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소비자의 잠재된 니즈 분석을 통한 디자인 상품화 과정에 관한 기초 연구

        고영미 ( Young Mi Ko ),김은선 ( Eun Seon Kim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5 No.-

        본 연구는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브랜드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인지하는 것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에 앞서 기업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디자인 요소의 실험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구 기업 중에서도 디자인 중심적 기업 경영을 하고 있는 D기업을 실증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ZMET 기법은 현재 기업의 마케팅 분석에 있어서 이미지를 통해 소비자의 잠재의식을 알아보는 기법으로서 효율성이 입증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ZMET 기법을 응용하여 소비자의 잠재된 니즈 분석을 통한 디자인 상품화 과정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ZMET를 응용한 은유기법을 통해서 상품화나 기업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소비자의 형태 이미지나 색채 심리 등으로 도출되어 지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실험 방법인 은유 기업은 소비자의 잠재된 생각을 통해서 기업디자인 전략 수립에 많은 도움과 효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study focused on analyzing user`s recognition of a brand image. Design parts take great position in forming a business brand before an actual proof analyzing. Therefore, the study selected D, which concentrates on design parts of furniture business as an actual proof analyzing subject. ZMET method is used to analyze the current business marketing as a way of finding buyer`s subconscious awareness and shows its effectiveness. So the study would like to research about the identity of a brand image and a design image applying ZMET. The study is about the standard model for the identity of a brand image and a design image and is expected the way of offering and improvement about the basic materials analyzing the position by objective data.

      • KCI등재

        연구논문 : 우유와 즉석섭취 메추리알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지방과 저장온도의 영향

        고영미 ( Young Mi Ko ),홍수현 ( Soo Hyeon Hong ),박근철 ( Guen Cheol Park ),나유진 ( Yu Jin Na ),문진산 ( Jin San Moon ),윤기선 ( Ki Sun Yoon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4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0 No.5

        According to the microbiological standard, Staphylococcus aureu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Listeria monocytogenes should not be detected in milk and egg products in Korea. Refrigerated food such as milk must be kept under 10°C at retail markets. However, temperature abuse of refrigerated foods at such markets is often observed. We compared the growth and survival kinetics of S. aureusand C. perfringens at 10 and 15°C, and the growth kinetics of L. monocytogenes at 4 and 10°C in whole and skim milk and ready-to-eat (RTE) quail eggs to evaluate their growth possibilities at retail markets. Regardless of storage temperature, the level of S. aureus reached the maximum level (108-109 CFU/ml) in whole milk, non-fat milk and RTE quail eggs within the expiration date. Even low contamination levels of S. aureus (10 CFU/mL) grew rapidly in milk and quail eggs to reach the maximum level within the shelf life. Survival of C. perfringens in whole milk was greater than that in non-fat milk, indicating that the fat content in milk influences the survival of C. perfringens. For L. monocytogenes, the population in milk increased by 0.5-1 log CFU/mL at 4°C, while the populations reached the maximum level at 10°C within the expiration date, regardless of initial contamination levels. In quail eggs, L. monocytogenes grew to the maximum level within the expiration date (60 days) at both temperatures. S. aureus and L. monocytogenes must be controlled to be negative, and proper temperature management should be emphasized at retail markets to protect the consumer. Since C. perfringens did not grow in milk and RTE quail eggs, there is no risk due to the growth of C. perfringens in these products at retail markets.

