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계 서해의 해황과 기상인자와의 관계

        고우진,김상우,김동선,Go Woo-Jin,Kim Sang-Woo,Kim Dong-Su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2 No.1

        동계 서해에서 해황과 기상인자와의 상호 관련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수온의 수평분포는 수심이 얕은 연악역이 외해역보다 저수온으로 12월과 2월사이에 외해역에서 $3^{\circ}C$, 연안역에서는 $6^{\circ}C$ 정도의 큰 수온 하강을 보였다. 염분의 분포는 북쪽해역이 연안역과 남쪽해역보다 저농도를 보였다. 또한, 하계에 남북방향으로 형성되었던 등염선이 동계에는 북서에서 남동 방향으로 형성한다. 한국 서해연안의 기온과 연안의 표층수온 사이에는 기온이 상승하면 수온이 상승하고 기온이 하강하면 수온도 하강하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서해 외해의 표층수온은 잠열속과 현열속에 의한 해양에서의 방출열량과 역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동계 서해 연안지역 기온과 연안역 표층염분과의 관계는 기온이 상승하면 연안역의 염분이 증가하고, 수온이 하강하면 염분이 낮아지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또한 서해의 하계($6{\sim}9$월) 강수량은 10월과 12월보다 다음해 동계 2월의 염분분포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meterological factors on oceanic conditions when cold and dry continental air mass passes through the western sea of Korea The change of ocean conditions during the winter season were more obvious in coastal area than open sea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during February is lower by $3^{\circ}C$ than December but in coastal area SST dropped by $3^{\circ}C$. As for the salinity,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areas except southern area of Mokpo. In the coastal regions, air temperature(AT) and SS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s the air temperature goes up with the increase of SST and when the former goes down the latter decrease. SST of open sea seems to be changed by latent (Qe) and sensible heat (Qs), when the open sea lose its heat by Qe and Qs then SST goes down And when they get the heat then the SST goes up. 1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T of the coastal region and sea surface salinity (SSS), when the AT goes up then SSS increase and when the former goes down the latter decrease. Precipitation during the summer seasons (June$\sim$September) appeared to the more closely related with salinity of February of the following year than those of October and December.

      • KCI등재후보

        동계 한국 서부연안지역의 적설과 해양기상요소와의 관계

        고우진,김상우,장이현,Go, Woo-Jin,Kim, Sang-Woo,Jang, Lee-Hyu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5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relationship between ocean-meteorological factors and snowfall at Incheon, Gunsan and Mokpo when cold and dry continental air mass passed through the West Sea of Korea in winter. Mean snowfall from December to February showed the order of Gunsan (12.7 cm), Mokpo (9.0 cm) and Incheon (7.8 cm). In particular, the snowfall in the three regions showed the regional difference in December and February. It was well consistent with the extension of continental high. Extension of continental high can cause effect on snowfall at the west regions (Inchoen, Gunsan, Mokpo)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ontinental high extended from the southern China to west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December, it extended from the northern China to centr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January. It also extended from the north side of China through Bohai Sea and Yodong Peninsula to centr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February. Therefore, more snowfall recorded in Incheon is higher in February than December whereas Gunsan and Mokpo is the opposite. The heavy snowfall at the three regions was caused by loss of the heat from the ocean to air when the heat loss was higher than 100 $W/m^2$. The heavy snowfall was also observed when the arrangement of continental high atmospheric pressure and low pressure was high at the west and low at the east, which formed a front in West and when the wind blow from the North or North West at the speed of 4${\sim}$8 m/sec. 본 연구에서는 동계에 한랭 건조한 대륙성 기단이 서해를 통과할 때 서해 연안지역인 인천, 군산, 목포의 적설량과 해양기상요소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한반도 서해 연안지역인 인천, 군산, 목포의 동계(12월~2월) 평균 적설량은 군산이 12.7cm로 가장 많았으며, 목포(9.0cm), 인천(7.8cm)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 지역에서 적설량은 12월과 2월에 지역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지역적인 적설량의 차이는 대륙성 고기압의 확장과 관계하였다. 대륙성고기압은 12월에 중국 화남지방에 중심을 두고 산동반도 및 한반도 서부연안지역을 통과하고, 1월에는 중국 화북지방에서 한반도 중부지방으로 확장하며, 2월에는 중국의 북쪽지방에서 발해만과 요동반도를 통과하여 한반도의 중부지방으로 확장하였다. 이 대륙성고기압의 확장과 관련하여 인천은 적설이 2월이 12월보다 많았고, 군산과 목포는 12월이 2월보다 많은 적설을 나타내었다. 세 지역에서 대설은 열손실이 100 $w/m^2$ 이상일 때 나타났다. 또한, 대설은 대륙성 고기압과 저기압의 배치가 서부지역에 전선이 형성되는 서고동저형일 때 발생하였고, 이때 바람은 4-8m/sec 세기의 북서풍 또는 북풍이 우세하였다.

