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 3-4세 아동의 신뢰성 판단에 관찰 경험이 미치는 영향

        고연정,최영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4 No.4

        만 3세 아동은 어떤 사실을 직접 목격하고도 이에 대해 성인이 다르게 진술하면 자신의 경험보다 성인의 진술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반응을 보인다. 이러한 반응은 성인의 거짓된 진술이 반복되어 아동이 계속 손해를 보는 상황에서도 유지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달리 4세 이상의 아동들은 타인의 진술이 자신들이 목격한 사실과 다르거나 반복되어 허위임이 드러나면 곧바로 성인의 진술을 무시하고 자신의 경험에 따르거나 성인의 허위진술에 반대되는 사실을 추론해낸다. 최근 연구들은 만 3세 아동도 정보 제공자가 아동에게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경험하게 되면 추후에 부정확한 정보 제공자의 진술을 맹목적으로 따르지 않게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 제공자의 정확도에 대한 경험이 직접적이지 않고, 제 3자의 입장에서 관찰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경우에도 만 3세 아동이 이를 추후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정보 제공자가 정확한 정보만 주는 상황과 부정확한 정보만 제시하는 놀이 상황을 각기 제시하고 관찰 경험 후, 성인 정보 제공자와 직접 상호작용하게 될 때 정보 제공자의 진술을 정확도에 따라 반영하거나 무시할 수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3세 아동도 제 3자적 입장에서의 짧은 관찰 경험을 통해서도 정보 제공자의 정확도를 파악하고 이를 본인들의 의사 결정에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ree-year-old children have a robust bias to trust adult’s testimony, even after they witnessed what actually happened, and that the adult’s testimony was incorrect. By contrast, children older than 4 years do not show such bias to trust other’s testimony as soon as they realize that the informant provided wrong information. Resent studies suggest, however, that 3-year-olds can overcome this bias when they have a direct experience about the accuracy of information provided by a particular informant.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3-year-olds can utilize indirect experience (observing others’ interactions as a third person) about potential informants with whom they have to directly interact with later. Three- to four-year-olds first observed two potential adult informants’ interaction under a sticker-finding game situation, and then were asked to play the same game with one of the informants. The results showed that even 3-year-olds can track an informant’s (in)accuracy during observation and use such experience to determine who they can trust versus not.

      • KCI등재

        만 3세 아동의 타인 증언 신뢰 편향성 검증

        고연정,최영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1

        Three-year-olds show some difficulty overcoming their bias to trust others’ testimony, especially when the informant was previously honest but became dishonest during interaction with the child. We examined two factors that might present further difficulties to children at this age: (1)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informant’s trait change (positive to negative versus negative to positive) has an influence on the child’s performance (Exp. 1) and (2) whether another adult’s responses to the informant in a prior observation session (Exp. 2) influences the child’s performance.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direction of the informant’s trait change did not affect children's performance, other adults’ responses to the informant was a somewhat influential factor in 3-year-olds’ later responses to the informant. 만 3세 아동은 타인의 증언을 다소 맹신하는 경향을 보이나 상대의 정직성이나 지식수준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하고 나면 어느 정도 이러한 경향성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4세 아동에 비하여 3세 아동은 여전히 타인을 믿는 경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찰 시 정직하였던 타인이 자신과의 직접 대면에서 부정직하게 행동하게 되면, 만 4세 아동은 이러한 변화에 잘 적응하여 더 이상 타인을 믿지 않게 되지만 이에 반해 만 3세 아동은 계속해서 타인의 말을 믿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만 3세 아동이 이와 같이 타인의 신뢰 경향성을 쉽게 극복하지 못한 원인을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고자 하였다. 우선, 3세 아동의 어려움이 타인의 긍정적인 특질(정직)이 부정적인 특질(부정직)로 변화하였을 때에만 나타나는 것인지 살펴보았다(실험 1). 둘째, 신뢰성을 판단할 대상에 대해 또 다른 타자가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대한(예, 부정직한 사람에게 순응하는지 순응하지 않는지) 관찰이 아동의 판단과 수행에도 영향을 끼치는지 검토하였다(실험 2). 실험 결과, 만 3세 아동은 부정직하던 타인이 정직해졌을 때에도 여전히 타인을 따르는 경향을 보여 타인의 특질 변화의 방향성의 영향을 받지는 않은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제3자적 사전 관찰 경험 시 신뢰성 판단 대상에게 타자가 순응적으로 반응하는지 아닌지는 아동의 수행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관찰 경험에서 제시된 두 사람의 특성이 3세 아동의 수행에 모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프랑스 19세기 회화에서 일본 이미지의 재현

