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혁신체제론 관점에서의 농촌지역 주민공동체조직 형성 촉진요인과 역할 분석 및 시사점: 아산시 사회적협동조합 ‘송악동네사람들’ 사례를 중심으로

        고경호 ( Ko Kyoung-ho ) 한국유기농업학회 2020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ey elements of the regional innovative milieu by analyzing the role of regional innovative elements and case organizations that promoted the emergence of ‘Songakdongnesaramdeul (the people of the Songak town),’ and to present pertinen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urpose, this study set the “Songakdongnesaramdeul,” a residential community organization founded for regional innovation to revitalize the village community, as a case organ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or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creating an innovative milieu through the creation of various innovation elements to revitalize the village community is crucial. Especi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xistence of regional development organizations is the key element of the innovative milieu. such as case organization that contributes to regional development while promoting interaction between actors, common learning and systemization, and new value creation activities. The implications derived through the study can be summarized in four points. First, a variety of means to promote the formation of subjects in response to the public debate of the village agenda is needed. Second, it is highly important to create innovative elements, for example, organizations and programs, resources, and spaces that promote regional innovation. Third, forming a close network between various innovative resources existing in the region and establishing regional capabilities that allow to mobilize and utilize such innovative resources are important. Fourth, the establishment of a promotion mechanism such as a case organization is suggested as a major task, to revitalize the village community. Specifically, forming and revitalizing numerous private-based community organizations with regional developmental capabilities to establish local governance also has significant importance. In this vein, based on the point of view of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ory,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policies to construct a regional innovation milieu, such as creating innovative elements that can actively promote the regeneration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establishing a promotion system, can be presented as major tasks.

      • KCI등재
      • KCI등재

        마을 만들기 관련 조례에 대한 지역혁신 및 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의 적용: 충남지역 민간위탁형 기반 중간지원조직 설치·운영 지역의 관련 조례를 대상으로

        고경호 ( Ko Kyoung-ho ) 한국유기농업학회 2023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31 No.1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whether the relevant ordinances of Chungcheongnam-do’s five local governments, operating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for contracted-out community building, comply with the regional innovation and cooperative governance-based perspective. The examinatio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bout the normative system: first, village building does not present that it is a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based collective activity of various related actors; second, the cooperative governance-based implementation system was not presented as a key term; third, “numerous relevant subjects’ participation” and “democratic decision-making and cooperative promotion” are not presented as basic principles; fourth, the subjects are limited to residents and the administration, and only their responsibilities are presented. About the effectiveness system: first, the establishment of a master plan, a primary mean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charge department and collaboration system in the administration are presented as optional provisions; second, the nature of the relevant committees and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is not presented as “public-private cooperation-based system”; third, the area of the function and authority of the relevant committees is limited to review and consultation. Fourth, the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 structure and system,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secretariat, and the practical operation of the center is not presented. In sum, to make related ordinances become institutional grounds with stronger effectiveness, reconstructing them by strictly applying the perspectives of regional innovation and cooperative governance is necessary.

