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해체주의적 시각에서 본 연출사진에 나타난 혼재성 -제프 월(Jeff Wall)의 작품을 중심으로-

        고경호 ( Kyung Ho Ko ),김혜림 ( Hye Rim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1

        사진은 1839년에 공식적으로 발명되었지만, 사진의 진정한 발견은 1979년에 이루어졌다고 언급한 더글라스 크림프(Douglas Crimp)의 주장처럼, 사진은 기록을 위한 수단이나 예술의 보조적인 지위에서 벗어나 회화나 조각처럼 작가의 의도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사진은 독자적인 미학을 수립하며 하나의 예술적 표현 매체로서 예술영역에 수용되었다. 그리고 2000년대에 들어 사진은 디지털 기술과 결합하여 다시금 매체의 한계성을 넘어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사진을 둘러싼 여러 논의들을 통해 실재와 동일시되는 무 매개적인 자기현존의 증거로서, 그 동안 사진이 누려왔던 특권적 지위에 대해 선행적으로 살펴본 후, 동일성의 원리를 전복시킨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2004)의 해체주의적 시각을 통해 연출사진에서 나타난 실재와 허구의 경계적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출과 재연이라는 방법을 통해 사진의 리얼리즘적 가치를 해체한 작가 제프 월(Jeff Wall, 1946-)의 작품을 중심으로 그의 연출사진에서 보이는 해체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먼저, ‘유사 다큐멘터리(near documentary)’의 개념을 통해 작가가 경험한 현실을 ‘재연(re-enactment)’한 제프 월의 연출사진을 중점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실재와 허구의 경계의 틀이 깨지고 불확정적인 상태로 혼재되어 있음을 알수 있었다. 또한 제프 월은 영화촬영 기법인 ‘시네마토그라피(cinematographic)’를 사진에 도입하여 현실에 허구적 요소를 이식함으로써 ‘재구성된 현실’ 혹은‘허구화된 현실’처럼 실재와 허구가 상호보완적 논리 속에서 서로 공존하거나 그두 세계가 구분 없이 뒤섞여 ‘비현실적인 현실’을 그려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제프 월의 작품은 본질적으로 사진이 지닌 동일성의 논리를 전복시킴으로써 실재와 허구라는 이중적 제스처 속에서 보완물의 논리를 생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도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제프 월의 연출사진 속에 재현된 현실이 실제를 넘어 ‘새로운 진실’로 수용되고 있으며, 이로써 사진의 ‘새로운 리얼리티(New Reality)’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지닌다. As Douglas Crimp argues that the genuine discovery of photograph was made in the year of 1979 even though its official invention was done in 1839, photograph established its status as independent aesthetics breaking away from just being an index to represent real objects and thus started to be considered as a unique art genre. Recently, photography has collaborated with digital technology and has overcome its limitation and thus has proposed new possibilities. This study will examine the privileged status of photography as a proof of existence through various discourse and discussion on photography. Then this study will seek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on the potential of photography with Jacques Derrida`s disconstruction that subverts the theory of identity. Based on this and by considering Jeff Wall`s postmodern staged photographic works. By analyzing Wall`s works that were produced through re-enactment of his own experienced reality with the concept of ``quasi-documentary``, it proves to be obviousthat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fiction has disappeared and they are merged together. Also by introducing ``cinematographic`` technology to photography and adding fictional elements to reality, Jeff Wall creates ``re-constructed reality`` or ``fictioned reality`` where reality and fiction exist together heterogeneously and complementarily. Thus this study will argue that Jeff Wall`s re-constructed reality in his staged photographs is considered as new truth beyond reality and thus proposes new potential of ``New Reality`` of photography.

