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초 한국어 교재의 학습 활동 연구 -1960년 이전 서양인의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고예진 ( Ye Jin Ko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51 No.-

        본고는 20세기 초 서양인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나는 한국어 학습 활동을 고찰하였다. 학습 내용을 확인하거나 강화하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안한 연습 활동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20세기 초 서양인들의 한국어 학습 활동은 크게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문형 학습 활동은 구술 훈련을 통해서 문장의 구조를 익히는 연습 활동이다. 시제 표현, 높임표현, 의문형 혹은 부정문 표현을 익히고 문장을 확대하는 연습을 시도하고 있다. 둘째, 어휘 학습 활동은 어휘 목록을 통하여 어휘 자체의 의미를 학습하는 활동과 문장 속 단어를 교체함으로써 어휘 항목을 학습하는 활동이었다. 셋째, 번역 학습 활동과 작문 학습 활동이 나타났다. 번역 연습은 유의미한 문법 항목이 적용된 문장을 번역해 보는 학습 활동이다. 작문 학습 활동은 ‘문장 외워 쓰기-받아쓰기-문장 작문하기’의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구두 작문’을 포함한다. 넷째, 다양한 읽기 학습 활동으로, 구어 회화 구문을 소리 내어 읽는 연습과 내용 중심의 읽기 연습이 나타났다. 내용 중심의 읽기 연습은 이야기 텍스트 읽기, 설명문 읽기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재에 학습 활동이 나타난 것은 1960년대 이후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20세기 초 서양인들의 한국어 교재에서부터 이미 한국어 학습 활동이 위와 같이 수행되었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20세기 초 서양인의 한국어 학습 활동은 문형 훈련 등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학습 활동의 틀을 제시했다는 점, 한국 문화 학습까지 의도하여 다루고 있다는 점, 원활한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삼아 서양인들 스스로의 한국어 학습 경험을 반영하고, 자발적으로 학습 활동을 구안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activities of westerners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t investigated the aspects of practice activity which confirmed or strengthened the learning contents and utilized it variously.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activities of westerners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can be divided into five points in large. First, pattern drill was the practice to master the structure of sentence through oral training. They tried to master the tense expression, honorific expression and interrogative expression and practiced to extend the sentence. Second, the vocabulary practice was the learning activity of vocabulary itself using vocabulary list or by replacing the vocabulary in sentence. Third, there was the writing practice and the translation practice. translation practice was to translate the sentences adapted significant grammar items. The writing practice suggested the process of ‘copying of sentences-writing from memory-writing from dictation-writing of original sentences` and it included the speaking practice. Fourth thing was the reading learning activity. There were the reading aloud practice of linguistic conversation phrases and the reading practice focusing on contents. The reading practice focusing on contents consisted of proverb reading, story text reading and explanation reading. Until now, it has been known that the learning activity of Korean language textbook has been conducted since 1960s. But through this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learning activity of Korean language was executed by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westerners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activity of westerner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has the meaning that it suggested the frame of specific and systematical learning activity such as sentence structure training and that it handled the learning of Korean culture intentionally and that it reflected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of westerners and they developed the learning activity spontaneously.

      • KCI등재

        外國人을 위한 漢字語 敎育 方案 考察

        高睿振(Ye-jin, Ko),趙宰亨(Chae-hyung, Ch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4