      • KCI등재

        퍼포먼스와 조각에 나타난 작가의 신체 -재닌 안토니와 앤 해밀턴의 작품을 중심으로-

        고경호 ( Kyung Ho Ko ),박정선 ( Jung Sun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오늘날 현대미술에서 작가의 존재는 작품해석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중 퍼포먼스라는 장르는 작가의 존재가 보다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장르로서 한정된 시·공간성으로 인해 그 때, 그 장소에 있지 않았던 관객들은 작품을 퍼포먼스를 기록한 다른 매체들-사진, 비디오-로 접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우리의 인체를 시·공간적으로 바라보았던 앤 해밀턴과 재닌 안토니의 작업 과정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하여 두 작가가 신체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인식하는 것에 주목하며, 바깥에서부터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신체를 통해 외부세계를 인식하는 그들의 주체적 시선을 살펴본다. 아울러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진행방법은, 1) 퍼포먼스라는 영역이 갖는 시-공간적 한계성을 살펴보고 2) 신체에 대한 장소적인 접근과 함께 신체의 새로운 기능성에 대하여 탐구하는 앤 해밀턴의 작업들을 메를로 퐁티의 ``몸 틀 이론``과 함께 연구한다. 3) 다음으로는 시·공간에 대한 측정단위로서 자신의 신체를 사용하는 재닌 안토니의 작업들을 ``프린트``의 제작 과정을 대입하여 작품 속에 남겨진 작가의 흔적들을 찾는다. 이들의 작업에서 작가의 신체는 기능성을 가진 장소로서 그리고 시간의 길이를 가진 사물로서 다루어지며 우리의 인체가 갖고 있는 가능성의 영역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다루었다. 앤 해밀턴은 그녀의 작업에서 가변적인 하나의 ``유연한 공간``으로서의 신체의 모습을 제시하였으며, 재닌 안토니는 관찰자의 시선으로 사물과 관계하는 작가의 몸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의 제작자이자 주체자로서의 작가에 대한 의미와 관객이 작품 속 작가(신체)가 남긴 단서(흔적)들을 발견함으로써 퍼포먼스가 이루어진 본래의 시·공간으로의 접근을 도울 것이다. In today`s world, with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the "artist" component is becoming a major factor in interpreting artwork. Especially within performance art, the artist is a component that intervenes more directly compared to within other genres. Because performance artworks are confined within a set time and space, those audience not present at the time and place of the performance encounter the work through different media - photographs, videos - that have recorded the performance. Hamilton and Antoni view the human body from temporal and spatial angles. This comparative study of the artists` work processes will focus on how the two artists take different approaches to perceiving the human body; specifically, this study will examine their autonomous viewpoints in which they perceive the external world through their bodies, instead of becoming aware of their existence from the outside. The specifics of the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1) Examine the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associated with the field of performance art. 2) Analyze Ann Hamilton`s works, which take a spatial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body and explore new functions of the body, using Merleau-Ponty`s theory of Corporeity. 3) Next, substitute the process of Janine Antoni`s works, which use her own body as temporal and spatial units of measure, with the production process of printing in order to examine the traces of the artist within her artworks. In their works, the artists` bodies are regarded as functional places and as objects that possess lengths of time; the artists deal with domains of the body`s potential in multifaceted ways. In her work, Ann Hamilton allows the audience to discover an image of a body as a single transformable space, while Janine Antoni explores the interaction between an artist`s body and other objects from an observer`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significance of the artist both as the producer and the presenter of an artwork; moreover, it seeks to offer a means to better understand the essential temporal and spatial approaches taken by performances that consist of the audience discovering clues(traces) left by the artist(body).

