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 안심주택의 주거모델에 관한 연구 : 주거안전사고 예방을 중심으로

        고영아 상명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Elderly households have the highest rate of accidents caused by slippage in the order of room, bedroom, toilet, and are showing a steady increase trend. Residential safety accidents in the elderly are a major cause of economic burden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national interest and support policies are needed to prevent an increasing number of residential safety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the residential model of 'elderly safe house' for the prevention of the residential safety accident based on the present survey result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ructure and layout in the residential spac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door supportability by the safety structure that elderly people can walk and walk, the arrangement of firefighting facilities, and the use of non-slip materials. Second, it is building an elderly residential facility using ICT. Big data, speech recognition, and the Internet need to be customized to promote independent living and external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Third, it is necessary to secure diversity of housing according to health level and family structure. In order to build a social safety net, a new concept of housing welfare model for the elderly such as set, joint, complex type, and shared house should be developed. Forth, it is the development of a coexistence type housing model.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ncept of generational coexistence that all generations live together. Fifth, it suggests guideline of home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 aging of the housing is not the center, but the home renovation guideline that is suitable for the elderly in Korea is suggested and utilized for the elderly housing renovation project.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elderly 's typification according to the economic situation and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to differentiate the burden and support of home renovations service according to income level and health status Sixth, expansion of home renovation expenses for the elderly. Currently, it is decided on the basis of the aging of the house and the size of the house to be renovated and remodeled. However, regardless of the old age, if the elderly housing guide does not meet the guidelines. Key Words: elderly, safe housing, residential safety accident, prevention, housing support 노인들의 가정 내 주거안전사고는 방, 침실, 화장실 순으로, 미끄러져 다친 사고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노인층의 주거안전사고는 경제적인 부담과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증가하는 주거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국가차원에서의 관심과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들의 현황조사 결과를 토대로 주거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노인 안심주택' 의 주거모델의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함에 있다. 노인을 위한 안심주택의 주거모델에 관한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층의 특성을 반영한 주거 공간 내 구조 및 배치의 개선이 필요하다. 노인들이 잡고 걸을 수 있는 안전구조물, 소방 설비 시설의 배치, 미끄러지지 않는 자재 활용으로 실내 지원성을 높게 개선해야 한다. 둘째, ICT를 활용한 노인주거시설의 구축이다. 빅 데이터·음성인식·사물인터넷 등을 활용하여 독립적인 생활과 외부소통을 동시에 추구하는 효과성 증진을 위한 맞춤형 형태로 접근해야 한다. 셋째, 건강 수준과 가족구조에 따른 주거의 다양성 확보가 필요하다.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해 집합·공동·단지형·공유 하우스 등과 같은 신개념의 노인 주거복지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세대 공존형 코하우징 모델 개발이다. 모든 세대가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세대공존(Generational Coexistence)개념의 주거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노인 특성에 따른 주택 개조 가이드라인 제시이다. 주택의 노후도 중심이 아닌 한국의 고령층에게 맞는 주택개조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노인 주택개조 사업에 활용하는 것이다. 노인의 경제적 상황과 건강상태에 따른 노인의 유형화를 정형화하고 소득수준과 건강상태에 따라 주택개조 서비스 부담 및 지원 등을 차별화해야 한다. 여섯째, 노인을 위한 주택개조 비용 지원확대이다. 주택의 노후에 상관없이 ‘고령층 주택 가이드라인’에 맞지 않는 경우 주택보수개량 지원이 가능하도록 수정해야 한다. 주요어; 노인, 안심주택, 주거안전사고, 사고예방, 주거지원

      • 흰쥐에서 간흡충 재감염에 의한 특이 항체 면역반응

        고영아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late immune response to infection and reinfection of Clonorchis sinensis. Rats were infected or reinfected with 100 metacercariae. The antigens were prepare as saline crude extract of the whole worm (Csw) and excretory (CsE) of Clonorchis sinensis. Antigenic proteins were observ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ELISA. The Csw antigens of 66,57,55,49,47,43,38,36,34,30,28,27,24,22,18,16,14 and 7 kDa were detected using serum of rat infected with Clonorchis sinensis, of which the antigens of 66,57,55,49,40,34,22 and 7 kDa showed strong antigenicity in infection but those of 28 and 27 kDa in reinfection. The CsE antigens of 49,38,30,28,25,23,14 and 7 kDa were detected, of which the antigens of 38,30,25 kda showed strong antigenicity in the infection period but that of 28 kDa in reinf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igenic properties of Clonorchis sinensis very accoding to the origin of antigen, infection, and reinfection. It would be possible to differentiate infection from reinfection if specific antigens could be only found in infection.