      • KCI등재

        현대미술에서의 쉘터(Shelter) 공간 연구

        고경호(Ko Kyung Ho),김정은(Kim Jeong E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조립식 건축 방식과 사물 인터넷 기술이 결합된 ‘스마트 쉘터’가 가까운 미래에 각광받는 주거 방식이 될 것이라는 예측을 전제로 하고, 예술의 차원에서 ‘쉘터’ 개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이를 위해 미국의 미술가 안드레아 지텔의 쉘터 작업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왜냐하면 지텔은 인간의 삶의 방식에 주된 관심을 두고 작업하는 작가이므로 그의 쉘터 작업은 인간의 거주 방식에 대한 고찰일 것이고, 지속적으로 제작된 쉘터 작업들은 일관된 맥락 하에서 어떤 의미를 공유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지텔의 쉘터 작업을 고찰한 결과, 본 연구는 지텔의 쉘터 작업이 일종의 마이크로 유토피아의 구현이라고 보았다. 이때 유토피아의 구현은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는데, 그것은 첫째, 디자인 유형을 제시하는 유물론적 방식을 통한 자기 규제, 둘째, 가상공간을 설정하여 스스로를 고립시키기, 셋째, 제도의 틈을 발굴하여 임시 공간을 창출하기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작품 개념이 니꼴라 부리요의 관계미학과 관련성이 있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마이크로 유토피아의 구현은 관계미학 담론의 핵심 주제와 같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지텔과 부리요는 둘 다 예술 작품을 사회제도의 틈으로 여기는 공통된 관점을 가졌다. 이를 근거로 본고는 안드레아 지텔의 쉘터 작업에 있어서 관계미학적 특성을 구체화하려 했다. 그리고 쉘터라는 사물이 현대미술이라는 무대에서 하나의 작품으로서 등장했을 때 이를 통해 어떻게 공동체와 개개인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지는지 그 사례를 밝히고자 했다.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shelter” in art, premised on the forecast that the “smart shelter”, a combination between the methodology of prefabricated architecture and the Internet of Things, will soon become the popular way of housing. The paper focuses on American artist Andrea Zittel’s shelter works. The logic behind doing so was that as Zittel’s main interest lies in the ways of human life, her shelter works would be a contemplation of human living methodologies, and the constantly produced shelter works would share a certain meaning under a consistent context. Having examined Zittel’s shelter works for such reason, this study concludes that her shelter works are a realization of a sort of micro-utopia. The artist achieves this realization of utopia in three ways: self-regulation through a materialistic means of presenting a design pattern, self-isolation by designating a virtual space, and construction of temporary space by hunting the cracks of the system. Researchers of this study see this conclusion in relation to Relational aesthetics, which is an argument that has been developed by French art critic Nicolas Bourriaud. The reason of the connection between Zittel’s shelter works and Relational aesthetics is that ‘realization of a micro-utopia’ is also the key point of the Relational aesthetics. Furthermore, Zittel and Bourriaud have the same point of view about art, which is that ‘an art work exists as an interstice (or a crack) of the social system.’ Therefore researchers of this study try to make definite the elements of Relational aesthetics in the Zittel’s shelter works, and make specific how people consider community and individuals when a shelter comes into the contemporary art as an art work.

