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우에서 Ovum Pick-Up 유래 수정란의 임신 시기별 임신율 비교

        고응규(Yeoung-Gyu Ko),이재영(Jae-Yeong Lee),김남태(Nam-Tea Kim),김찬란(Chan-Lan Kim),이세영(Se Young Lee),최창용(Changyong Cho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7

        본 연구는 한우에서 난소 내 난자 채취(Ovum Pick-Up, OPU) 기술을 적용하여 수정란이식을 실시하였을 경우 임신기간 동안 임신율을 어떻게 유지하면서 분만에 이르는지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수정란이식 후 시기별 임신율은 45일령 50%, 2개월령 47.5%, 6.5개월령 35.0%였다. 신선 수정란과 동결 수정란의 임신율은 45일령, 2개월령, 4개월령, 6.5개월령에 신선 수정란 64.3%, 64.3%, 57.1%, 50.0%였으며 동결 수정란은 임신 전체 기간동안 16.7%를 나타내었다. 상실배, 초기배반포, 배반포기 수정란을 이식하였을 때 임신기간이 경과할수록 임신율이 떨어졌으며, 수정란의 발달 단계가 성숙한 것을 이식할수록 임신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공란우별로 7∼8개의 수정란을 이식하고 이들의 임신율을 조사한 결과 이식 후 6.5개월령에서 임신율이 12.5%∼71.4%를 나타내어 공란우별로 임신율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란우의 임신율은 6.5개월령에서 미경산우 16.7%, 경산우 57.9%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한우에서 OPU 유래 수정란을 이식하였을 경우 신선·동결 수정란, 수정란 발달 단계, 공란우 개체, 수란우 분만 경력에 따라 수정란이식 후 임신율에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수정란이식 후 임신율 및 분만율에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므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한우의 수정란이식 임신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o maintain the pregnancy rate and reach parturition subsequent to embryo transfer achieved by applying the Ovum Pick-Up (OPU) technology in Korean native cattle (Hanwoo). The overall pregnancy rates after embryo transfer were determined to be 50% at 45 days, 47.5% at 2 months, and 35.0% at 6.5 months after embryo transfer. The pregnancy rates obtained after AI for fresh and frozen embryos were 64.3%, 64.3%, 57.1%, and 50.0% for fresh embryos at 45 days, 2 months, 4 months, and 6.5 months, respectively, and 16.7% for frozen embryos during the entire period. Transferring morula, early blastocyst, and blastocyst stage embryos resulted in decreased pregnancy rate during the pregnancy period, whereas transferring embryos at a mature developmental stage resulted in increased pregnancies. In all, 7 to 8 embryos of each donor cow were cultured to the blastocyst stage and transferred to recipient cows. This resulted in increasing their pregnancy rates from 12.5% to 71.4%. At 6.5 months of gestation, the pregnancy rates obtained were 16.7% in heifers and 57.9% in multiparous cows.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need for continuous promotion of further research that will help improve the pregnancy rate after embryo transfer of Hanwoo cows.

      • 체세포 복제란 이식우의 분만 전.후 TGF-${\beta}_1$ 단백질 농도

        황성수,장유민,고응규,양병철,임기순,김명직,민관식,윤종택,김창근,성환후,Hwang, Seong-Soo,Chang, Yoo-Min,Ko, Yeoung-Gyu,Yang, Byong-Chul,Im, Gi-Sun,Kim, Myong-Jik,Min, Kwan-Sik,Yoon, Jong-Taek,Kim, Chang-Keun,Seong, Hwan-Hoo 한국동물번식학회 2008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32 No.1

