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 Socio-Cultural Interpretation of Healing Music

        Koh Eun-kang(고은강),Koh Chin-kang(고진강)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9 아시아문화연구 Vol.16 No.-

        음악학 분야에서 음악 치료는 음악의 치유의 기능에 초점을 맞춘 학제간 연구 분야로서 자리잡았다. 이와는 별도로, 민족음악학 분야에서 치유는 여러 다른 맥락에서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사스가 창궐하였던 시기, 홍콩의 도교 의식을 통해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치유 음악을 연구분석하였다. 사스는 2003년 중국 본토에서 시작되어 홍콩을 경유지로 하여 전 세계에 빠른 속도로 확산된 전염병이다. 이 기간 홍콩인들은 극도의 경제 침체를 경험하였고, 감염의 위험을 피해서 모임을 자제하는 가운데 여타의 정치 및 문화 활동도 위축되었다. 의사를 비롯한 민간인이 감염 사망하고, 학교는 휴교하는 등 사회 전체가 전염병의 공포에 지배당하는 가운데 홍콩도교협회는 1주일에 걸친 대규모 법회를 열어 전염병의 악귀를 물리치고 병을 치유하고자 하였다. 법회는 성황을 이루어 도교 신자 이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참가하여 병이 물러가기를 빌었다. 본 연구는 민족음악학의 다양한 접근을 본 연구자의 시각에서 정리하고, 치유 음악을 음악의 의미를 만드는 행위자 중심의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자는 민족음악학의 접근 방식을 내용 중심의 접근, 역할 중심의 접근, 주어진 의미에 초점을 맞추는 접근, 행위자가 만들어 가는 의미에 초점을 맞추는 접근의 네 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기존의 민족음악학 연구는 음악 자체에 내재한 음악적 형식이나 내용, 치유 등 기타 음악적 기능이나 음악의 역할, 혹은 이미 음악에 부여되어 있다고 간주된 상징이나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 경향이 있다. 본 연구자는 민족음악학의 최근 경향과 궤적을 같이 하여, 음악을 만드는 행위자, 음악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자에 초점을 맞춘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 일례로 홍콩의 전염병 치유 의식을 참여관찰하여, 의미를 만드는 행위자 중심으로 연구 분석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

        양생(養生)의 제도적 장치로서 예(禮)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여씨춘추(呂氏春秋)』를 중심으로-

        고은강 ( Eun Kang Koh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2 No.-

        양생(養生)의 방법(道)으로서 예(禮)에 관한 본 연구는 도가(道家)철학의 전유물로 여겨지는 양생) 개념과 유가(儒家)철학을 대표하는 개념인 예를 윤리라는 하나의 틀속에서 조망하는 시도다. 또한, 사회 규범 및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해 인간의 욕망을 억누르는 장치로서 예를 바라보는 기존의 관점과 시각을 달리하여, 인간의 욕망을 긍정하고 이로부터 사회 규범 및 사회 질서를 도모하는 장치로서 예를 설명하고자 하는 기획의 일부분이기도 하다. 『순자(荀子)』의 예 개념에 인간의 욕망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이 내포되어 있다는 점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성악(性惡), 예치(禮治)에 초점을 맞추었기에, 『순자』의 인간 욕망에 대한 긍정이란 단지 욕망을 억제하는 기제로서 예의 필요성을 역설하기 위한 논리 구조 상의 전제에 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순자』에서 예 개념의 출발점인 인간의 욕망의 긍정에 초점을 맞추어 『여씨춘추』를 분석하였다. 예는 인간의 욕망을 조절하는 양생의 제도적 장치로서 설명된다. 잡가(雜家)의 텍스트로 알려진 『여씨춘추』에서 양생과 예 개념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씨춘추』가 각각 도가철학, 유가철학의 전유물로서 양생과 예가 개념화되기 이전의 텍스트이면서, 잡가(雜家)의 텍스트답게 선진(先秦) 철학의 여러 학파와 개념들이 혼재되어 등장한다는 점이 이러한 관점을 가능하게 하였다. 『여씨춘추』에서 예의 궁극적인 목적은 개인의 생명 유지다. 개인이 잘 살고 오래 살기 위한 방법론을 사회 제도로서 구축한 결과물이 예다. 생(生)을 위해 개인은 다른 사람 및 사물과 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다. 예는 타인과 사물과의 관계로부터 오는 필연적인 스트레스와 과로로부터 개인을 보호하는 장치다. 예는 욕망의 부족과 과잉을 통제한다. 욕망의 부족과 과잉이 관계로부터 자극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인간관계를 통제하는 장치로서 예의 초점이 이동하였다. 그러나 예의 출발점과 종착점은 개인의 양생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li or propriety as a social system of longevity techniques. This focus is not based on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li, which literally means propriety, etiquette, or ritual. Li is appropriated by Confucian philosophers, who position li as one of the four sprouts of human nature. Li, part of human nature, enables an individual to repress self interest and to care for others. In Confucianism, li is interpreted as a social system of law and order. An individual following li sometimes represses emotion and desire. Repressed emotion and desire create stress, which prevents an individual from longevit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late li with longevity techniques. Lushi Chunqiu is one of the most appropriate texts to relate li to the issue of desire for life. Longevity techniques derived from desire for healthy and long life is a major subject of Daoism. Li is interpreted in Confucian tradition. Lushi Chunqiu ties several different traditions of early Chinese thoughts together. Daoism and Confucianism play the leading role in constructing Lushi Chunqiu. In this article, li is interpreted not as a social order based on repression of individual desire, but as a social system to satisfy individual desire such as healthy life and longevity. Desire for healthy and long life is part of human nature. However, there are many reasons to prevent an individual from searching for healthy and long life. Li is a way to healthy and long life. Li enables an individual to pursue healthy and long life under the conditions of living with other individuals and competing over the source of desire.