      • KCI등재

        레이첼 화이트리드의 경계의 공간

        고경호(Ko Kyung ho),김재도(Kim Jae do)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레이첼 화이트리드의 ‘빈 공간’을 캐스팅하는 작품 제작 방식의 역설적인 성격에서 출발하였다. 화이트리드를 분석할 수 있는 키워드를 ‘경계’로 보고, 그의 작품이 전복시키는 물질성, 시각성을 고찰한 뒤 종국에 다다르게 되는 공간성에 대한 특징적인 사유와 실천의 양상을 살펴본다. 화이트리드는 ‘빈 공간’을 콘크리트라는 단단한 재료로 물질화, 가시화함으로써 물리적 성격을 뒤집는다. 이러한 변화는 물질과 비물질, 가시와 비가시의 ‘경계’를 형성하고 이를 확장시켜 유령적 성격을 갖는 ‘경계의 공간’을 생산한다. 삶(현존)과 죽음(부재) 사이 어딘가에서 반복적으로 출몰하는 유령을 닮은 화이트리드 작품의 공간은 덩어리의 물리적 실재, 빈 공간의 구분이 역전되는 경계를 오간다. 캐스팅된 덩어리의 표면은 거푸집이 품고 있던 공기, 시간, 그것을 바라보는 관람자의 기억 등 눈에 보이지 않는 환경 전체를 포함하며 무한히 확장된다. 이는 공간을 수동적이 고 비활동적인 것으로 여겼던 기존의 사유를 극복하고 공간 그 자체로 능동적이고 구성적인 사유방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공간’에 대한 다양한 사유와 실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로 확장되고, 철학, 건축, 문화/예술, 공간 이론의 관점에서 고찰해 볼 수 있는 ‘생성적 인터페이스로서의 공간’ 연구, ‘인터페이스로서의 공간’ 등의 연구로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aradoxical nature of the way of making a work that casts empty space of Rachel Whiteread. It consider the keyword that can analyze Whiteread as boundary , and examine the materialism and visuality that her work subverts, and then examine the characteristic thought and practice of the space that comes to the end. Whiteread reverses physical character by materializing and visualizing void space with solid material, concrete. These changes produce a boundary space with a ghostly character by forming and expanding the boundary of material and nonmaterial, visible and invisible. The space of Whiteread’s works resembling ghosts that appear repeatedly somewhere between life(existence) and death(absence), cross the boundary where the division between the physical reality of the mass and the empty space reverses. The surface of the cast lump extends infinitely, including all of the invisible environment, including the air and the time the mold was holding, the memory of the spectator viewing it. It overcomes the thought that space was regarded as passive and inactive, and it shows active and constructive way of thinking as space itself. Based on this research, I will study the space as a generating interface that can be expanded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architecture, culture / art, and space theory, extended to more concrete studies on various thought and practice of space , space as an interface , and so forth.

      • KCI등재후보

        설치미술의 장소성에 나타나는 다중 내러티브

        고경호(Ko, Kyung-ho),이현아(Ee, Huna)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1 조형디자인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설치미술이 장소성의 의미변화를 통해 어떻게 다중의 서사성으로 확장하게 되는지에 대해 다룬다. 이를 위해 먼저 현대미술에 나타나는 장소성과 그것의 시대별 변화를 통해 알아본다. 오늘날 예술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표현 방식의 확장을 시도함과 동시에, 다양한 장소에서 예술의 공간성의 지평을 확장하는 실험을 거듭해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작품을 해석하는 의미화의 장 역시 확장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술사 상에서 의미 확장의 소재적 출발점인 오브제 개념의 도입에서 보이는 언어적 확장성을 확인하고, 이어 장소성과 공간적 구성 요소들의 분석을 통한 설치미술의 의미 확장 가능성과 그에 따른 서사성을 살펴본다. 이어서 본고는 설치미술 작가들의 작품의 구체적 사례를 통해 설치미술이 장소성의 변화와 함께 작품의 의미화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함께 살핀다. 오브제 도입을 중점으로 그것이 갖는 다의성을 살피고, 작품과 설치장소 사이에 발견되는 다성성의 개념을 확인해본다. 또한 이러한 다성성의 원리가 설치된 공간 안에서 어떻게 의미 분화되는지 기존 설치 작품의 예를 통해 알아본다. 이렇게 설치미술이 갖는 공간 구성 방식의 발전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설치미술의 새로운 미학적 해석 가능성을 열고, 결론적으로 다양한 매체의 설치가 가져오는 서사성의 확장을 짚어본다. 설치미술은 무엇보다도 지금까지의 순수 입체 조형 예술에 이용되어온 장소성과 관객의 능동적 해석이 결합하는 가운데 일어나는 서사성의 확장을 바탕으로 성찰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contemporary installation art expands its multi-narrative through changing meaning of its site-specificity. To do so, I look into site-specificity in the contemporary art and its historical changes. Today not only art has tried to expand its expression by applying various media, but also it has attempted its experiments of expanding its space in various venues. These experiments have also broadened textuality of art work. Thus this study will first research on linguistic expansion which newly introduced concepts of object in art history resulted in, and then explore its possibility of expansion of meaning in installation art and its narrative by analysing site-specificity and elements of space. Then by looking at various installation art works, this study examines how objects develop various meanings based on space. Focused on introduction of object, this study will review its diverse meanings and examine the concept of its ambival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work and its space. Also by looking at some installation art works, I will explore how this ambivalence will be divided into various meanings. In doing so, this study will explore how installation art develops its various ways to construct its space and thus open up for new possibilities of aesthetic interpretation in installation art and confirm the expansion of narrative in installation art through introducing various media. More importantly, installation art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expansion of its narrative brought out by combination of site-specificity and active interpretation of the audience.

