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과배란유도에서 GnRH Antagonist (Cetrorelix) Single 및 Multiple Dose Protocol의 임상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

        고상현,김동호,배도환,이상훈,Ko, Sang-Hyeon,Kim, Dong-Ho,Bae, Do-Hwan,Lee, Sang-Hoon 대한생식의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9 No.4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GnRH antagonist (Cetrorelix) single dose and multiple dose protocols for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with GnRH agonist long protocol. Materials and Method: From September 2001 to March 2002, 48 patients (55 cycles) were performed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for ART using by either GnRH antagonist and GnRH agonist. Single dose of 3 mg GnRH antagonist was administered in 15 patients (17 cycles, single dose group) at MCD #8 and multiple dose of 0.25 mg of GnRH antagonist was administered in 15 patients (18 cycles, multiple dose group) from MCD #7 to hCG injection day. GnRH agonist was administered in 18 patients (20 cycles, control group) by conventional GnRH agonist long protocol. We compared the implantation rate, number of embryos, and clinical pregnancy rate among three groups. Student-t test and Chi-square were used to deter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05.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mpules of used gonadotropins, number of mature oocytes, obtained embryos between single and multiple dose group, bu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mpules of used gonadotropins, number of mature oocytes, obtained embryo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Clinical pregnancy rate and implantation rate were not different in three groups. There were no premature LH surge and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in three groups. Multiple pregnancy were occurred 1 case in multiple dose group and 2 case in control group. Conclusions: GnRH antagonist is a safe, effective, and alternative method in the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mpared with GnRH agonist. Clinical outcomes and efficacy of both single and multiple dose protocol a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 SCOPUSKCI등재

        클로미펜에 저항성을 보이는 다낭성 난소증후군 여성들에 대한 메트포민 치료의 효과

        고상현,이상훈,Ko, Sang-Hyeon,Lee, Sang-Hoon 대한생식의학회 2001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8 No.4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tformin therapy on ovulation induction & pregnancy rate in clomiphene citrate-resistant PCOS women. Method: This study used a randomized, single-blinded, case-controlled methods. Total study group consisted of 21 women who showed clomiphene citrate-resistant parttern on previous ovulation induction cycles. Patients of metformin group received metformin 500 mg three times daily, for 7 weeks. Control group received none. Metformin group was consisted of 10 women and control group was consisted of 11 women. Then clomiphene was administrated at daily 50 mg for 5 days to both groups. Clomiphene dosage was increased to daily 150 mg until ovulation was occurred. Before and After metformin treatment, blood samples for measurement of insulin, glucose, steroids were obtained. Results: In the metformin and control groups, 6 of 10 women (60%) and 2 of 11 women (18%) ovulated. And 4 of 10 women (40%) and 0 of 11 women (0%) conceived. Comparisons between the groups were significant. Conclusion: In PCOS women who are resistant to CC, metformin use increased the ovulation rate and pregnancy rate from CC treatment, significantly.