        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어 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그 원인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대다수의 연구자들이 공감하는 성공적인 언어 교육의 핵심은 언어 학습자의 어휘력 신장과 매우 관련이 깊다. 한편, 한국어의 어휘 체계에서 한자어가 가지는 위상이 매우 크며, 실제로 고급 단계로 갈수록 많은 한자어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수준높은 한국어 어휘를 구사하기 위해서는 한자어에 대한 학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에 있어서 한자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반영되어 차츰 그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어 교육에 대한 논의는 고유어와 한자어를 별개의 것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이 문제점이었다. 이러한 이중적 교수법은 학습자에게 추가 학습의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며, 학습자에게 더 큰 혼란을 야기할 것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한국어 내의 한자어는 엄연히 한국어 어휘라는 점을 명시해야 하며, 따라서 고유어 체계와 같은 선상에서 교수법을 개발하여 지도하는 것이 당연하다. 본고는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어 관련 연구들을 고찰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어 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서 어떻게 한자어를 다루는지와 그 원인을 다루었으며, 4장에서는 문제점들을 개선한 한자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the problem and the reason of the Sino-Korean word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The key point of language education that many researcher agree with have a lot to do with increasing learners vocabulary. Meanwhile, the Sino-Korean word’ status got high in Korean vocabulary and the more foreign learners go to high level class, the more they have to learn the high level Sino-Korean word. Therefore, foreign learners have to study Sino-Korean to speak high level Korean language. because of this, people has studied Sino-Korean word while thinking that the importance of Sino-Korean word education is getting high.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researchers distinguish between Korean word from Sino-Korean wor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obvious that the double teaching method give learners the burden of additional learning and cause larger confusion to them. Therefore, we make clear that Sino-Korean word in Korean language is obviously one of Korean word and it is natural that we develop and teach the teaching method for Sino-Korean word in the same way of the teaching method for native Korean tongue. This paper realize these situation and study the papers about Sino-Korean wor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 try to write the problem and the improvement plan. To do this, we talked about the preceding research of Sino-Korean wor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chapter 2, talked about How Korean language textbook explain Sino-Korean word and try to propose the improved teaching method for Sino-Korean word.

      • KCI등재

        개별논문 : 20세기 초 서양인의 한국어 글쓰기 연구 -한국어 교수,학습 자료 생성 전략으로서 글쓰기 양상을 중심으로-

        고예진 ( Ye Jin Ko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0

        본고는 20세기 초 한국어 교재에 나타나는 서양인의 한국어 글쓰기 양상을 고찰하였다. 한국어 교수학습 자료 생성 전략으로서 수행되었던 서양인의 글쓰기 활동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20세기 초 서양인들의 한국어 글쓰기 활동은 크게 3단계로 나타났다. 첫 번째 단계는 ``문장 쓰기 활동`` 이었다. 문장 쓰기는 번역,대체 수준의 초보적 문장 쓰기와 문법에 초점을 두거나 내용에 초점을 두어 문장을 쓰는 발전적 문장쓰기로 구분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덧붙여 쓰기``와 ``다시 쓰기`` 활동이었다. ``덧붙여 쓰기``는 어휘나 구 혹은 문장을 덧붙여 쓰는 활동으로 19세기 말부터 수행되었다. ``다시 쓰기``는 20세기에 이르러 수행된 활동으로 ``주어진 속담을 읽고 그 속담의 뜻을 한국어로 다시 쓰기``, ``한국민담을 듣고 한국어로 다시 쓰기``를 들수 있다. 이 단계의 글쓰기는 한국어를 듣거나 읽은 후 자신이 이해한 바를 재생산하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긴 글쓰기`` 활동이었다. 즉, 완결된 텍스트를 생산해내는 글쓰기 단계이다. 한국 종교, 결혼 등 한국 문화에 대한 설명문이나 대화체 글을 쓰거나 문법 항목의 형태,통사적 특성이 잘 드러나도록 이야기를 쓰는 글쓰기 활동이다. 이 단계의 자료는 19세기 말부터 누적된 서양인의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학습이 20세기 초에 이르러 비교적 높은 수준에 이르렀음을 잘 보여준다. 19세기 말부터 본격적으로 한국어 학습을 시도했던 서양인들은, 20세기 초에 접어들면서 한국어 학습 자료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한국어 글쓰기 활동을 추적하여 고찰함으로써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글쓰기 수행에 대한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atterns of writing in Korean language by western people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one of the strategies to make good teaching method guidelines for Korean language, this study analyzed the writing patterns in Korean language by westerners. The first step in Korean writing was ``sentence writing``. There were translation, substitution, grammar-based sentence writing, meaning-based sentence writing. The second step was ``expanding writing`` and ``re-writing``. The case in ``re-writing`` is ``Read the proverb and write the meaning again`` or ``Listen to a Korean folk-tale and write it down in Korean language.`` ``expanding writing`` is writing in addition with word or phrase. On this stage, students were supposed to listen to or read Korean language texts and recreated what they comprehended in Korean. The third stage was ``writing a long text.`` In other words, it was ``writing a complete text freely.`` Western people were supposed to write an explanatory note or dialogue script about Korean cultures such as religion or marriage. Also, they wrote texts that show structur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grammatical features. Materials of this stage reflect that textbooks and teaching system of Korean language for western people which have been developed and accumulated from the 19th century have finally reached quite a high level. Westerners who tried studying Korean language in earnest starting from the late 19th century naturally started writing in Korean while making study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ould found historic data and values about westerners` Korean language composition by tracing texts written by western people in the past.