        고연정,이제현 유럽문화예술학회 2022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3 No.2

        19세기 프랑스 회화에서 자포니즘은 예술 사조이기보다 일본 예술 애호 경향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동방 이미지의 차용과 유사한 형태로, 타국의 문화와 자국의 문화 간 우열 비교를 통한 자국의 ‘문화적 정체성 확립’이라는 정치적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Saïd, 1963-2003) 가 부여한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의 정의는 지정학적으로 동방을 동양으로 본 관점에 가깝다. 그는 1978년 발표한 저서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에서 서구에 의한 동양 사회의 정의 및 규정은 지적 폭력이며, 이러한 일방적 시선에 따른 고정관념들이 오리엔탈리즘의 본질이라고 설명한다. 이에 따라, 시각 예술에서 오리엔탈리즘은 작가의 생태적 환경과 사상이 조성된 문화적 여건에 기반한 동양 이미지의 유, 무의식적 묘사라 볼 수 있다. 신고전주의 시대부터 낭만주의 시대까지 프랑스 회화의 오리엔탈리즘 경향은 동방에 대한 묘사를 통해 나타났으며, 대표적으로 장-오귀스트-도미니크 앵그르 (Jean-Auguste-Dominique Ingres, 1780-1867)와 외젠 들라크루아(Eugène Delacroix, 1798-1863)의 회화에 서 동방은 야만적이며 향락적인 모티프가 주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19세기 인상주의 화가들을 필두로 유행한 자포니즘(Japonisme) 경향 역시 이러한 오리엔탈리즘 경향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프랑스의 이국 취향은 미적 기호에 따른 취향의 문제 이전에, 문화의 계층화를 통한 정체성 의 확립이라는 비판적 해석을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동방을 주제로 했던 오리엔탈리스트들의 회화와 는 달리, 자포니스트(Japoniste)들의 회화에서는 일본 회화에서 나타나는 화법과 화면 구성 요소를 사용하는 경향을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19세기 프랑스에서 자포니즘이 발생한 배경과 그 수용 과정을 당대 화가들과 후원자들의 경향에 따른 사회적 흐름을 바탕으로 살펴보고, 자포니즘의 이국 취미적 특징 중 ‘일본 모티프의 차용’과 ‘일본 화법의 수용’을 구분하고, 19세기 프랑스 회화의 자포니즘 경향에 대한 해석을 다양화 하고자 한다. In 19th-century French painting, Japonism can be seen as a dilettantish trend in Japanese art rather than an art period Japonism. In a similar form to the borrowing of Eastern images, it has a political purpose of establishing its own 'cultural identity' through comparison of superiority and inferiority between cultures of other countries and their own cultures. The definition of orientalism (L’orientalisme) given by Edward Saïd(1963-2003) is closer to the geopolitical perspective of viewing the East as the Orient. In his book ‘Orientalism(1978)’, he explains that the definition and regulation of Eastern society by the West are intellectual violence, and that these stereotypes based on one-sided views are the essence of Orientalism. Accordingly, Orientalism in a visual sense can be seen as the conscious/unconscious description of the oriental image based on the cultural background where the artist’s ecological environment and idea was established in. From the era of neoclassicism to romanticism, the tendency of orientalism in French painting has been shown as the description of the Orient. Representatively in the paintings of Jean-Auguste-Dominique Ingres (Jean-Auguste-Dominique Ingres, 1780-1867) and Eugène Delacroix (Eugène Delacroix, 1798-1863), the East was depicted with uncivilized and hedonic motifs. Japonism (Le japonisme), which was a concept very popular among 19th century impressionism painters, also originated from orientalism tendency. In other words, a critical interpretation can be suggested that the foreign country taste of France is about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through the stratification of culture, before it is about the taste depending on aesthetic preference. However, unlike the paintings of the orientalists who used the Orient as their main theme, the paintings of Japonistes tend to proceed to the changes in the screen composition elements as well as the drawing techniques affected by Japanese paintings. The report reviews how Japonism was established and got accepted in the 19th century France based on the social flow depending on the tendency of 19th century Japonism artists and their sponsors, classify the borrowing of Japanese motifs and acceptance of Japanese drawing techniques in terms of Japonism’s exoticism, and diversify the interpretations of Japonism in the paintings of 19th century France.