      • KCI등재

        전통 그림자극 만석승희의 구성과 문화콘텐츠화 방안

        고상현(Ko Sang-hyun),김기정(Kim Ki-jeong) 한국민속학회 2011 韓國民俗學 Vol.54 No.-

        전통문화는 현재와 미래 문화콘텐츠의 원천이자 보고이다. 이미 콘텐츠 소재가 고갈된 미국과 유럽의 제작자들은 최근에 풍부한 전통문화를 지닌 동양의 전통에 관한 연구와 소재 발굴에 관심을 돌리고 있다. 창의적이면서도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소재에 대한 갈증은 우리도 역시 마찬가지여서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많은 사람들은 오늘날로 되살려올 수 있는 전통문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 무형문화유산의 하나인 그림자극이자 인형극인 만석승희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만석승희의 구성과 문화 콘텐츠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먼저 만석승희에 대한 통시적 접근을 통해 만석승희의 역사적?종교적?콘텐츠적 가치를 검토하였으며, 현재 만석승희를 이루고 있는 형성소를 무형과 유형의 콘텐츠로 분류하여 대상화하였다. 그리고 이 콘텐츠들을 수용자별과 문화콘텐츠 별로 개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수용자별로는 만석승희가 불교를 소재로 하는 만큼 종교적으로는 불자를, 그림자극이자 인형극이라는 측면에서는 고령자와 어린이층을 대상으로 나누어보았다. 문화콘텐츠별로는 설화 등의 스토리텔링화, 등장인물과 공예품의 캐릭터화, 애니메이션화, 음원의 음성콘텐츠화, 모바일 어플 개발, 무용이나 가무악극 등 공연콘텐츠로의 활용 등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Traditional culture is the source and repository of contemporary and future cultural contents. The producers of U.S. and Europe who have already run out of contents materials have recently turned to the researches and source excavation of Oriental traditions with rich traditional culture. The thirst for sources that may feel creative and yet friendly is also the same for us; many related to the cultural contents are paying attention to traditional culture that can be brought back to today. In such context, this study has examined the plan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of Manseokseunghee under the purpose of succeeding and developing the traditional culture of Manseokseunghee which is our tradi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shadow play and puppet show. For this, first the diachronic approach to Manseokseunghee was used to examine the historical/religious/contents value of Manseokseunghee, and the formative stuff comprising the Manseokseunghee was classified into intangible and tangible contents. And the plan to develop these contents per user and per cultural contents was suggested. Per user, as Manseokseunghee takes Buddhism as its source, religiously the Buddhists were concerned, and from the perspective of puppet show, the audience was divided into the elderly and children. Per cultural contents, it was suggested in 6 categories of storytelling such as myths, characterization of characters and craft goods, animation development, sound contents development of audio,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as performance contents such as dances or musicals.

      • KCI등재

        불교축제의 현황과 발전 방안

        고상현(Ko, Sang-Hy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0

        각종 지역축제에서 불교적 축제들이 행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교축제에 대한 연구는 연등회나 팔관회 등 특정한 분야에 국한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불교의례와 문화행사중에서 축제로서의 의례와 문화행사에 주목하였다. 이들 불교축제를 유형과 내용에 따라 나누었다. 유형별로는 불교의례를 중심으로 한 불교의례축제(Buddhist Ritual Festivals)로, 불교문화를 활용한 축제를 불교문화축제(Buddhist Cultural Festivals)로 분류하였으며, 내용별로는 복합형과 테마형으로 분류하였다. 불교의례축제는 불교의례가 중심이 된 축제로, 팔관회, 우란분재, 수륙재, 개산대재, 영산재 및 괘불재, 생전예수재 등을 들 수 있다. 불교문화축제는 불교의례에서 파생되거나 불교적 모티브를 차용하여 축제적인 요소가 강화된 것이다. 복합형 축제는 연등회, 대장경천년세계문화축전 등이 있다. 테마형 축제는 주제에 따라 사찰음식축제, 음악회형 축제, 생태자연축제, 낙화놀이 축제, 동제형 축제 등으로 세분화하였다. 불교축제의 발전 방안으로서는 종단차원에서 불교축제현황 파악과 홍보, 축제전문연구자나 기획자의 양성을 들었다. 사찰 내적으로는 축제의 지속성을 위해 개산대재와 같이 정기적인 의례와 결합하는 방안, 일반인 참여 확대를 위해 내재적 제약요인을 줄이는 테마축제를 기획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교의례나 불교문화적 요소가 담긴 축제는 고유성과 정체성을 견지해야 한다. 또한 축제 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화를 통한 체계적 구성, 스토리메이킹을 통한 새로운 축제 영역의 개발과 창조적인 연출이 필요하다. 외적으로는 지역은 물론 지역축제와의 연계성을 높여야 한다. Existing research on Buddhist Festivals has been limited to specific festivals such as the Yeondeunghoe or the Palgwanho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ites and cultural events that are a feature of Buddhist festivals. In terms of classification, the festivals that mainly involve Buddhist rites are classified as Buddhist Ritual Festivals, and the festivals that are associated with Buddhist cultural events are classified as Buddhist Cultural Festival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festivals, they are classified as either complex or thematic in form. In addition, festivals can also be classified as either diachronic or synchronic festivals, but this article does not deal with that type of classification. Buddhist Ritual Festivals include Palgwanhoe, U’ranbunjae, Suryukjae, Gaesandaejae, Yeongsanjae, Goibuljae, and Saengjeonyesujae. Buddhist Cultural Festivals began as Buddhist rites but the festival elements have been strengthened. Examples of such complex-form festivals include the “Lotus Lantern Festival” and the “Millennial Anniversary of the Tripitaka Koreana.”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the thematic form, festivals are subdivided into temple food festivals, concert festivals, ecological festivals, fireworks festivals, and village ritual festivals. In order to improve Buddhist Festivals, this article suggests an investigation into the current status of Buddhist festivals at the level of religious organizatio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Buddhist festival calendars, and the training of festival experts and planners. Within temples, festivals need to be combined with regular rites, such as the anniversaries of temple foundations, to ensure their continuity, and temples need to plan thematic festivals in which intrapersonal constraints are minimized to ensure the greater participation of ordinary people. However, uniqueness and identity are still important. This article also suggests the systematic composition of festival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new types of festivals through the techniques of storytelling and story-making. Looking outward, connectivity with adjacent regions and other regional festivals should also be improved.