      • KCI등재

        1960년대 이후 인체 조각에 나타나는 매체로서의 신체 연구

        고경호 ( Ko Kyung Ho ),강덕봉 ( Kang Duck B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1960년대 이후 매체(media)로서 부상한 `신체`에 대한 인체 조각을 연구한 논문이다. 현대 인체 조각에서 관람자와 소통을 `매개(mediate)`하는 상호작용적 매체로 변용된 신체에 대한 고찰로 논지를 이끈다. 매체의 개념을 이해하고, 인체 조각에서 매체의 확장과 신체의 활용을 통해 현대 인체 조각에 나타나는 매체로서의 신체를 탐구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과거로부터 조각에서 사용되는 매체는 견고성이 보장되는 재료를 바탕으로 고정된 물리적 실체(實體)를 드러내기 위한 수단이었다. 그러나 20세기 초부터 본격적으로 확장된 매체의 특성을 기반으로 매체의 독립성과 자율성이 주목받으면서 전통적으로 이어져 오던 매체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리고 1960년대를 기점으로 매체는 비물질화(非物質化, Non-materialization) 되고, 탈 형식적으로 드러나면서 소통을 매개하는 상호작용적 요소로 부상했다. 이러한 경향은 20세기 이후 인체 조각에서 인간 존재를 둘러싼 문제를 표출하는 확장된 매체로 드러난다. 그것은 신체적 표현성을 극대화하며 인간의 `몸`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인체 조각에 나타난 `신체`를 단순한 오브제(objet)가 아니라, 실제 시간과 공간 속에서 관람자와의 인지적 소통을 매개하는 상호작용적 요소로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주체와 객체라는 이원론적 신체 담론을 와해시키고 등장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신체` 담론을 주목하였다. 그중에서 신체를 통해 객관적 세계가 아니라 구체적인 삶의 세계를 지각하는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의 현상학적 관점에서 관람자에게 `인지적 경험`을 유도하는 `매체`로서의 신체 역할을 고찰하였다. 이를 근거로 1960년대 이후 인체 조각에서 `신체`를 작품의 직접적인 매체로 활용하여, 표현의 소재였던 신체를 동시대인을 대변하는 체화(體化)된 신체로 변모시킨 표본 작가들의 작품들과 그 의미를 짚어봄으로써 동시대 인체 조각의 지평을 확장하는 발판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figurative sculpture with regards to the body which has emerged as a medium since the 1960s. The point of the argument i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body appropriated as an interactive medium to mediate communication with the viewer. The study purports to identify the concepts of a medium and explore into the body in contemporary figurative sculpture in respect to its expansion and the engagement of the body. A medium of sculpture in the past used to serve as a means to realize a fixed physical entity through materials with solid nature. Since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owever, the expansion of media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relevant conventional perceptions, along with the newly underscored qualities of being independent and autonomous. By the 1960s, a medium, turning into being non-material and anti-formal, arose as an interactive element mediating communication with the viewer. This tendency is specified into an expansion of media embodying issues encompassing human existence in figurative sculpture since the twentieth century. And it takes the expressional possibilities employing physical qualities into the maximum and leads into continued researches towards the body. In this respect, the study focuses on the body in contemporary figurative sculpture, which is characteristic of its interactivity, and mediates percep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viewer in the actual time and space, rather than as a mere object. The researcher gave attention to discourses on the body of Postmodernism having surfaced with the collapse of subject and object dualism. Particularly phenomenology by Maurice Merleau-Ponty, which perceives through the body the actual and specific world, instead of an objective one, is employed to examine the role of the body as a medium that helps mediate perceptional experience with the viewer.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sampled a few artists who brought a change to the role of the body, from a conventional material for expression to the embodied body which speaks for one`s contemporaries since the 1960s. The illumination of their works and relevant implications will hopefully serve as a basis to expand the level of contemporary figurative sculpture.