        본 연구는 체세포 복제란 이식우의 분만에 있어서 혈중 스테로이드호르몬, TGF-${\beta}_1$ 농도와 분만지연의 상관 관계를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인공수정(AI)을 통하여 임신한 암소(cow)들을 사용하였다(AI-R). 모든 AI-R들은 자연분만(n=5, 임신 $284{\pm}0.71$일)을 하였다. 분만징후를 보이지 않는 체세포 복제란 이식우(n=5, SCNT-R)들은 분만 예정일보다 10일 정도 지난 임신 292일째에 제왕절개(Caesarean section, C-sec)를 실시하여 분만하였다. 혈액 및 태반 샘플을 분만 전.후에 채취하여 형태 및 중량 등을 측정하였다. 혈장호르몬인 Progesterone(P4)와 Estradiol-$17{\beta}$(E2) 농도는 방사선동위원소 면역 분석 시험(RIA)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장 및 태반분엽의 TGF-${\beta}_1$ 농도는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SCNT-R에서 회수한 태반의 무게는 AI-R의 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무거웠다(p<0.05). 분만 직전 SCNT-R들의 혈장 내 P4 농도는 AI-R들의 그것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1). 하지만 SCNT-R들의 혈장 내 E2 농도는 AI-R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1). 한편, 분만 전.후 SCNT-R들에서 혈장 또는 태반분엽의 TGF-${\beta}_1$ 단백질 발현 수준은 AI-R들과 비교하여 각각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분만 시 P4 및 E2의 이상 발현과 높은 수준의 혈장 및 태반 내 TGF-${\beta}_1$ 단백질은 체세포 복제태아의 분만지연을 야기하는 중요한 요인들 중의 하나일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steroids and TGF-${\beta}_1$ levels and delayed parturition in SCNT clone calving. The recipients pregnant by AI were used as control (AI-R). All AI-R were labored by natural delivery (n=5, day $284{\pm}0.71$ of pregnancy). The recipients pregnant by SCNT embryo (SCNT-R) showing no signs of delivery about 10 days after expected date were operated by Caesarean section (n=5, day 292). The blood and placentome samples were obtained and weighed at parturition. The concentrations of plasma progesterone (P4) and Estradiol-$17{\beta}$ (E2)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RIA). The levels of plasma and placental TGF-${\beta}_1$ levels were examined by ELISA. The placentomes from SCNT-R were overweight (p<0.05) compared to those of AI-R. The plasma P4 (p<0.01) level in SCNT-R at partur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at of AI-R. In contrast, the plasma E2 level in the SCNT-R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at of AI-R (p<0.05). The plasma and placental TGF-${\beta}_1$ protein levels in the SCNT-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I-R at parturition, respectively (p<0.01). Based on these results, aberrant expressions of steroid hormones and high levels of plasma and placental TGF-${\beta}_1$ protein at parturition may be one of the key indicators on delayed parturition of SCNT clone calving.

      • KCI등재

        번식생리 및 내분비 : 한국재래닭(오계) 원시생식세포의 완만동결과 급속동결의 비교

        김성우 ( Sung Woo Kim ),고응규 ( Yeoung Gyu Ko ),변미정 ( Mi Jeong Byun ),도윤정 ( Yoon Jung Do ),한재용 ( Jae Yong Han ),김동훈 ( Dong Hun Kim ),성환후 ( Hwan Hoo Seong ),김현 ( Hyun Kim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3 한국축산학회지 Vol.55 No.5

        We sought to provide a method for freezing and preserving primordial germ cells, or an avian germ cell of a bird, as a material for developmental engineering or species preserv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slow freezing with a vitrification method for the cryopreservation of chicken primordial germ cells(PGCs). PGCs obtained from the germinal gonad of day 5.5-6 day(stage 28) cultured chick embryos, using the MACS method,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slow freezing and vitrification. We examined the viability of PGCs after Cryopreservation. Four freezing method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cluding the following: Method 1: The PGCs were frozen by a programmed freezer in a plastic straw, including 2.0M ethylene glycol(EG) as cryoprotective additive(slow freezing) Method 2: The PGCs were vitrified in a plastic straw, including 8.0 M EG, plus 7% polyvinylpyrrolidone(PVP)(rapid freezing). Method 3: The slow freezing was induced with a cryotube including 2.0 M EG Method 4: The PGCs were frozen in a cryotube including 10% dimethyl suloxide(DMSO)(rapid freezing). After freezing and thawing, survival rates of the frozen-thawed PGCs from Method 1 to 4were 76.4%, 70.6%, 80.5% and 78.1%(p<0.05), respectively. The slow freezing(-80℃ programmed freezer) method may provide better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PGCs than the vitrification method for the cryopreservation of PGCs. Therefore, these systems may contribute to the cryopreservation of a rare avian species.

