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한 비전형적 De Quervain씨 병 - 1례 보고 -

        고인준,김정만,송철,Koh, In-Jun,Kim, Jung-Man,Song, Chol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1 No.2

        De Quervain 씨 병은 장 무지 외전건과 단 무지 신건의 협착성 건막염으로 수부나 수근 관절의 반복적인 과사용에 의한 섬유막 비후로 발생한다. 진찰 소견상 요골 경상 돌기 주위의 동통과 압통이 흔한 증상이며 Finkelstein 검사에 양성소견을 보인다. 대부분의 환자는 보존적 요법에 좋은 임상 경과를 보이며 보존적 요법에도 불구하고 6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나 재발한 경우에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저자들은 동통을 동반한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비전형적 De Quervain 씨 병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하고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로 치료하여 종괴의 감소 및 동통의 호전을 보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De Quervain's disease is a stenosing tenosynovitis that affects the synovial sheath of the tendons of the abductor pollicis longus and extensor pollicis brevis; it can be considered a work-related disease, since it frequently is associated with highly repetitive movements in jobs using the hands. The usual sign and symptom of de Quervain's diseases are positive Finkelstein's sign and pain and tenderness around the radial styloid process. The majority of de Quervain's disease has a good results to conservative treatment, but surgery can be performed in case of recurrence or pain last more than 6 months without improvement in spite of conservative treatment. We diagnosed a patient with atypical de Quervain's disease by ultrasonography, treated by local steroid injection and pain was relieved. We report a case of atypical de Quervain's disease evaluated by ultrasonography with brief of literatures.

      • KCI등재

        Femoral Nerve Block versus Adductor Canal Block for Analgesia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고인준,최영준,김만수,고현정,강민성,인용 대한슬관절학회 2017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9 No.2

        Inadequate pain management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impedes recovery, increases the risk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results in patient dissatisfaction. Although the preemptive use of multimodal measures is currently considered the principle of pain management after TKA, no gold standard pain management protocol has been established. Peripheral nerve blocks have been used as part of a contemporary multimodal approach to pain control after TKA. Femoral nerve block (FNB) has excellent postoperative analgesia and is now a commonly used analgesic modality for TKA pain control. However, FNB leads to quadriceps muscle weakness, which impairs early mobilization and increases the risk of postoperative falls. In this context, emerging evidence suggests that adductor canal block (ACB) facilitates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compared with FNB because it primarily provides a sensory nerve block with sparing of quadriceps strength. However, whether ACB is more appropriate for contemporary pain management after TKA remains controversia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summarize recent studies regarding practical issues for ACB and comparisons of analgesic efficacy and functional recovery between ACB and FNB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TKA.

      • KCI등재

        Is Routine Thromboprophylaxis Needed in Korean Patients Undergoing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고인준,김주환,김만수,장성원,김철규,인용 대한의학회 2016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1 No.3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the natural course of venous thromboembolism (VTE) without thromboprophylaxis to ascertain whether routine thromboprophylaxis is necessary following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in Korean patients. The medical records and multidetector row computed tomography (MDCT) imaging of the consecutive 77 UKAs in 70 patients were reviewed. In all patients, MDCTs were undertaken preoperatively and at 1-week after surgery, and VTE symptoms were evaluated. At postoperative 6-months, follow-up MDCTs were undertaken in all patients in whom VTEs were newly detected after surgery. VTE lesions were newly detected in 18 (26%) of the 70 patients. However, none of the patients complained of VTE-related symptoms and MDCT demonstrated that all VTEs were small and involved limited portion without lower leg edema or pleuroparenchymal complication. At the 6-month follow up MDCT, all types of VTEs were shown to be completely resolved, regardless of their location. All of the VTE lesions maintained an asymptomatic status for 6-month after surgery. VTE following UKA in Korean patients who do not receive thromboprophylaxis seems to occur frequently, but all of the VTEs are clinically insignificant and all VTEs are spontaneously regressed. Routine thromboprophylaxis or thrombolytic treatment in Korean patients undergoing UKA may not be necessary.