      • KCI등재

        초기 한국어 문법 학습의 언어자료 특성 연구 -19세기 말~20세기 초 영어판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고예진 ( Ye Jin Ko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49 No.-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 관한 통시적 연구로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서양인의 한국어 문법 학습을 추적하고자 당시 한국어 교재의 문법 언어자료를 분석하였다. 과거의 문법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육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어떤 언어자료가 어떻게 활용되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당시 한국어 교재의 문법부문에 수록된 언어자료들은 4가지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즉, 언어자료의 유형(단위), 기능, 인용 혹은 창작 여부, 본문 내 배치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 문장 단위의 예문이었다. 경우에 따라 구 단위가 나타난 경우도 있으나 미미한 수준이다. 둘째, 문법 학습 언어자료는 처음 로스(1882)에서 교재의 문법부 말미에 위치하다가 스코트(1893)에서 각 단원의 말미로 옮겨져 왔다. 점차 베어드(1903), 게일(1916)의 언어자료들은 문법 설명과 연계되면서 단원의 문법 설명 중간으로 옮겨오는데, 이는 문법 학습에서 언어자료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당시 문법 언어자료들은 주로 문법 항목의 형태·통사적 설명을 예문으로 보여주기 위한 기능이 두드러졌다. 넷째, 언어자료 분석 결과 모두 저자가 직접 작성한 것이었다. 당시 교재의 회화부 예문들은 앞선 교재들을 참고하거나 인용한 점과 뚜렷이 대비되는 점이다. 당시 문법 학습의 언어자료들은 모두 문법 항목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작성 예문이었으며, 점차 문법 설명과 잘 연계되면서 문법 학습에 비중이 높아졌다는 점은 오늘날 한국어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서양인들은 본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면서 다양한 시도를 교재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과거 한국어 교재의 발전과정을 고찰하는 것은 오늘날 한국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육의 독자성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As a diachronic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Korean linguistic materials for grammar shown in the Korean language texts in those times in order to trac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western people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Linguistic materials shown on the grammar part of the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four analysis standards: type(unit) of linguistic materials, placement in the main body of the books,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materials(whether they were quoted or originally created).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First, most of linguistic materials had a form of sentence. The examples came, sometimes, in phrase but very marginal, though. Second, linguistic materials for grammar shown in Ross(1882)`s textbook were placed at the end of the grammar part. The sentences then placed to the end of each grammar section in Scott(1893)`s textbook. linguistic materials presented in textbooks of Baird(1903) and Gail(1916) were placed in the middle of the section in which each grammar of Korean language is explained, which reflects the fact that the proportion and importance of linguistic materials were getting bigger in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language. Third, linguistic materials for grammar at those times were mainly used for structural and syntactic explanation of each grammar unit. Fourth,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all the linguistic materials were made by the authors by themselves. This comes in clear comparison with linguistic materials in conversation books which were taken or quoted from preceding books. linguistic materials for grammar which clearly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ammar unit and was getting more and more linked with grammar explanation. The proportion of grammar study in Korean language got bigger at those times. All these facts above have quite a big implication and less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today.

