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 주체성 담론에 대한 비판적 접근: 피로사회와 통치성 개념을 중심으로

        고다현,조상식 한독교육학회 202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8 No.1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analyze ‘student agency’ which is presented as a key competency in future education, through the lenses of Han’s ‘Burnout Society’ and Foucault’s governmentality. Student agency is an ability for students to act independently in and out of school. However, although discourses on student agency become crucial for future education, reflective or critical approach to the concept is scarcely found. If most researchers simply try to utilize the concept for future education without any critical reflection, pathological issues in education (e.g., student depression) would remain unsolved. Foucault’s concept of governmentality helps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long with Han’s argument. Governmentality is a systematic social mechanism that activates power by controlling minds of individuals. In neoliberalism, governmentality deceives individuals by making them to orientate themselves towards ‘freedom to be normal.’ With Foucault’s idea, Han’s concept of self-exploitation is interpreted as an exploitation by formless power structure. For this concept, it is remarkable that power gradually hides its appearance and blurs a boundary between a subject and the power structure. Student agency discourse, however, tends to be insufficient with the reflection of a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nd power structure focusing only on methodological aspects by highlighting student agency as a solution for future education. The issues which may be occurred by this are as follows. First, this may repeat the argument of pedagogy in the Enlightenment era by supporting students’ autonomy and rationality. Second, the uncertainty of future could belittle a discourse on the role and duty of education. Third, student agency can be misunderstood as a panacea for future education when it is interpreted as a competency in lifelong learning. 본 논문은 미래 교육에서 핵심 역량으로 제시하는 학습자 행위주체성(student agency)을 한병철의 ‘피로사회’와 푸코의 통치성 개념을 바탕으로 비판적인 이해를 시도하였다. 불확실한 미래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행위주체성은 반성적 차원과 미래지향적 차원이 포함된 개념이다. 그러나 단순히 개인 핵심 역량으로의 학습자 행위주체성은 과거와 현재의 반성이 배제된 채 논의가 진행될 우려가 존재한다. 여기에 푸코의 통치성 개념을 통해 학습자 행위주체성을 비판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아울러 학습자 행위주체성 담론이 단순히 미래를 위한 개인의 역량 차원에만 초점을 둔다면, 현재 또는 과거에 존재했던 교육의 병리적 현상들을 제대로 진단하고 해결하려는 교육적 노력이 부재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교육적 문제가 놓여 있다. 첫째, 학습자 행위주체성 담론이 개인 자율성의 범위를 확장한 차원으로만 논의가 이어질 때 등장하는 교육적 문제이다. 둘째, 교육 담론이 미래를 불확실한 것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교육의 책임 및 의미 자체도 불명확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우려이다. 셋째,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에 의해 평생학습이 학습자 자신을 위한 것으로 이해되지만, 실상은 역량 중심의 평생학습이 개인의 자질을 모두 수치화하여 평가받아야 하는 문제이다.

      • 크리스타 좀머러와 로랑 미뇨노: 인공생명 예술과 상호작용성

        고다현 미술사문화비평학회 2020 미술사문화비평 Vol.11 No.-

        본 논문은 크리스타 좀머러(Christa Sommerer, 1964-)와 로랑 미뇨노(Laurent Mignonneau,1967-)의 공동 작품인 인공생명 이론을 접목한 인터랙티브 예술 작품을 분석한다. 좀머러와 미뇨노가 미술계에 주목 받게 된 계기는 첫 작품이라 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식물 성장Interactive Plan Growing>(1992)를 발표 하면서부터이다. 이 계기로 좀머러와 미뇨노는 인공생명 개념을 예술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했으며, 이후 인터랙티브 아트의 예술적 가능성을 한 차원 더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들은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동시에 스스로 자생하는 인공생명을 작품으로 보여주며 뉴미디어 아트의 한 지평을 넓혔다. 본 글에서는 우선 작품 제작에 핵심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인공생명의 정의와 함께 인공생명 개념이 예술과 접목될 수 있던 계기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좀머러와 미뇨노가 인공생명 예술 개념에 관심 갖게 된 계기와 더불어 이들 작품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인공생명이라는 존재가 인터랙티브 아트로서 갖는 관람자와의 상호작용성을 알아본다. This paper analyzes the interactive artistic work of Christa Sommerer (1964-) and Laurent Mignonneau (1967-) — collaborative work based on the theory of artificial life. Sommerer and Mignonneau first came to prominence in the art world with what may be considered their first work: Interactive Plant Growing (1992). Following this, their extensive research on how to apply the concept of artificial life to artistic fields is considered to have raised the artistic possibilities of interactive art to new heights. With regard to the art of artificial life in particular, their unique aesthetics and their work demonstrating self-regenerating artificial life which simultaneously interacts with humans broadened the horizons of new media art.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definition of artificial life — the key concept — and the process of how the concept of artificial life was combined with art during the creation of artistic works. Next, I will describe how I became interested in Sommerer and Mignonneau’s concept of the art of artificial life as well as interactivity — the defining characteristic of their work — in the art of artificial life. I will also examine the interactivity of artificial life with audiences as interactive art.