      • KCI등재

        연등회의 시대구분론 재고

        고상현(Ko, Sang-Hy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4

        연등회의 시대구분은 일반적으로 국가별 시대구분에 따라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연등회는 시대에 따라 설행주체의 중심축이 이동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왕조(국가)별이 아닌 설행주체를 중심으로 크게 국가주도기, 민관이행기, 민간주도기의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첫째는 국가주도기로, 신라시대와 중세 양반사회였던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공식적으로 연등회가 폐지되는 세종 13년(1431)까지를 말한다.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 등의 정사류를 중심으로 한 기록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 따르면 주로 국가와 왕실에서 설행하는 연등회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둘째는 민관이행기로, 관과 민간이 각각 설행하는 시기이면서도, 왕실이나 일제 등 지배체제 중심에서 민간으로 중심축이 이동한다는 측면에서의 이행(移行)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고려와 조선초기의 유풍이 남아 행해지는 시기이지만, 민간에서의 설행이 문헌상에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시기이다. 셋째는 민간주도기로, 해방(1945년 8월) 이후 1946년부터 지금까지로 불교계가 자율적으로 연등회를 설행한 시기이다. 이 시기는 1946~1995년까지의 종교축제기인 1기와 불교적인 불교인들의 축제에서 1996년 이후의 대중축제로의 전환을 꾀하는 2기로 나눌 수 있다. Yeondeunghoe (燃燈會) has been changed in many ways in the aspects of its main agents, contents, and forms for 1000 years. Thus, it cannot be understood as the appearance or the form in a certain one period or at a certain one time. So as to examine the Yeondeunghoe as a festival, around its implementation bodies I divided the history of the Yeondeunghoe into three periods: the state-dominated period (國家主導期), the intergradational period led by civilian and public bodies (民官履行期, 民官移行期), the civilian-dominated period (民間主導期). The state-dominated period (國家主導期) is the time during which the festival was held as a national ceremony by a nation or royal family. From the Silla Dynasty through the Goryeo Dynasty to the 13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during the Joseon Dynasty(1431), the Sangweon Yeondeunghoe (上元 燃燈會) on the 15th of the first lunar month, the second lunar month Yeondeunghoe, and the Buddhas Birthday Yeondeunghoe in the fourth lunar month were held. A special Yeondeunghoe as occasion demands was also held. There were Yeondeungdogam (燃燈都監) and its departments as the implementation body of the festival. The intergradational period led by civilian and public bodies (民官履行期, 民官移行期)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The first stage covers from the 13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during the Joseon Dynasty (1431), when the Yeondeunghoe was actually abolished, to the Korean Empire era; and the second stage is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period is the time during which the festival had been established as the Buddhas birthday Yeondeunghoe and at the same time its main agents were changed from government offices led by royal family to civilian organizations. The civilian-dominated period (民間主導期) from the year 1946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Empire to the present day is the time during which the festival has been held by civilian Buddhist community. This period can also be divided into two stages: the religious festival era until the year 1995 and the era in which efforts to convert the Yeondeunghoe into peoples festival have been made.