      • KCI등재

        포스트디지털 시대의 공공미술 특징연구 - 디지털매체로 지역구성원과 소통하는 해외사례 중심으로 -

        고경호 ( Ko Kyung Ho ),김병주 ( Kim Byung J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도시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발현되는 공공미술에 주목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변화된 포스트디지털 환경 속에서 공공미술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향후 공공미술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공공미술의 개념 변화와 단계별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장소 특정성과 동시대의 환경에 적용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Fuhlometer(2010)와 MIMMI project(2013)의 사례를 통해 지역구성원의 감정을 반영하는 공공미술 작품들이 현대의 포스트디지털 시대의 도시 공간에서 공공미술로서 어떻게 기능하는지 고찰한다. 사례연구로부터 공공미술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환경적인 특성을 수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가시적 요소인 개인의 감정이나 견해들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반영되는 현재의 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공공미술이 테크놀로지의 시스템과 연동하는 새로운 형태로 시각화 또는 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작품이 설치되는 장소의 특성이 디지털 방식을 매개로 하여 조형물에 직접적으로 투사되며, 이는 지역구성원이 공간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유도하거나 도시-지역에 대한 감정들을 서로 소통 및 교감토록 해주어 소속감 및 일체감과 같은 공동체 의식을 고취한다. 또한 공공미술은 이제 미학적 장식의 기능을 넘어서서, 지역에 대한 관심과 공동체의 참여를 위한 연결고리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한다. 이렇듯 변화된 공공미술의 기능과 움직임을 토대로 진정한 공공성 실현을 모색할 때, 지역 사회와 지역구성원의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 공공의 가치를 창출하는 공공미술의 새로운 전망과 비전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public art released in various aspects through changes of city environment, and to examine the meaning, roles and ways to develop of public art in the post digital environment changed through the case study. As follow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concepts of public art and characteristics by stages and, analyze them by applying it to the place environment and contemporary environment. Also through the case studies of Fuhlometer (2010) and MIMMI project (2013), it is examined how public art works reflecting members' feelings function as public arts in contemporary Post Digital Age urban space. From the case study, public art is accompanied b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city using digital technology. Due to the curren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invisible individual's feelings and opinions are constantly changing and reflecting, and visualized or expressed in a new form linked with the system of technology.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where the work is installed are directly projected to the sculpture through the digital method, which induces the local members to indirectly recognize the change of the space, or communicates feelings about the city-regions and encourages community awareness such as sense of belonging and unity. In addition, public art now goes beyond the function of aesthetic decoration and actively plays a role as a link for interest in the community and community participation. When it is tried to realize the true publicness based on the functions and movements of the public art, it will be able to present a new vision and vision of the public art that creates the mental, social and economic public values of the community and its members.

      • KCI등재

        하위문화의 관점에서 본 브리콜라주 조형의 의미화 방식 연구

        고경호(Ko, Kyung-ho),한지현(Han, Ji-hy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4

        브리콜라주를 통한 조형은 현대 조각에서 매체의 확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각으로의 감상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또한 현대사회의 복잡한 사회구조 속에서의 동시다발적인 문제들에 대해 일상의 사물들을 접합시키는 브리콜라주 조형은 관습화된 인지과정에서 벗어나 보다 효과적인 전달을 꾀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브리콜라주 조형의 특징은 현대사회와 도시공간을 관념적인 물리적 장소로 상정하고 이에 대한 공간 밀착적인 작업을 하는 토모 코 타카하시와 일상 사물의 혼종적인 결합을 통하여 고정적이지 않은 확장의 장으로서 브리콜라주를 활용하는 제이슨 로즈의 작품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현대사회를 지탱하는 가치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제시하는 토모코 타카하시의 장소 특정적 브리콜라주 작업들과 본인만의 독창적인 브리콜라주 발명품을 통해 관습적 의미의 균열 속에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이식하고자 했던 제이슨 로즈의 브리콜라주 설치 작업을 사회문화 현상의 한 형태인 하위문화 양식과 더불어 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두 작가의 작품들이 드러내고 있는 브리콜라주 조형의 내재적 특징에 주목하고자 하며, 작가와 감상자가 가질 수있는 브리콜라주 조형의 잠재적 가치를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의 과정은 작업의 제작과 감상의 능동적인 태도와, 보다 풍부한 양방향에서의 의미화를 가능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진행 방법은, 먼저 브리콜라주의 전반적인 특징과 이에 상응하는 하위문화의 사례에 대한 정의와 특징을 살펴보고, 다음으로는 장소 특정적인 브리콜라주 조형으로 사회구조 전반에 걸친 문제의식에 대해 탐구하는 토모코 타카하시의 작품을 하위문화의 장소적 접근이 드러난 사례와 함께 분석한다. 마지막으로는 제이슨 로즈의 브리콜라주 조형 속에서 일시적으로 결합되는 맥락간의 오염과 그로 인해 생겨나는 새로운 의미의 확장 가능성에 대해 하위문화 속 맥락의 혼재와 함께 고찰 한다. Bricolage not only expands materials in contemporary sculpture but also enables appreciation of art work in various points of view. Also for simultaneous and multiple issues in complicated social structure of contemporary society, bricolage which combines various daily objects can mention such issues in more effective ways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any conventional cognitive frame. Here are two artists who show unique features of bricolage. They are Tomoko Takahashi who proposes contemporary society and city space as conceptual physical site and creates site-related works and Jason Rhoades who applies bricolage as a field of flexible and expandable meaning through hybrid combination of daily objects. This study examines, in close relation with style of subculture, site-specific bricolage of Tomoko Takahashi which questions contemporary society and bricolage installations of Jason Rhoades which tries to show possibility of a new interpretation in the rupture of conventional meanings. Through this,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unique features of bricolage and its potential artistic value for both artist and audience. This will surely confirm its possibility in interactive process between artist and audience. This study explor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bricolage and examples of subcultures. Tomoko Takahashi s site-specific bricolage works will be examined in relation with style of subculture which show site-specific approach. Bricolage of Jason Rhodes will be studied in that it is temporarily mixed with others, causes contamination among the context, and opens up for a new meaning.