      • KCI등재

        칡소 동결 정액 생산을 위한 스티로폼상자와 액체질소 이용 방법

        김성우(Sung Woo Kim),고응규(Yeoung-Gyu Ko),이재영(Jae-Yeong Lee),김찬란(Chan-Lan Kim),황인설(In-Sul H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4

        가축유전자원으로서 동결정액을 생산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스티로폼박스를 이용한 간이동결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티로폼 동결박스를 제작하여 가축의 동결정액 생산에 활용하는 방법을 검토하였으며 칡소 동결정액 생산을 최적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박스의 크기, 액체질소와 노출된 정액 스트로와 거리, 노출시간 및 생산량을 검토하였다. 2가지 동결박스를 비교하여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내부 크기는 세로×가로×높이가 23.5×30.5×22.5cm와 25.5×46.5×26.5 cm로 측정되었다. 액체질소를 5cm 높이로 채우고 액체질소 위 2, 5 및 8cm 높이에서 동결하여 융해 후 생존성을 조사하였다. 칡소 정액을 동결할 경우, 액체질소와의 노출시간은 모두 10분이 적절하였으며 25.5×46.5×26.5 cm 크기의 상자가 높은 생존율을 보여주었다(60.4±5.3% 대 67.2±3.1%). 동결 상자의 최적화 공간은 정자 동결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며 1회 동결 시 최대 생산 가능한 칡소 동결정액은 60개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면, 축종에 따라 동결 정액 생산량 결정하고 목적에 맞는 용기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동결정액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 styrofoam box is used as a simple and easy freezing method to preserve animal semen as a livestock genetic source. This study optimized the methods of freezing chikso brindled cattle semen. To test the freezing box, the motility of spermatozoa was compared between two box sizes (length×width×heigh) with the dimensions of 23.5×30.5×22.5 cm and 25.5×46.5×26.5 cm. The motility of thawed sperm from brindled Korean bulls was used to confirm the efficiency of the freezing boxes. The box having a larger inner space with larger horizontal and height measurements supported better motility after thawing (60.4±5.3% vs 67.2±3.1%) with 10 min of exposure time in liquid nitrogen vapor. The optimized freezing space is estimated to be an essential element for successful freezing results and the larger box could be used for production of more than 60 frozen semen straws. These properties are also helpful to optimize the cryopreservation techniques that would control the quality and quantity of semen straws according to different animal species.

      • 체세포 복제란 이식 한우의 분만 전 혈장 Progesterone과 Estradiol-l7$\beta$ 농도 변화

        황성수,최선호,장유민,고응규,양병철,임기순,민관식,성환후,Hwang, Seong-Soo,Choi, Sun-Ho,Chang, Yoo-Min,Ko, Yeoung-Gyu,Yang, Byong-Chul,Im, Gi-Sun,Min, Kwan-Sik,Seong, Hwan-Hoo 한국동물번식학회 2008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32 No.3