      • KCI등재

        17세기 네덜란드 장르화의 ‘내밀성(Intimité)’ 표현에 관한 연구 - 요하네스 베르메르의 장르화를 중심으로 -

        고연정 유럽문화예술학회 202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2 No.1

        네덜란드 장르화를 연구함에 있어 정확한 미술사적 정의를 시작으로 네덜란드 장르화의 특징을 구분해내는 것은 필수적인 과정 중 하나다. 국내에서 선행된 17세기 네덜란드 장르화에 대한 연구로는 17세기의네덜란드의 상업 발달과 미술 수요 계층의 상승을 네덜란드 장르화의 발달 요인과 연관한 연구 등이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르화의 미술사적 정의에 대해 당대의 서술과 후기 학자들의 장르화에 대한 정의를네덜란드 장르화의 탄생과 성행할 수 있었던 사회문화적 맥락을 통해 명확히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예시로, 요하네스 베르메르의 장르화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화가가 사회문화적 환경을 지각한 과정에관해 서술하고, 그러한 배경이 회화에서 표현된 방식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J.베르메르에 관해 국내에서 진행된 연구들은, 17세기 네덜란드의 장르화 특성에 관한 연구 또는 회화의 공간구조에 중점을 두고이루어졌다. 특히, 17세기의 네덜란드의 사회적 배경이 J.베르메르의 작가적 삶에 준 영향 또는 회화속 인물 표현에 미친 영향 등 그 인과관계에 관해 서술한 연구들 또한 부분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국외 연구로는 J.베르메르의 회화적 구조에 관해 주목한 연구로, 미술사학자 하인리히 뵐플린이 언급한네덜란드 장르화의 ‘내진성’을 내포한 구조적 특징을 비롯하여 다니엘 아라스의 J.베르메르의 회화가가지는 내밀성, 메를로 퐁티의 ‘베르메르 구조’ 등 다수 학자의 해석을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 뵐플린이 언급한 ‘내진성’과 D. 아라스가 연구한 ‘내밀성’에 관한 서술을 토대로 장르화로서의J.베르메르 회화에 관해 서술하고, 회화의 구성요소로써 배경과 인물의 관계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회화의구조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면밀히 파악된 구조적 특징들이 사회문화적 배경과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었는지 전개하여, 네덜란드 장르화 분석법에 대한 사회 맥락적 방법론의 예시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Dutch genre painting studies, one of the essential processes is distinguishing the characteristics of Dutch genre paintings, starting with an accurate art historical definition. Studies of seventeenth-century Dutch genre paintings by Korean scholars concern such issues as the relationship of the commercial development of the Netherlands in the seventeenth century and the concomitant rise in demand for art with the development of genre painting. With regard to the art historical definition of genre painting, this paper will clarify the descriptions of contemporary art historical trends and the definition of genre paintings by later scholars through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emergence and success of genre painting in the Netherlands. For example, after selecting the genre paintings of Johannes Vermeer as a research subject, this paper will describe how Vermeer perceived the social and cultural milieu and study how such backgrounds were melded into his paintings. Studies of Vermeer published in Korea mainly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Dutch genre paintings in the seventeenth-century or on the spatial structure of his paintings, and a number of studies looked at the influence of the social background of seventeenth-century Netherlands on such things as Vermeer’s artistic life or his expression of the characters portrayed in his paintings. Studies on Vermeer published overseas are focused on his pictorial structure, on which interpretations by various scholars can be found, including art historian Heinrich Wölfflin’s observation on the structural features that imply the “profound/emphasizing depth” of Dutch genre paintings, Daniel Arasse’s discussion on Vermeer’s “intimité,” and Maurice Merleau Ponty’s analysis of the “Vermeer structure.” Of these, this paper discusses Vermeer’s paintings as genre paintings based on Wölfflin’s “profound/emphasizing depth” and Arasse’s “intimité,” and aim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Vermeer’s paintings by analyzing in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and characters, the two main components of his paintings. Furthermore,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 example of a social contextual methodology as a method for Dutch genre painting analysis by explor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ermeer’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 KCI등재

        독일 신즉물주의 (Neue Sachlichkeit) 정물화 연구 : 게오르크 슐츠(Georg Scholz, 1890-1945)의 <선인장과 철도신 호기 Kakteen und Semaphore (1923)>를 중심으로

