로 기능하고 있다. 『국가의 사생활』과 『유령』은 분단 현실을 형상화하는 젊은 세대들의 새로운 감수성을 표출하고 있다. 이념과 체제를 넘어선 이들의 서사적 자의식은 기존의 분단소설이 지닌 엄숙함과 당위적 외침을 넘어 탈분단 문학을 향한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장르의 서사 양식을 작품 속에 수용하여 분단체제의 모순에 적극적으로 응전하고 있다는 점은 강조할 만하다. 탈북 디아스포라를 서술의 주체로 등장시키고 있다는 점 또한 주목을 요한다. 지금까지 탈북자의 삶을 형상화한 작품들은 탈북자를 바라보는 관찰자의 시선을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이응준과 강희진의 작품에서 비로소 탈북자는 스스로의 주체적 시선을 획득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우리/그들`` 사이의 경계를 ``그들``의 시선으로 심문하고 있다는 사실은 탈북 디아스포라 문학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의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들이 그들의 목소리로 북한의 냉혹한 현실을, 그리고 남한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증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위의 두 작품은 궁극적으로 ``통일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혹은 ``바람직한 통일을 성취하기 위해 우리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를 심문하는 탈분단 지향의 텍스트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new aspects of North Korea defection Diaspora literature that appeared in Lee Eung-Jun`s 『Private Life of a Nation』 and Kang Hui-Jin`s 『Phantom』. For that, the descriptive structure of text was divided into a surface layer and a in-depth layer and analyzed. The narration of a surface layer which positively accepts descriptive norms of the popular genre relativizes the seriousness and solemnity, contributing to escaping freely and cheerfully from the fiction of the dominant discourse parasitic on the separated system. In the meanwhile, the in-depth structure working on the other side effectively acts in frankly looking into the existence of North Korea defection by penetrating the reality of the separated system imbued with despair and disillusionment through epic of identity search. 『Private Life of a Nation』and 『Phantom』 represents new sensitivity of young generations who figure the separated reality. Their narrative sense of identity escaping from the ideology and system goes over the solemnity and fair cry represented in the existing country-separated novels appropriate and implies new possibility going beyond country-separated literature. Especially, it is notable that they accepted a variety of genres of descriptive forms in their literary works and positively cope with the contradiction of the separated system. Also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oint that they appear North Korea defection Diaspora as the subject of description. Up to now, the works that figured the life of North Korean defectors were described centering around viewpoints of the observers. It can be sai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got to obtain their own subjective eyes in Lee Eung-Jun`s and Kang Hui-Jin`s works. The fact that the boundary between ``we/they`` is strictly evaluated through their eyes and viewpoints can be said to be one of important turning points in North Korea defection Diaspora literature. Because they give testimony of the strict reality of North Korea in their voice, and also the aspects of corruption of South Korea capitalism. The above two works ultimately can be said to be text toward escaping from the separated system, which search an answer to ``How we should prepare for re-unification?``, or ``How we should change to achieve the desirable re-unification?``. look into reality.

      • KCI등재

        탈북자 문제 형상화의 새로운 양상 연구

        고인환(Ko, In-Hwan) 한국문학회 2009 韓國文學論叢 Vol.52 No.-

        본고에서는 황석영의 <바리데기>와 강영숙의 <리나>에 나타난 탈북자 문학의 새로운 양상을 고찰하였다. 두 작품은 탈북자의 삶을 다루면서 이를 남북의 문제로 바라보았던 기존의 관점을 넘어 전지구적 차원의 문제로 확장하고 있다. 지금까지 탈북자 문제를 다룬 작품들은 주로 이들의 최종 목적지로 ‘남한’을 상정하였다. 탈북자들이 남한 사회에 무사히 정착하는 것이 작품의 지향점이었다. 이러한 관점은 동일성에 기반한 흡수의 논리에 빠질 수 있는데, 탈북자 문제의 형상화가 남과 북의 특수성에 바탕한 분단 소설의 영역으로 수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최근 우리 문학에 중요한 쟁점으로 부상된 ‘탈국경의 상상력’과 연관하여 탈북자 문제 형상화의 새로운 양상을 고찰하였다. 탈북자로 설정된 바리와 리나의 이동 경로는 분단현실이 매개된 한반도에서 근대 사회의 형성과정이 함축된 한반도 너머로 확장되고 있는데, 이러한 공간의 이동은 디아스포라들의 이주와 연대의 상상력을 드러내고 있다. <바리데기>는 근대 이전의 전통 서사 양식의 차용을 통해 특수와 보편, 한반도와 그 너머, 근대와 탈근대를 매개하는 관계의 사유를 펼쳐 보이고 있다. 이에 비해 <리나>는 탈근대적 서사의 특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독창적인 ‘국경의 상상력’을 선보이고 있다. 전통 서사 양식과 탈근대적 성향의 서사는 ‘전지구적 자본의 이동과 편재’에 응전하는 디아스포라들의 삶을 구조화하는 주요한 형식으로 기능하고 있다. <바리데기>는 하위주체들이 구성하는 공통의 체험을, <리나>는 하나로 수렴될 수 없는 디아스포라들의 다층적 정체성을 포착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탈국경의 문학적 상상력은 근대적 주체의 고난의 여정과 탈근대적 주체의 유목을 통해 근대 국민국가의 안과 밖을 동시에 심문한다. 부정적 근대와 맞선 근대주의적 가치와 탈근대적 가치를 어떻게 결합할 것인가의 문제가 탈국경의 문학적 상상력이 해결해야 할 절박한 과제인 셈이다. <바리데기>는 피억압 디아스포라들의 구체적 삶을 ‘동정과 연민’(남을 위한 눈물 혹은 생명수)이라는 근대의 동일성 담론(바리설화)으로 수렴하고 있다는 점에서 탈근대적 가치를 모색하는 데 일정한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반면, <리나>에서는 국민국가의 경계를 탈주하려는 탈근대적 주체의 욕망이 전경화됨으로써, 부정적 근대에 맞선 근대적 가치의 영역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 <바리데기>에는 근대적 주체의 정체성을 심문하는 탈근대적 ‘차이의 연대’가, <리나>에는 탈북 디아스포라의 유목적 모험을 근대적 일상으로 끌어내리는 작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This study consider new type of North Korean refugees' literature in the <Baridegi> and <Rina>. Those expand into worldwide issue over existing standpoint that head for ‘South Korea’ as goal. This standpoint fall into schema of oneness. Because North Korean refugees formulation is comprised in national division novel which based on Korea particularity. North Korean refugees' literature expands into international literature as make trial of a national division novel confines in my opinion. Hence, North Korean refugees' literature aim to new possibility of literature that include particular division further migration and deconstruct of minority groups as well as joint This study considers a new aspect of North Korean refugees' problem that connected ‘Border-crossing imagination’ in Korea commonwealth of writers recently. Bari and Rina, North Korean refugees, migrate beyond from the Korean Peninsula by division realities to the Korean Peninsula that imply making modern society. This migration shows diasporas' imagination of migration and joint. <Baridegi> shows related thought that mediate between modern and post-modern/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Korea Peninsula and over there through traditional narrative form. In comparison, <Rina> shows a creative ‘border imagination’ for making full use of postmodern narrative's feature. Traditional narrative and postmodern narrative construct diaspora's life resists ‘the global movement and the maldistribution of capital’. <Baridegi> focuses on commonm experience of subaltern and <Rina> focuses on multi-layered identity of diasporas. The task that concerns and connects the gap between the two can be said imminent problem which literary immagination of border-crossing should sol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