      • KCI등재
      • KCI등재

        융복합 문화로서 재조대장경과 판각지 남해의 문화콘텐츠 개발

        고상현(Ko, Sang-Hy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1

        재조대장경의 조성과 관련하여 아직까지도 연구자들 사이에 논의가 진행 중이다. 그럼에도 남해에서 판각되었다는 사실에는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대장경은 문화적으로는 유형문화와 무형문화가 결합하고 있으며, 내용적으로는 의천의 『신편제종교장총록』, 송·거란·일본 등에서 한역대장경 장소 수집과 교감을 통한 완성도 높은 교정이 이루어졌다. 재조대장경은 당대 인쇄문화와 기술의 융합, 지역간의 연계, 국가와 민간, 출가와 재가 등 회통과 융복합 문화의 정점에 있었다. 13세기 동아시아 문화를 아우르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전범이었다. 또한 현대 일본의 『대정신수대장경』과 대만의 『불광대장경』 등의 저본으로 삼을 만큼 문화를 주도해 왔다. 21세기 문화로서 대장경은 문화재 가치의 보존과 활용을 통해 재탄생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는 본고에서는 대장경의 본래적 가치와 종합적 외현인 문화콘텐츠로서 불교문화테마파크와 대장경축전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산업으로서 인쇄문화콘텐츠산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불교테마파크로는 불교랜드, 불교문화 라키비움과 마음산업을 선도할 수행센터인 참선센터 등 건립을, 대장경축전문화콘텐츠로서는 격년으로 개최되는 대장경천년세계문화축전과 연계한 대규모의 축전과 소규모 지역공동체 축전을 제시하였다. 특히 창조적 파괴를 통한 활용인 인쇄문화콘텐츠산업으로는 4차 산업혁명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인쇄전자산업(Printed Electronics Industry)의 도입과 활용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부경남의 지역 클러스트 형성과 학교와의 연계, 대장경인쇄문화연구소(가) 설립 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Jaejo-tripitaka, which was manufactur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s a cultural asset of convergence. It also examines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printing as it was pursued in Namhae, where the tripitaka was carved into woodblocks. The Jaejo-tripitaka was fine-tuned and became more sophisticated by collecting and collating research and commentaries from Uicheon’s Sinpyeon-jejong-gyojang-chongrok, as well as from Chinese tripitakas from Song, the Khitan, and Japan. Furthermore, the Jaejotripitaka showcased the culmination of intercommunication and culture of convergence,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e integration of the printing culture and technology of the time, as well as interregional coordination, the link between the state and its peop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thful and secular. The Jaejo-tripitaka led cultural promotion not only as a classic of the globalizing East Asian culture of the 13th century, but also as an original script for modern Japan’s Daejeongshinsudaejanggyung and Taiwan’s Bulkwang-tripitaka. To lead the culture of the 21st century, tripitakas should be embraced in efforts to preserve and utilize cultural values and to promote disruptive creation. Buddhist Theme Parks and tripitaka cultural festivals could serve as places to commemorate and display the intrinsic values of the tripitaka. Furthermore, a new direction for the cultural content printing industry is offered to enable tripitakas to be used to facilitate disruptive creation. Specifically, a Buddhist Theme Park could take the form of a Buddhist Land, Buddhist Larchiveum, or Seon Meditation Center for the mind industry. As for cultural festivals, large-scale festivals linked to the biennial Millennial Anniversary of the Tripitaka Koreana, as well as small-sized community-level festivals, could be considered. Finally, for the cultural content printing industry, the electronic printing industry could be introduced and adopted as it will play a key rol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regard,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clusters in west Gyeongnam, cooperation with schools, and a tripitaka cultural research and printing institute (provisional) are proposed.