      • KCI등재

        1970년대 이후 한국 연안의 적조 발생 변화

        임월애,고우진,김경연,박종우,Lim, Weol-Ae,Go, Woo-Jin,Kim, Kyoung-Yeon,Park, Jong-W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2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6 No.5

        국립수산과학원과 지역자치단체의 적조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해양환경 변동이 적조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1972년 적조 모니터링이 시작된 이후, 198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 적조 발생은 지속적으로 증가를 하였으며, 1998년 109건의 최다 적조발생 이후 2010년대까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1970년대는 대부분 규조 적조가 발생하였으며, 1980년대에는 연안성 와편모조류가 주로 적조를 일으켰으며, 1993년 이후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수산피해를 일으킨 유해 적조생물은 3종이다. 1981년 진해만에서 Karenia mikimotoi에 의한 고밀도 적조가 발생하여 패류가 대량 폐사하였다. 1992년 통영해역에서 Karenina sp.에 의한 적조가 발생하여 양식어류를 폐사시켰으며, 1995년 C. polykrikoides 적조로 765억 원의 최대 규모의 수산피해가 발생한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연안해역의 영양염 농도는 1980년대에 가장 높았으며, 1990년 중반 이후 매우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영양염 감소는 적조발생 감소를 잘 설명해 준다. 2016년 이후 30℃이상의 여름 고수온이 나타나며 C. polykrikoides의 적조 발생 범위와 규모는 매우 감소하였다. 2016년 K. mikimotoi 적조가 전남 장흥~고흥 해역에 발생하였으며, C. polykrikoides 적조는 여수해역에만 발생하였다. 2017년은 C. polykrikoides 적조 발생이 없었으며, Alexandrium affine 적조가 전남 여수~경남 통영해역까지 발생하였다. 2018년은 평년에 비해 소규모 C. polykrikoides 적조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결과 우리나라 연안의 영양염 감소와 기후변화로 인한 고수온은 적조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Based on the results of harmful algal blooms (HABs) monitoring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and local governments, the effects of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on HABs are described. Since the beginning of HABs monitoring in 1972, they continued to increase from the 1980s to the 1990s. After the largest number of HAB incidents (109) in 1998; the trend declined until the 2010s. Most HABs in the 1970s were caused by diatoms. In the 1980s, coastal dinoflagellates caused HABs;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have been occurring continuously since 1993. There are three HAB species that cause damage to fisheries in Korea. The high-density bloom of Karenia mikimotoi caused mass mortality in shellfish in Jinhae Bay in 1981. Karenia sp. blooms occurring around Tongyeong in 1992 killed aquaculture fish. Since the occurrence of the largest fisheries damage of KRW 76.6 billion in 1995 caused by C. polykrikoides blooms, they have been occurring continuously.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in coastal waters was the highest in the 1980s and has declined since the mid-1990s. This reduction in nutrient concentration is a good explanation for the decreasing number of HABs. Since 2016, a summer high water temperature of 30℃ or more has appeared, and the range and scale of C. polykrikoides blooms have been greatly reduced. In 2016, K. mikimotoi blooms occurred around Wando, Jangheung and Goheung and small scale blooms of C. polykrikoides occurred around Yeosu. There were no C. polykrikoides blooms in 2017; however, Alexandrium affine blooms occurred from Yeosu to Tongyeong. There was a small-scale blooms of C. polykrikoides in 2018 compared to those in the previous years. Our results show that reduction in nutrients and the high water temperature owing to climate change are a good explanation for variation in HABs in Korean coastal waters.