      • KCI등재

        금융회사 리스크 관리와 채권 기반 임원보상제도

        고영미(Young-Mi Ko) 한국기업법학회 2014 企業法硏究 Vol.28 No.4

        본 논문은 최근 미국 및 유럽에서 부상하고 있는 기업 채권(예를 들면, 후순위채나 채무 증서 등)을 이용한 보상 방식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임원보상에 관련한 이러한 새로운 동향을 소개하고, 우리나라의 금융회사와 규제기관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특히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부상하고 있는 조건부자본증권이 이와 같은 채권을 이용한 보상의 구체적 방식으로써 이용될 수 방안을 개발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설계 방안, 국제적인 활용 예, 그리고, 금융회사 임원에 보상을 규정하는 한국의 현행 제도에 편입시키기 위한 방안 등을 연구하였다.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존 임원보상 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바람직한 임원보상 정책의 수립 필요성과 이를 위한 적정한 보상 책정 기준들을 제시할 것이다. 특히, 기업 채권을 이용한 임원보상 공식 등 임원보상 책정을 위한 새로운 기준은, 임원 보상 체계를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익과 연계되도록 설계됨으로써, 경영진으로 하여금 업무성과에 있어서의 단기주의와 업무수행에 있어서의 과도한 위험 추구에 대한 유인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논문은, 임원 보상을 위한 기업채권의 이용에 대한 논의를 소개하고, 더 나아가, 구체적인 실행 방안 중 하나로써의 조기 전환 발동장치를 가진 조건부자본증권의 활용을 제안한다. 결국, 이 논문의 가장 중요한 핵심은 시스템상 중요한 금융기관(Syste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s, the “SIFIs”)의 경영진으로 하여금 리스크 인수를 줄이도록 하는 강력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조건부 자본의 기능에 대한 조명에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개별적인 법 조항들로부터 제기될 수 있는 법적 쟁점에 대한 구체적 분석보다는 금융기관의 지배구조 개선 및 효율적인 리스크 관리를 목적으로 한 법 경제학적법 정책학적 담론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From the early stage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7-2009, existing executive compensation program has been criticized since it could be one of main factors that magnified the crisis with its flawed compensation formula and high level of compensation. The considerable amount of executive compensation was focused on equity-based compensation, which leads executive to take inappropriate risks, concentrate on short-term performance, neglect sustainability, and pose traditional moral hazard. As proved by some empirical researches, executives who hold more debts compared to equity holdings would take decreased risks. The debt-based compensation will provide the executives with incentive to take the creditor-centered approach, resulting in less risk taking, less income inequality, overcoming short-termism, producing sustainability, and constraining moral hazard. Since the Financial Crisis, reform proposals of corporate governance have stressed on the importance of optimal framework for executive compensation package. Equity-based executive compensations such as deferred-equity compensation and restricted-equity compensation hav been developed, which could satisfy the demands for performance-based compensations, however, could not address the problem of excessive risk takings by executives. This article introduces a development tendency of executive compensation focusing on the debt-based executive compensation, which is getting increasingly more interests in Europe and US, in order to provide several implications for financial regulatory agencies and financial institutions in Korea. If financial institution includes contingent convertible bond in executive compensation package, its management will not take excessive risks since the part of managers" interests are aligned with creditors" interests. In particular, the contingent convertible bond has a great potential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of syste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s when it is designed with earlier trigger feature.

      • KCI등재
      • KCI등재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미국의 금융기관정리제도의 개편이 한국에 주는 정책점 시사점

        고영미(Ko, Youngmi)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4 江原法學 Vol.41 No.-