      • KCI등재

        학술상 수상논문 : 고려시대 수륙재 연구

        고상현 ( Sang Hyung K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0 No.-

        고려시대 수륙재에 대한 연구는 사료의 부족으로 인해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필자는 시론적인 성격으로 고려시대의 수륙재에 대한 단편 기사를 통해 수륙의례집의 간행과 유포, 수륙재의 설행 형태와 목적, 수륙재와 관련한 도량 건립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수륙의례집의 간행과 관련한 직접적인 기사(記事)는 『고려사』 선종7년조에 최사겸이 송나라에서 구해 온 수륙의문과 이제현이 쓴 혼구의 비명(碑銘)에 『신편수륙의문』 2권을 스님이 편찬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조선시대에 간행되기는 하였으나 현존하는 수륙의례집인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천지명양수륙잡문』 등에 고려 죽암공이 편찬하거나 또는 고려시대에 쓰여진 발문이 전하는 의례집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이들의 기록을 통해 볼 때 고려시대에도 여러 의례집이 수차례 간행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선시대에도 이어져서 간행되었음을 쌍봉사에서 간행된 『천지명양수륙재의 찬요』의 이제현의 발문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었다. 수륙재의 설행 목적으로는 첫째는 혜거 국사가 하산소로서 갈양사를 중창시 설행한 낙성고불식이며, 둘째는 진정국사가 백련사, 만연정사, 조계사에서 설행한 것으로 적멸의 근원인 불덕(佛德)을 깨닫도록 하였으며, 셋째는 치병(治病)을 위한 수륙재이며, 넷째는 액을 없애는 해액수륙재(解厄水陸齋)이다. 다섯째는 추선(追善)의 재의로, 공민왕이 죽은 승의공주를 위해 국행수륙재를 설행하는 등 현전하는 기록으로 가장 많은 횟수가 설행된 예이다. 여섯째로는 수륙재와 유사한 무차 대회로 개설된 공신들을 위한 공신재이다. 일곱째로 광종이 설행한 무차수륙회로 죄업(罪業)을 소멸(消滅)하고자 한 것이다. 수륙재와 관련한 도량이나 당우는 혜거국사의 하산소로서 갈양사에 수륙도량을 개설한(971) 것과 선종 6년(1089)에 보제사에서 수륙당을 건립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조선 건국 직후에 국행수륙도량으로 진관사에 수륙사를 조성한 것이나 조선후기에 간행된 『무위사사적(無爲寺事蹟)』, 『대둔사지(大芚寺誌)』등에 수륙사, 수륙전 등에 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여러 형태로 수륙재 관련 도량이나 당우(전각)가 계속 건립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datas, the Study of Koryeo Dynasty Suryukjae(Buddhist Ritual for the Beings of Water and Land, Shuiluzhai) can not be achieved fully. Hereupon, I aim to study about the publication and circulation of rituals of Suryukjae, the forms and purpose of doing Suryukjae and the building type of temple for Suryukjae through the paragraphics which were written in the days of Koryeo Dynasty. First of all, there are three articles which are directly to the publication of Suryuk ritual ceremony. 1st is Suryuk ritual sentences. Choi Sa - Geum had brought this articles from the Song(宋) country at Sun - Jong 7 accroding to 『Koryeo - sa』(高麗史). The second is 『A new edition Suryuk ritual sentences』(新編水陸儀文) volume 2 which is written by monk Hon-gu. Lee Je - Hyun wrote an inscription for monk Hon - Gu. The third is 『Chunji myungyang suryuk jaeui chanyo』(天地溟陽水陸齋儀纂要) and 『Chunji myungyang suryuk jabmun』(天地溟陽水陸雜文) etc. Some articles were published in Joseun Dynasty and remains until now. And others were written by monk Jukam in Koryeo Dynasty and were remained only the part of epilogue. Although direct articles are not remained today, but judging from the records in the days of Koryeo, we can find that various rituals were published several times. It has continued until Joseon dynasty. We can find this fact from Lee Jae Hyun`s epilogue of 『Chunji myungyang suryuk chaeui chanyo』 which is edited by Ssangbong temple. That book is in Yong Nam University`s library. Next, I try to find the purpose of doing Suryukjae. First, Suryukjae is for the meritorious retainer at the founding of Koryeo dynasty. Second, Suryukjae is for attaining enlightment for Buddha, that is Nirvana, We can find this from 『Hosanrok』(湖山錄)and 「Suryukjaeso」written by Jin-Jung national affairs(眞靜國師). Third, Suryukjae is for Cheondo(薦度, The Buddhist ritual or service to help). The largest number of records about Suryukjae is for Cheondo. Fourth, it is for the Healing. Fifth, it is for removing the bad luck by Haeaeksuryukjae(解厄水陸齋). Sixth, it is for expiation of the sin. Seventh, it has been used to pacify the people and unify them spiritually and politically through buddhism which was spread among the people at that time. Likewise Suryukjae has been done in a various purposes but among them Suryukjae for the Cheondo was recorded the largest number. The first structure associated with Suryukjae was built Suryuk house(水陸堂) in Bojesa at Sunjong sixth 1089 year, Suryuk house where builds in Bojesa. There are some records for Suryukjae in the early of the Joseon dynasty. They are 「Jinkwansa Suryuksa Josunggi」(The record which creates) on 『Collections of Yang - chon』(陽村集) which is written by Kwon Keun and 『Muwisasajeok』(無爲寺事蹟), 『Deadunsaji』(大芚寺誌) in the late years of the Joseon Dynasty. We can find the record of Suryuksa(水陸社) or Suryukjeon(水陸殿) from those books. As above, it is thought that there are various type of buliding temple for Suryukjae.