      • 디지털 클로딩의 의류생산 시제품 대용가능성 연구

        고영아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컴퓨터의 대중화와 웹 보급으로 인해 디지털 기술은 생산과 판매 양식의 변화뿐만 아니라 인류의 생활양식 전반에 걸쳐 혁명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최근 디지털화의 하나인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는 좀 더 빠르고 편하게 효율적인 방법에 기초하여 구현하고, 이로 인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의류분야에서도 3차원 시뮬레이션 기술은 미래의 패션 디자이너로 하여금 의상을 디자인하고 가상공간의 가상모델에게 착의시키어 제품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런 정확한 3D 시뮬레이션 기술에 기반하여 의상디자인 및 제작을 거친 의상을 디지털 클로딩이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클로딩이 의류에 활용되는 시스템들과 활용 가능한 분야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제 의류업체에서 제작되고 있는 의상이 디지털 클로딩으로 재현되었을 때 얼마나 현실감있고 정확하게 표현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시제품 생산 공정에서 디지털 클로딩이 실제 의상을 대용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미래의 활용가능성을 증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주)래만의 “Ecole de PARIS”에서 2008년 F/W 신상품 중 6벌의 의상을 협찬받아 디지털 클로딩을 제작하였다. 이 디지털 클로딩의 착의 결과물을 의상관련자들과 시뮬레이션 제작 연구진들에게 이미지로 관찰시키어 자유롭게 답하도록 하여 얻은 답변을 바탕으로 외관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외관평가 항목은 색상, 재질, 구조적 디테일, 장식적 디테일, 실루엣 영역에 걸쳐 각 7∼8문항으로 총 46문항으로 구성하여 각 실험복의 디지털 클로딩이 실제 의상과 같이 잘 표현되었는지를 외관평가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가자들의 디지털 클로딩의 색상인식 정도가 실제의상의 색상과 다소 차이가 있었고, 다양한 색이 섞여 있는 원단은 디지털 클로딩으로 표현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많아 그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재질면에서 평가자들은 표면이 매끄럽고 얇은 원단의 디지털 클로딩은 실제 의상과 비슷하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나 두께감과 기모가 있는 소재나 두 가지 이상의 소재가 함께 배색되는 경우에는 실제 의상과 디지털 클로딩의 재질에 차이가 있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구조적 디테일이나 실루엣의 면에서는 평가자들이 실제 의상과 디지털 클로딩간에 대부분 비슷하게 인지하고 있었으나 주름은 실제 의상과 디지털 클로딩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실험복의 디지털 클로딩은 실제의상과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시제품 생산 공정에서 디지털 클로딩이 실제 의상을 대신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향후 디지털 클로딩이 충분히 구현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물리적 Parameter로 이루어졌는지 정량적?정성적인 검증이 이루어져야 하며, 실시간 Simulation과 실시간 Rendering에 대한연구가 보완되어야 하고, 디지털 클로딩)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의류 종사자들이 사용하기 쉬운 프로그램과 디자인CAD, 패턴CAD, CAM 등의 통합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이러한 제언들이 현실화된다면 한국의 디지털 클로딩기술은 디자인, 생산, 마케팅, 홍보 등 의류산업 전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 믿으며, 의류패션 시장의 규모를 생각할 때, 우리나라가 의류분야의 핵심 기술을 선도함으로써 얻어지는 경제적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이다. Digital technology has been making a revolutionary change through the lifestyle of the humankind as well as the mode of production and sale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the computer and the dissemination of the website. The 3-dimensional computer graphics, one of recent digitalization, is implemented based on a little more fast, convenient and efficient method, which enables much time and cost to saved. Furthermore, the 3-D simulation technology in the clothing field enables future fashion designers to design clothing and check a clothing product beforehand by putting it on th virtual model in the virtual space. Clothing going through its design and production based on this accurate 3-D simulation technology is called digital cloth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systems in which digital clothing is utilized and the fields in which it can be used. And by experientially testing how accurately and accurately the clothing produced in the real clothing manufacturer was expressed when it was enacted as digital clothing, this study was intended to grasp whether digital clothing could be substituted for real clothing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clothing sample and prove the possibility of its utilization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produce digital clothing under the sponsorship of six pairs of new