        본 논문은 금융위기 이후 재편된 미국 부실 금융기관정리제도의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각 정리제도의 주된 차이점,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향을 검토하여 한국의 정리제도의 올바른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또한,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에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정리제도를 둘러싼 논의들이, 조율되고 조정되는 과정을 연구하여, 국내 금융의 안정과 발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금융분야에 있어서의 국제적 신인도와 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제 Ⅰ장은 금융기관을 위한 특별한 정리제도에 관한 일반적인 고찰로써, 금융기관을 위한 특별한 정리제도가 필요한 이유와 정리제도가 가지는 일반적 성격, 국경간 공조의 일반적 필요성 등을 살펴본다. 제 Ⅱ장은 파산법 (Bankruptcy Code), 연방예금보험법 (the Federal Deposit Insurance Act, (the “FDIA”)), 그리고 도드-프랑크법 Title Ⅱ (강제청산제도, the Orderly Liquidation Authorities (”OLA”)) 등 금융기관을 위한 미국의 정리제도들을 소개한다. 이 장은 미국의 각 정리제도를 정리 대상, 목적, 그리고 정리 당국을 중심으로 비교하고 실패 금융기관에 대한 단계에 따른 정리 절차 중 핵심 사항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였다. 제 Ⅲ장은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 동안 (2007-2009) 새롭게 파악되거나 재확인된 문제점들과 금융 안정성을 보장하고, 시스템 리스크를 방지하고, 또한 공적자금의 이용을 최소화 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정리 수단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 특히, 바젤은행감독위원회(the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the “BCBS”)) 및 금융안정위원회 (the Financial Stability Board (the “FSB”))가 제시한 손실흡수수단과 정리 및 회생 계획을 포함한 개선안을 소개하고, 이러한 방안의 한국과 미국에서의 도입과 관련하여 발생될 수 있는 법적 쟁점들이 논의될 것이다. 제 Ⅳ 장은 결론이다. Generally, the special acts which cover the resolution and rehabilitation process can be applied to when the financial standings does not reach the certain standard not only to the emergency situations like insolvency. In United States, bank failures are different from other types of bankruptcies. While the provisions of Federal Bankruptcy Code govern the insolvency of individuals and most business entities, insolvency of bank is regulated under the provisions of the Federal Deposit Insurance Act. The FDIC, utilizing administrative process, administers bank Insolvencies. In the context of resolution of failed banks, authorities have to decide whether or not to follow the modified bankruptcy process for general corporations or the special insolvency regime designed only for banks. Some countries apply the bankruptcy frameworks of general corporations to failed banks in the same manner that they would do to non-financial institutions, most of which are to some extent properly modified for banks. These special provisions are established in order set up the process to impose administrative authorities, provide special management tools for financial contracts, unpaid security transactions, and financial collaterals, and regulate the operations of deposit insurance regime, which includes the creation of the right of subrogation for deposit insurance agency to the depositors over the amount paid to them. Other countries however have a special resolution regime for insolvent banks. By adopting the resolution regime for failed banks rather than the bankruptcy regime for nonbank firms, the resolution regime facilitates prompt actions for failed banks and provides consistency between both the supervision of and insolvency-related measures of banking authorities. While no evidence has proven the superiority of either framework, during and after the recent financial crisis of 2008, many countries have adopted or considered to introduce the special insolvency regime for banks.

      • KCI등재

        호주의 법 교육 및 변호사 양성 제도

        고영미(Ko, Yong-Mi)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30 No.2

        호주는 영국의 법과 제도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즉 영국의 법제도와 법문화를 이어받으면서, 법학교육과 사법제도도 영국과 유사한 면을 유지하고 있다. 변호사를 예로 들면, 영국에서와 같이 변호사(lawyer)는 다시 사무변호사(Solicitor)와 법정변호사(Barrister)로 구분이 되며, 이들의 자격취득요건과 방법, 가능한 법률업무도 다르다. 호주는 변호사 자격을 취득(admission)하기 위해서 법학학위(LLB, JD)을 취득하고 실무수습을 거쳐야 한다. 이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한 후에, 사무변호사(Solicitor)나 법정변호사(Barrister)로 개업해서 법률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사무변호사(Solicitor)가 되는 것은 별도의 시험이 필요 없지만, 법정변호사(Barrister)가 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시험(Bar Examination)에 합격하고 추가적인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호주의 법학교육이나 사법제도 등은 영국의 것을 계승하였지만, 한편으로 연방국가이기 때문에 법원체제는 미국과 비슷하다. 즉 법원체제는 크게 연방법원과 주법원으로 나눌 수 있는데, 연방 최고법원은 “High Court of Australia”이며, 주 최고법원은 대부부분의 주가 “Supreme Court”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각 주나 준주의 법원에서 법률업무를 하는 사무변호사나 법정변호사는 일정한 절차를 거쳐 연방법원에서 사무변호사나 법정변호사로 활동할 수 있다. 즉 연방차원에서 변호사자격부여와 법률업무수행 요건 등에 대해 별도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호주 6개의 주 중에서 뉴 사우스 웨일즈주(New South Wales)를 중심으로, 빅토리아주(Victoria), 퀸스랜드주(Queensland)의 법학교육과 변호사 자격제도에 대해 살펴보겠다. Australia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British law and legal system. In other words, with the succession of the UK’s legal system and legal culture, the legal education and judicial system also maintain a similar aspect to those of the UK. As is the case in the UK, for example, lawyers are classified as a solicitor and a barrister, and their qualification requirements, methods and possible legal affairs are different each other. Australia needs to obtain a law degree (LLB) and certificate of practice in order to obtain a lawyer’s license. After meeting these two requirements, additional procedures are required to be a solicitor or a barrister and to practice legal affairs. Being a solicitor does not require a separate test, but one must pass a separate bar exam and complete additional courses in order to become a barrister. Although Australia’s legal education and judicial system succeeded the those of Britain, the court system is similar to the United States because it is a federal state. That is, the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ederal and state courts, which are “High Court of Australia” and the state’s highest courts use the name “Supreme Court” in the most of the states. A solicitor or a barrister who performs legal duties in courts in each state or territory can act as a solicitor or a barrister in federal courts after completing a certain process. In other words, the requirements for a federal attorney’s license and training legal practice are not separatedly provided. In this paper, I will study on law eduction and legal training system of Australia, focusing on New South Wales, on law education in Victoria and Queensland.