        본 연구는 한우 체세포를 이용하여 생산된 복제란을 한우 대리모에 이식하여 임신이 확인된 개체에서 임신 기간 중 주요 호르몬의 발현 특성을 인공수정으로 임신된 대리모와 비교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한우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생산된 체세포 복제란을 자연발정으로 동기화된 한우 대리모에 이식하여 임신이 확인된 개체를 공시하였으며(n=8), 대조군으로는 인공수정으로 임신된 대리모을 사용하였다(n=5). 발정 관찰 후 60일경에 직장검사로 임신을 확인하였다. 주요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progesterone(P4)와 estradiol-l7$\beta$ (E2) 농도는 방사선동위원소 면역분석시험(RIA)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혈중 cortisol 농도는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인공수정한 대리모의 경우 E2 농도가 분만 시기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P4 농도는 분만 시기에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복제란 이식우의 혈장 P4 농도는 분만 50일 전부터 분만 10일전까지는 대조군과 유사하게 유지되었으나, 분만예정일에는 전혀 떨어지지 않고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한편, 복제란 이식우에서 분만 때까지 정상적으로 임신이 유지된 대리모들의 경우는 임신 기간 동안 cortisol 농도는 임신 후반기까지 낮게 유지되며 별다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유산이 일어난 개체의 경우에는 임신 100일경에 cortisol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복제란 이식우의 경우 분만예정일 전 후에 일어나는 급격한 호르몬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복제란 이식우의 분만 지연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haracterization of plasma hormonal levels during pregnancy in the Hanwoo recipients pregnant by artificial insemination (AI) or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embryos. The synchronized recipients pregnant by SCNT embryos produced by Hanwoo fetal fibroblast cells (n=8) and by AI (control, n=5) were used. The plasma hormonal levels were measured by RIA (P4 and E2) and ELISA (cortisol), respectively. In control, the increase of E2 and the decrease of P4 were occurred immediately before the initiation of parturition. The expression pattern of plasma P4 was similar in both groups from 50 to 10 days before parturition, however, it did not decrease even at the expected date of labor in the SCNT recipients. The plasma cortisol was expressed a lower level during pregnancy in the SCNT recipients. But, the cortisol was increased in the cow aborted around 100 days of pregnancy (n=1).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postulated that the failure of the hormonal changes immediately before parturition in the SCNT recipients may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for a delayed parturition in clone calving.

      • KCI등재

        한우 저수태우 임신율 개선을 위한 CIDR PLUS와 CIDR GnRH 발정동기화 비교

        조상래(Sang-Rae Cho),고응규(Yeoung-Gyu Ko),유대중(Dae-jung 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8

        본 연구는 인공수정을 2~3회 실시하여 임신이 안 되는 저수태우를 대상으로 발정동기화 기술을 적용하여 번식률 개선 효과 구명을 위해 실시하였다. 발정동기화 처리를 통한 인공수정 등의 첨단 번식기술 활용은 우수한 혈통을 기반으로 하는 종축의 생산과 우량 형질 보유 암소의 증식 그리고 유사시 가축의 복원 등에 중요한 기술로 사용된다. 따라서 저수태우의 발정동기화 처리 방법은 CIDR PLUS(CIDR device, with Estradiol benzoate(EB), PLUS) 와 CIDR GnRH(CIDR device and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두 가지 방법을 저수태우에 삽입 처리하여 발정을 유기 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1년 지역별 한우 사육농가를 대상으로 한 저수태우 발생 현황은 약 9.1%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3년 동안 발생한 비임신 암소에 대한 번식우 활용 조사결과에서는 암소를 비육하여 판매하는 비율이 약 60.8%, 그리고 암소의 형질이 우수하여 임신을 위해서 관리를 지속적으로 한다는 비율이 약 39.2%로 조사되었다. 암소의 번식이 불가능 할 경우는 비육하여 판매하는 비율이 유의적으로(P<0.05 ) 높게 분석되었다. 저수태우 대상으로 번식재개를 위해 서로 다른 두 가지 발정동기화처리 방법으로 임신의 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 CIDR PLUS 방법은 56.9% 그리고 CIDR GnRH 방법은 85.2% 임신이 재개되었으며, CIDR PLUS 방법 보다 유의적으로(P<0.05 ) 높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비임신 암소의 번식 재개를 위해서는 두 가지 발정동기화 방법을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CIDR GnRH 방법 활용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breeding rate in repeat breeder (RB) cows that were unable to become pregnant, despite having a normal estrus cycle. The methods used to synchronize the estrus were the controlled internal drug release (CIDR) PLUS (CIDR device, with estradiol benzoate (EB), PLUS) and the CIDR GnRH (CIDR device and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The study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non-pregnant cows was about 9.1%, which is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The study also surveyed the use of breeding cattle as RBs over the past three years and found that the sales rate of fattened cows was about 60.8%, while the rate of management for pregnancy was about 39.2%. The ratio of meat sale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e study then analyzed two methods of estrus synchronization: the CIDR PLUS method and the CIDR with the GnRH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IDR PLUS method had a success rate of 56.9%, while the CIDR with the GnRH method had a success rate of 85.2%,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e CIDR PLUS method.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RB cows could be effectively bred using the above two methods of estrus synchronization. Among these methods, the CIDR GnRH method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resuming pregnancy. These findings can help improve the breeding rate of RB cows and increase their productivity.

