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출연(연) 예산지원방식이 연구성과 창출에 미치는 영향: 연구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영태,김영준 한국기술혁신학회 2022 기술혁신학회지 Vol.25 No.5

        정부출연(연) 예산지원방식이 연구성과 창출에 미치는 영향은 일부 연구에서 다뤄진 바 있으나, 영향이 발생한 원인 에 대해서는 연구자의 배경지식이나 직관에 의해 추정되는 한계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예산지원방식에 따른 연구 환경 형성의 차이를 그 원인으로 제시하고,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이를 실증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통제 상황에서 기 관 출연금 방식이 PBS 방식에 비해 과학적, 기술적, 경제적 연구성과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구환경의 안정성, 개방성, 융합성은 기관 출연금 방식이 떨어지며, 기초·원천지향성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안정성, 개 방성, 융합성, 기초·원천지향성으로 대표되는 연구환경 특성은 과학적, 기술적, 경제적 연구성과 각각에 유의한 정(+) 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산지원방식별 연구환경의 차이가 예산지원방식과 연구성 과간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거나, 억제하고 있음을 실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출연(연) 연구성과 창출의 효 과성 제고 측면에서 기관 출연금 방식 중심으로의 예산구조 개선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동시에, 출연(연)의 예산지원방 식별 연구환경의 개선 필요성을 함께 시사한다.

      • 서울시내 4개 여자대학교 학생들의 체중 조절 실태와 Diet에 대한 의식구조 조사

        고영태,이은주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97 學生生活硏究 Vol.13 No.-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4개 여자대학교 재학생 933명을 대상으로 하여 여대생의 식습관, 비만 정도, 체중 조절 실태, 영양지식을 얻는 매체, 다이어트 식품에 관한 견해 등을 조사하였다. 본인의 체형에 관한 질문에는 "통통한 편", "보통", "마른편"이 각각 40.5%, 39.1%, 12.9%로 나타났으나, 브로카의 비만도 측정 법으로 계산한 결과에 의해서는 4.2%만이 "과체중"이었고, 53.2%가 "정상", 34.8%가 "저체중"이었다. 체중관리의 관심정도에 대한 질문에는 답변자의 33.5%가 "높다", 44.1%가 "보통"이라 답하였다. 그러나 답변자의 60.1%가 건강을 위해 특별히 하고 있는 것은 없었다. 답변자의 65.1%가 체중조절 경험이 있었고, 체중 조절을 하는 이유로는 답변자의 34.8%가 "비만 또는 과체중이어서", 44.3%가 "정상체중이지만 미용상"이라고 답했다. 주로 이용하는 체중 조절 방법으로는 답변자의 37.9%가 "꾸준하게 식사량을 조절" 26.8%가 "운동과 다이어트를 병행", 18.9%가 "운동"이었다. 영양에 관한 지식을 주로 얻는 매체로는 "친구나 주위사람"이 37.7%, "신문이나 월간지"가 27.9%, "TV나 방송 매체"가 27.8%로 나타났다. 답변자의 12.0%가 시중 판매 다이어트 식품 또는 약품을 섭취해 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그 중 33.0%는 섭취기간에만 효과를 보았고, 31.3%는 효과를 보지 못했고, 25.9%는 약간의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A survey on state of dietary habit, degree of obesity, body weight control, medium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viewpoint of diet food and drug for 933 female students in 4 women's universities in Seoul was undertak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n response to the question about body shape, 40.5%, 39.1% and 12.9% of the subjects answered "plump", "normal", and "thin", respectively. However the results calculated from subjects' height and weight by Broca's method were that 4.2% of the subjects were "overweight", 53.2% were "normal", and 34.8% were "underweight". (2) Interest of body weight control was relatively high as 33.5% of the subjects answered "high", and 44.1% did "normal". But 60.1% of the subjects did not practice any particular activity for health 65.1%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 of body weight control. The reasons of body weight control were "obese or overweight" (34.8% of the subjects), "normal weight but for beauty" (44.3% of the subjects). In order to control body weight, 37.9% of the subjects practiced "control of eating volume constantly", 26.8% of the subjects practiced "exercise and diet together" and 18.9% of the subjects practiced "exercise". (3) Nutritional knowledge was obtained "from friends or neighboring persons" (37.7%), "from newspapers or magazines" (27.9%) and "from TV or broadcasting" (27.8%). (4) 12.0%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 of diet food or drug intake. 33.0% of the taken subjects had effect only during taking period. 31.3% had no effect, and 25.9% had some effect.