      • KCI등재

        현대미술에서의 쉘터(Shelter) 공간 연구

        고경호(Ko Kyung Ho),김정은(Kim Jeong E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조립식 건축 방식과 사물 인터넷 기술이 결합된 ‘스마트 쉘터’가 가까운 미래에 각광받는 주거 방식이 될 것이라는 예측을 전제로 하고, 예술의 차원에서 ‘쉘터’ 개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이를 위해 미국의 미술가 안드레아 지텔의 쉘터 작업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왜냐하면 지텔은 인간의 삶의 방식에 주된 관심을 두고 작업하는 작가이므로 그의 쉘터 작업은 인간의 거주 방식에 대한 고찰일 것이고, 지속적으로 제작된 쉘터 작업들은 일관된 맥락 하에서 어떤 의미를 공유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지텔의 쉘터 작업을 고찰한 결과, 본 연구는 지텔의 쉘터 작업이 일종의 마이크로 유토피아의 구현이라고 보았다. 이때 유토피아의 구현은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는데, 그것은 첫째, 디자인 유형을 제시하는 유물론적 방식을 통한 자기 규제, 둘째, 가상공간을 설정하여 스스로를 고립시키기, 셋째, 제도의 틈을 발굴하여 임시 공간을 창출하기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작품 개념이 니꼴라 부리요의 관계미학과 관련성이 있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마이크로 유토피아의 구현은 관계미학 담론의 핵심 주제와 같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지텔과 부리요는 둘 다 예술 작품을 사회제도의 틈으로 여기는 공통된 관점을 가졌다. 이를 근거로 본고는 안드레아 지텔의 쉘터 작업에 있어서 관계미학적 특성을 구체화하려 했다. 그리고 쉘터라는 사물이 현대미술이라는 무대에서 하나의 작품으로서 등장했을 때 이를 통해 어떻게 공동체와 개개인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지는지 그 사례를 밝히고자 했다.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shelter” in art, premised on the forecast that the “smart shelter”, a combination between the methodology of prefabricated architecture and the Internet of Things, will soon become the popular way of housing. The paper focuses on American artist Andrea Zittel’s shelter works. The logic behind doing so was that as Zittel’s main interest lies in the ways of human life, her shelter works would be a contemplation of human living methodologies, and the constantly produced shelter works would share a certain meaning under a consistent context. Having examined Zittel’s shelter works for such reason, this study concludes that her shelter works are a realization of a sort of micro-utopia. The artist achieves this realization of utopia in three ways: self-regulation through a materialistic means of presenting a design pattern, self-isolation by designating a virtual space, and construction of temporary space by hunting the cracks of the system. Researchers of this study see this conclusion in relation to Relational aesthetics, which is an argument that has been developed by French art critic Nicolas Bourriaud. The reason of the connection between Zittel’s shelter works and Relational aesthetics is that ‘realization of a micro-utopia’ is also the key point of the Relational aesthetics. Furthermore, Zittel and Bourriaud have the same point of view about art, which is that ‘an art work exists as an interstice (or a crack) of the social system.’ Therefore researchers of this study try to make definite the elements of Relational aesthetics in the Zittel’s shelter works, and make specific how people consider community and individuals when a shelter comes into the contemporary art as an art work.