      • KCI등재후보

        서울시 외국인주민 거주지의 확장과 선주민 청년과의 저가주택 경쟁

        고다현,신인철 한국이민정책학회 2023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서울시 외국인주민 밀집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변화를 확인하고, 이들의 거주 환경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외국인주민과 선주민 간의 관계성을 고려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공간분리지수를 활용하여 외국인주민 거주지의 집중화 심화와 확산 현상을 분석하였다. 이후 외국인주민 거주지 선택의 영향요인과 주택약자인 청년 거주지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공간회귀모형을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외국인주민의 거주지 공간분포의 연쇄성과 특징을 확인한 결과, 가장 높은 거주지 분리가 일어나고 있는 지역은 구로구였으며, 종로구, 용산구, 동대문구, 영등포구 등으로 확산되고 있었다. 둘째, 외국인주민 거주지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고려하여 공간회귀모형을 적용한 결과, 외국인주민 거주지의 열악성을 다시금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청년 인구가 외국인주민 인구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는데, 양자 모두 주택약자로서 한정된 주택자원을 두고 경쟁하는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해 외국인주민 밀집지역의 열악한 거주환경 개선과 어메니티 시설 확충이 필요함을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것은 비단 외국인주민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같은 거주공간을 공유하는 청년을 위한것임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Synthesis of New pH-Sensitive Poly(ethylene oxide-b-maleic acid) from Modification of Poly(ethylene oxide-b-N-phenylmaleimide)

        고다현,전희정,김태환,김근석,최진희,유현오,배유한,김정안 한국고분자학회 2008 Macromolecular Research Vol.16 No.7

        A new and useful poly(ethylene oxide)-based pH-sensitive block copolymer is introduced. Poly(ethylene oxide-b-N-phenylmaleimide) was first synthesized by anionic polymerization of N-phenylmaleimide (N-PMI) using mixed alkali metal polymeric alkoxide by sequential monomer addition method in the mixture of benzene/THF/DMSO (10/5/3, v/v/v) at room temperature. Reductive deimidation of the resulting block copolymer was performed using hydrazine monohydrate leading to the 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H-sensitive poly(ethylene oxide-bmaleic acid).

      • KCI등재

        칸트의 ‘윤리성의 상징으로서 미’ 개념의 도덕교육적 함의

        고다현(Ko, Dahyun),박재성(Park, Jaesung),이현우(Lee, Hyeonwoo),조상식(Cho, Sang-Sik) 한국도덕교육학회 2021 道德敎育硏究 Vol.33 No.2

        흔히 전인교육 또는 도덕성 발달과 같은 의미에서 사용되는 Bildung은 독일 낭만주의자들에 의해 심미적으로 수용되어 새로운 이론적 토대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Bildung의 개념상 특징은 칸트의「판단력비판」에 분명히 나타나며, 그 중에서도 핵심이 되는 부분은 §59절에 나타난 ‘윤리성의 상징으로서 미’이다. 이 절에 이르러 미감적 판단력과 도덕성의 상징 관계가 명시적으로 언급되는데, 이러한 점에서 선과 미의 상징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학적 시각에서 「판단력비판」을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토대로 칸트의 「판단력비판」에 나타난 취미판단과 숭고의 성격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양자가 인간 내면에 불러일으키는 것은 무엇이며 이것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더 나아가 이것들이 도덕성과 어떠한 상징관계를 맺는지 파악하였다. 이후 이러한 작업을 통해 파악한 취미판단, 숭고, 그리고 미와 도덕성의 상징관계를 도덕교육에 적용하여 칸트의 윤리성의 상징으로서 미의 원리적, 실천적 가능성과 함께 그 한계점을 검토하였다. The concept of ‘Bildung’ which was taken aesthetically by the philosophical trends of German romanticism, is found in Kant’s Critique of Aesthetic Judgment. He articulates this on the §59 of the writing, titled as ‘About beauty as the symbol of the morally good.’ The fact that the role of the aesthetic judgment is clarified on the same section by the reference of the morally good, urges a need for researching the symbolic relationship between the beauty and the morally good which is presented widely in the writing. In this study, it is investigated that what the characters of the judgment of beauty and sublime are, how those make human abilities work, and how the two aesthetic judgments are symbolically associated with the morally good. Finally, by synthesizing the findings, the possibilities of moral education are discussed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while the limitations of it are also mentio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