      • KCI등재

        다중위성 및 현장관측을 이용한 동해남부 연안용승 발생 전후의 해양환경 특성

        김상우,고우진,김성수,정희동,야마다게이꼬,Kim, Sang-Woo,Go, Woo-Jin,Kim, Seong-Soo,Jeong, Hee-Dong,Yamada, Keik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하계 냉수대 발생과 관련하여 2007년 6월과 8월의 현장 및 위성에서 관측한 NOAA 해양표면수온과 SeaWiFS 해색 영상 및 QuikScat 자료를 이용하여 동해 남부해역의 수온과 클로로필 a 농도의 단기 변동과 바람을 살펴보았다. 특히, 동한난류 해역의 수온과 Chl-a의 공간적인 분포에 주목하였다. 현장관측 자료의 분석 결과, 울산 부근의 연안용승이 발생 이전인 6월의 클로로필 a 농도의 피크는 전체 조사 정점에서 50m 층에 보였고, 8월의 그 피크는 육지에 근접한 정점 4와 5에서는 10m 그리고 그 외 정점은 30m 층에 나타났지만 정점 5를 제외하고 그 농도는 6월보다 낮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클로로필 a 농도의 피크는 농도 차이는 있지만 8월이 6월보다 20-40m 얕은 층에 형성되었고, 이것은 남풍계열의 바람에 의한 연안용승으로 하부층의 영양염 공급 등과 관계하는 것 같다. 위성관측 수온과 클로로필 a 농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냉수가 발생한 곳에서 클로로필 a 농도는 고농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남풍계열의 바람에 의한 영향과 동한난류의 이안은 연안에서 발생한 냉수와 Chl-a 등을 외해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hort-term variability of water temperature and chlorophyll a (Chl-a) derived from in-situ and satellite data (NOAA, Sea WiFS and QuikScat) in the upwelling region of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in June and August, 2007. Particularly we focused on the spatial variability of sea surface temperature(SST) and Chl-a in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region. In the results of the in-situ data, the peaks of Chl-a in june was shown at a depth of 50m The peaks of Chl-a in August was shown at a depth of 10m at the stations 4 and 5 near the land, and a depth of 30m at the other stations. The Chl-a concentrations in August were also lower than those in june except for station 5. As a result, the peaks of Chl-a in August occurred at a depth of 20~40 m shallower than those of Chl-a in june. This indicates that the nutrient-rich water within the mixed layer depth may be immediately supplied by the coastal upwelling, which is due to the southerly component of wind. The relationship between SST and Chl-a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high concentration of Chl-a occurred in the cold water area. The southerly wind and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influenced a remarkable offshore movement of the cold water and Chl-a near the coastal area.

      • KCI등재

        1996년 여름철 남해 표층수의 이상저염수 현상과 영양염류의 분포특성

        김성수,고우진,조영조,이필용,전경암,Kim, Seong-Soo,Go, Woo-Jin,Jo, Yeong-Jo,Lee, Pil-Yong,Jeon, Kyeong-Am 한국해양학회 1998 바다 Vol.3 No.3

        In August 1996, seawater salinity and nutrient distribution were investigated at surface waters in the South Sea of Korea. The low-salinity (< 20.00 psu) waters were observed in the western and southwestern offshore areas of Cheju Island. Relatively low saline (< 30.0 psu) waters occupied most of the survey areas only except in the eastern part. The observed minimum salinity was lower by 11.78 psu than that of the average between 1963 and 1995. The low saline waters appeared in the upper layer of generally 10-20 m deep, and were obriously distinguished from high-salinity (> 32.00 psu) waters, 30 m deep. The low saline waters may originate from the freshwater discharge of vast amount of from Yangtze River during the heavy rainfall season in China. Phosphate concentrations in the surface waters were relatively low and were less variable than those of nitrate and silicate. The maximum concentrations of nitrate and silicate occured in the western and southwestern offshore areas of Cheju Island, where the salinities were the lowest. The concentrations of nitrate and silicate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salinity, whereas that of phosphate showed a considerable scatter and non-conservative behaviours. This indicates extensive desorption reactions of suspended materials releasing phosphate. 1996년 8월 1일부터 10일까지 남해 해양조사에서 얻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남해 표층의 저염화현상과 표층수 중 영양염류의 분포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주도 서쪽에 위치한 313선의 05점과 제주도 남쪽에 위치한 314선의 09점에서 20.00 psu 이하의 저염수가 출현하고 있으며, 이 저염수의 핵을 중심으로 30.00 psu 이하의 저염수가 남해 동부해역을 제외한 제주도 주변 대부분의 해역들에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저염수의 최저염분 농도는 과거 30년 동안의 평균값보다 11.78 psu 낮은 값으로서 이는 양자강 유역에서 6월과 7월에 평년보다 훨씬 많은 강수량에 의해 막대한 양의 담수가 유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저염수는 대체적으로 수심 10~20 m 상부층에 존재하고 있어서 중 저층수와는 확실히 구분되고 있다. 표층수 중 영양염류는 인산인의 경우 농도가 비교적 낮고, 해역별 차이도 매우 작았다. 그러나, 질산질소와 규산규소는 저염수가 분포하고 있는 제주도 서쪽 및 남서쪽 해역에서 비교적 높은 농도를 보이며, 특히 염분농도가 가장 낮은 정점에서 농도가 가장 높았다. 질산질소와 규산규소의 경우 보존성 성분인 염분과 역의 상관성을 보이는데, 이는 양자강 유출수와 같이 영양염류 농도가 풍부한 물이 제주도 서쪽 해역으로 이동되어 왔음을 의미한다. 그라나, 인산인이 다른 영양염류 성분과는 달리 염분의 큰 변동에도 불구하고 농도 변화가 거의 일정한 것은 해수중의 물질순환과정이 질산질소 및 규산규소와는 다름을 의미한다.