products of 2008 F/W in “Ecole de PARIS” of Raeman Co;, Ltd. A group of researchers majoring in clothing and simulation manufacture were asked to observe the product of putting on digital clothing in the image and give free response. And then the appearance evaluation sheet for the simulated digital clothing was obtained based on their responses and discussions. The appearance evaluation sheet was composed of a total 46 questionnaires, with each domain of color, material, structural detail, decorative detail, silhouette composed of seven or eight items. The appearance evaluation was made as to whether the digital clothing of each experimental clothing was well expressed like real clothing,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The evaluators were aware that there was a more or less difference in color between digital clothing and real clothing. There was much difficulty in the work of expressing interwoven fabric with digital clothing, and so its effect was remarkably reduced.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The evaluators understood that there was similarity between digital clothing of smooth and thin fabric and real clothing in terms of material bu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material between real clothing and digital clothing in case the material of pile and thickness feeling or more than two interwoven materials were colored. In terms of structural detail and silhouette, the evaluators understood that they were mostly similar between real clothing and digital clothing bu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wrinkles between real clothing and digital clot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It was found that there was dependably high similarity between the digital clothing and real clothing. It was prov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igital clothing takes a role as a substitute for real clothing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clothing samples. For digital clothing to be fully implemented, it is suggested to develop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st of what physical parameter it was constituted, to complement a study on real-time simulation and real-time rendering, and to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concerning digital clothing. And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integrated program of design CAD, pattern CAD and CAM as well as the program easily used by clothing employees. With further studies to make these suggestions actualized, Korean digital clothing technology is thought to bring an innovation in the whole field of the apparel industry such as design, production, marketing and PR and the like, as well as exert a great economic spillover effect by leading the core technology of the apparel industry.

      • 10-단계 수학에서 수준별 수업에 따른 수학에 대한 신념 및 태도 연구

        고영아 檀國大學校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별 집단(상, 하)에 따라 나타나는 수학에 대한 태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 성별 집단간의 차이도 살펴본다. 그리고 수학 10-가의 각 단원에 대한 신념 및 태도를 조사하고 그러한 신념과 태도를 가지게 된 이유를 알아봄으로써 학생들의 심리를 파악하여 교수-학습 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우선 수준별 수업(상, 하)에 따른 수학에 대한 태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 결과 유의수준 p<0.05에서 0.05보다 훨씬 작은 값이 나와서 상반과 하반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 큰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상반 학생들이 하반 학생들보다 전체적으로 수학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학습자가 가지는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귀인 유형에서 상반과 하반의 큰 차이점은 없었고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노력에 가장 많이 비중을 두었다. 