      • KCI우수등재

        해석 가능한 기계학습 접근법을 이용한 부산-후쿠오카간 한일해저터널 개통에 따른 수단 선택의 선호분석에 관한 연구

        고상현(KO, Sanghyeon),이동우(LEE, Dongwoo),정헌영(JUNG, Hun Young)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지 Vol.39 No.5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과 함께 기계 학습, 이른바 머신을 활용하여 반복적인 연산을 원활히 수행하고 데이터의 복잡한 패턴을 자율적으로 학습하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활용한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교통 분야에서도 다양한 머신러닝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가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높은 예측력에 비해서 정책 효과의 평가와 같은 부분에 있어서는 아직 그 해석의 가능성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부분이 단점으로 지적되어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수단선택 모형을 개발함과 동시에 머신러닝 모형결과에 대한 분석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머신러닝 모형 중에서 rule-based의 앙상블 모형인 XGBoost 기법의 장점인 다계층적(multi-level) 자료에 대한 뛰어난 분석력과 모형 결과 해석 가능성에 대한 방안들을 활용하여 한일 해저터널을 통한 고속철도 여객 수요에 대한 수단선택 선호를 이해하고 예측하고자 하였다. 모형 전체의 예측 정확도는 81%로 높게 나타났으며, 각 수단 별로도 높은 수준의 선호 예측도를 보여주었다. 이른바 블랙박스라 불리는 학습된 머신러닝의 해석력을 높이고 정책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변수 중요도와 변수 기여도, 그리고 평균 한계 변화율을 추정하였다. 항공 수단의 경우에는 항공 요금, 후쿠오카 방문 빈도, 일본 방문 빈도순으로 상대적 변수 중요도가 확인되었고, 고속 페리의 경우에는 이용자의 나이, 해저터널 이용 의사, 일본 방문 시 항공 이용, 고속철도의 경우에는 고속철도 운임, 연령, 일본 방문 빈도순으로 중요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변수의 변화에 따른 수단선택의 선호 변화에 대한 분석 또한 시각적으로 제시하였다. Followed by recent vibrant effort on the application of machine-based nonparametric approaches such as machine learning (ML), ML approaches have proven to be successful in many real-world applications. Despite their predictive performances, the acknowledged drawback of ML techniques is their lack of interpretable features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policy impacts. In this sense, this article aims to not only develop discrete choice modeling using ML techniques but also provide the useful insights about demystifying (i.e., interpreting) ML models. In particular, XGBoost, rule-based ensemble model combined with ML, is adopted to predict and understand mode choice behaviors related to Korea-Japan undersea tunnel high-speed train. XGBoost model notably possesses more interpretable algorithmic features than other ML models as well as high degree of predictive power for multi-level data—e.g., stated preference (SP) survey. Overall model estimates were accurated at 81% and also presented high accuracy for each model choice. To interpret users’ behaviors and preferences, variable importance (VI), variable contribution, and interactive partial dependence were estimated. The results of VI indicates that air mode, for instance, was affected by order of air fare, Fukuoka visit frequency, and Japan visit frequency, ferry mode was affected by order of Age, Willing to use tunnel, and Japan visit by air mode, and train mode was affected by train fare, age, and Japan visit frequency.