      • KCI등재후보

        선진(先秦) 유학에서 "윤리적 존재(ethical being)로서 개인"에 관한 일고찰

        고은강 ( Eun Kang Koh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論叢 Vol.28 No.-

        본 논문은 선진(先秦) 유학의 주요 문헌에 나타난 ``개인(individual)``의 개념에 대한 기초적 탐색이다. ``개인``에 관해 어떤 개념 정의를 사용하여 어떤 텍스트를 중심으로 접근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고찰이 가능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푸코 철학에서 제시된 ``윤리적 존재``로서 개인에 초점을 맞추었다. 선진 유학의 주요 문헌에 나타난 ``개인``의 개념에서 본 논문이 주목하는 바는 ``자기 실천(practice of the self)을 통한 자기 형성(self-formation)``이다. 『論語』, 『孟子』, 『荀子』에 나타난 자기 형성의 주체로서 개인은 자신을 끊임없이 성찰하고 자신의 행동을 개선함으로써 자기 형성 과정을 책임지는 ``윤리적 존재``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the "individual" as found in major works related to ancient Confucian philosophy. Any debate over the merits of the concepts of modern and post-modern philosophy must inevitably include the individual. This concept also plays a central role in other debates,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notions of Asian values and an East Asian Community. The attachment of any true significance to this massive undertaking is predicated on preliminary attempts to conceptualize the "individual" reflected in the various contexts of Asian philosophy that constitute the foundation of the myriad of thoughts found in East Asian society. Based on this particular approach to the matter, this study analyzes the "individual" as exhibited in the early Confucian philosophical works that formed the foundation of traditional East Asian thought. This study pays particularly close attention to the concepts of the individual found in the Confucian Analects, from which the precursive notions that constitute the main concepts of Chinese and East Asian philosophy flow. Special attention is paid to "self-construction achieved through practicing the self." More to the point, based on bibliographies of early Confucian philosophy such as Mencius and Xunzi, this study seeks to deduce the implications of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the "individual" as a "self-construction achieved through practicing the self."