하반 학생들 경우 실패의 원인을 다른 귀인보다 능력이라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적은 것을 보아 충분히 잘 해낼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노력이 부족해서 실패했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성별 수학에 대한 태도에 관한 t-검정 결과 유의확률(양쪽)이 0.052로 성별 유의한 차가 조금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학에 대한 자신감, 수학에 대한 학습동기, 수학의 유용성에 대한 태도, 부모의 태도에 대한 학습자 인식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조금 더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걸로 분석되었고 수학에 대한 불안, 수학의 성공에 대한 태도, 수학의 성역할 적합성, 교사의 태도에 대한 학습자 인식은 남녀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귀인유형은 남녀 모두 노력에 가장 비중을 많이 두었으며 남학생은 성공의 원인을 학습태도보다 능력에 비중을 두는 반면 여학생은 능력보다 학습태도에 더 비중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준별 수업에 따른 수학 10-가 과정의 각 단원에 대한 수학에 대한 신념 및 태도 (중요도, 난이도, 선호도)에 대한 연구 결과는 각각 다음과 같다. 상반 학생들은 집합과 명제, 실수와 복소수, 식의 계산, 방정식과 부등식 단원에서 하반 학생들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더 쉽다고 생각하며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확률과 통계 단원에서는 더 쉽다고는 생각하나 중요도, 선호도 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상반 학생들은 방정식과 부등식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확률과 통계를 가장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하반 학생들은 식의 계산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집합과 명제를 가장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난이도에서 상반 학생들은 집합과 명제를 가장 쉽다고 생각하고 확률과 통계를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며, 하반 학생들은 집합과 명제를 가장 쉽다고 생각하고 실수와 복소수가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반의 경우 3개의 단원에서 50%이상의 학생들이 쉽다고 한 반면 하반에서는 5과목 모두 어렵다고 한 학생들이 50% 이상이었다. 선호도에서 상반 학생들은 실수와 복소수를 가장 좋아하고 확률과 통계를 가장 싫어하며, 하반 학생들은 식의 계산을 가장 좋아하고 실수와 복소수를 가장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준별 학생들이 선호하는 단원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확률과 통계를 제외하고는 상반 학생들은 4개 단원을 50% 이상의 학생이 좋아하는 반면 하반 학생들은 5과목 모두 좋아하지 않는 학생이 5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하반 학생들은 모든 단원을 중요하게 생각은 하지만 상반 학생들보다 더 어려워하면서 선호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합과 명제 단원을 중요하다고 생각한 상반 학생들의 이유는 ‘다른 단원이나 과목을 공부하는데 이용되므로’가 가장 많았으며 하반 학생들은 ‘시험에 자주 출제되므로’,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향상시키므로’가 가장 많았다.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 이유는 상반, 하반 학생 공통적으로 ‘일상생활에 이용되지 않으므로’가 가장 많았다. 이 단원이 쉽다고 생각한 학생들의 이유는 상반과 하반 공통적으로 ‘내용 자체가 쉬어서’가 가장 많았으며 이 단원을 좋아하는 상반 학생들의 이유는 ‘조금만 노력해도 시험성적이 좋게 나와서’가 가장 많았고 하반 학생들은 ‘이전에 배운 내용을 몰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좋아한다는 의견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실수와 복소수 단원을 중요하다고 생각한 상반 학생들의 이유는 ‘다른 단원이나 과목을 공부하는데 이용되므로’ 가 가장 많았으며 하반 학생들은 ‘시험에 자주 출제되므로’가 가장 많았다. 이 단원이 쉽다고 생각한 상반과 하반 학생들의 가장 큰 이유는 ‘기초지식을 충분히 갖고 있어서’였고 이 단원을 좋아하는 상반과 하반 학생들의 가장 큰 이유는 ‘이 단원의 문제를 풀고 난 후에 기쁨을 느낀 적이 많아서‘였다. 식의 계산 단원을 중요하다고 생각한 상반 학생들의 가장 큰 이유는 ‘다른 단원이나 과목을 공부하는데 이용되므로’였으며 하반 학생들은 ‘일상생활에 이용되므로‘가 가장 많았다. 이 단원이 쉽다고 생각한 상반 학생들의 이유는 ‘열심히 공부하였기 때문에’가 가장 많았고 하반 학생들은 ‘기초 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가 가장 많았으며 이 단원을 좋아하는 상반 학생들의 이유는 ‘이 단원의 문제를 풀고 난 후에 기쁨을 느낀 적이 많기 때문에’가 가장 많았고 하반은 ‘생각해서 풀어야 하는 문제가 많아서’가 가장 많았다. 방정식과 부등식 단원을 중요하다고 생각한 상반 학생들의 이유는 ‘다른 단원이나 과목을 공부하는데 이용되므로’가 가장 많았으며 하반 학생들은 ‘시험에 자주 출제되므로’,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향상시키므로’가 가장 많았다. 이 단원이 쉽다고 생각한 학생들의 이유는 상반과 하반 공통적으로 ‘열심히 공부하였기 때문에’가 가장 많았으며 이 단원을 좋아하는 상반 학생들의 가장 큰 이유는 ‘이 단원의 문제를 풀고 난 후에 기쁨을 느낀 적이 많기 때문에’, 하반 학생들의 이유는 ‘이전에 배운 내용을 몰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생각해서 풀어야 하는 문제가 많아서’가 가장 많았다. 확률과 통계 단원을 중요하다고 생각한 가장 큰 이유는 상반, 하반 공통적으로 ‘일상생활에 이용되므로’였으며 이 단원이 쉽다고 생각한 상반 학생들의 이유는 ‘내용 자체가 쉬워서’가 가장 많았고 하반 학생들은 ‘기초 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가 가장 많았다. 이 단원을 좋아하는 상반 학생들의 이유는 ‘이 단원은 조금만 노력해도 시험 성적이 좋게 나오기 때문에’, 하반 학생들은 ‘이 단원의 문제를 풀고 난 후에 기쁨을 느낀 적이 많기 때문에’ 가 가장 많았다. 각 단원에서 그 중요도에 대한 이유로 상반 학생들은 ‘다른 단원이나 과목을 공부하는데 이용되므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많았으며 하반 학생들은 ‘시험에 자주 출제되므로’ 중요하다고 생각한 학생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상반 학생들은 공부하려는 의지가 하반 학생들보다 높으며 하반 학생들은 외적인 환경에 의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걸로 보인다.