      • KCI등재

        번식용 교잡 흑염소의 유지와 성장을 위한 대사에너지 요구량 추정

        이진욱,김관우,이성수,고응규,이용재,김성우,전다연,노희종,윤영식,김도형,Lee, Jinwook,Kim, Kwan Woo,Lee, Sung Soo,Ko, Yeoung Gyu,Lee, Yong Jae,Kim, Sung Woo,Jeon, Da Yeon,Roh, Hee Jong,Yun, Yeong Sik,Kim, Do Hyung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9 No.1

        본 연구는 사양실험에 의한 회귀식 추정방법에 의해 교잡종(개량종) 번식용 암컷 흑염소의 육성기와 임신기 유지와 성장을 위한 에너지요구량을 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번식용 암컷 흑염소 50두를 공시하여 사료의 대사에너지 수준을 육성기(5개월령)에는 각각 2.32(G1), 2.49(G2), 2.74(G3), 2.99(G4) 및 3.24(G5) Mcal/kg로 하여 2016년 5월부터 9월까지 진행하였으며, 임신기(9개월령 이후)에는 각각 2.32(P1), 2.43(P2), 2.55(P3), 2.66(P4) 및 2.78(P5) Mcal/kg로 하여 2017년 1월부터 4월까지 수행하였다. 실험사료는 염소용 TMR 사료를 이용하여 조단백질 수준을 14%로 고정시키고 에너지 첨가제(유락)를 이용하여 에너지 수준을 조절하였다. 건물 섭취량은 처리구 간에 육성기, 임신기 모두 유의성이 없었으며, 체중대비 1.5~2.0%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일당증체량은 육성기에는 46~69g, 임신기에는 150~190g으로 사료의 에너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났으며, 사료요구율은 육성기 6.5~9.7의 범위로 에너지수준이 높을수록 사료요구율이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임신기의 경우 3.5~3.8의 범위로 에너지 수준에 따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 체중 당 에너지섭취량과 일당증체량 사이의 회귀분석을 통한 유지에너지 요구량 추정 시 육성기에는 $102.5Kcal/BW^{0.75}$이고, 임신기에는 $105.83Kcal/BW^{0.75}$로 나타났다. 급여 사료의 에너지 수준에 따른 번식성적은 에너지 수준이 높아질수록 분만율이 낮게 나타났으나 산자수와 생시체중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흑염소의 사양표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대사실험, 비교도축법 등 다양한 추정방법과 비교를 통해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energy requirements for maintenance and growth of female Korean black goats during their growth and pregnancy phases. Fifty female goats ($18.7{\pm}0.27kg$) in their growth phase with an average age of 5 months were stratified by weight and randomly assigned into 5 groups. They were fed 5 diets varying in metabolic energy (ME) [2.32 (G1), 2.49 (G2), 2.74 (G3), 2.99 (G4), and 3.24 (G5) Mcal/kg] until they were 9-month-old. After natural breeding, 50 female goats ($30.7{\pm}0.59kg$) were stratified by weight and randomly assigned into 5 groups. They were fed 5 diets varying in ME [2.32 (P1), 2.43 (P2), 2.55 (P3), 2.66 (P4), and 2.78 (P5) Mcal/kg]. The average feed intake ranged between 1.5 and 2.0% of the body weight (BW),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with goats in growth or pregnancy phases. Average daily gain (ADG) in diet demand during the growth phase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ME density and ranged from 46 to 69 g/d (p<0.01). Feed conversion ratio (FCR) improved with the ME density during the growth phase (p<0.01). The intercept of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ME intake and ADG indicated that energy requirement for maintenance of goats during growth and pregnancy phases was $103.53kcal/BW^{0.75}$ and $102.7kcal/BW^{0.75}$, respectively. These results may serve as a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goat feeding standards in Korea.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assess the nutrient requirement of goats using various methods for improving accuracy.