      • KCI등재
      • KCI등재

        하위문화의 관점에서 본 브리콜라주 조형의 의미화 방식 연구

        고경호(Ko, Kyung-ho),한지현(Han, Ji-hy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4

        브리콜라주를 통한 조형은 현대 조각에서 매체의 확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각으로의 감상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또한 현대사회의 복잡한 사회구조 속에서의 동시다발적인 문제들에 대해 일상의 사물들을 접합시키는 브리콜라주 조형은 관습화된 인지과정에서 벗어나 보다 효과적인 전달을 꾀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브리콜라주 조형의 특징은 현대사회와 도시공간을 관념적인 물리적 장소로 상정하고 이에 대한 공간 밀착적인 작업을 하는 토모 코 타카하시와 일상 사물의 혼종적인 결합을 통하여 고정적이지 않은 확장의 장으로서 브리콜라주를 활용하는 제이슨 로즈의 작품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현대사회를 지탱하는 가치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제시하는 토모코 타카하시의 장소 특정적 브리콜라주 작업들과 본인만의 독창적인 브리콜라주 발명품을 통해 관습적 의미의 균열 속에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이식하고자 했던 제이슨 로즈의 브리콜라주 설치 작업을 사회문화 현상의 한 형태인 하위문화 양식과 더불어 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두 작가의 작품들이 드러내고 있는 브리콜라주 조형의 내재적 특징에 주목하고자 하며, 작가와 감상자가 가질 수있는 브리콜라주 조형의 잠재적 가치를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의 과정은 작업의 제작과 감상의 능동적인 태도와, 보다 풍부한 양방향에서의 의미화를 가능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진행 방법은, 먼저 브리콜라주의 전반적인 특징과 이에 상응하는 하위문화의 사례에 대한 정의와 특징을 살펴보고, 다음으로는 장소 특정적인 브리콜라주 조형으로 사회구조 전반에 걸친 문제의식에 대해 탐구하는 토모코 타카하시의 작품을 하위문화의 장소적 접근이 드러난 사례와 함께 분석한다. 마지막으로는 제이슨 로즈의 브리콜라주 조형 속에서 일시적으로 결합되는 맥락간의 오염과 그로 인해 생겨나는 새로운 의미의 확장 가능성에 대해 하위문화 속 맥락의 혼재와 함께 고찰 한다. Bricolage not only expands materials in contemporary sculpture but also enables appreciation of art work in various points of view. Also for simultaneous and multiple issues in complicated social structure of contemporary society, bricolage which combines various daily objects can mention such issues in more effective ways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any conventional cognitive frame. Here are two artists who show unique features of bricolage. They are Tomoko Takahashi who proposes contemporary society and city space as conceptual physical site and creates site-related works and Jason Rhoades who applies bricolage as a field of flexible and expandable meaning through hybrid combination of daily objects. This study examines, in close relation with style of subculture, site-specific bricolage of Tomoko Takahashi which questions contemporary society and bricolage installations of Jason Rhoades which tries to show possibility of a new interpretation in the rupture of conventional meanings. Through this,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unique features of bricolage and its potential artistic value for both artist and audience. This will surely confirm its possibility in interactive process between artist and audience. This study explor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bricolage and examples of subcultures. Tomoko Takahashi s site-specific bricolage works will be examined in relation with style of subculture which show site-specific approach. Bricolage of Jason Rhodes will be studied in that it is temporarily mixed with others, causes contamination among the context, and opens up for a new meaning.