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일상생활에서 이용되지 않으므로’가 두 집단 모두에게 가장 큰 이유였는데 교사로서 실생활 응용면을 강조하여 가르치면 학생들의 태도에 많은 변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난이도에 대한 이유로 상반 학생들은 ‘생각해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많아서’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고 하반 학생들은 ‘내용 자체가 어려워서’ 라는 의견이 많은 걸로 보아 상반 학생들에게는 암기위주의 학습이 아닌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도해줘야 하며 하반 학생들에게는 내용을 쉽게 설명해서 단원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지도해줘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 선호도에 대한 이유로는 두 집단 모두 문제를 풀고 난 후에 느끼는 기쁨, 즉 단원에 대한 내용보다는 과정과 결과에 대한 느낌에 많은 비중을 두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으로부터 학생들에게 수학이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는 것은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수학 학습을 시작하게 하는 한 시발점이 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가 각 단원의 내용 도입 단계에서 그 단원의 학습 결과로 얻을 수 있는 여러 상황을 충분히 설명하여 그 내용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게 지도하는 것도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유발을 일깨우는 한 좋은 학습 방법이 될 것이다. 그리고 상반의 학생들에게는 지루하게 많은 단순한 계산 문제의 취급은 지양하고, 하반의 학생들에게는 각 단원의 학습 내용 도입 이전에 그 학습 내용에 필요한 선수 학습의 기본 내용을 이해하게 하는 것과, 상반 하반 모두에게 학습 성취가 일상생활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인식하게 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당연한 이야기지만 포기하지 않고 꾸준한 노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에는 학습태도 지도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함을 알 수 있다.

      • 인간의 관점에서 표현한 馬의 형상 연구 : 10가지의 주제 중심으로

        고영아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어떠한 대상이나 현상을 관찰할 때 개개인이 생각하는 태도나 방향을 주관적인 관점에서 표현한다. 이러한 인간은 감성을 지닌 존재이기에 사물이나 관심대상을 놓고 끊임없이 표현하고자 노력하며, 예술가들은 다양한 형태로 작가의 마음속 심리나 감정을 작품으로 표출함으로써 인간의 정체성(正體性)에 대하여 뒤돌아보게 한다. 도자예술을 공부하고 있는 본 연구자는 말(馬)의 선한 눈망울에서 느껴지는 친밀감과 역동성에서 전달되는 생명의 활력에 호감을 갖게 되었다. 그러한 말(馬)의 활동력은 삶의 긍정적인 에너지로 작용하였고, 말(馬)의 신체적 아름다운 곡선은 도자예술을 표현하는데 있어 매력적인 소재가 되었다. 본 연구는 인간이 생을 살아가면서 성장해가는 과정을 열 가지의 주제로 나누어 각각의 주제에 연상되는 말(馬)의 형상과 함께 조형 탑(塔)을 제작하여 인간의 관점에서 표현한 말(馬)의 형상을 연구하였다. 말(馬)이라는 소재와 조형 탑(塔)이라는 낯선 조합을 하나의 조형 작품으로 완성하여 연구자의 주관적인 관점으로 도자 예술을 새롭게 표현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 국내외의 문헌 자료를 통해 인간과 오랜 기간을 함께 지내온 말(馬)의 역사와 특성, 말(馬)의 종류, 그리고 말(馬)의 기능적인 구조를 설명하였으며, 말(馬)과 함께 하나의 조형물로 완성할 조형 탑(塔)에 대한 상징적 의미를 알아보고 주제에 맞는 말(馬)의 형태와 탑(塔)을 배치시켜 상징적 의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또한 말(馬)을 소재로 한, 국내 ․ 외의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관점 중심으로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When humans observe an object or phenomenon, they expressthe attitude or direction that an individual thinks from a subjective point of view. Since these human beings are emotional beings, they constantlystrive to express objects or objects of interest, and artists express their minds and emotions in various forms through their works, thereby making them look back on human identity. This researcher, who is studying ceramic art, has a crushon the vitality of life conveyed from the intimacy and dynamism of the horse's good eyes. Such an active power of the horse acted as a positive energy for life, and the beautiful curve of the horse's body became an attractive material for expressing ceramic art. This researcher divided the emotions that humans can feelin the process of growing up while living life into ten themes, and tried to express what is associated with each theme with the shape of a horse and a tower. For this study,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horse, the type and functional structure ofthe horse,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culpture tower to be completed together with the horse were investigat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new expression ofceramic art from the subjective perspective of the researcher by completing an unfamiliar combination of a horse and a sculpture tower into a single sculpture. Based on the work cases of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artists, I tried to produce a work centeredon the researcher's point of view.

