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릭스터 개념을 통한 현대미술에서의 몸의 확장성 연구 -마크 퀸과 매튜 바니 작품 중심으로

        고경호 ( Ko Kyungho ),이주현 ( Lee Juhy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현대미술에서 몸은 인간과 가장 가까운 오브제인 동시에 근원적인 장소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몸이 갖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 해체, 즉 경계적 존재로서의 역할이다. 원래 고대 신화에서 유래한 트릭스터는 경계에 존재하는 인간 유형을 의미하는 문학적 용어로 최근에는 문학 이외에 심리학, 정신분석학 등 인문학 전반에 걸쳐 논의되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트릭스터의 경계적 존재로서의 특징에 주목하고, 이를 현대미술에서 몸을 통해 구현되는 사례에 대입하여 분석함으로써 경계에서 벗어난 몸이 어떠한 도식으로 재수용되고 그 의미를 확장하는가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우선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트릭스터 개념을 이루는 주요 요소(어원, 특징, 유형)를 레비-스트로스의 신화학과 판 헤넵의 사회학에서의 논의를 토대로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과거부터 현재까지 우리 주변에 존재하고 있는 여러 트릭스터의 유형 사례들을 통해 살펴본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현대미술에서 트릭스터 개념이 적용된 구체적 사례로 몸을 기반으로 신화적 요소들을 작품에 차용하는 공통점을 지닌 작가인 매튜 바니와 마크 퀸의 작업을 분석한다. 두 작가의 사례연구를 통해 현대미술의 가변적이고 다원적 성격을 트릭스터의 경계성(Liminality)개념을 통해 하나로 아우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트릭스터가 갖는 중개적 특성은 현대미술에서 몸이 이전의 위계나 경계의 한계를 벗어나 보다 확장된 인문학적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매개로 기능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In contemporary art, the body has been regarded as the closest object to humans and as a fundamental place. The most striking characteristic of the body is the dissolution of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that is the role of a boundary being. Originally derived from ancient mythology, the Trickster is a literary term that refers to the type of human existing at the boundary. Recently, it becomes a concept that is actively being discussed in the whole humanities such as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in addition to the literature.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ickster as a boundary existence and analyzes it by substituting it into the actual case of the contemporary art realized through the body. This study also looks into what schema the body that deviated from the boundary is re-accepted and expands the meaning. In the first half of the text, the elements (etymology, characteristics, and types) that are the main concept of the Trickster are overviewed based on the discussions in Claude Levi Strauss' mythology and Van Heneb's sociology. Then we substitute those elements into various types of Trickster cases that exist around u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n the second half,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 the works of Matthew Barney and Mark Quinn who have a common point of borrowing mythical elements into their works based on the body are compared and analyzed, which are concrete cases of the concept of a trickster applied in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two artis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variable and pluralistic features that appear in contemporary art can be combined into one through the trickster’s liminality. This change of perspective on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intermediary role of the trickster will help the body to function as a medium that enables more extended humanistic thinking beyond the limits of previous hierarchies or boundaries.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송전설비회피비용 산정연구

        정영범(Jung Youngbeom),고경호(Ko KyungHo),김준형(Kim JunHyung),이재걸(Lee JaeGul),윤용범(Yoon YongBeum)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전력시스템에 수요관리나 효율향상프로그램 또는 분산형 전원을 도입하는 경우 전력회사의 측면에서는 수입의 감소와 함께 각종 비용에 대한 절감효과가 동시에 발생을 하며, 이러한 비용절감효과를 회피비용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이러한 회피비용 중 최대수요의 감소로 인하여 송배전설비의 투자시점이나 투자비용이 변화하게 되어 방생되는 회피비용을 송배전 설비회피비용이라고 정의한다. 지금까지 한계비용이나 현재가치법을 이용한 방법론들이 개발되었으나, 최대수요 예측치나 수요 감소효과의 예측값에 대한 불확실성을 고려한 방법은 없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래예측값에 대한 불확실성을 고려할 수 있는 One-Year Deferral방법론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사례분석을 시행하였다.

      • KCI등재

        정동을 통한 장소의 사유와 경험의 공감각-로니 혼과 레이첼 화이트리드 작품 중심으로

        이재원 ( Lee Jaewon ),고경호 ( Ko Kyungh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6

        예술작품은 정동의 응결체로 볼 수 있으며, 예술가가 작업의 과정에서 작품과의 관계 속에서 정동하고 정동되기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정동은 신체의 이행이라는 과정의 상태로써 지각으로 포착되기 이전에 신체가 대상에 영향을 주고 영향을 받아들이는 상호관계적 변이를 이르는 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결정체로서 정동의 잠재적 성격에 주목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장소, 공간을 다루는 예술작품에서 신체의 경험이 가지는 공감각적 지각을 정동 개념으로 분석한다. 예술가가 작품의 개념적 접근과정에서 주목하고 있는 체화된 경험의 마주침의 지점들을 살펴보고, 작품이 내재하고 있는 정동의 잠재성이 관객과 감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살펴본다. 연구방법은 우선 2장에서 정동의 개념을 스피노자, 들뢰즈, 마수미의 계보를 따라 살펴보고 신체의 경험이 가지는 정동의 잠재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 장소와 공간을 작품의 주요 소재로 사용하는 두 작가 로니혼과 레이첼 화이트리드의 작업을 분석한다. 두 예술가의 작품분석을 통해 동시대 미술에서 정동이 응결되고 드러나는 지점을 확인하고, 또한 작품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있어 정동적 사유가 중요한 감각이자 잠재적 능력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예술가의 작업 과정을 비롯하여 관객이 작품을 체험하는데 있어 정동적 영역에서 비의식적 마주침이 촉발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개체와 개체가 연결되고 공감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한 정동의 확장된 이해를 도울 것이다. Artworks are inherently the concretion of ‘affect’. That is, artworks are the product of affecting and being affected in the continuous interrelationship between an artist and their work in the process of creation. In the spontaneous or enduring process of body transformation, ‘affect’ refers to the interrelated transition that the body of artist/audience and the object(s) of artwork are affecting and being affected each other even before the artist/audience consciously perceives this transformation proces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potential nature of ‘affect’ and examine multi-sensory awareness for physical experiences that are embedded in the artworks of place and space by using the concept of ’affect’. To do s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ncountering moments of embodied experience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dopts a conceptual approach that an artist focuses on the artwork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whether the potential nature of ‘affect’ in the artwork can affect and be affected by audiences. In terms of research method, Chapter 2 reviewed the passage of discourses on ’affect’ by Spinoza, Deleuze, and Massumi in order to extend our understanding on the potential nature of ’affect’ in physical experiences. Then, Chapter 3 analized the artworks of Roni Horn and Rachel Whiteread who used place and space for their main ideas of artwork creation. The analysis of these two artists’ works represent the moment of congealing and revealing ‘affect’ in the contemporary art. Moreover, this study confirms that affective thoughts are an important sense and potential ability to understand and analyze artwork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unconscious contacts are provoked in the realm of ‘affect’ when artists create their works and audiences experience them. By doing so,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tended understanding of ‘affect’, which includes the potential nature of connecting and sympathizing individuals as the outcome of appreciating ar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