      • KCI등재

        국제 기준의 채권자손실분담제도의 한국 내 입법 방안: 베일인 대상 채권의 구체화 및 법적 타당성을 중심으로

        고영미 ( Youngmi Ko ) 한국금융학회 2017 금융연구 Vol.31 No.1

        효과적인 정리 체계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주주 및 무담보 채권자들이 손실을 흡수`하도록 하고, `위험의 전이가 최소 수준에 그치도록 관리`하며, `공적자금의 지출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베일인 규정에 기초하여 상각 또는 주식으로의 전환 조치를 실행하는 경우, 정리체계 내에서 채권자평등의 원칙, 법적 우선순위, 해당 채권의 순위 등 일반 도산법상의 원칙이 존중되어야 한다. 베일인(bail-in)의 법체계는 특히 `예금에 대한 취급`, `파생상품에 대한 취급`, `담보채권에 대한 취급` 등에 관한 내용을 반드시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정리 수단의 효율을 높이고 손실흡수로부터의 회피를 방지하기 위해서 베일인 대상 채권이 넓게 설정될 필요가 있으나, 베일인 적격성과 범위를 정하는 기준은 명확하고 엄밀하게 규정되어야 한다. 기본적으로는 베일인 대상 채권에 포함되는 채권이라도 신용시장의 적절한 기능 보장, 금융 안정성의 유지, 그리고, 영업의 지속성 등을 위하여 꼭 필요한 경우 베일인의 적용을 면할 수 있다. 또한, 짧은 만기의 채권들 중 회사가 회생 불능 상태에 근접할수록 변동성이 매우 커지는 채권들은 베일인 조치의 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다른 단기 채권들은 베일인 대상에 포함될 수 있으나, 채권의 우선순위에 따라 장기 채권들이 이들 보다 먼저 손실을 흡수하게 된다. 본 논문은 채권자손실분담제도로서의 정리절차 내 베일인(Bail-in within Resolution, 이하 “베일인”)의 한국 내 도입과 관련한 법적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그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특히 베일인 적용, 적용의 면제 또는 차등적 적용의 대상이 되는 채권들을 법률상 구체적으로 규정하기 위한 법적 기준과 구체적 타당성을 제시한다. 예금기관에 대한 베일인 실행은 헌법에 합치하고 동시에 금융안정 및 예금자 보호에 충실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논문은 예금자우선보호제도가 도입되지 않은 현행 법체계 내에서 베일인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예금자도 적절히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국제적 합의의 준수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2017년 말까지 베일인을 포함한 국제기준 금융회사 회생·정리제도를 도입하기로 확정한 상황에서, 예금자 우선보호제도의 도입을 전제로 베일인 도입을 논의한다면, 베일인의 도입이 지체될 수 있고, 또한, 제도에 대한 성숙된 논의가 충분히 전개되기도 전에 예금자우선보호제도의 도입이 좌절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Since 2007~2009 global financial crisis, Basel Committee has concentrated on the elements and legal framework requirements that jurisdictions need to muster with their resolution regime for bail-in within resolution to be effective. The FSB has consulted on how to apply bail-in as a resolution tool in detail. FSB introduced statutory bail-in powers as a resolution tool in its recommendations on legal framework for bank resolution, the “Key Attributes of Effective Resolution Regimes.” Bail-in within resolution is an additional resolution tool that could be applied in combination with other resolution tools, satisfying the KAs for a robust resolution regime. In the context of loss absorbing tools within resolution process, there were two noted approaches proposed: First, the proposal of the “Non- Viability Contingent Capital (NVCC)” is to require all non-common equity Tier 1 and Tier 2 instruments issued by banks to include a clause of mandatory written-off or conversion into common equity on the point of trigger events; Second proposal is the statutory `bail-in` to provide `strong arm` powers to supervisory/regulatory authorities for banks to write down or convert into equity or debt instruments under certain conditions. Above two systems are paid attentions for the resolution plans that can replace the public fund injection since global financial crisis. However, related to these systems,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range of responsibility for the insolvency, and the conflicts with the domestic laws including consitutional law. In order to mitigate tough legal challenges and strong political opposition it may face, a clear and convincing legal procedure of “bail-in” is critical to its effectiveness. Non-viability address in the document, “Minimum requirements to ensure loss absorbency at the point of non-viability” could be considered triggering event although the meaning of “non-viable” is not clearly defined and left to each national authority to determine. The non-viability in this context is different from the non-viability of a “gone” or “gone concern” which is relevant to insolvency or liquidation. Many support in principle that bank`s regulatory capital should absorb losses, but loss aborting capital structure has to be designed with deep consideration of significant risks in the context of bank capital structure. Regulators have to keep in mind the principles such as respect for the sanctity of existing contracts, maintaining the hierarchy of the capital structure, and ensuring that future bank debt is adequate for the investor base. The minimum discretion is allowed to regulators in triggering a bail-in. It should be applied only at the moment of non-viability, accompanied by transparent triggering and consequences. Insolvency or restructuring of financial institutions requires more strict procedure in its resolution than other corporations. Related to the problematic situation of the financial institutions, because the identifying illiquidity from insolvency of them is generally difficult and the interest parties such as debtors and creditors are many, and the situations are complexes, highly professional skills are required to resolve the problems. The legal and operational issues have been examined by the FSB in the context of both contractual bail-in instruments and on statutory bail-in mechanisms. Basel Committee concentrates on the elements and legal framework requirements that jurisdictions need to muster with their resolution regime for bail-in within resolution to be effective. In this article, the primary scope of my research is limited to the constitutional law of Korea in order to review relevant conflicting issues when the bail-in proposals are implemented into Korea. Last but not least, I will study how depositor preference regime would impact on the priority ranking of claims and priority ranking of loss absorbency vise versa, suggesting the potential feature of bail-in regime with proper consideration for the deposit taking institutions of Korea.