      • 지자체 브랜드 광고캠페인의 크리에이티브 유형과 소구내용에 관한 연구

        고영아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ncept of urban marketing has been introduced since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was put into force with the advance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in the 1990s. Since the system began to be activated in 1995, competition between local self-governing bodies has rapidly been keen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ving for citizens, and make a differentiated and attractive city; as a result, they are now trying to be differentiated with others through urban brand strategies to commercialize a city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marketing.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activities to let these local self-governing bodies known play important roles and functions to allow those bodies to perform independent management and activate local economy as well as improving local identity and image of today. However, those activities are just limited to roles of simple public relations without any differentiated strategy. Advertising strategies of local self-governing bodi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ompanies. They need PR strategies to provide on-the-spot information in order to improve local image and recognition and provide tourists with travel convenience rather than advertising activities necessary to sell goods to consumers directly as companies do. Since they have strong functions of administrative service to indirectly support residents and firms that deal with, produce, and sell special products or tourism goods within a region, the purpose of self-governing management or managerial administration is to improve efficiency in administrative service, not to maximize profit-making as firms do. As for advertising strategies for local self-governing bod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proper structure and approach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the present condition and strategies of advertising campaigns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image of local self-governing bodies and activating local economy from the comprehensive point of view and, on this ground, to present a strategic direction for creativity and appeal of brand advertising campaigns for the bodies. In this study, 57 TV commercials of brand advertising campaign for local self-governing bodies and 250 ad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were sampled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08, followed by analysis. On the basis of 307 pieces in total, the present condition of creative strategies of brand advertising campaigns for local self-governing bodies was considered, along with contents analysis of TV commercials and ad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to play a useful role in establishing an advertising communication strategy for the bodies in the future. For printed advertising and TV commercials with different analysis items in terms of creative style, 250 pieces of printed advertising were coded with 41 analysis items, and 57 pieces of TV commercials with 34 analysis items; consequently, contents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creativity and appeal in five measures. They included advertising appeal, creative strategy, advertising model, information content, and creative style. To put the results together, urban brand advertising campaigns performed by each local self-governing body were based on rational, emotional, and realistic information, using no model; in other cases, ordinary consumers or heads of local self-governing bodies were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ultural tourism goods or investment industry attraction through a headline based on insistence, suggestion, or conclusion and in the form of realistic visuality for presenting goods. This demonstrated that advertising campaigns for local self-governing bodies were still standardized by providing simple information and informing facts in terms of creative strategy despite clear local properties while they were becoming specialized and activated. This implies that properties unique to each local self-governing body fail to be reflected well in advertising or to present a creative strategy properly. Since each local self-governing body has limitations in attracting customers with the existing methods, such as simple notification, while there is a flood of brand advertising campaigns for local self-governing bodies, including similar events, festivals, and similar benefits to investment firm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differentiated creative strategy from others to induce customers' participation; this study hopes to provide a strategic framework for establishing an ultimate goal of advertising campaigns for local self-governing bodies to activate local economy through capital investment and job creation within a city (economy-centered goal) and integrate communities through security of local identity (goal centered on politics and culture), that is, to crease sale of local special products and develop cultural tourism goods with focus placed on external shareholders, promote investment, attract industries, win fame and status of the city, and manage residents and immigrants. 