      • 전방 십자 인대의 일차 봉합술 후 MRI 소견

        김정만,고인준,이동엽,이윤민,Kim, Jung-Man,Koh, In-Jun,Lee, Dong-Yeob,Lee, Yoon-Min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1

        목적: 관절경하 일차 봉합술 후 전방 십자인대의 자기 공명 영상 소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봉합사 견인 결찰(pull-out) 기법으로 관절경하 일차 봉합술을 시행한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1.4개월(범위: 12~60개월)이었다. 외래 방문시 신체 검사 및 KT-1000 arthrometer (MEDmetric, San Diego, CA) 측기로 안정성을 검사하였으며 수술 후 자기 공명 영상으로 추적하였다. 남아 있는 활막 소매(synovial sleeve)의 위치로 정의한 파열부의 위치에 따라 환자를 두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제 1군은 파열이 대퇴골 부착 부위부터 근위 1/3 실질부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 2군은 파열이 근위 1/3 실질부 보다 원위에 위치하는 경우로 하였다. 수술 후 자기 공명 영상소견을 일정한 주기로 촬영하였으며 봉합된 십자인대의 주행 경로, 경계의 명확성, 두께 및 신호 강도를 3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으며 두 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Lachman검사와 flexion-rotation drawer 검사는 음성이었으며 Pivot-shift 검사는 1도 이하였으며 건측과 환측의 KT-1000 arthrometer 차이는 평균 1.4 mm(범위: -1.0~2.5 mm)로 측정되었다. 파열부 위치에 따른 분류로 제1군은 11예, 제 2군은 6예가 해당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 소견상 모든 예에서 전방 십자 인대의 전반적인 연속성은 유지되고 있었으나 10예(58.8%)에서 경도의 처진 주행 경로를 보였고 6예(35.3%)에서 경도의 불명확한 경계를 보였으며 8예(47.1%)에서 두께의 증가, 5예(29.4%)에서 신호 강도의 증가를 보였다. 모든 항목에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시상면상 제1군의 2예(18.2%), 제 2군의 5예(83.3%), 전체 환자의 7예(41.2%)에서 대퇴골 부착 부위의 후방 변연부 실질부의 국소 결핍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제2군에서 의미 있게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p=0.035). 결론: 일차 봉합술 후 임상적으로 불안정이 없는 슬관절의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소견으로 주행 경로의 처짐, 경계의 불명확, 두께 및 신호 강도의 증가, 대퇴 부착 지점의 국소 결핍 등의 비정상 소견을 보일 수 있다. 한편 대퇴 부착부의 국소결핍 소견은 파열의 위치와 관계가 있다. Purpose: To investigate MRI findings of the repair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Materials and Methods: Seventeen of arthroscopic ACL primary repair with sutures pull-out technique were followed for 21.4 months (range: 12 to 60 months). Stability was assessed with physical examination and KT-1000 arthrometer (MED metric, San Diego, CA) and postoperative MRI checked with tim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ear which was defined with the location of remained synovial sleeve. Group I (11 patients) comprised that the tear was located within proximal 1/3 of ACL substance and group II (6 patients) comprised below proximal 1/3. MRI findings of the repaired ACL were evaluated by its course, sharpness, thickness and signal intensity using 3 grade system and correlated with its location of tear. Results: In all cases, Lachman test and flexion-rotation drawer test were negative, pivot-shift test was less than grade 1 and the mean side-to-side difference by use of KT-1000 arthrometer was 1.4 mm (range: -1.0 to 2.5 mm). The overall continuity of the repaired ACL was well maintained in all cases. However, mild sagging was observed in 10 cases(58.8%), mild obscure contour in 6 cases (35.3%), increased thickness in 8 cases (47.1%) and slight increased signal intensity in 5 cases (29.5%).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parameters between 2 groups. And a focal defect at the femoral attachment site in sagittal image was observed in 7 cases (41.2%) of all patients which comprised 2 cases (18.2%) of group I and 5 cases (83.3%) of group II. It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group II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35). Conclusion: Some abnormal MRI findings such as mild sagged course, obscure contour, increased thickness and signal intensity, the focal defect at femoral attachment site could be observed even though the stability was well maintained clinically. We thought that the focal defect was affected by the location of tear of ACL.

