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건설 석면 소송의 최근 동향

        고영아(高影娥)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3 환경법과 정책 Vol.11 No.-

        최근 일본의 건설 석면 소송의 주요 쟁점은 석면의 위험성을 알면서도 제대로 규제하지 않은 국가의 책임 및 석면을 제조한 기업의 책임이다. 특히 수도권 건설 석면 소송에서는 국가와 석면 제조업자의 공동불법행위 인정여부가 문제가 되었다. 오사카 센난 소송에서 국가의 책임이 인정된 제1진 제1심 판결을 제1진 제2심 판결이 뒤집고, 다시 제2진 제1심 판결에서 국가의 책임이 인정되었다. 또 수도권 건설 석면 소송에서는 국가 및 기업의 책임을 전면적으로 부정한 요코하마지방재판소 판결이 나온 약 반 년 후에 도쿄지방재판소에서는 국가의 손해배상책임이 인정되었는데, 이 중 국가와 기업의 공동불법행위책임이 인정된 것은 없다. 석면에 의한 건강피해라고 하는 손해를 발생시킨 가해자가 다수라는 점에서 보면, 공동불법행위책임을 엄격하게 제한하는 것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 소규모 영세업자가 많았다는 상황을 고려하면, 노동자의 범위를 너무 제한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석면 사용이 금지된 후의 경영악화를 고려하면, 피해자들에게 충분한 배상이 이루어질지도 우려되는 바이다. 석면 분진 노출로 인한 피해라는 전문적?기술적인 식견 내지 의학적 식견이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는, 국가가 석면을 제조?판매?사용하는 기업에 대하여 제대로 규제하고 감독해야 하는 작위의무가 있다고 볼 것이며, 이의 부작위로 인한 불법행위책임을 부담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핸드피스 부문조건에 따른 부유세균 (氣菌) 의 분포

        고영한,백병주,김재곤,양영미,신정근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4

        최근 치과계에는 교차감염의 문제가 점차 대두되고 있으며, 그 감염경로에는 혈액이나 구강 분비물을 통한 직접접촉과 진료실 장비 등에 의한 간접접촉이 있다. 또한 병원 등 한정된 공간 내에 많은 인원이 수용된 환경에서는 공기 중을 떠다니는 오 염물질에 의한 공기 감염에 보다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치과 진료실에서는 고속회전 핸드피스에서 발생하는 분무에 의한 감염이 가장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치과 진료실 내 핸드피스 분무에 의한 공기 중 세균 감염 위험성을 파악하고 실제 진료 시, 감염 방지 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핸드피스를 사용해 진료한 군 97.4 cfu, 핸드피스를 사용하지 않고 진료한 군 5.6 cfu로 핸드피스를 사용해서 진료한 군에서 박테리아 군집의 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2. 핸드피스 사용 시 러버댐을 같이 사용한 진료는 22.4 cfu로 러버댐을 사용하지 않고 진료하는 경우보다 박테리아 군집의 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3. 핸드피스 물 공급원으보 관주용액을 사용한 경우와 증류수를 사용한 경우를 비교 시 관주용액을 사용한 경우 cfu는 22.4 cfu, 증류수의 경우 17.0 cfu로 측정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핸드피스를 사용해 진료하는 경우, 0.5m와 1.5m 거리에서 측정 시 97.4 cfu와 22.0 cfu로 0.5m 거리에서 박테리아 군집의 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O.01). 또한 원거리에서도 핸드피스 분무에 의해 박테리아가 검출되었다. 5. 박테리아균을 분류한 결과 그램양성 구균의 수가 73.9%로 가장 많은 비중을 보였고, 그램음성 구균, 그램음성 간균, 그램양성 간균의 순이었다. In recent years, cross-contamination has become one of the noticeable issues in dental clinic. Two major routes of contamination are the direct-contamination through blood and oral secretion and the indirect-contamination through dental office equipments. Especially, air-contamination through air-floating pollutant in a confined space like hospital, and also contamination through aerosol ejected from high-speed handpiece in a dental office was interes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risk of bacterial infection through aerosol from handpiece in a dental office, which will help the practitioner with prevention of contamination during dental treatmen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a comparative test, the group using handpiece has higher bacterial number than the group not using handpiece with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P<0.01). 2. The group using handpiece with rubber dam has lower bacterial number than the group using handpiece without rubber dam with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P<0.01). 3. Comparing the group using drainage water with the group using distilled water as a handpiece water source results in 22.4 cfu and 17.0 cfu respectively but the differenc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4. Measuring cfu at O.5m and 1.5m distance, O.5m distance showed higher bacterial number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P<0.01). 5. Classification of bacterial types showed the largest bacterial number came from gram-positive micrococcus(73.9%), and gram-negative micrococcus, gram-negative bacillus, and gram-positive bacillus follow in descending order.