1990년대에 들어 국제화, 세계화의 진전과 더불어 지방 자치제가 실시되면서 도시 마케팅 개념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1995년 본격적인 지방자치제의 활성화로 도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차별화된 도시, 매력적인 도시를 만들기 위한 지자체간의 경쟁의 폭이 급속하게 확대되었으며, 그 결과 이제 지자체는 기업의 마케팅적인 측면에서 도시를 상품화하는 도시브랜드 전략으로 타 지역과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지방자치단체를 알리기 위한 광고홍보 활동은 오늘날 지역의 정체성과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을 넘어 자치단체의 경영자립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각 자치단체의 광고홍보 활동은 차별화된 전략 없이 단순 홍보의 역할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지방자치단체의 광고 전략은 기업의 광고 전략과는 다르다. 기업과 같이 상품을 직접적으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데 필요한 광고 활동보다는 지역의 이미지 및 인지도 향상과 관광객의 여행 편의를 위한 현지 정보를 제공하는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또 지역 내의 특산품이나 관광 상품을 취급, 생산, 판매하는 주민과 기업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행정서비스 기능이 강하기 때문에 자치 경영 내지는 경영 행정의 목적이 기업과 같은 이윤 창출 극대화가 아니라 행정서비스 효율의 제고이다. 그러므로 지방자치단체의 광고 전략도 그에 적합한 구조와 접근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이미지 제고와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목적 하에 이루어지고 있는 광고캠페인의 현황과 전략들을 종합적인 시각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자체 브랜드 광고캠페인의 크리에이티브 및 소구내용에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의 지자체 브랜드 광고캠페인 TV광고 57점과 신문, 잡지광고 250점을 표집해서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총 307편의 자료를 토대로 지자체 브랜드 광고캠페인의 크리에이티브 전략의 현 상황을 밝히고, 향후 자치단체의 광고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유용한 역할이 되고자 신문, 잡지, TV광고를 중심으로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인쇄광고와 TV광고는 매체의 특성상 표현요소 면에서 분석 유목이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인쇄광고 250점의 광고물을 41개의 분석유목을 가지고 코딩하였고, TV광고 57점의 광고물을 22개의 분석유목을 가지고 코딩하였으며 그 결과는 크리에이티브 및 소구내용 전략요소를 5가지 척도에서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5가지 척도는 광고 소구방식, 광고 표현전략, 광고 모델, 광고 정보내용, 광고 표현요소로 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각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도시브랜드 광고캠페인은 이성적, 감성적, 사실정보 중심이고 모델은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했더라도 일반소비자 또는 자치단체장이 문화관광 상품이나 투자 산업 유치의 정보내용을 주장제안 및 단정적 헤드라인과 상품제시 유형의 사실주의 비주얼 유형으로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지자체 브랜드 광고캠페인이 전문화되고 활성화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크리에이티브 전략 면에서는 지역의 특색이 명확한 지자체 광고캠페인임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단순정보제공과 사실의 고지 등 획일화 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각 지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색이 제대로 광고에 반영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하며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지자체에서는 유사한 이벤트, 축제, 또 비슷한 투자 기업에 대한 혜택 등 지자체 브랜드의 광고캠페인이 범람하는 현실 속에서 단순 고지와 같은 기존의 방식으로는 고객을 끌어들이는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으므로 타 지자체보다 차별화된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통해 고객의 참여를 유도해야 도시 내부로의 자본 투자와 고용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경제중심 목적)와 지역정체성 확보를 통한 지역사회 통합(정치, 문화중심 목적) 즉, 외부 이해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한 지역 특산물 판매 확대나 문화관광 상품 개발, 투자촉진 및 산업 유치와 도시의 명성 및 지위 획득과 거주자 및 이주민 관리 등 지자체 광고캠페인의 궁극적인 목적을 수립하는데 있어 본 연구가 전략적 틀을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활용을 위한 Prototype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서울의 사대문을 중심으로

        고영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울은 1960, 70년대 이후 급격하게 산업화, 도시화되었다. 그 결과 인구팽창과 함께 수도로서 정치, 경제의 중심으로 발전하였고, 차량의 증가로 인하여 도심 교통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다. 청계고가도로를 시작으로, 서울의 고가도로는 도심 교통난의 해소와 현대적인 도시의 상징으로, 자부심의 대상으로서 건설에 박차를 가하기도 하였다. 또한 현재의 서울의 도로교통 측면에서 볼 때, 고가도로는 서울시내 총 97개에 총 연장 85.1km로 교통 분담에 있어서도 큰 역할을 하고 있어서 존재 자체를 부인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서울의 도심에 있는 도시고가도로는 대도시 교통기능의 분담과 경제적 편리성이 있는 이면에 시가지의 환경과 커뮤니티를 파괴하는 역기능적인 환경영향의 결정적인 결점을 가지고 있다. 구조물이 물리적으로 강한 시각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변의 건물과 가로가 어울리지 못하고 하부공간은 방치되고 있어 도시경관을 크게 해치고 있다. 따라서, 현실에 맞는 문제 해결을 위해서 고가도로의 철거와 같은 방법뿐만이 아닌 기존 시설의 존재와 역할을 인정하고 그 상황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그 방법의 하나로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한 건축행위를 통하여 문제해결을 시도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도심고가도로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통하여, 고가도로의 정의 및 고가구조물의 하부공간환경에 대하여 조사하고 일본과 미국의 사례를 통하여 고가도로 하부공간에 적용가능한 사례에 대해 조사하였다. 