      • KCI등재

        홍콩의 법 교육 및 변호사 자격 취득 절차와 법률 서비스 시장에 관한 연구

        고영미 ( Youngmi Ko ) 안암법학회 2017 안암 법학 Vol.0 No.53

        홍콩은 역사적으로 영국의 식민지화와 반환을 거쳐 오며 “1국가 2체제”의 형태로서 발전해 왔으며, 그 제도적 기반을 영국으로부터 계수해왔기 때문에, 변호사 제도 역시 영국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서는, 영국의 변호사제도를 따라 사무변호사와 법정변호사로 이원화된 것을 들 수 있다. 원칙적으로 법정변호사가 법원에서의 변론을 담당한다. 그리고 일부 사무변호사의 경우에 일정기간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면 법원의 허가를 얻어 소송대리를 할 수가 있다. 현재 홍콩 또한 영국과 마찬가지로 사무변호사의 역할을 보다 확대하는 방향으로의 제도 개편 논의가 진행 중에 있다. 일정한 범위 내에서 사무변호사가 법정에서 변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제도 개편 논의의 중심 부분이다. 홍콩의 법률서비스 부문은 특히 중국 관련 투자에 수반되어 요구되는 전문 서비스를 만족시키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중국은 아시아의 최대 M&A 시장 중 하나이고, 세계적으로 최상위 법률 자문가 다수가 이 지역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홍콩에 진출해 있다. 한편, 홍콩의 로펌은 중국 관련 국제적 업무에 있어 강력한 네트워크와 고객을 확보해 왔다. 더욱이 홍콩 내 상장한 중국의 기업들이 간소화된 절차에 의해 홍콩 내 사무소를 설립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홍콩의 로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광범위한 전문적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홍콩의 변호사자격 취득 경로 및 절차에 대한 간략한 소개, 홍콩 내 대학들이 제공하는 법학 및 실무 교육 내용, 홍콩의 변호사 구성 체계와 사무변호사 및 법정변호사의 자격취득요건, 외국 변호사의 홍콩 내 법무활동, 홍콩 법률산업의 특징 등이다. On the ground of the Constitution of People`s Republic of China("PRC"), National People`s Congress enacted the Basic Law of the HKSAR, which had an effect from 1 July 1997 on the establishment of HKSAR. In accordance of Basic Law,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common law such as `the rule of law` will be continuously effective under the legal system in the HKSAR and previous laws are insured to be effective except any contradict to the Basic Law or subject to subsequent legislative amendment by the HKSAR. In Hong Kong, the legal profession in Hong Kong is clearly divided into two -barristers and solicitors. Barristers hold unlimited rights of audience in all courts and tribunals where they are to provide legal representation, while solicitors have limited rights of audience before court. Under the current system in Korea, there are increasing concerns that the law schools have a misplaced incentive to make students pass bar exams as many as possible, not able to provide them appropriate skills and knowledge required to meet standard for current legal service market. We should note the recent debates in Hong Kong on whether law schools play more active role to provide practice skills through the special course of law schools such as PCLL rather than within the academic law degree curriculum.

