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T 인물 관련 텍스트 정보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Sub-language의 속성 연구

        고승희(Seung-Hui Koh),김소연(So-Yeon Kim),천승미(Seung-Mi Cheon),남지순(Jee-Sun Nam),김권양(Kweon-Yang Kim),박세영(Se-Young Park),Ivan Berlocher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007 No.10

        본 연구는 IT 인물 관련 텍스트 정보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하여 문서 내에서 인물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는 문장들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실현되는가를 살펴보고 언어적 속성을 어떻게 구조화하고 형식화할 것인가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언어적 속성 분석을 위해서 전자신문 내에서 인물 관련 코퍼스를 수집하고 이들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문제가 되는 특징들을 확인하였다. 즉 외래어 음차 표기 문제, 복합 명사 및 명사구 그리고 서술 명사적 표현의 문제 등으로 요약된다. IT라는 특정 영역에 대해 텍스트 내에서의 어휘-통사적 패턴을 분석하고 - 언어적 특징에 대한 효율적 기술을 위해서는 LGG 부분 문법그래프 모델을 활용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특정 영역인 IT 관련 문서에서 자연언어 텍스트를 대상으로 정보 검색할 때 문제가 되는 다양한 언어학적 현상들을 다루며, 향후보다 확장된 영역에서의 효율적 언어 처리에 대한 방법론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한국어와 폴란드어 장소보어교차 구문 비교 연구

        고승희(Koh, Seung-hu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3 동유럽발칸연구 Vol.12 No.1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폴란드어에서 나타나는 자동사 구문의 한 유형인 장소보어교차 구문을 살펴 보고 그 특성을 비교․대조하였다. 홍재성(1987)은 한국어에서 자동사 장소보어교차 구문은 구조적으로 ‘N0-이/가 N1-에 V’ ↔ ‘N1-이/가 N0-로 V’의 규칙적 대응 관계를 보이며, 이 문형을 허용하는 동사 어휘들은 주로 의성어․의태어와 같은 상징어의 특성을 지님으로 이를 하나의 문장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러한 장소보어교차 구문은 한국어뿐만 아니라 영어나 불어에도 나타나며, 폴란드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 다. 한국어와 비교해 보면, 역사적 어원이 다른 두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사 어휘의 의미와 각 어휘 에 대한 통사적 환경이 매우 닮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한국어 장소보어교차 구문의 유형과 그 특성을 자세히 살펴보고, 폴란드어에서 장소보어교차 구문의 특성을 나타내는 동사 어휘를 일차적으로 추출한 다음 그 동사를 중심으로 어떤 형태로 유형화될 수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또한 그 동사들이 요구하는 필수 논항의 어휘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한국어 개별 동사 어휘들과의 비교를 통 해 두 언어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처럼 두 언어에 나타나는 유사한 구문을 비교 하고 그것을 유형화하는 작업은 종이 사전이나 전자 사전 상에 정확한 문형이나 의미 정보를 기술 가능 하게 하며, 이런 문법 정보는 인간 번역이나 기계 번역시에도 더욱 정확한 결과를 이끌어내는데 유용하 게 사용될 것이다. 이 글에서 전체 장소보어교차 구문의 동사 목록을 모두 다룰 수는 없지만 무엇보다 두 언어 간에 유사한 특성을 지닌 구문들을 찾아보고, 그 통사․ 어휘적 특성을 비교하는 선행 작업이 두 언어 간의 기초적인 언어 데이터 구축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여기서의 비교 분석의 대상은 한 국어에서 자동사 장소보어교차 구문을 형성하는 대표적인 몇몇 동사들을 중심으로 그와 대응되는 폴란 드어 자동사들로 그 범위를 한정한다. The standard/crossed construction is a type of intransitive phrase in Korean and Polish. In this paper, I have looked into the structure of standard/crossed constructions as well as their compared and contrasted characteristics between two languages. Hong Jae-Seong (1987) said that standard/crossed constructions in Korean show the regular correspondence of 'N0-이/가 N1-에 V' ↔ 'N1-이/가 N0-로 V' in structure, and since the verbs that allow this sentence pattern have seman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onomatopoeia and mimesis. Such standard/crossed constructions are founded not only in Korean but English and French, and also could be found in Polish. Through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Polish, I was able to know that the meaning of words and syntactic environments of each lexicon are similar, although Korean and Polish have different historic etymology. In chapter 2, I have looked into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tandard/crossed constructions. Basic on this, I have extracted verbs that exhibit the characteristics of standard/crossed constructions in Polish language and looked into their syntactic forms and lexical characteristics in chapter 3. As the result, they showed N0 V prep N1 ↔ N1 V N0-I/od N0-G in structure and in meaning. Verbs with similar meanings to those of Korean have the properties of standard/crossed constructions. In chapter 4, I have compared and contrasted standard/crossed constructions in intransitive verbs in Korean with the corresponding verbs in Polish.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two language's individual verbs, I have studied their similarity and difference. As seen above, the typological process of the similar phrases in two languages enables to state precise information about construction and meaning on printed or electronic bilingual dictionaries. This grammatical information will be useful in deriving more precise result in human or mechanical translation. Above all, I believe that this will be helpful the process of building basic language data between the two languages.