      • KCI등재
      •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유형에 따른 골 치유 양상

        고영한,김영준,정현주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2001 구강과학 Vol.13 No.1

        It is well known that the apposition of bone at implant surface would be influenced by the microstructure of titanium impl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one healing around the screw­shaped titanium implant with three different surface topographies in the canine mandibles by histological and biomechanical evaluation. All mandibular premolars of six mongrel dogs were extracted and implants were placed one month later. The pure titanium implants had different surface topographies: smooth and machined (Steri­Oss^ⓡL Group Ⅰ): acid­etched (Osseotite^ⓡ: Group Ⅱ); sandblasted and acid­etched (ITI^ⓡ, SLA: GroupⅢ) surface. The fluorescent dyes were injected on the 2nd (calcein), 4th (oxytetracycline HCI) and 12th (alizarin red) weeks of healing Dogs were sacrificed at 4 and 12 weeks after implantation. The decalcified and undecalcified specimen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al and histometrical evaluation of implant­bone contact. Some specimens at 12 weeks after implantation were used for removal torque testing. Histologically, direct bone apposition to implant surface was found in all of the treated groups. More mature and dense bone was observed at the implant ­ bone interface at 12 weeks than that at 4 weeks after implantation. Under the fluorescent microscope, thick regular green fluorescent lines which mean early bone apposition were observed at the implant ­ bone interface in Group Ⅲ, while yellow and red fluorescent areas were found at the implant ­ bone interface in Group Ⅰ and Ⅱ. The average implant ­ bone contact ratios at 4 weeks of healing were 54.3% in Group Ⅰ, 57.7% in Group Ⅱ and 62.2% in Group Ⅲ. In Group Ⅰ, implant ­ bone contact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Group Ⅱ and Ⅱ (p<0.05). The average implant ­ to ­ bone contact ratios at 12 weeks after implantation were 64.3% in Group Ⅰ, 66.7% in GroupⅡ, and 71.2% in GroupⅢ.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Group Ⅰ andⅡ, the implant ­ bone contact ratio at 12 weeks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ratio at 4 weeks (p<0.05). The removal torque values at 12 weeks after implantation were 90.9 N㎝ in Group Ⅰ, 81.6 N㎝ in GroupⅡ and 77.1N㎝ in GroupⅢ,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ne healing begin earlier and be better around the surface ­ treated implants compared to the smooth surface implants. The sandblasted and acid ­ etched implants showed the most favorable bone response among the three groups during the early healing stage and could reduce the waiting period prior to implant loading.