      • KCI등재

        탈중앙화 자기주권신원인증(DID)에 대한 법적 고찰

        고영미 ( Youngmi Ko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45 No.1

        데이터의 경제·사회적 가치가 상승함에 따라 데이터 경제가 민주화되고 국가·개인의 ‘데이터 주권(정보주권, Data Sovereignty)’ 개념이 부상하였고, 개인은 자신의 정보에 대한 관리권한을 갖고 정보를 활용하고, 또한 자기 정보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확대하기 위한 데이터주권(정보에 대한 자기주권)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정보주권을 확보한 개인이 스스로 결정하여 제공한(즉, 정보 제공의 자기결정권을 행사하여) 데이터를 기업은 비로소 안심하고 수집·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데이터 주권강화를 위한 반영한 우리나라의 주요 정책으로는, 1) 개인정보 이동권 도입을 통한 정보주체의 자기결정권 강화, 2) 데이터의 국외 이전 중단 명령권 도입과 국외 재이전시 보호조치 의무 강화, 3) 정보 주체 중심의 데이터 활용체계(마이데이터) 마련 등이 있다. 본 논문의 주제인 자기신원주권은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으로 대두된 개념으로 제3자의 개입 없이 개인이 주권을 가지고 신원을 관리/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신원 인증 방식이다. 따라서, 자기주권 신원증명(SSI, Self-Sovereign Identity)는 어느 정도 ‘자기주권 강화’ 개념의 적용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자기주권 신원증명은 이전과 다르게 개인이 직접 자기의 정보를 보유하고 신원을 인증하는 방식이다. 지금까지는 계정을 발급해주는 기업(기관)에서 개인 정보를 보유하고 개인의 신원을 인증해주었는데, 이러한 방식은 데이터 소유권에 있어서 논란이 있다. 서비스 이용 중에 발생한 개인의 활동 정보까지 기업(기관)에서 관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기신원주권(SSI, Self-Sovereign Identity)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주는 주요한 해법으로 주목 받고 있다. As the economic and social value of data increased, the data economy became democratized and the concept of “data sovereignty” emerged, and individuals needed data sovereignty to use information with control over their own information and to expand their own decision-making rights. This means that the data provided by individuals with such information sovereignty (i.e., by exercising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information provision) will only be collected and utilized by the entity with confidence. Korea’s major policies reflecting the strengthening of data sovereignty include 1) strengthen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information subject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movement rights, 2) introducing command rights to suspend data transfers, 3) strengthening overseas relocation protection. Self-Sovereign Identifier, the theme of this paper, is a concept emerging as an advancement of blockchain technology, and is a new paradigm in which individuals can manage/use identity with sovereignty without third party intervention. Thus, Self-Sovereign Identity (SSI) can be seen as somewhat indicative of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enhancing self- sovereignty’. Self-sustaining identity verification is a way for individuals to have their own information and identify themselves, unlike before. Until now, companies (agencies) issuing accounts have held personal information and certified individuals’ identities, which are controversial in their data ownership. This is because companies (agencies) can manage information on individual activities that occurred during the service use. Self-Sovereign Identity (SSI) is a major solution to this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