      • KCI등재

        지역혁신체제에서의 산학 간 기술이전촉진체제 구축방안 연구

        고경호(Kyung-Ho K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7

        이 연구는 지역혁신체제론에 입각하여 지역대학이 창출하는 기술을 보다 활발하게 지역 내로 전파·확산시키기 위한 촉진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충남지역 내 대학 기술이전조직(Technology Licensing Office)들의 현황과 실태, 대학에서 창출된 기술이 현재 원활하게 이전되고 있는지, 산학 간 기술이전활동에서의 애로와 문제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한 기술이전촉진체제 구축방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TLO의 구조와 여건이 본연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매우 열악하다는 점, 기업 측이 대학 측에 요청해 이전된 기술건수가 극히 적다는 점, 현장과의 괴리로 인하여 상용화 기술 개발이 매우 미흡하다는 점, 대학 기술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는 점, 기술정보 탐색을 위한 접근성이 부재하다는 점, 기술수요 기업 탐색이 매우 어렵다는 점, 관련 네트워크와 플랫폼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 등이 발견되었다. 특히 지자체와 산업경제계, 지원공공기관 등 지역혁신주체들도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당위적 수준에서 인식하고 있을 뿐 이를 위한 지역 내 기술이전·확산·촉진체계 구축에 대한 관심과 의지는 매우 미약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적 단위에서의 산학 간 기술이전 촉진체제 구축 방안을 3단계에 걸쳐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역혁신능력이 중요해지는 지역화 시대를 맞아 이들 관련 혁신주체들이 지역혁신체제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역적 단위에서의 기술이전·확산·촉진체제의 구축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의지를 제고한다면 지역의 경쟁력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aknowledge transfer system between academics and industries in the Chungnam Region.We analyze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by the technology licensing offices of universities in the Chungnam Region through apractical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regarding thetransfer of the knowledge developed in the universities. The problems found included the poor circumstances of the TLO of the universities, very limited number of requests forknowledge transfer by the companies, distrust of university technologies and the absence of related networks and platforms. Especially, there is insufficient concern and recognition of theregional actors in theknowledge transfer system.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these problems should be fixed by enacting suitable government policies.

      • KCI등재

        현대조각에 나타난 네거티브 공간의 배경과 발현 양태

        고경호 ( Kyung Ho Ko ),김덕수 ( Duk Su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2

        현대 조각에 나타난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매스에 네거티브 공간의 침투 현상이다. 이것의 배경을 건축과의 상호텍스트적 관계에서 찾는 본 연구는 건축에 나타나는 공간개념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조각에 나타나는 공간의 표현방식을 분석한다. 연구방법은 네거티브 공간의 함의를 갖는 조각가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복수사례조사로 진행되었다. 현대조각에서 발견되는 네거티브 공간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 초 보치오니의 <공간속에서의 병의 전개>에서 보이는 것처럼 조각에 시간의 흐름과 움직임 개념을 도입하거나 가보의 용적측정법으로 기하학적 핵심부나 구조의 내면을 보여주는 시원적 네거티브 공간이 있다. 둘째, 하이저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원시적 에너지의 잠재력을 상기시키는 네거티브 공간이 있다. 셋째, 매스의 폐쇄성과 대비되는 공간을 체험함으로써 네거티브 공간을 육체적으로 느끼게 하고 정신적으로도 지각하게 만드는 나우만의 네거티브 공간이 있다. 넷째, 내부의 부재한 공간을 캐스팅하여 보여주는 화이트리드의 작품에서 특징적으로 발견되는 네거티브한 무형의 부재공간인 경우다. 마지막으로, 물질과 비물질의 이중적 대비 관계를 통해 숭고의 경험을 조장하는 카푸어의 네거티브 공간이 있다. 이러한 네거티브 공간의 유형분석을 통해 현대조각은 단일 공간을 점유하는 매스로서가 아니라 장소성을 새롭게 해석한 조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본 연구는 현대조각에서 발견되는 상호텍스트성은 공간과 매스에 대한 기존의 이분법적인 개념과 구도를 해체하며 삼차원 공간예술의 새로운 지평을 연다고 결론짓는다. One of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ound in contemporary sculpture is an advent of negative space into mass. This study reasons that the negative space introduced in sculpture exemplifies the intertextuality relationships with architecture. Thus, spatial expression in sculpture is searched, while discussing the space concepts found in architectural literature. The research method utilized here is a multiple case study, analyzing sculptors` works with an undertone of negative space. The types of negative space are catego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n early introduction of negative space in the early twenty century, shown to ``Development of Bottle in Space`` by Boccioni who was introduced the flux of time and motion into sculpture, and Gabo`s works by stereometry showing geometrical core and inner structure of an object. Second, a negative space, called the potentials of primitive energy to memory, is found in Heizer`s works. Third, Nauman`s negative space is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perceived by experiencing open space contrasted with closed mass. Fourth, Whiteread creates a negative space as an intangible space, while showing form constructed by positive mass. Finally, a negative space encouraging sublime experience is found in Kapoor`s works, contrasting material with immaterial. This study found that the contemporary sculpture introduces space characterized by architectural dispersion and consequently does not simply occupy a space but interpretate placeness. In addition, the study concludes that intertextuality, found in the contemporary sculpture, deconstructs a dichotomous way of thinking regarding mass and space, and opens a new horizon of three-dimensional art.