      • 해부학적 형상을 고려한 인공 무릎 관절 사용시 내측 측부 인대 변형률 분포 특성: 기계적 거동 회복

        김민지,고인준,곽대순,조호정,김서영,최재혁,임도형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4

        인공 슬관절 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에서의 기계적 정렬(Mechanical Alignment)은 과거부터 가장 많이 사용되며 무릎 시스템에 대해 좋은 결과를 보고하지만 임상적 결과는 환자의 만족도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오늘날의 활동적인 환자는 이전보다 더 많은 무릎의 운동성과 기능을 요구하지만 현대의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잔류 증상에 대해 완전히 개선되지 못한 한계가 존재한다. 본래의 사지 정렬이 바뀌면서 부자연스러운 거동과 AP의 불안정성 등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원인이 될 것이라 생각되지만 생체역학적 증거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정상 무릎에 더 근접하여 무릎 운동학을 개선하도록 새롭게 고안된 무릎 관절 시스템 JOURNEY II를 사용한 내측 측부 인대(Medial Collateral Ligament)의 변형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8쌍의 사체(16개 무릎)에 대하여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무릎의 움직임은 knee simulator에 의해 제어되었다. 모든 표본에 대해 생리적 하중 조건 하에서 굽힘 운동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후 비교를 위해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 (ISG, MONET 3D, Sobriety s.r.o, Czech Republic) 및 실시간 이미지 처리 프로세싱 (ISG, Mercury RT)로 구성된 비접촉식 비디오 신장계를 사용하여 굴곡 동작 중 실시간 내측 측부 인대의 평균 변형률 변화를 분석하였다. MCL변형에 대한 JOURNEY II TKA는 수술 전과 수술 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무릎의 MCL 변형 관점으로 보았을 때, 해부학적 형상을 고려한JOURNEY II TKA가 무릎을 본래의 Native 상태로 회복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결과를 시사한다.

      • 운동학적 정렬법에 따른 슬관절 전치환술에서의 후진 거동 특성 : 군집 분류 알고리즘 기반 분석

        최재혁,고인준,곽대순,조호정,김서영,김민지,임도형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4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대퇴-경골 관절의 생체역학적 복원은 수술 성공 여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최근 환자의 수술 전 자연적인 거동 특성을 지향하는 운동학적 정렬법(KA-TKA)은 환자의 수술 전 해부학 특성을 반영하여 단기 임상에 좋은 결과를 보여 기존 수술법인 역학적 정렬법(MA-TKA)의 대체제로 주목받고 있지만, 이에 대한 생체역학적 근거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역학적 정렬법에 따른 대퇴골의 후진 거동 움직임을 정량 하여 KA-TKA의 생체역학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총 10명의 기증자에게서 20개의 무릎 시편을 확보하였으며, 생리적 하중 조건에서 무릎에 대한 굴곡 및 신전 운동을 시행하였다. 시편에 12개의 마커를 부착하여 3차원 동작분석 카메라(Kestrel 1300, Motion analysis, Rohnert, CA)를 활용하여 무릎의 후방 거동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전치환술 슬관절의 후방 거동 회복을 평가하기 위하여 K-평균 군집화(K-means clustering)와 밀도기반 군집화(DBSCAN)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수술 전후의 후방 거동 움직임의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K-평균 군집화 분석에서, 수술 전 무릎과 KA-TKA후 무릎은 75%의 유사성을 보였다. DBSCAN 분석에서 수술 전 무릎 시편은 총 4개의 패턴을 보였고, KA-TKA 무릎은 5개의 패턴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무릎의 운동학적 정렬이 각각의 환자 별로 다양한 거동을 보일 수 있는 해부학적 특성을 반영하였으며, 이로 인해 환자 개개인의 거동 특성을 잘 반영하여 무릎 관절의 부담을 줄이고 수술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KA-TKA 수행 후 환자의 임상적 만족도가 하락했던 임상 연구에 대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슬관절 전치환술 정렬법에 따른 슬개골의 내외측 움직임 특성 비교: 군집분류 알고리즘 기반 분석

        김서영,고인준,곽대순,조호정,최재혁,김민지,임도형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4