      • 독일 민법발전의 최근 동향

        고상현 ( Sang Hyun Ko ) 한독법률학회 2012 한독법학 Vol.17 No.-

        독일민법은 2002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채권법의 현대화에 관한법률(Gesetz zur Modernisierung des Schuldrechts v. 16. 11. 2001, BGBl.I, S. 3138)을 통해서 대폭적인 변화를 체험하였다. 독일채권법의 전면 적인 쇄신은 독일민법의 새로운 전환을 알리는 개혁의 신호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채권법 개정 이후의 독일민법의 변화를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정리해 보았다. 재산법 분야의 개정은 독일채권법 개정의 후속작업의 일환으로 지속적으로 변모되어온 소멸시효법과 시민의 자발적인 재산출연을 통해 재단법인설립을 활성화하려는 독일재단법 인법의 개혁이 이루어졌다. 또한 소비대차의 차주를 보호하기 위한개정입법 역시 부분적으로 진행되었다. 가족법 분야에서는 자녀의 계속적 권리증진에 관한 법률, 성년감호제도의 개정에 관한 법률, 부양법의 개정에 관한 법률을 통한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상속법 분야에서는 상속법과 시효법의 개정에 관한 법률로써 특히 그 동안 학계와 실무에 논란이 많았던 유류분법 분야의 현실적인 개혁과 함께 가족법 및 상속법의 시효를 재산법의 시효체계에 통일시켰다. 독일채권법 개정 이후 독일민법 개정의 입법자는 법제도 자체의 혁신적인 개선보다는 판례와 실무를 통해서 현실적으로 대두되었던 법규정상의 문제해결을 도모하였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경우, 필요최소한도의 범위에서 법조문의 소폭으로 개정한 것에 불과했으나 법실무상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의미 있는 변화라고 평가된다. 현재 법무부 산하 민법개정위원회에서는 민법학계와 실무계의 핵심역량이 총집결하여 대대적인 민법의 개혁을 준비하고 있다. 독일채권법현대화법률의 입법을 전후한 논의과정에서 살펴보았듯이, 찬동하는 입장뿐만이 아니라, 비판적인 의견도 공존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분명한 것은 독일채권법의 개정 및 그 평가, 그리고 이후의 지속적인 개정노력에서 보이듯이 민법개정을 위한 모든 과정이 민법학의 논의를 다양하고 풍부하게 발전시켰다는 것이었다. Am 1.1.2002 tritt das Schuldrechtsmodernisierungsgesetz im BGB in Kraft. Es bringt zahlreiche Veranderungen sowie der heftige rechtspolitische Streit. Der Beitrag geht die Bewertung der Schuldrechtsreform aus und versucht, einen Uberblick uber die wichtigsten Anderungen des neuen BGB seit In-Kraft-Treten des Schuldrechtsmodernisierungsgesetzes zu geben. Zunachst wird das Gesetz zur Anpassung von Verjahrungsvorschriften an das Gesetz zur Modernisierung des Schuldrechts behandelt. Das Gesetz hebt zahlreiche Sonderverjahrungsfristen außerhalb des BGB auf und dehnt damit den Anwendungsbereich der Regelverjahrung gem. §§ 195, 199 BGB aus. Es folgt dann das am 1. 9. 2002 in Kraft getretene Gesetz zur Modernisierung des Stiftungsrechts. Das Gesetz regelt die Entstehung der Stiftung neu und bundeseinheitlich. Der Zweite Teil des Beitrags befasst das Gesetz zur Uberarbeitung des Lebenspartnerschaftsrechts, das am 1. 1. 2005 in Kraft trat, in wesentlichen Punkten geandert und weiter an das Eherecht ange-passt wurde. Berucksichtigt wird auch das am 1. 1. 2008 in Kraft getretene Unterhaltsrechtsanderungsgesetz, das im Wesentlichen die Starkung des Kindeswohls ziehlt. Schließlich stellt der Beitrag das Gesetz zur Anderung des Erb und Verjahrungsrechts vorgestellt vor. In seinem Kern stellt es die Anderung des Pflichtteilsrechts dar. Dort wird ein grundlegender Systemwechel hinsichtlich des Pflichtteilsrechts nicht vollzogen. Trotzdem sind die Veranderungen des neuen BGB fur die Rechtspraxis von großer Bedeut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