      • KCI등재

        권(權)에 관한 일고찰(一考察) -선진철학(先秦哲學)을 중심으로-

        고은강 ( Eun Kang Koh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2 No.-

        본 연구는 權개념의 해석의 갈래들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權의 용례를 좀더 명확히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기획되었다. 權의 의미는 글자 그대로 ``저울``이다. ``저울``의 해석에서 드러난 차이가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파생어들을 낳았다. 본 연구는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현재 동양철학에서 통용되고 있는 權의 해석을 유가 철학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둘째, 동아시아 철학의 시발점이 된 고대 중국 철학의 주요 텍스트에 나타난 權의 의미와 해석을 고찰한다. 셋째, 이상의 작업을 통해 權개념을 명확히 하고, 權의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모색한다. 본 연구에서는 權의 해석의 갈래를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權은 법이다. 權은 법의 보완으로서 법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상황에 적용된다. 權은 융통성을 특징으로 하지만 법을 훼손하지 않는다. 오히려 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법처럼 기능하는 일종의 그림자가 되어 법의 절대성을 보완한다. 유가 철학에서 權의 개념화는 법을 보완하는 權의 성격에 초점이 맞추어 져 있다. 둘째, 權은 예외 상태를 가리킨다. 權은 법을 무력화시키며 법 위에 군림할 수 있다. 셋째, 權은 본래의 의미대로 저울이다. 權이 가늠한 바에 따라 일관되게 일을 처리하면 법이 된다. 權이 상황(勢)에 휘둘리면 저울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이상의 해석들을 살펴보면, 權의 글자그대로의 의미인 ``저울``에 충실한 해석을 중심으로 법과 예외상태라는 대조적인 해석이 양립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term gwon means ``scale``, which is interpreted in several ways. This article focuses on thre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gwon. Firstly, gwon is interpreted as law. The difference between law and gwon lies in flexibility. Gwon is applied to a case, in which the exact law does not exist. Especially, an inevitable behavior that is unacceptable in normal condition can be justified by gwon as an exception. Gwon is understood as a kind of supplement to law. Secondly, gwon is interpreted as the state of exception, that is, a suspension of the juridical order. More often, gwon refers to the behavior of abusing authority, usurping power and ruling over the juridical order. Thirdly, gwon is literally used both as noun and verb. The third interpretation implies a value free consideration in East Asian political philosophy. The value free expressions of political order offer a new angle on democratic ideas in East Asian philosophy.

      • KCI등재

        전통의 마케팅

        고은강(Koh Eun-ka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1 亞細亞硏究 Vol.54 No.2

        There are two contrasting standpoints from which to view traditional arts. While one views traditional arts as invaluable assets and as a public good whose ownership is not limited to a few individuals but rather shared by all members of a society, the other views traditional arts as a cultural good whose vitality stems from the process in which its rightful value is recognized as it is produced and consumed amidst the competition with other cultural goods active within the market that characterizes capitalist society. This issue naturally arises not only in conjunction with Kabuki in Japan, but also with any traditional art from any part of the world when the latter is perceived from the standpoint of performing art. In this regard, the standpoint from which this question is approached has a marked impact on the main focal point in terms of its perception and explanation, the orientation of the creators,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actual art and of policy suppor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standpoints is very important because such differences can lead to the elimination of a performing art category or to an utter change in the general map of the arts by pushing something into the mainstream. The background to Kabuki’s stabilization as a representative Japanese performing art can be traced back to the historical opportunity which emerged to concretize its status as both a public good and a commercial art. Here, Shochiku Co. Ltd. can be identified as having been at the center of the process through which this historical opportunity was created during the Meiji Period. Based on its management of Kabuki theaters, Shochiku Co. Ltd. was able to develop Kabuki as a commercial art. However, it also maintained the reputation of Kabuki as a traditional Japanese cultural property by introducing in the show biz management sector a system through which Kabuki actors received an education that was based on the traditional Iemoto system. This example of Shochiku Co. Ltd. should be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artists who create traditional arts amidst the tension between publicity and market supremacy, the public who views these arts, and the cultural policy makers who establish and implement the related measures amidst such tensions.

      • KCI등재

        《內訓》연구

        고은강(Koh Eun kang)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2 泰東古典硏究 Vol.18 No.-