      • KCI등재

        한국 남해안에서 살파류(Tunicata: Thaliacea)의 대번식과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강영실,조영조,고우진,김성수,전경암,오현주,Kang, Yeong-Shil,Jo, Young-Jo,Go, Woo-Jin,Kim, Seong-Soo,Jeon, Kyeong-Am,Oh, Hyun-Ju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1

        한국 남해안에서 1997년 4월과 6월에 대량 출현한 살파류(salps)의 출현밀도 및 분포 특성을 밝히고, 이들 종의 대량 발생과 해양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또한, 이러한 살파류의 대량 발생이 해양생태계의 영양역학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살파류는 주로 제주도 동남부 해역을 중심으로 대량 발생하였으며, 쓰시마난류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1997년 4월과 6월의 표층수온이 평년(1961${\sim}$1998)에 비해 $2{\sim}5^{\circ}C$내외로 높았으며, 표층 염분은 평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살파류의 출현밀도가 높은 4월과 6월에는 클로로필$_{-a}$농도와 요각류의 출현 밀도가 매우 낮았다. 고등어 어획량 역시 이 시기에 매우 낮았다. 따라서 한국 남해안에서 살파류의 대량 발생은 쓰시마난류의 강한 영향 및 이 시기에 먹이생물이 충분히 공급되므로서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살파류의 대량 발생은 상대적으로 먹이경쟁관계에 있는 요각류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또한 피${\cdot}$포식자관계 및 먹이공급 변동 등으로 영양역학구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결과로 어류생산에도 영향을 미쳐 고등어의 어획량이 1997년 4월과 5월에 매우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salps was elucidated in the South Sea of Korea with focusing on the April and June, 1997 when swarm of salps occurred. We also discussed on its distributional pattern in relation to environment conditions and its impact on marine ecosystem with emphasizing on trophodynamics. Salps were abundantly distributed in the south-eastern area of Cheju Island wher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Tsushima Warm Current. In April and June, 1997,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2{\sim}5^{\circ}C$ higher than the average over 1961-1998, while surface water salinity was lower. Chlorophyll-a concentration, density of copepods and catches of mackerel sharply decreased in April and June, 1997.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warm of salps was due to not only transportation by strong Tsushima Warm Current but also supply of abundant foods. Low densities of copepods may be related to the presence of swarm of salps because of food competition between them. The fact that the catches of mackerel were very low in April and May, 1997 suggests that the trophodynamics between salps and copepods also influence the fish resources.