      • KCI등재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 전략 연구

        고예진(Ko, Y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5

        본 연구는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 전략을 고찰한 것이다.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전략에 관한 심층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질적 연구로서 개방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또 선교사들의 학습 전략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과거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한국어 학습 전략들을 살펴보았다. 19세기부터 한국에 입국한 선교사들은 그들이 집필한 교재에 구체적인 한국어 학습방법, 학습 유의점 등을 다루고 있었다. 현대 선교사들을 심층 면담한 결과, 한국어의 어순과 문장 구조를 공통적으로 어려워하였고, 문장 작성 연습을 많이 하고 있었다. 선교사로서의 임무인 강론을 준비하고 신자들과 면담하는 과정을 적극적인 한국어 학습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특히 선교사들은 정의적 학습 전략에서 두드러진 강점을 보였는데, 자신의 한국어 학습 목적과 동기를 상기하면서 스스로 한국어 학습의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보다 성공적인 한국어 학습을 유도하였다. 한편, 선행 외국어 학습 경험, 한국 생활 경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문화적 상대성에 대한 개인적 신념에 따라 한국어 학습 전략에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특수 목적 한국어 학습자인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 전략의 선택요인과 전개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학습자의 능동성이 배가되는 상황과 전략을 구체적으로 밝혀 기술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is about learning strategy of Korean by missionaries. This study implemented open interview as qualitative study to attempt diversified and in-depth approach regarding Korean learning strategy of missionaries. Also, to investigate diachronically learning strategy of missionaries who came to Korea, the writer studied Korean learning strategy shown in past Korean teaching materials.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 of missionaries, they did a lot of exercises for making sentence. They positively made use of preparing sermon, their duty as missionary and talking with their congregation by training, exercise, and learning Korean. Particularly missionaries showed outstanding strength in their defined strategy. They induced more successful Korean learning by self-giving motive recollecting the purpose and motive of Korean learning. Depending upon individual preceding foreig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and Korean living experience, their learning strategy showed difference, and depending upon recognition about learning environment and individual credo about cultural relativity, their strategy showed difference. Through this study, the writer could look into selection and expanding feature of Korean learning by missionaries who were Korean learners for special purpose, and has the meaning of concretely clarifying and describing the situation and strategy where active attitude of learner is doubled.

      • KCI등재

        20세기 독일어권 한국어 교재 『 조선어교제문전 』과 『 한국어 연습서 』 비교 연구

        고예진 ( Ye Jin Ko ),원윤희 ( Yun Hee Won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4 독일어문학 Vol.66 No.-

        Diese Untersuchung beschaftigt sich mit den ersten koreanischen Textbuchern Koreanische Konversation-Gramatik mit Lesestucken und Gesprachen(1923) und Ubungsbuch der koreanischen Sprache(1964), die von dem Deutschen geschrieben. Ich untersuche, um die Entwicklung zwischen den beiden Lehrbuchern zu vergleichen, Andreas Eckardt ubernahm wahrend der 14 Jahre seines Aufenthalts in Korea in die Sprache und den Sprachgeist Koreas einzubringen und die Grammatikregeln herauszuschalen. Diese Grammatikregeln sind erprobte Regeln durch fortgesetzen sprachlichen Umgang mit Koreanern. Dieses erste koreanische Textbuch von Eckardt ist in lateinischen Buchstaben geschrieben. Die lateinische Umschreibung soll nur das Lernen und die Drucklegung erleichtern. Aber er meinte, dass sie keineswegs die koreanische Schrift ersetzen konne. Daher gibt es in seinem zweiten Textbuch koreanische Schrift, die er selbst geschrieben hat. Im allgemeinen ist jede Lektion dieser Bucher in Regeln mit Beispielen, Ubungsstucke und Konversationsubungen unterteilt. Die einzelnen Lesestucke und Unterhaltungssucke behandeln meist in sich abgeschlossene Gruppen mit Berucksichtigung des koreanischen Landes und Lebens, koreanischer Sitten, Fabeln, Erzahlungen, koreanischer Geschichte. Jede Lektion des erstern Buch ist als Pensum einer Woche gedacht, so dass in einem Jahre der gewaltige, schwierige Stoff bewaltigt werden kann. Das zweite Buch besteht aus 20 Lektion. In diesem Buch wird auch viel koreanische Kultur behandelt. Außerdem behandelt das zweite Buch die Ubersetzung deutsche Sprache in koreanische Sprache, auch gleichfalls koreacnische Sprache in deutsche Sprache. Diese Bucher haben dem koreanischen Studium der Deutschen einen großen Dienst erwiesen.