        Naehun(내훈) is an ethics text written in the 15th century, and published during the Chosun dynasty(1392-1910). It is a list of rules which a proper woman should keep. The seven chapters of the text also reveals the definition and the personhood of proper woman . The author is a woman with the surname of Han , which is also her maiden name. According to Korean custom, women do not change their surnames after marriage. Since they were not given any official forenames before the early 20th century, the lineage names of their natal family became their only identity after exogamous marriages to other lineage of different surnames. Han(1437-1504) was born as a daughter of one of three prime ministers, married to become a daughter-in-law of a prince, who afterwards usurped the throne and became the King Sejo. After that, Han became the crown princess. However, she did not become the queen because of the death of the prince. After her son became the King, Sungjong, she was highly respected as the King s Mother, Insudaebi. Naehun was written when Han had power as the king s mother and the queen s mother-in-law. In Naehun, the personhood of woman is structured in several ways: daughter, daughter-in-law, wife, mother and mother-in-law. Among those aspects of personhood, Naehun focuses on the roles of wife and especially of daughter-in-law. Following the filial loyalty of Confucian ethics, Naehun displays how a proper daughter-in-law serves her parents-in-law and her husband to become a proper woman. The personhood of the author is mother-in-law and the personhood of targeting readers is mainly daughter-in-law, who is obliged to have at least a single son to become a mother-in-law. In this sense, through projecting women s identity of socially recognised person onto the roles of daughter-in-law. Naehun supports Confucian ethics aim of continuity of the family. The apparent patrilineal continuity of family can be guaranteed only by the continuity of social roles from mother-in-law to daughter-in-law. The definition and category of women has been contested and reconstructed in society throughout history. At the same time, the category of women includes many definitions of the personhood of women, which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ven antagonistic. When the personhood of women is employed as the analytic concept of research on women s matter in general. the research becomes clearer and far more productive. Since many feminist scholars began to study the universal subordinations of women and women s struggle for power, women s domestic role has been focused on in many ways. Naehun is the guideline and the strategy to inform women how to achieve power in 15th century Chosun society. To be a proper daughter-in-law is the first step to get access to power in the domestic arena. When the son brings in a proper daughter-in-law, he becomes the head of the family and reaches a higher position in the social ladder, once the daughter-in-law becomes the mother-in-law, who is the most powerful within the family boundary and may exercise a certain degree of power depending on her son s social position. Such is the case with Han, the author of Naehun. In this context, Naehun is read and interpreted as a rare and important feminist text in the study of women s history in Korea.

      • KCI등재

        소요유(逍遙遊)의 자유에 대한 소고 -『장자』「소요유」를 중심으로-

        고은강 ( Eun Kang Koh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論叢 Vol.41 No.-

        『장자』에서 제시된 자유의 의미를 해석하며 이를 무한한 소요유(逍遙遊)의 자유라 부른 송영배는 개개인의 절대적 무간섭의 자유 (무한한 逍遙遊의 자유) 를 현실도피라 비판하였다. 리우샤오간 역시 소요유의 자유를 정신적 차원으로의 현실도피로 규정함으로써 송영배와 관점을 같이 하고 있다. 반면, 소요유의 자유가 단지정신적 차원에 머무는 자유가 아니라 현실 개혁이라는 실천적 함의를 포함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쟁점이 되는 자유의 개념 정의 자체를 살펴봄으로써 송영배의 주장을 재검토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벌린이 제시한 자유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장자』에서 제시된 자유의 의미를 재검토하였다. 다양한 자유의 의미를 여러 동양철학 텍스트에 비추어 보는 작업은 단지 동양철학 연구에성과를 더할 뿐만 아니라 자유 개념에 대한 논의 자체를 풍부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aims to reexamine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of freedom in Zhuangzi and reinterpret freedom with a special focus on negative freedom or non-interference in Berlin``s term. Zhuangzi is a well-known classical text, which delivers the idea of freedom to the reader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of freedom in Zhuangzi view freedom as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so called Western concepts of freedom, especially different from freedom as non-interference.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the interpretation of freedom in Zhuangzi as non-interference is not possible. Whether the concept of freedom in Zhuangziis unique or comparable with the Western concepts of freedom is a question to be solved through further studies.

      • KCI등재

        중국철학에서 개인주의에 관한 일고찰: 先秦 철학에 나타난 정치공동체와 개인 *

        고은강(Koh, Eun-kang)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0 泰東古典硏究 Vol.26 No.-