      • KCI등재

        포유류배양세포 동결보존에 있어 Lactamide의 효과

        김현(Hyun Kim),조영무(Young Moo Cho),고응규(Yeoung-Gyu Ko),성환후(Hwan-Hoo Seong)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11

        DMSO는 배양포유류세포 동결보존의 동결보호제로써 일반적으로 사용 되어져 왔지만, DNA 메틸화 및 히스톤의 수식에 의해 일부 세포에서는 분화를 일으키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동결보존시의 배양세포의 안정된 분화 형질유지에는 메틸화를 일으키는 DMSO 이외의 동결보호제의 사용이 필요하다. 세포독성이 낮고, 동물정자동결 보존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아미도 화합물이 동일하게 포유류의 배양세포의 동결보존에서 동결보호작용이 있는지를(8종류의 아미드 화합물) 배양 마우스 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해 조사했다. 조사한 아미드 화합물 중에 아세트아미드와 락트아미드의 2종류가 배양세포에 대해서 동결보호작용이 있고, 가장 효과적인 것은 농도가 1.5 M의 락트아미드이다. 배양세포의 동결보존에 관해서는 삼투압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1.5 M 락트아미드 용액을 제작 시, 용매를 각 희석율의 PBS로 하고, 삼투압을 바꾼 동결 보존액에 동결세포의 생존율을 조사했다. 그 결과, 0.4배 농도의 PBS가 삼투압 스트레스를 가장 낮고 생존율이 가장 높음을 확인했다. 동결보존배지에 고 분자량재료를 첨가하면 세포생존율이 개선되는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BSA, HES, 데키스트란의 효과를 조사했다. 그 결과, 락트아미드를 이용한 동결보존배지는 0.4× PBS를 이용한 1.5 M 락트아미드용액에 1%의 BSA를 첨가한 경우, DMSO의 동결보호작용에 필적하는 동결보호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While dimethyl sulfoxide (DMSO) is the most commonly used cryoprotectant agent in the cryopreservation of cultured mammalian cells, it has been reported to cause differentiation of some cell lines by DNA methylation and associated histone modifications. To avoid the side effects of DMSO in cryopreservation, other agents might be more appropriate for maintaining the stable differentiation of cultured cell phenotypes through cryopreservation. All cryoprotectants should be highly soluble in water and display low cell toxicity. Cryoprotective agents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animal sperm preservation, and eight types of amides were examined in the cryopreservation of cultured mouse endothelial cells. Among the amides examined, acetamide and lactamide were effective cryoprotectants for cultured mammalian cells.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 of lactamide, 1.5 M, had an even lower cryoprotective ability than 1M DMSO. Because successful cryopreservation of cultured cells is hampered by osmotic stress, the adequate ionic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diluting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in the 1.5M lactamide solution.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 was 0.4×PBS, which minimized osmotic stress during the cryopreservation of cultured cells. As the addi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materials in cryopreservation media improves the viability of cells, the effects of bovine serum albumin (BSA), hydroxyethyl-starch (HES), and dextran were examined. The best combination of lactamide-based media for cryopreservation was found to be 1.5 M lactamide in 0.4×PBS with 1% BSA.