      • KCI등재

        운용해양시스템을 위한 한국정선해양관측시스템 발전방향

        이준수,서영상,고우진,황재동,윤석현,한인성,양준용,송지영,박명희,이근종,Lee, Joon-Soo,Suh, Young-Sang,Go, Woo-Jin,Hwang, Jae-Dong,Youn, Seok-Hyun,Han, In-Seong,Yang, Joon-Yong,Song, Ji-Young,Park, Myung-Hee,Lee, Keun-J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6 No.3

        1961년부터 2010년 현재까지 현행 국가정선해양관측이 고전적 방법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자동화된 시스템의 형태로 실시간 혹은 준실시간으로 자료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부분에 대한 개선방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운용해양시스템의 실용화를 위하여 국가정선해양관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선상에서 관측이 끝난 이후부터 데이터베이스에 자료가 저장되는 시점까지 행해지는 수동화된 작업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수온, 염분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동측정센서가 부착된 CTD(Conductivity-Temperature-Depth)에 연동된 컴퓨터에서 해양관측자료를 처리하고 실시간으로 품질관리를 수행하며 통신수단에 맞게 자료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필요하다. 관측자료를 실시간의 형태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Inmarsat 위성통신장비를 활용한 전송시스템이 타당하고, 준실시간 형태의 전송으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연안역에 도달했을 때 수집된 자료들을 묶어서 보내는 방식이 적합하다. 실시간 품질관리 과정을 포함시켜 관측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원인의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improve NFRDI Serial Oceanographic observation (NSO) system which has been operated at current observation stations in the Korean Seas since 1961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NSO for practical use of Korean operational oceanographic system. For improvement, data handling by human after CTD (Conductivity-Temperature-Depth) observation on the deck, data transmission, data reception in the land station, and file storage into database need to be automated. Software development to execute QA/QC (Quality Assurance/Quality Control) of real-time oceanographic observation data and to transmit the data with conversion to appropriate format automatically will help to accomplish the automation. Inmarsat satellite telecommunication systems with which have already been equipped on board the current observation vessels can realize the real-time transmission of the data. For the near real-time data transmission,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reless telecommunication can provide efficient transmission in coastal area. Real-time QA/QC procedure after CTD observation will help to prevent errors which can be derived from various causes.

      • KCI등재
      • KCI등재

        광양만에서 식물플랑크톤증식의 제한영양염

        이재성,정래홍,김성수,고우진,김귀영,박종수,이영식,Lee, Jae-Seong,Jung, Rae-Hong,Kim, Soung-Soo,Go, Woo-Jin,Kim, Kui-Young,Park, Jong-Soo,Lee, Young-Sik 한국해양학회 2001 바다 Vol.6 No.3

        광양만에 있어 식물플랑크톤증식의 제한영양염을 검토하기 위하여 염분, 용존무기질소, 용존무기인, DIN/DIP비 및 현장식물플랑크톤을 이용한 생물실험을 하였다. 조사는 강우량이 적은 1999년 11월과강우량이 많은 2000년 9월에 하였다. 강우량이 적은 1999년 11월의 경우, 광양만의 염분, 용존무기질소, 용존무기인, DIN/DIP비의 평균값은 각각 29.92 psu, 13.59 ${\mu}M$, 3.41${\mu}M$, 4.14이었으며,강우량이 많은 2000년 』월의 경우에는 각각 24.62 psu, 27.77 ${\mu}M$, 2.82 ${\mu}M$, 9.79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용존무기질소, 용존무기인의 농도가 득량만, 여자만, 가막만 또는 체서피크만이나 히로시마만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용존무기인의 경우 최고 8배 높게 나타났다. 질소의 주요 유입원으로는 섬진강으로부터 담수유입으로 인한 공급과 산업폐수의 유입으로 생각되었으며, 인의 경우 담수유입보다는 광양만내에 강력한 점오염원이 있어 그 점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강우량이 적은 1999년 11월의 식물플랑크톤증식의 제한영양염은 질소였다. 강우량이 많은 2000년 9월의 경우에도 1999년 11월과 같이 질소가제한영양염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질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의 농도가 높은 점오염원에 의해 많은 양의 인이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광양만에서 그 제한영양염은 상당히 많은 양의 담수가 유입될 경우 섬진강 하구의 일부지역에서는 인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나, 섬진강 하구을 제외한 광양만, 여수동부연안 및 돌산도 동부연안해역은 높은 농도의 용존무기인에 의해 많은 양의 담수가 유입될 경우에도 질소가 제한영양염으로 나타날 것으로 추정되었다. Salinity, DIN, DIP, DIN/DIP and indigenous algal assay were determined to estimate the limiting nutrient for phytoplankton growth in Gwangyang Bay, South Sea of Korea. Sea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surface and bot-tom water in 4 November 1999 (dry season) and 2 September 2000 (after heavy rain). In 4 November 1999, the salinity, DIN, DIP and DIN/DIP were 29.92 psu, 13.59 ${\mu}M$, 3.41 ${\mu}M$ and 4.14 respectively. In 2 September 2000, These values were 24.62 psu, 27.77 ${\mu}M$, 2.82 ${\mu}M$ and 9.79 respectively. The DIN and DIP concentrations in this study were higher than Deukryang, Yeoja and Gamak Bay, South Sea of Korea. Especially, DIP concentration was 8 times high compared to Deutryang, Yeoja and Gamak Bay. The main sources of nitrogen seem to be freshwater runoff from Somjin River and industrial wastewater. But, the main sources of phosphorus seem to be industrial wastewater around Gwangyang Bay. The limiting nutrient was nitrogen at all station in 4 November 1999. The limiting nutrient was also nitrogen in 2 September 2000 in spite of heavy rain observed because of relatively much volume of phosphorus sup-plied from point sources than nitrogen. In case of below 20 psu in salinity by heavy rain, the limiting nutrient willbe shift from nitrogen to phosphorus at some area of Somjin River estuary. But the limiting nutrient will be never shift to phosphorus throughout Gwangyang Bay, eastern coast of Yeoja and Dolsan because of much volume of phosphorus runoff from point source in coastal area of Gwangyang Bay.