        본 연구는 선진(先秦)철학에 나타난 정치공동체와 개인에 초점을 맞추어 개인이 경험하는 정치공동체를 고찰해 봄으로써 ‘중국 고대’의 정치공동체와 개인, 동아시아 고대의 맥락에서 전체와 개체의 문제에 접근하였다. 기존의 연구가 ‘동아시아 고대’의 정치 질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그 위에 개인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인(individual)’ 혹은 ‘개인주의(individualism)’란 소위 서구 근대성의 전유 물로서의 ‘개인’, ‘개인주의’는 아니다. 본 연구는 ‘개인’, ‘개인성’, ‘개인주의’가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 출발하였 다. ‘개인’을 서구 근대성의 전유물로 한정하여 동아시아 사회에 ‘개인’은 존재 하지 않으며, 동아시아 사회의 맥락에서는 ‘동아시아적 자아’ 혹은 관계 속의 인간을 강조하는 사회적 인간으로서의 ‘사람(person)’이 ‘개인’을 대신한다는 관점은 동아시아의 특수성을 지나치게 강조한 측면이 있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우선, 정치공동체에 대한 개인의 경험 으로부터 논의를 시작하였다. ≪시경≫에 나타난 ‘개인이 경험하고 느끼는 정치 공동체’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초점이 개인에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어서, ‘동 아시아 고대’의 주요 정치사상 텍스트로서 널리 연구되는 ≪맹자≫ㆍ≪순자≫ㆍ≪묵 자≫에 초점을 맞추어 정치공동체와 개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가 ‘동아시아 고대’의 정치 질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그 위에 개인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Early Chinese texts have become the classics, providing significant references for researchers on East Asian thought, culture and history. Political thought in North East Asia is not an exception. Research on political thought in early Chinese texts mainly focuses on leadership and policy. Analyses of political leadership and the following policies in early Chinese thought are important in terms of the extent to which early Chinese thought has influence on political thought in the present day. This article focuses on individuals in political groups such as states: what individuals in political groups are, w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political groups is like, and how individuals experience political leadership. Mencius, Xunzi, Mozi and the Book of Odes (Shijing) are the texts that are analyzed in this article.

      • KCI등재

        회남자(淮南子)에서 예(禮)에 관한 일고찰(一考察)

        고은강 ( Eun Kang Koh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5 No.-

        본 연구는 『회남자』에 나타난 인간의 욕망을 『순자』의 禮개념으로 재해석1)하였다. 특히, 욕망과 禮의 관계를 ``인간의 본질적이고 공통된 욕망인 양생(養生)과 禮의 관계``로 구체화하여 살펴보았다. 인간의 욕망과 관련하여, 『회남자』의 논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간에게는 ``자연 상태``의 욕망, 즉 생래적 욕망이 있다. 생명 유지와 관련된 욕망이다. 이 욕망이 실천의 가치 척도가 되어야 한다. 생래적 욕망을 추구하여 생명을 유지하는 삶이 이상적 삶이다. 성인(聖人)은 자신의 생래적 욕망을 최우선에 두고 실천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보통 사람은 그렇지 않다. 외적 요인에 의해 생겨난 다른 욕망들을 생래적 욕망보다 우선시한다. 이렇게 되면 인간은 개인 차원의 생명 유지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 유지에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외적 요인에 의해 생겨난 다른 욕망들을 추구하다가 생명을 잃지 않도록 인간을 보호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의(義)와 예(禮)가 대표적이다. 義와 禮에 따라 살면 개인 차원의 생명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도 유지할 수 있다. 성인(聖人)에게는 義와 禮가 필요 없다. 자신의 욕망에 따라 살면 ``저절로`` 자신의 생명과 더불어 사회관계도 유지된다. 그러나 이미 외물(外物)에 현혹된 사람이라면 더 이상 자신의 욕망을 가치의 척도로 삼을 수 없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義와 禮와 같은 가치의 척도를 빌려 올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회남자』에 나타난 인간의 욕망을 『순자』의 禮개념으로 재해석1)하였다. 특히, 욕망과 禮의 관계를 ``인간의 본질적이고 공통된 욕망인 양생(養生)과 禮의 관계``로 구체화2)하여 살펴보았다. 인간의 욕망과 관련하여, 『회남자』의 논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간에게는 ``자연 상태``의 욕망, 즉 생래적 욕망이 있다. 생명 유지와 관련된 욕망이다. 이 욕망이 실천의 가치 척도가 되어야 한다. 생래적 욕망을 추구하여 생명을 유지하는 삶이 이상적 삶이다. 성인(聖人)은 자신의 생래적 욕망을 최우선에 두고 실천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보통 사람은 그렇지 않다. 외적 요인에 의해 생겨난 다른 욕망들을 생래적 욕망보다 우선시한다. 이렇게 되면 인간은 개인 차원의 생명 유지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 유지에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외적 요인에 의해 생겨난 다른 욕망들을 추구하다가 생명을 잃지 않도록 인간을 보호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의(義)와 예(禮)가 대표적이다. 義와 禮에 따라 살면 개인 차원의 생명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도 유지할 수 있다. 성인(聖人)에게는 義와 禮가 필요 없다. 자신의 욕망에 따라 살면 ``저절로`` 자신의 생명과 더불어 사회관계도 유지된다. 그러나 이미 외물(外物)에 현혹된 사람이라면 더 이상 자신의 욕망을 가치의 척도로 삼을 수 없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義와 禮와 같은 가치의 척도를 빌려 올 수밖에 없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s desire and li. Since li means propriety, etiquette, ritual and social order, it is understood as a social system to repress an individual`s desire. However, li can be interpreted as a manual of controlling an individual`s desire. Huainanzi is a text,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s desire and li can be reexamined in a positive angle. Everyone wants to live a healthy and long life. Desire for life is a human instinct. An individual`s desire often creates a conflict with other individuals, who equally search for their desires. Li provides social order for an individual. Li enables an individual to live with other individuals. If li is simply a social system to repress an individual`s desire, an individual could never satisfy his desire including a desire for healthy and long life within society. This may be one reason for Confucian philosophers to relatively ignore the issue of human desire for healthy and long life and Daoist philosophers to consider it seriously. This article illustrates that social order given under the name of li, guides an individual to his desire in the condition of society. An individual needs others in order to live a healthy and long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an individual to control and maneuver his desire rather than repress it under the condition that other individuals pursue their desires in the same society.