      • 비수도권지역 청년 정착 정책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고예진 ( Ko Yejin ),전재식 ( Jeon Jaesik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3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1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를 사용하여 지역인재 비유출과 정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수도권 쏠림현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지방소멸에 대한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며 지방자치단체와 지방대학은 이 문제에 대해 매우 고심하고 있다. 비수도권 지역에서 진학한 대학졸업자들이 비수도권 지역에서 취업하고 정착한다면 지역경제성장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수도권에서 진학하고 비수도권 직장에서 일하며 정착한 인구를 비유출 지역인재로 설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비수도권 정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프로빗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국립대일수록, 전문대일수록, 전공 중에선 교육과 의약을 전공할수록 비유출 지역인재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복수전공을 했다면, 재학 중에 일자리 경험이 있다면, 높은 토익성적을 받았다면 비유출 지역인재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인적요인 중에서는 기혼일 경우, 부모님과 함께 살 경우 비유출 지역인재일 가능성이 높으며 여성일 경우, 부모님 중 한 분 이상의 학력이 초급대 이상일 경우, 등록금 조달 과정에서 학자금 대출이 7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비유출 인재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특화된 전공을 갖춘 대학 및 지방 국공립대학의 역량 강화, 지역 청년에 대한 혼인 장려, 지역의 노동환경 및 여건 강화 등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책 방향성에 힘을 실어줄 수 있으며 다시 한번 국공립대학 강화와 혼인장려정책이 중요한 이유를 확인하는 연구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 전략 교수에 관한 질적 연구

        고예진(Ko, Y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9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 전략 교수에 관한 질적 연구로서, 현재 한국어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 전략이 교수되는 현상을 밝혀, 어떤 전략을 어떻게 가르치는지 탐색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 해 전략 교수에 관한 인식과 배경지식, 실제 교수 상황을 논의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해석하여 기술하였다. 한국어 교사들은, 한국어 학습 전략에 관한 인식이 부족하나, 부분적으로 전략 교수를 실천하고 있었다. 전략 교수에 관한 인식과 배경 지식 이 부족함에 따라, 체계적으로 전략 교수를 계획하여 실천하지는 못하고 있으나, 한국어 교수 경험이 누적되면서 무의식적·암묵적으로 보편적인 학습 전략을 지도하고있었다. 심층 면담 결과, 전략 교수에 관한 근본적인 대안으로 교사 교육이 제안되 었다. 본 연구는 학습 전략 교육이나 교육 과정 설계에 적용 가능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The study is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teaching of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strategy. It is concerned with surveying what strategy is taught and how it is taught and with finding an alternative by clarifying the teaching of the learning strategy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The recognition and belief in the strategic teaching,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strategic teaching, and the actual teaching situation were discuss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ethnographic interview) with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results were analyzed, interpreted. and stated. Korean language teachers rarely recognized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strategy but did the strategic teaching more or less. Due to the shortage of the recognition in the strategic teaching and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strategic teaching, the strategic teaching such as the strategic diagnosis of a learner was not planned and done. However, as the experience in student guidance is accumulated, the general learning strategy was provided unconsciously and implicitly. As the result of the interview, the teacher education was proposed as the fundamental alternative on the strategic teaching. The research has the significance of providing the basic materials applicable to the learning strategy guidance or to the curriculum design.