        슬개대퇴관절의 생체역학적 복원은 성공적인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TKA)를 위해 필수적이다. 최근 환자의 고유의 해부학에 맞는 맞춤형 정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운동학적 정렬 TKA (KA-TKA)이 도입되기 시작하여 역학적 정렬 TKA (MA-TKA)보다 우수한 결과를 제공한다는 임상결과가 보고되지만 생체역학적 증거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TKA 정렬법에 따른 슬개골의 내외측 움직임을 정량하여 KA-TKA의 우수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구의 사체(40개 무릎)에 대하여 대응 짝(matched pair) 방식으로 KA-TKA와 MA-TKA가 시행되었으며, 모든 시편은 생리적 하중 조건 하에서 굴곡과 신전 운동을 시행하였다. 시편에 15개의 마커를 부착하여 3차원 동작분석 카메라(Kestrel 1300, Motion analysis, Rohnert, CA)로 시편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슬개골의 내측-외측 이동을 분석하였다. 슬개골 거동 회복 비교를 위해 K-평균 군집화(K-means clustering)와 밀도기반 군집화(DBSCAN clustering) 기법을 활용하여 정렬법에 따른 수술 전후의 슬개골 거동 특성의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MA-TKA의 경우 K-means clustering에 대해 60%, DBSCAN clustering에 대해 55%의 수술 전후 유사성을 보였으며, KA-TKA의 경우 K-means clustering에 대해 95%, DBSCAN clustering에 대해 95%의 수술 전후 유사성을 보였다. 이는 KA-TKA에 비하여 MA-TKA 이후 슬관절의 정렬이 변화됨에 따라 굴곡에 대한 슬개골의 이동 경로가 수술 전 보다 내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KA-TKA 시 MA-TKA에 비하여 더 우수한 슬개골의 기능 수행과 높은 환자 만족도에 대한 임상연구의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초음파를 이용한 슬관절 내측 불안정 평가 -측정기법-

        김정만,이동엽,고인준,김승민,Kim, Jung-Man,Lee, Dong-Yeob,Koh, In-Jun,Kim, Seung-Mi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1 No.2

        목적: 슬관절의 내측 측부 인대 손상으로 인한 내측 불안정의 정도 측정 시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내반 및 외반 상태에서 동적으로 측정하는 기법을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8년 4월까지 내측 측부 인대의 손상이 있었던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관찰 시에 손상 직후 운동제한 보조기(limited motion brace)를 착용시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수상 직후, 6주 및 12주에 초음파로 내측 불안정성의 치유 경과를 관찰하였다. 평가는 슬관절을 30도 굴곡시키고 내반 및 외반 상태에서 대퇴골의 내측f 상과의 직하부에서 경골의 골 기시부까지의 거리를 계측하였다. 결과: 초음파 이용 시 내측 상과(medial epicondyle) 직하부에 골피(cortex)가 직선으로 내려가기 시작하는 부위와 경골 근위부의 관절 연골 둥근 부분 직하부의 골피 시작 부위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였고 내반 및 외반은 하지 중력 만을 이용한 생리적 상태로 초음파 시야를 조정하면서 동적으로 측정하여 항상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초음파는 내측 불안정의 정도 평가 시에 내측 측부 인대의 추가 손상 없이 내반 및 외반의 동적 상태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method of dynamic sonographic measurements in the evaluation of the MCL injury of the knee joint while applying valgus and varus stress. Materials and Methods: Seven cases of MCL injury from January to April of 2008 was used for the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medial instability, sonography was used immediately after injury, 6 weeks and 12 weeks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with limited motion brace. The length between the foot of the medial femoral epicondyle and the most proximal point of the tibial cortex was measured in 30 degrees flexion with valgus and varus stress of the knee joint. Results: The foot of the medial epicondyle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proximal tibial cortex underneath the round portion of the articular cartilage were always able to be seen on ultrasonography, even in varus and valgus stress with gravity in 30 degrees flexion of the knee joint. The results of measurements were always constant. Conclusion: Sonography can be used in evaluation of medial instability under the dynamic valgus and varus stress of the knee joint without further inj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