여기에 도심 유휴공간을 활용한 예를 통하여 고가도로 하부공간에 적용성을 검토해 보았다. 두 번째로, 전국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고가도로의 모든 조건을 조사하기보다는 서울시내 중에서도 가장 도시민의 이용도가 높은 도심부 내의 고가도로를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그 대상지는 퇴계로의 광희고가도로, 서소문로의 서소문고가도로, 충정로의 서대문고가도로, 퇴계로의 회현고가도로, 퇴계로의 서울역고가, 청계로의 청계고가도로, 창경궁로의 원남고가도로이며 총 7개 구간이다. 사대문안 고가도로의 현황조사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 도심 고가도로 하부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해 본다. 세 번째로, 사대문안 고가도로 중 비교적 조건이 상이한 두 곳의 주변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이를 통하여 현재 하부공간의 이용현황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 상태와 계획될 공간의 용도와 환경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조사하고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디자인 방법론에 근거하여 용도와 디자인에 따른 Prototype을 제시한다. 용도에 따라서 가변형 건물, Open Space 및 소공원, 주차장을 제시하였다. 외관 디자인에서는, 외관차단, 전체차단, 개방형으로 분류하였다. 결론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계획시, 그 건축물을 이용할 미래 사용자의 의견을 참고하여 용도와 디자인에 따른 5가지의 Prototype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도심의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계획시, 참고가 되고자 한다. 디자인 과정은 결국 무엇을 만들고자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각각의 Prototype을 서로 조합하여 도심지 고가도로주변 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건축형태를 창출할 수 있다고 본다. Seoul has been industrialized and urbanized rapidly since 1960's. As a results, it has been not only experienced a population explosion but also played a central role of politics and economy as a capital. These factors caused a increasing traffic congestion in the central area of Seoul and to solve the problem, since first Chung-gae elevated road, many elevated roads in the city were constructed. Also, overpasses of Seoul have transported many vehicles. Elevated roads of downtown have reversal faces. one of sides can relieve traffic jam and be of benefit economical facility. But in another side, it has many faults such as destroying environment of city or community, visual pollution due to the gigantic structure. These structures possess the visual characteristics, so doesn't match with other buildings and streets, leave the space under elevated roads unoccupied and bring on many problems. So, tying to solve the problem: Instead of taking away elevated roads, we have to recognize the existing structure and find another way to use elevated roads constructively. One of approaching the problem, this subject should follow the user's opinion. First of all, throughout the general consideration about elevated road of downtown, this study researches about definition of elevated road and the space under elevated road. This study also look into examples to be applied to the space under elevated road through cases of Japan and United State, and then with useful cases, this study inquires into application about the developing space under elevated roads. Secondly, not researching conditions of elevated roads in all around Korea, this study is limited to fields of research in Seoul about elevated roads which have high coefficient of utilization of residents in Seoul. Fields of research are 7-areas; Gwanghui elevated road in Toegyero, Seosomun elevated road in Seosomunno, Seodaemun elevated road in Chungjeongno, Hoehyeon elevated road, Seoul station elevated road in Toegyero, Cheonggye elevated road in Cheonggyecheonno and Wonnam elevated road in Changgyeonggungno through research about the present conditions of elevated roads in the downtown area where is inner places of 'Sadaemun'. This way will point out the various way in order to solve the developing space under elevated roads. Thirdly, this study inquired into two kinds of residents who lived near totally different elevated roads in 'Sadaemun' with research papers. With these, this study analyzes perceptions of the present condition in the space under elevated roads, use of planed space in the near future and preference of environment. Finally, based on data from research, this study shows prototype which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purpose ; variable form, open space and small park, and parking area. In design about external appearance, this stud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design; external exclusion, entire exclusion and openness. As a result, based on use and design, this study shows six prototypes with referring future user's opinion who reside in near elevated roads. These prototypes should be reference to plan the space under elevated roads. As you already know, design process is 'make something' process. So, it can be possible to create various architectural format, considering about condition of near elevated roads in downtown with compounding of each proto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