      • 난백분말, 포도당 및 유제품으로 만든 요구르트에서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의 경시적인 변화

        고영태 德成女子大學校 1997 德成女大論文集 Vol.28 No.-

        Changes in titrable acidity, pH, viable cells and residual glucose during 30hr fermentation by L. acidophilus in a mixture of egg white powder(3%, W/V), glucose(2%, W/V) and four kinds of milk products(4%, W/V) were studied. Acidity of milk sample(control) had been lover than that of samples containing milk product until 12hr fermentation, while it had been higher than that of samples containing milk product after 18hr fermentation. Acidity of sample containing casein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amples containing milk product. pH of milk sample had been higher than that of other samples until 18hr, while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samples after 18hr. pH of sample containing whey powder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other samples containing milk product. Number of viable cells of milk sample had been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samples containing milk product after 24hr fermentation. It is likely that log phase of L. acidophilus in these samples was approximately 12hr and stationary phase of this organism continued until 30hr. concentration of residual glucose in these samples decreased almost directly proportional to fermentation time.

      • 김치 숙성용기의 재질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고영태 덕성여자대학교 열린교육연구소 2010 자연과학 논문집 Vol.16 No.-

        The effects of material of ripening container on kimchi· quality were evaluated by investigating acid producti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sensory properties, and several volatile odor components. The materials of kimchi ripening container were plastic, glass, ceramic and stainless steel. The acidity of kimchi ripened in ceramic container for three or five day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ther containers (p <0.05), while pH and lactic acid bacterial count of kimchi were not different between containers. Scores of overall acceptability and taste of kimchi ripened in ceramic contain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samples, whereas those of kimchi ripened in stainless steel container were significantly lower (p <0.05). The amounts of seven volatile odor components except allyl mercaptan in kimchi ripened in ceramic container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samples, while those of kimchi ripened in plastic or stainless steel container were lower.

      •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을 이용한 발효유의 제조

        고영태,이주연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6 자연과학 논문집 Vol.12 No.-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생육이 우수한 젖산균 2종을 분리하고, 대조군으로 연구실에 보관중인 젖산균 2종을 선택하여 모두 4종의 젖산균으로 각각 발효유를 제조하여 산생성과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김치로부터 분리한 균주는 현미경사진으로 미루어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추정된다. 4종의 젖산균주에 의한 산생성은 다음과 같다. 젖산균주의 영향을 보면 LA에 의한 산생성이 가장 높았으며, LC와 K-3는 유사하였고, K-0에 의한 산생성이 가장 저조하였다. 발효온도의 영향을 보면 LA와 LC의 경우는 40°C에서, K-3의 경우는 35°C에서 산생성이 가장 높았으며 K-0의 경우는 온도에 의한 차이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 포도당 농도의 영향을 보면 LA의 경우는 포도당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생성이 감소하였으며, K-3의 경우는 포도당 비첨가시료에서는 산생성이 가장 낮았으나, 포도당이 2% 첨가됨에 따라 산생성은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5%, 10%로 증가함에 따라 산생성은 다시 감소하였다. LA로 만든 시료를 표준시료로하여 실시한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전반적인 기호도와 맛은 LC시료가 다른 시료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우수하였으며, 그 다음은 LA, K-3의 순이었다(p<0.05). Acid formation and sensory properties of fermented milk were evaluated using two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K-0 and K-3) isolated from kimchi,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Lactobacillus casei. Two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were suspected to be Lactobacillus plantarum. Acid formation by Lacidophilus in fermented milk was highest while acid formation by K-0 was lowest. Optimum growth temperature of Lacidophilus and Lacsei was 40℃ and that of K-3 was 35℃. Acid formation by Lacidophilus decreased by addition of glucose. Acid formation by K-3 was stimulated by addition of 2% glucose while it decreased by addition of 5% or 10% glucose. Overall acceptability and taste of fermented milk prepared by Lcasei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other samples and those of LA and K-3 followed (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