      • KCI등재

        선진철학(先秦哲學)에서 의사소통에 관한 일고찰: 언필신(言必信)을 중심으로

        고은강 ( Koh Eun-kang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0 동방학 Vol.0 No.43

        정치에서 의사소통은 시대와 장소를 막론하고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현대 민주주의 정치체제는 물론, 전근대 정치체제 하에서도 의사소통은 정치의 핵심 요소다. 본 논문은 동아시아 정치사상의 토대가 되는 선진(先秦) 철학 텍스트를 통해 정치적 의사소통의 주요 쟁점 중 하나인 ‘말’과 신뢰의 관계에 대한 분석이다. 분석은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신뢰와 연결된 ‘말’을 개념화한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논어』를 통해, 동아시아 사상에서 ‘말’과 신뢰의 관계를 바라보는 기본적인 시각을 검토하고 둘째, 동아시아 사상에서 정설로 굳어진 ‘말’과 신뢰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해석을 『순자』에서 재검토함으로써 ‘말’과 신뢰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논어』 「자로」편에 나오는 ‘언필신(言必信)’은 동아시아 사상에서 ‘말’과 신뢰의 관계를 논하는 출발점이다. 본 논문은 언필신으로 대표되는 말과 신뢰의 관계를 동기주의에 기반을 둔 기존 관점에서 살펴본 후, 결과주의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자 한다. 동기주의적 관점에서 말 자체의 논리적 정합성은 도덕의 실현에 견주어, 부차적 요소로 제시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결과주의적 관점에서 말의 논리적 정합성은 도덕 실현의 핵심이다. 언필신을 결과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하면, 말자체의 논리적 정합성이 신뢰 및 도덕성과 갖는 관계가 좀 더 명확하게 드러난다. 선진 유가철학에서 말과 신뢰의 관계는 아감벤이 말한 ‘맹세의 기능’과 연결된다. 맹세의 기능이 “언어의 진실과 효력을 보증하는 것”이라 할 때, 동기주의적 관점이 화자(話者)에 한정된 해석이라면 결과주의적 관점은 맹세의 기능을 청자(聽者)로 확장한 해석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rust in early Chinese philosophy. This article consists of two parts. In the first part, yanbixin in Lunyu will be analyzed from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Yanbixin literally means language should be trustworthy. Language should be accordant with the thing, the event, or the action. In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 what a person of Confucian virtue speaks is always accordant with his action and it is less crucial whether his language is logical or coherent than his virtue. In the second part,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rust will be reexamined in the context of Xunzi. The challenge over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focusing on virtue, morality, and motive will be made through consequentialism. Logical and coherent language is crucial to Confucian practice. Logical language is necessary for Confucians to take moral action and more importantly to guide others in moral ways. The consequentialist approach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logical language and moral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