      • KCI등재

        한국 연근해 수온의 시공간적 장기변동 특성

        성기탁,황재동,한인성,고우진,서영상,이재영,Seong, Ki-Tack,Hwang, Jae-Dong,Han, In-Seong,Go, Woo-Jin,Suh, Young-Sang,Lee, Jae-You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6 No.4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지난 41년간(1968-2008년) 정선해양관측점에서 관측한 수층별 수온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동해, 서해 및 남해 해역의 표층수온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00m 수층의 경우 남해해역은 상승하지만 동해해역은 오히려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해 해역은 쿠로시오난류의 지류인 쓰시마난류의 강화로 인해 전 수층이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전 수층에서 수온이 상승하는 경향을 만드는 원인이라 생각된다. 동해해역 100m 수층에서 수온하강의 경향은 주로 연안역의 하강 정도가 근해역의 상승정도보다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동해해역을 평균하면, 동해해역 전체적으로는 수온이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해역 100m 수층에서 수온변동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바람, 해류 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 이 중 기상요소인 풍속의 변동과 수온변동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계절별로는 남해를 제외하고 동계의 상승률이 하계의 상승률보다 약 2배 이상 높게 나타나 장기적인 수온상승은 주로 동계의 수온 상승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남해의 경우 하계의 수온 상승률이 동계의 상승률보다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쓰시마 난류의 세력 강화 및 중국대륙에서 유출되는 양자강수의 영향이라 생각된다. 우리나라 연안의 6개 관측점에서 관측한 기온과 풍속 자료 분석결과 점차적으로 기온이 상승하고 풍속이 약해지는 따뜻한 겨울이 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풍속의 약화는 해양에서 표면혼합층의 수심이 얕아지게 하는 원인이 되며, 표면혼합층의 두께가 얕아지게 되면 표층과 저층의 혼합 깊이가 얕아지게 되어 표층의 따뜻한 물이 저층으로 전달되는 양과 저층의 차가운 물이 표층으로 전달되는 양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표층의 수온은 점차 상승하게 되며, 예전 표면혼합층과 저층의 경계층 수온은 점차 낮아지게 된다.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observed temperature data by the Serial Oceanography Investigatio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during last 41 years from 1969 to 2008 showed that sea surface temperatures in the East, West and South Sea of Korea were clearly increased. In case of 100m depth, temperature was increased in the South Sea of Korea, but it was decreased in the East Sea. Especially, the temperature around the coastal area in the East Se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long-term change of temperature on 100m depth. It should lead to the decreasing trend in the long-term change of temperature on 100 m depth in the entire East Sea. The increasing trend was clearly larger in wintertime than in summertime by a factor of about 2 It means that the long-term increasing trend of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Korean Waters is usually caused by the distinctive increasing trend in wintertime.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on the 6stations around the coastal area in the Korean Waters, air temperature was found to be continuously increased, but wind speed to be gradually decreased in winter. The weakness of vertical mixing by decreasing of wind speed caused to make the surface mixed layer shallow.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 increasing trend of surface temperature was caused by weak mixing between surface and intermediate lay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