      • KCI등재

        조형 예술로 발현된 무의식 세계의 양가적 가치 연구 -쿠사마 야요이와 에바 헤세 작품을 중심으로-

        고경호 ( Kyung Ho Ko ),김혜수 ( Hae Soo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데카르트의 이성중심주의의 사고 이후, 무의식에 관한 새로운 시각은 인간의 의식과 사고, 그리고 인간 현상을 바라보는새로운 가능성을 부여했다. 이는 비단 정신분석학의 영역뿐만 아니라, 조형예술학 분야에서도 집중적으로 다뤄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무의식과 관련한 연구들이 단편적으로 의식과 무의식을 대립의 관계로 설정함으로 인해, 무의식을 단순히의식과 상이한 상대적 개념으로만 이해하는 한계를 지니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무의식을 다른 정신작용들과 분리하며특히, 의식과 무의식을 나타낸 이분법적 정의 개념에 이의를 제기하며, 정신영역들을 양가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 무의식 개념에서 출발하여, 데리다가 설명하는무의식과 의식의 양가적 개념 사이의 ‘틈’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무의식의 의미를 확장하고자 한다. 이는 데리다의 용어로는‘유령적 이미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해석적 틀로 상정된다. 이를 통해 앙드레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소설 『나자』에 반영된 ‘우연 속에 놓인 글쓰기’를 양가적 관점에서 분석하며, 이에 영향을 받은 메레 오펜하임과 호안 미로의 초현실적 작품을 다양하게 해석함으로써 감각영역 속 틈이 실재함을 증명했다. 다음으로, 무의식의 불확실성에 대한조형적 접근을 강조하기 위해, 쿠사마 야요이와 에바 헤세의 작품 속에 남겨진 간극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 결과적으로 본연구는 분석한 작품들을 통해, 무의식의 영역으로 한정되어 해석되는 한계를 넘어 이 또한 의미론적 체계로 다시금 회귀하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피력하며, 여기서 발생된 간극의 양가적 단서들을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나아가 지각 내에 존재하는 영역들 간의 경계를 분유(紛유)가 일어나는 ‘가능성의 조건’으로 바라볼 필요성을 상기시켰으며, 정신영역에 대한 양가적 논의를 확장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Following Descartes` rationalism, Freud`s new thinking about human unconscious founded a whole new territory in viewing human interactions including consciousness and thinking. This transition not only took its focus in psychoanalysis, but also had great impact on Plastic Arts. By simply putting the unconscious in contrast with consciousness, most studies on human unconscious have been limited to understanding the unconscious as such. However, by questioning the dichotomy of unconscious, this study sees them in a sense of ambivalence. This study takes us through Sigmund Freud`s concept of unconscious to Jacques Derrida`s concept of void between ambivalence of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in order to expand the meaning of the unconscious. It is understood as “hauntological image”, which Derrida explains, and used as this study`s analytic frame. It further supports the existence of void in the realm of sens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riting within coincidence” in Andre Breton`s surrealist novel Nadja, and the artworks of Meret Oppenheim and Joan Miro. In addition, Kusama Yayoi and Eva Hesse`s artworks were studied to emphasize the figurative approach in understanding the uncertain grounds of our unconscious. This study, at last, holds its objective in overcoming the boundaries of unconscious by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rational system within the unconscious itself. The void, which this study presents as a new joint ground between humanity`s rationality and emotionality, provides unbounded potential in expanded discourse on human inter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