        고연정 유럽문화예술학회 2020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1 No.1

        제 1차 세계대전 패배 직후,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거대한 혼란을 직면하였다. 가속된 산업화와 현대적인 대도시를 둘러싼 전쟁의 참담함 등 그들을 둘러싼 환경을 보다 정확하고 현실적으로 보려는 현상인 ‘신즉물주의 (Neue Sachlichkeit)’ 경향1)은 사진, 회화, 문학 그리고 영화 등 1920년경부터 1930년 초에 걸쳐 독일 예술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전개되었다. 신즉물주의 회화는 그 출현 배경부터 당시의 사회적 맥락을 무시할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즉물 卽物’과 같은 시각과 현실 인식의 객관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용어를 명칭에 씀으로써, 그들의 회화가 추구하는 바를 명확히 하는 경향이라 볼 수 있다. 게오르크 슐츠 (Georg Scholz)의 <선인장과 철도신호기 Kakteen und Semaphore (1923)> 는 사회적 배경과 대상에 대한 작가의 사실적인 관점을 동시에 담고 있는 신즉물주의 정물화이 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작품을 중심으로 일상에서 가장 가깝게 볼 수 있는 정물 모티프를 신즉물주의와 같은 새로운 경향에서는 어떻게 해석하였는지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즉물주의 화파가 출현할 수 있었던 사회적 배경과 새로운 경향의 화파가 어떠한 활동을 했는지를 살펴본 후, 그 영향이 회화의 구성과 정물 모티프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분석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사회적 배경이 회화에 왜, 어떻게 적용되었는가를 연구하는 사회맥락 연구 관점에서 회화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Shortly after its defeat in World War I, the Weimar Republic faced significant political and economic turmoil. The trend of New Objectivity, a phenomenon to more accurately and realistically view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cluding the devasting effects of accelerated industrialization and the war surrounding large modern cities, led to the diversification of German art between 1920 and early 1930 in fields such as photography, painting, literature, and movies. The main characteristic of “New Objectivity” paintings was that they did not ignore the social context of that era from the background of its emergence. The themes of the paintings were clarified by the use of terminology—such as ‘immediate’—that emphasized the objective aspects of perception and reality. Cacti and Semaphore (Kakteen und Semaphore) by Georg Scholz (1923) is a New Objectivity still-life painting containing the social background as well as the artist’s realistic perspective of object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o interpret still-life motifs that can be closely observed in daily life and focuses on corresponding works of art in new trends such as New Objectivity. To this effect, it examines the social background in which the school of New Objectivity emerged, and the activities of the wave of the new trend, and then adopts a method to analyze how the influences are reflected in the composition of paintings and still-life motifs. This study offers a social-context research perspective on paintings, investigating why and how the social background was applied in the artwork.

      • KCI등재

        벨 에포크 시대의 회화에서 표현된 모더니티 경향 :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렉 회화를 중심으로

        고연정 유럽문화예술학회 2023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4 No.2

        모더니티 경향은 사회학적 관점에서 해석할 때에는 탈 시대성을 함의 하여, 모더니티 추구 경향은전 시대의 회화에서 읽어낼 수 있는 하나의 회화의 특성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모더니티 추구경향이 프랑스 벨 에포크 시대에는, 특성의 범위를 벗어나, 주제적 형식과 같이 중점적으로 나타난다. 이 시기의 프랑스는 많은 걸출한 예술가들이 출현하여, 살롱 문화, 도시재건 프로젝트를 통한 대도시의탄생, 산업화 등과 같은 시장 중심주의의 부르주아 문화가 중심을 이루는 시기라 볼 수 있다. 계몽주의와 파리 코뮌의 영향으로 인해 이성중심주의와 시장 민주주의가 형성된 시기로, 이러한 사회적 환경은곧 벨 에포크 시대의 모더니티의 특징이 된다.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렉의 회화는 벨 에포크 시대의유행과 대도시의 부르주아 집단이라는 내부적 결속을 보다 치밀하게 묘사한 작품으로, 모더니티 경향을 객관가치와 개인의 주관가치의 동시적 재현이라는 면에서 해석할 수 있는 연구 대상이다. 이를위해 본 연구에서는 툴루즈 로트렉의 회화뿐만 아니라, 동시기의 다른 회화들 또한 모더니티의 관점에서 총체적 분석을 시도하고, 동 시기의 회화와 비교하여 툴루즈 로트렉의 회화가 가지고 벨 에포크시대의 문화적 계층화와 작가의 정체성 확립에 대한 해석을 회화의 사회적 취향 전개에 따라 유기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Sociologically, the trend towards modernity can be seen as a characteristic of a painting that can be read in the painting of the previous period. This trend towards modernity appears in the French Belle Epoque era, beyond the framework of characteristics, as a thematic form. France during this period is considered to be the centre of a market-oriented bourgeois culture such as the trade show culture, the birth of large cities through urban reconstruction projects, industrialization, etc. A time when idealism and market democracy were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enlightenment and the Paris Commune, this social environment was quickly characteristic of the modern Bel Epoque era. The painting by Henri de Toulouse Lautrec is a work that describes more precisely the trend of the Bel Epoque era and the internal cohesion of the bourgeois group of major cities, which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simultaneous representation of objective and individual subjective value.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not only Toulouse-Lautrec's painting, but also other simultaneous paintings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ity, but also to present organically the interpretation of the cultural stratifica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author's identity during the Belle Epoque er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