      • KCI등재

        mtDNA D-loop 변이로 확인된 한국재래닭의 다양한 모계기원

        조창연(Chang-Yeon Cho),이풍연(Pung-Yeon Lee),고응규(Yeoung-Gyu Ko),김학규(Hak Kyu Kim),박미나(Mi-Na Park),연성흠(Seung-Hum Yeon) 韓國家禽學會 2011 韓國家禽學會誌 Vol.38 No.1

        우리나라 재래닭의 기원을 구명하기 위해서 mtDNA Dloop 영역을 분석한 결과, 1,231~1,232개의 염기구성되어 있으며, 35개소에서 변이가 관찰되었다. 변이 부위를 이용하여 Haplotype을 분류한 결과, 21종으로 분류되었으며 이중 9개인 GenBank에 미등록된 것으로 밝혀졌다. Hplotype 다양성으로 추정한 한국 재래닭의 유전적 변이성은 중국의 재래닭과 유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Haplotype에 대한 Network 분석 결과, 재래닭은 5개의 Clade로 분류되었다. 이들 Clade에 대한 각 집단의 분포 현황으로 한국 재래닭은 운남성 및 중국 재래닭이 보인 결과와 유사하나, 일본의 재래닭과는 약간 상이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로 우리나라 재래닭은 공통선조가 다른 5개 이상의 모계가 중국을 통하여 유래되었으며, 일본에도 전파된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일본은 한반도를 유래하지 않은 닭의 유입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itochondrial DNA D-loop region of Korean native chicken to clarify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s, possible maternal origin and routes of introduction into Korea. A 1231-1232 bp DNA fragment from the mtDNA D-loop region was sequenced in 315 chickens from 11 populations, Thirty-five variable sites that defined 21 haplotyes were observed. In Korean native chicken, diversity accounted for 90% of the variation, little differentiation among the strains. The 21 haplotypes clustered into 5 clades which were A, B, C, D and 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chickens were derived from China with multiple origins.

      • Estrogen Receptor-${\alpha}$ 유전자 5' 영역의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의 탐색과 한우와 Holstein에서 번식능력 및 산유능력과의 관계

        염규태,전향아,박해금,김영신,김현,김재환,성환후,조영무,조재현,고응규,Yeom, Gyu-Tae,Jeon, Hyang-A,Park, Hae-Geum,Kim, Young Sin,Kim, Hyun,Kim, Jae Hwan,Seong, Hwan-Hoo,Cho, Young Moo,Cho, Jae-Hyeon,Ko, Yeoung-Gyu 한국동물번식학회 2014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3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SNPs in the 5'-regions of estrogen receptor-${\alpha}$ (ESR-${\alpha}$), and association with calving interval (CI), service per conception (SPC) and 305 days milk yield in Hanwoo and Holstein dairy cattle. The genetic improvement was incurred low reproduction performa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nections betwe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 of Estrogen receptor-${\alpha}$ (ESR-${\alpha}$) with reproduction performance (calving interval, service per conception, and 305 d milk yield) in Hanwoo and Holstein dairy cattle. Hanwoo and Holstein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83 and 124 dam of breeding farms and DNA was extracted. Primer design was based on NCBI GenBank (Accession No. AY340579). The PCR-RFLP method with Bgl I was used to genotype the cattle. The result showed two variants of the ESR-${\alpha}$ gene. The Bgl I cut the 492 bp amplification product into 322 bp and 170 bp fragments for allele G, while allele A remained uncut, resulting in two restriction fragments for homozygote G/G and three fragments for heterozygote A/G. We found two of different genotypes in these breeds, A/G and G/G. In Hanwoo, the A/G genotype frequency was 0.13, and G/G was 0.87. The CI of A/G was $382.18{\pm}10.03$ days, and G/G was $381.69{\pm}5.22$ days. The SPC of A/G was $1.62{\pm}0.16$, and G/G was $1.32{\pm}0.04$. While CI showed no significance difference, SPC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Holstein cattle, the frequency of genotype A/G was 0.02 and G/G was 0.98. The 305 days milk yield of A/G was $7,253.00{\pm}936.00kg$ and of G/G was $8,747.51{\pm}204.88kg$,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