      • KCI등재

        조형 예술로 발현된 무의식 세계의 양가적 가치 연구 -쿠사마 야요이와 에바 헤세 작품을 중심으로-

        고경호 ( Kyung Ho Ko ),김혜수 ( Hae Soo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데카르트의 이성중심주의의 사고 이후, 무의식에 관한 새로운 시각은 인간의 의식과 사고, 그리고 인간 현상을 바라보는새로운 가능성을 부여했다. 이는 비단 정신분석학의 영역뿐만 아니라, 조형예술학 분야에서도 집중적으로 다뤄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무의식과 관련한 연구들이 단편적으로 의식과 무의식을 대립의 관계로 설정함으로 인해, 무의식을 단순히의식과 상이한 상대적 개념으로만 이해하는 한계를 지니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무의식을 다른 정신작용들과 분리하며특히, 의식과 무의식을 나타낸 이분법적 정의 개념에 이의를 제기하며, 정신영역들을 양가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 무의식 개념에서 출발하여, 데리다가 설명하는무의식과 의식의 양가적 개념 사이의 ‘틈’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무의식의 의미를 확장하고자 한다. 이는 데리다의 용어로는‘유령적 이미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해석적 틀로 상정된다. 이를 통해 앙드레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소설 『나자』에 반영된 ‘우연 속에 놓인 글쓰기’를 양가적 관점에서 분석하며, 이에 영향을 받은 메레 오펜하임과 호안 미로의 초현실적 작품을 다양하게 해석함으로써 감각영역 속 틈이 실재함을 증명했다. 다음으로, 무의식의 불확실성에 대한조형적 접근을 강조하기 위해, 쿠사마 야요이와 에바 헤세의 작품 속에 남겨진 간극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 결과적으로 본연구는 분석한 작품들을 통해, 무의식의 영역으로 한정되어 해석되는 한계를 넘어 이 또한 의미론적 체계로 다시금 회귀하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피력하며, 여기서 발생된 간극의 양가적 단서들을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나아가 지각 내에 존재하는 영역들 간의 경계를 분유(紛유)가 일어나는 ‘가능성의 조건’으로 바라볼 필요성을 상기시켰으며, 정신영역에 대한 양가적 논의를 확장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Following Descartes` rationalism, Freud`s new thinking about human unconscious founded a whole new territory in viewing human interactions including consciousness and thinking. This transition not only took its focus in psychoanalysis, but also had great impact on Plastic Arts. By simply putting the unconscious in contrast with consciousness, most studies on human unconscious have been limited to understanding the unconscious as such. However, by questioning the dichotomy of unconscious, this study sees them in a sense of ambivalence. This study takes us through Sigmund Freud`s concept of unconscious to Jacques Derrida`s concept of void between ambivalence of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in order to expand the meaning of the unconscious. It is understood as “hauntological image”, which Derrida explains, and used as this study`s analytic frame. It further supports the existence of void in the realm of sens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riting within coincidence” in Andre Breton`s surrealist novel Nadja, and the artworks of Meret Oppenheim and Joan Miro. In addition, Kusama Yayoi and Eva Hesse`s artworks were studied to emphasize the figurative approach in understanding the uncertain grounds of our unconscious. This study, at last, holds its objective in overcoming the boundaries of unconscious by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rational system within the unconscious itself. The void, which this study presents as a new joint ground between humanity`s rationality and emotionality, provides unbounded potential in expanded discourse on human inter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