      • KCI등재

        최초의 독일어권 한국어 학습서 『조선어교제문전』연구

        원윤희 ( Yun Hee Won ),고예진 ( Ye Jin Ko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2 독일어문학 Vol.56 No.-

        Diese Untersuchung beschaftigt sich mit der ersten koreanischen Grammatik Koreanische Konversation-Grammatik mit Lesestucken und Gesprachen, die von einem Deutschen geschrieben worden ist Englander, Franzosen und Russen haben wiederholt versucht sich der Sprache anzunahern, haben Grammatiken und Worterbucher veroffntlicht und damit der Forschung Wege gewiesen. Auf deutscher Seite war nichts oder nur wenig geschehen, eine deutsch-koreanische Grammatik liegt uberhaupt nicht vor. Daher es ubernahm Andreas Eckardt wahrend der 14 Jahre seines Aufenthalts in Korea in die Sprache und den Sprachgeist Koreas einzubringen und die Grammatikregeln herauszuschalen. Diese Grammatikregeln sind erprobte Regein durch fortgesetzen sprachlichen Umgang mit Koreanern. Dieses koreanische Grammatik von Eckardt ist in lateinischen Buchstaben geschrieben. Die lateinische Umschreibung soll nur das Lernen und die Drucklegung erleichtern, Aber er meinte, dass sic keineswegs die koreanische Schrift ersetzen soll. Im allgemeinen ist jede Lektion dieser Grammatik in Regein mit Beispielen, Ubungsstucke und Konversationsubungen geteilt. Die einzelnen Lesestucke und Unterhaltungsstucke behandeln meist in sich abgerundete Gruppen mit Berucksichtigung des koreanischen Landes und Lebens, koreanischer Sitten, Fabeln, Erzahlungen, koreanischer Geschichte. Der Schlussel mit der koreanischen Schrift und der Ubersetzung samtlicher Aufgaben und Lesestucke bildet eine notwendige Erganzung zur Grammatik, Jede Lektion ist als Pensum einer Woche gedacht, so dass in einem Jahre der gewaltige, schwierige Stoff bewaltigt werden kann. Diese Grammatik ist die erste deutsch-koreanische Grammatik. Dieses Buch hat dem koreanischen Studium der Deutschen einen groben Dienst erwiesen.

      • KCI등재

        양식 넙치에서 분리한 어병세균의 lincomycin에 대한 내성 유전자의 분포

        김예지,전려진,이영준,고예진,한소리,김성현,정준범,Kim, Ye Ji,Jun, Lyu Jin,Lee, Young Juhn,Ko, Ye Jin,Han, So Ri,Kim, Sung Hyun,Jeong, Joon Bum 한국어병학회 2022 한국어병학회지 Vol.35 No.1

        Lincomycin as one of the lincosamides antibiotics have been mainly used in human and livestock fields, but have not been used in aquaculture.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of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values against lincomycin and the detection of the macrolide-lincosamide-streptogramin (MLS) resistance gene were confirmed in bacterial pathogens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f the 107 strains isolated from Jeju, 36 strains of Gram-positive bacteria and 71 strains of Gram-negative bacteria were identified. Most of Streptococcus spp. was found to have a MIC value of less than or equal to 0.5 ㎍/mL, and Edwardsiella piscicida was found to have a MIC value higher than 1,024 ㎍/mL. V. harveyi and V. alginolyticus mostly showed MIC values of 256 ㎍/mL, but V. scophthalmi displayed values of 8~64 ㎍/mL. In the detection of MLS resistance gene, erm(B) was detected in 9 strains of Streptococcus spp., and erm(A) was confirmed in one str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