      • KCI등재

        최근 8년간 전북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초진환자에 관한 실태조사

        고영한,백병주,김재곤,양연미 대한소아치과학회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2

        과거 소아치과 치료의 경향은 충치 및 발치 등의 주소에 따른 치료 중심이었지만 최근 출생률 감소, 우식 유병율 감소, 보호자의 치과적 지식의 증가에 따라 그 양상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앞으로 전북 지역 어린이 환자 치료의 방향을 설정하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1998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전북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모든 초진환자를 대상으로 분포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진환자의 수는 2004년까지 증가하다가 2005년에는 감소하였으며, 남아가 여아보다 많았다. 2. 방학기간에 초친환자의 수가 증가하였다. 3. 내원 환아의 97.7%가 도내 거주자였다. 4. 연령별 분포에서 31개월~6세 군이 48.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7~13세 군이 31.3%, 13~30개월 군이 17.2%였다. 5. 의뢰되어 내원한 환자가 33.8%였으며, 의뢰된 환자 중 31개월~6세 군이 49.5%로 가장 많았고, 7~13세 군이 35.2%, 13~30세 군이 12.9%를 나타냈다. 6. 전신질환을 가진 환자는 전체의 5.5%를 차지했으며, 이 중 심혈관질환이 21.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정신지체가 13.6%, 호흡기질환이 11.0%순 이었다. 7. 내원환자들은 치아우식증을 주소로 내원한 경우가 42.9%로 가장 많았다. 8. 치수치료, 수복, 보철 치료가 전체 치료의 42.6%로 가장 많았다. In order to thoroughly understand change patterns and to set up an appropriate approach on the direction of future treatment towards children in Chonbuk area, we carried out this research. we could draw below conclusions from the studies based on researches of distribution of new patients visited Dept. of Pediatric Dentistry, Chonbuk Nat' university from 1998 to 2005 and current changes in dental treatment. 1.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until 2004 but it decreased in 2005. Boys took higher portion. 2. Number of patients increased during school holidays. 3. 97.7% of patients were urbanites. 4. An age group from 31 months to 6 years showing 48.2% was the highest, each percentage of 7~13 years, 13~30 months showed 31.3%, 17.2%. 5. 33.8% of patients were referred from local dental clinics and among them, an age group from 31 months to 6 years showing 49.5% was the highest, each percentage of 7~13 years, 13~30 months showed 35.2%, 12.9%. 6. 5.5% of patients who had systemic diseases, among them, each percentage of cardiovascular disease, mental retardation, respiratory disease showed 21.8%, 13.6%, and 11.0%. 7.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chief complaints, dental caries showing 42.9% was the highest. 8. Root canal treatment, restoration, prosthesis showing 42.6% were the highest of all treatments.

      • KCI등재
      • 실험적 치은염에서 치은열구온도의 변화

        고영한,정현주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1992 전남치대논문집 Vol.4 No.1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gingival sulcus temperature as a diagnostic parameter in accessing severity, activity and pro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by measuring the change of gingival sulcus temperature during experimental gingivitis. Ten men (23-25 years old) whose gingivae were clinically healthy were selected. The participants have ceased to perform all forms of oral hygiene during 14 days and then did thorough plaque control for 7 days. For each subjects, gingival sulcus temperature, plaque index (Silness and Lo^¨e) score, gingival sulcus depth and sulcus bleeding index(M hlemann and Son) score were recorded at the mesiobuccal, midbuccal, mesiolingual and midlingual sites of 277 teeth. And then the subgingival plaque was sampled and analysed using benzoyl-arginine naphthylamide test(Oral-B Laboratories, U.S.A). Above all procedures were done on day 0, 4, 7, 14, 18 and 21 during experimental peri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Gingival sulcus temperature showed no significant increase by the day 7. But the temperature on the day 14 was 0.97℃ higher than on the day 0, and this was significant(P<0.001). Although the tempera-ture decreased gradually after reinstitution of oral hygiene, the temperature on the day 21 was 0.19℃ higher than on the day 0, and this was still significant (P<0.01). 2. Plaque index score increased to 1.95 on the day 14 and returned to the baseline level from the day 18. Sulcus bleeding index score tended to increase on the day 4, markedly increased to 1.32 on the day 14 and returned to baseline level on the day 21. The proportion of BANA-reactive sites was 10% on the day 0, increased to 62.5% by the day 14 and decreased to 7.5% on the day 21. 3. Plaque index score increased at first, being followed by sulcus bleeding index score and gingival sulcus temperature during experimental gingivitis period. These parameters decreased in the reverse order during healing period. The results suggest that gingival sulcus temperature might reveal the disease severity and don't predict the disease activity prior to clinical gingival inflam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