      • KCI등재

        폴란드어와 한국어의 목적 관계 구문 비교 연구

        고승희(Koh, Seung hu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3 No.1

        본 논문은 폴란드어 [po + N-B]과 [na + N-B]구문을 한국어 목적 관계 연결어미인 ‘-러, -려고’와 대조 분석함으로써 한국인 폴란드어 학습자들에게 폴란드어의 목적 관계 구문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두 언어에서 목적 관계구문은 한국어는 ‘-러’, ‘-려고’의 연결어미를 사용하는 복문으로, 폴란드어는 [po + N-B]과 [na + N-B]의 전치사구를 사용하는 단문으로 표현되어 그 통사 구조를 달리한다. 폴란드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러’와, ‘-려고’의 두 연결어미의 사용과 용법의 차이를 이해하기 어려워하듯이 한국인 폴란드어 학습자들 또한 [po + N-B]과 [na +N-B]의 의미적 차이와 그 사용에 어려움을 느낀다. 본 논문은 먼저 폴란드어의 두 전치사 po와 na의 기본적인 의미와 함께 두 전치사가 목적격 명사와 결합하여 목적 관계를 나타내는 전치사구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파악하고 여러 가지 예문을 통해 그 의미적 차이를 살펴본다. 뿐만 아니라 이에 상응하는 한국어 목적 관계 표현인 ‘-러’, ‘-려고’ 연결어미구문과의 대조를 통해 두 언어 간의 목적 관계 표현의 통사·의미적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한국인 폴란드어 학습자들의 목적 관계 구문 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the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two Polish prepositional phrases [po + N-B.], [na + N-B.] and two Korean objective conjunctive endings ‘-le’, ‘-lyeko’ and to indicate glottodidactical aspects of teaching them to Korean learners of Polish language. In Korean language, the purpose of action of movement is expressed with a complex sentence by two endings namely ‘-le’ and ‘-lyeko’. The action of the first clause expresses the purpose of the verb of motion which appears in the second clause. However, in Polish language the same purpose can be expressed with a simple sentence by two prepositional phrases such as [po + N-B.] and [na + N-B.]. The above mentioned syntactical differences between both languages make it difficult to many Korean learners studying Polish as a foreign language to understand and use those two prepositional phrases correctly. The second chapter consists of two sections. The first one describes the general usage of two Polish prepositions ‘po’ and ‘na’ along with their various functions. However, it concentrates mainly on the meaning of purpose which the two prepositions obtain in a prepositional phrase. Accordingly, [po + N-B.] means ‘in order to get or to take something' e.g. Idę do sklepu po mleko.(I'm going to shop for milk.) and [na + N-B.] means ‘in order to participate in something' e.g. Wpadnę jutro na kawę.(Tomorrow I will drop in for [a cup of] coffee). The second section contains the analysis of the semantic categories of nouns, which form prepositional phrases with those two prepositions, on the basis of a considerable number of examples exB.] med from Polish g.]mmar texBbooks for foreigners. It also explains the differences in meaning between two prepositional phrases mentioned above. The third chapter describes two objective conjunctive endings ‘-le’ and ‘-lyeko’ in Korean. It also focuses on syntactical restrictions and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last chapter contains the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Polish prepositional phrases [po + N-B.] and [na + N-B.] and Korean objective conjunctive endings ‘-le’ and ‘-lyeko’. It also indicates several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Korean learners th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prepositional phrases and their proper usage.

      • KCI등재

        현대 폴란드어 신조어를 통해 바라 본 사회상 연구

        고승희(Koh, Seung-hui) 한국사회언어학회 2017 사회언어학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word formation and meaning of newly coined words in modern Polish, and to investigate latest social changes in present Poland reflected in these new words. This paper consists of two main sections. The first section describes the linguistic analysis of newly coined words of Polish origin and loanwords from various languages. A large number of English words have flowed into Polish for a variety of reasons. English loanwords occupied about 70% of the database in this study database. The second section examines the socio-cultural changes through an analysis of words in various fields. From the analysis of gathered lexical database we can confirm the acceptance phenomenon of the most frequently, sometimes excessively used English loanwords among the young generation in Poland and look over the changes in Polish society through each word.

      • KCI등재
      • IT 신제품/신기술 용어 사전 구축을 위한 〈NㆍDEVELOP〉 패턴과 부분 문법 그래프 연구

        김소연(Kim So Yun),고승희(Koh Seung Hui),천승미(Cheon Seung Mi),남지순(Nam Jee Sun),박세영(Park Se Young) 한국사전학회 2008 한국사전학 Vol.- No.11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linguistic patterns-to extract "unknown words" of specific domain in the web, concretely for new technologies and new products. The sub-language of IT domain-specific documents can be formalized by the LGG (Local-Grammar Graph) methodology, represented under directed acyclic graphs (DAG), also called Finite-State Automata Graph (FST) and embodied analyzed patterns with Unitex. In this paper, we discuss our approach to describing lexico-syntactic patterns conveying information in texts, present a few LGG graphs constructed for new technologies and product information. For this, we analyzed the Korean IT newspaper JUNJA SINMUN and obtained several specific verbs, for example 'develop', 'launch', etc, to present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We classified these verbs into four types and built a LGG. From this LGG 38,074 patterns were obtained. These patterns can be applied to add unknown terms for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to the existing diction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